회충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충증은 회충(Ascaris lumbricoides)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된다. 감염된 회충은 소장에서 부화하여 성장하며, 다량의 회충은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유충 이동 시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한다.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이 권장되며, 전 세계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위생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서 흔히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충병 - 낭미충증
낭미충증은 돼지촌충 유충인 낭미충이 인체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경구-분변 경로를 통해 감염되며 뇌, 눈, 근육 등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고, CT, MRI 등으로 진단하여 항기생충제 투여,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위생 개선, 돼지고기 위생 관리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 기생충병 - 포충증
포충증은 에키노코쿠스속 촌충 유충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 감염 동물 배설물 접촉 등으로 감염되어 간, 폐, 뇌 등에 낭종을 형성하며, 낭종 종류와 위치에 따라 외과적 제거, 약물 치료, PAIR 시술 등으로 치료한다. - 식중독 - 살모넬라증
살모넬라증은 살모넬라균 감염으로 발열, 설사, 복통, 구토를 일으키며, 주로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감염되고, 영유아나 노약자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식품 안전 수칙 준수와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식중독 - 노로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는 1968년 미국에서 발견된 위장염 유발 바이러스로, 조개류 식중독의 원인이 되며 감염자의 분변이나 구토물을 통해 전염되는 특징을 가진다. - 열대병 - 에볼라 출혈열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출혈 질환으로,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구토, 설사, 출혈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치료는 증상 완화에 집중하며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열대병 - 나병
나병은 주로 피부, 말초 신경 등을 침범하는 만성 감염 질환으로, *M. leprae*와 *M. lepromatosis*에 의해 발생하며, 다제 병용 요법으로 치료하고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회충증 | |
---|---|
질병 개요 | |
질병명 | 회충증 |
원인 | 회충 알의 섭취 |
증상 | 복부 팽만, 복통, 설사, 숨가쁨 |
진료과 | 감염내과 |
통계 | |
유병률 (2015년) | 7억 6200만 명 |
사망자 수 (2015년) | 2,700명 |
예방 | |
예방 방법 | 위생 개선, 손씻기 |
치료 | |
치료 약물 | 알벤다졸, 메벤다졸, 레바미솔, 피란텔 파모산 |
2. 감염 경로
회충증은 주로 회충의 충란이 포함된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된다. 충란이 장에 들어가면 소장에서 부화하여 기생하며 성장한다. 회충 성체는 40cm 정도까지 자랄 수 있다. 회충증에 감염된 환자가 충란이 섞인 변을 계속 배설하고, 이 충란이 흙에 섞여 또 다른 사람의 체내로 들어가며 병이 전파된다.[9] 오염된 토양, 채소, 물을 통해 감염성 알을 섭취하는 것이 주요 감염 경로이다. 감염성 알은 손, 돈, 가구와 같은 다른 물체에도 존재할 수 있다.[9] 사람 간의 직접 접촉을 통한 전파는 불가능하다.[24]
하수를 농경지에 재활용하는 과정에서도 전파된다. 이는 신흥 산업 경제국에서 흔히 발생하며, 지역 농산물 판매 및 오염된 채소의 수출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 1986년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회충증 발병은 발칸 반도 채소 수출을 위해 사용된 부적절한 하수 재활용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25]
하수, 생하수 또는 부분적으로 처리된 하수로 관개된 농작물에 존재하는 알(난)의 수는 회충증 발생률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 class="wikitable"
|-
! 지역 !! 검출된 알의 수(개)
|-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1992년) || 1리터당 100개 이상[26]
|-
| 체코슬로바키아 || 1리터당 240~1050개[27]
|-
| 모로코 마라케시 ||
품종 | 검출된 알의 수(개) |
---|---|
감자 | 1kg당 0.18개 |
순무 | 1kg당 0.27개 |
박하 | 1kg당 4.63개 |
당근 | 1kg당 0.7개 |
무 | 1kg당 1.64개 |
[28]
회충 성충은 소화관에서 증식하면서 장을 막아 장폐색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복통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구토 시 회충이 입으로 나오기도 한다.[16] 유충이 뇌와 같은 민감한 부위로 들어가거나, 성충이 독성 증세를 유발할 수 있는 부위로 이동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모로코 마라케시의 한 현장 연구에 따르면, 생하수를 농작물 비료로 사용하는 지역에서 일하는 어린이의 73%가 특히 회충을 포함한 장내 기생충에 감염되었는데, 이는 생하수에 노출된 결과로 추정된다.
3. 임상 증상
구충증이 널리 퍼져 있는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량의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 경우 대개 증상이 없다.[3][29][13] 다량의 회충은 뭉쳐져 장폐색을 일으키거나, 소장에서 이동하여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6] 드물게 염전과 폐쇄성 장폐색을 유발하여 장 천공을 일으킬 수 있다. 장폐색은 연간 1000명당 최대 0.2명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3] 회충이 바터팽대부를 막거나 주췌관으로 들어가면 급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고, 드물게 담낭으로 이동하여 급성 담관염 또는 급성 담낭염을 유발할 수 있다.[18]
회충증은 공통 항원인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때문에 새우와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19][20] 장 내 기생충은 흡수장애와 식욕부진을 유발하여 영양실조로 이어질 수 있다.[21]
3. 1. 합병증
유충 단계에서 신체를 이동하는 동안 내장 손상, 복막염 및 염증, 간 또는 비장 비대, 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폐 증상은 유충 이동 중에 발생하며, 혈액 호산구 증가증과 방사선학적 음영을 동반한 폐 침윤과 관련된 일과성 호흡기 질환인 뢰플러 증후군으로 나타날 수 있다.[14]
4. 진단
대부분 회충증의 진단은 대변에서 회충 또는 알의 모양을 확인하여 이루어진다. 회충이 낳는 알의 양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두 번의 대변 도말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31]
숙주가 대변이나 구토물에서 회충을 배출할 때 진단이 우연히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신선한 대변 도말 표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알을 볼 수 있으며, 에테르 침전법이나 카토법과 같이 알을 먼저 농축하거나 시야를 넓히는 다양한 기술이 있다. 알은 특징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는데, 두껍고 유두상 돌기(둥근 혹이나 덩어리로 덮여 있음)가 있는 타원형이며, 지름은 35µm~50µm, 길이는 40µm~70µm이다. 폐 질환이 있는 경우 폐에서 흡인된 체액에서 유충이 발견될 수 있다. 백혈구 수치는 말초 호산구증가증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많은 기생충 감염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며 회충증에 특이적인 것은 아니다. X선 사진에서는 길이 15cm~35cm의 충만 결손이 나타나며, 때때로 소용돌이 모양(회충 덩어리)을 보이기도 한다.
5. 치료 및 예방
회충증의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충란이 섞인 배설물을 잘 처리하고, 날채소 등을 섭취할 때 깨끗이 세척하는 것이다. 위생 시설 접근성 향상 및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3][7] 처리되지 않은 인분을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없애는 것도 중요하다. 인구의 20% 이상이 감염된 지역에서는 모든 사람을 주기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권장된다.[3]
구충제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약물은 알벤다졸, 메벤다졸, 레바미졸, 피란텔 파모에이트이다.[9] 이 약물들은 장에서 기생충과 알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34] 트리벤디미딘과 니타족사나이드도 효과적인 약물이다.[9] 피페라진은 회충 근육의 아세틸콜린 반응을 차단하여 회충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심한 감염의 경우, 회충이 장폐색을 일으켜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38] 수술 중에 회충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38]
5. 1. 대한민국
1960년대와 1970년대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회충증 감염 환자가 매우 많았다.[1] 이로 인해 국가 차원에서 예방과 구제 활동을 펼쳤고, 그 성과와 위생 시설 개선 등으로 대한민국에서 회충증은 크게 감소하였다.[1] 그러나 최근 회충증 감염이 다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1] 손을 항상 깨끗이 씻는 등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다.[1]6. 역학
회충증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 그리고 위생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토병이다. 개발된 지역이나 도시 지역에서는 감염 흔적을 발견하기 어렵다.[39]
이 장내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은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중심으로 약 8억~13억 명으로 추산된다.[3][9][10] 이 중 약 1억 2천만~2억 2천만 명이 증상을 보인다.[3]
2010년 기준으로 회충증으로 직접적으로 사망한 사람은 약 2,700명이었으며, 이는 1990년의 3,400명보다 감소한 수치이다.[12] 영양실조와의 연관성으로 인한 간접적인 사망자 수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
7. 연구
8. 기타 동물
돼지의 경우, 감염은 돼지회충에 의해 발생하며, 체중 증가 저하를 특징으로 하여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3]
말과 기타 말과 동물에서는 말회충이 원인이다.
참조
[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2]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3]
논문
Ascaris and ascariasis
2011-07
[4]
웹사이트
Soil-transmitted helminth infections Fact sheet N°366
https://www.who.int/[...]
2013-06
[5]
웹사이트
Neglected Tropical Diseases
https://www.cdc.gov/[...]
2011-06-06
[6]
논문
Effect of sanitation on soil-transmitted helminth infec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1
[7]
논문
Ascariasis and handwashing
2009-03
[8]
논문
Soil-transmitted helminth reinfection after drug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9]
논문
Ascaris lumbricoides: an overview of therapeutic targets
2010-10
[10]
논문
The global burden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2012-03
[11]
논문
The drugs we have and the drugs we need against major helminth infections
[12]
논문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s://zenodo.org/r[...]
2012-12
[13]
웹사이트
Parasites - Ascariasis
https://www.cdc.gov/[...]
2020-10-20
[14]
서적
Oxford Handbook Infect Dis and Microbiol
[15]
웹사이트
Worms in SA's children – MRC Policy Brief
http://www.susana.or[...]
2006
[16]
논문
Rare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Ascaris lumbricoides infestation: two case reports.
2009-06-17
[17]
논문
Fatal human ascariasis following secondary massive infection
http://digitalcommon[...]
1986-03
[18]
웹사이트
Acute Cholangitis
https://www.lecturio[...]
[19]
서적
Taxonomic Guide to Infectious Diseases: Understanding the Biologic Classes of Pathogenic Organism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
논문
Atopic disorders and parasitic infections
https://books.google[...]
2008
[21]
논문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intestinal worms on child growth and nutrition
http://westminsterre[...]
2008-04
[22]
서적
The Impact of Helminth Infections on Human Nutrition.
Taylor & Francis
1987
[23]
논문
Ascaris lumbricoides
https://meridian.all[...]
2000-01
[24]
웹사이트
Ascaris Infection Fact Sheet
https://www.cdc.gov/[...]
2019-04-24
[25]
서적
Epidemiological Studies of Risks Associated With the Agricultural Use of Sewage Sludge: Knowledge and Needs (EUR)
Elsevier Science Pub Co
[26]
논문
Risk of contamination of human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with parasites through reuse of treated municipal wastewater in Riyadh, Saudi Arabia
[27]
논문
Helminth eggs in the sludge from three sewage treatment plants in Czechoslovakia
[28]
논문
Helminthic infections associated with the use of raw wastewater for agricultural purposes in Beni Mellal, Morocco
1999-09
[29]
서적
Infectious diseases of humans. Dynamics and control.
Oxford Scientific Publications
1991
[30]
서적
Ascariasis and its public health significance.
Taylor & Francis
1985
[31]
서적
A history of human helminthology
CAB International
1990
[32]
논문
Prevention of Soil-transmitted Helminth Infection
2011-04
[33]
서적
Preventive Chemotherapy in Human Helminthiasis : Coordinated Use of Anthelminthic Drugs in Control Interventions : a Manual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Programme Managers
http://whqlibdoc.who[...]
WHO Pres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34]
논문
Anthelmintic drugs for treating ascariasis
2020-04
[35]
서적
Holt's Diseases of Infancy and Childhood: A Textbook for the Use of Students and Practitioners
Appleton and Co, New York
[36]
보고서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of the More Common Intestinal Parasites of Man
https://books.google[...]
U.S. Veterans Administration
1947-07-09
[37]
서적
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
https://books.google[...]
Wiley-VCH
2011-01-01
[38]
학술지
Management algorithm for intestinal obstruction due to ascariasi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09-05-01
[39]
웹사이트
Parasites - Ascariasis
https://www.cdc.gov/[...]
2019-07-19
[40]
학술지
Anthelmintic studies with pyrantel. II. Prophylactic activity in a mouse-ascaris suum test model
1971-06-01
[41]
학술지
Persistent activity of doramectin and ivermectin against Ascaris suum in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1999-04-01
[42]
웹사이트
Parasites:Ascarids
http://www.extension[...]
2011-09-27
[43]
학술지
The intestinal parasites of King Richard III
https://figshare.com[...]
2013-09-01
[44]
웹사이트
Infected and Hunched: King Richard III Was Crawling with Roundworms
http://www.livescien[...]
2013-09-03
[45]
학술지
Genes on chromosomes 1 and 13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scaris infection
http://www.pna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