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실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실조는 동물이 충분한 에너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미량 원소를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식량 부족, 영양 불균형, 질병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급성 영양실조를 경증, 중증, 총 급성 영양실조로 구분하며, 특히 5세 미만 아동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쳐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영양실조는 영양 부족, 영양 과잉, 미량 영양소 결핍으로 분류되며, 사회경제적 요인, 질병, 식이 습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영양실조는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신체적, 인지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망률을 높인다. 예방 및 관리에는 식량 안보 강화, 영양 교육 및 지원, 의료 서비스 접근성 확대, 국제 협력이 포함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실조 - 이종일 (1858년)
조선 말기의 개화 사상가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인 이종일은 독립신문 창간 참여, 제국신문 사장 역임 등의 언론 활동과 천도교 입교 후 3·1 운동에 민족대표로 참여했으며, 해방 후에는 조선국문연구회 회장을 맡아 한글 맞춤법 연구에 기여했다. - 영양실조 - 괴혈병
괴혈병은 비타민 C 부족으로 생기는 병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피부에 문제가 생기고 상처가 잘 낫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며, 감귤류를 먹으면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 변연계 - 시상하부
시상하부는 뇌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로, 체온, 호르몬, 수면, 정서, 생체리듬, 성적 행동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며, 기능 이상은 여러 질병과 관련된다. - 변연계 - 후각
후각은 냄새를 감지하는 감각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연구되었으며 다양한 생존 및 사회적 역할 수행, 다른 감각과의 상호작용, 개인 간 민감도 차이, 질병과의 연관성 연구, 인공 후각 시스템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 및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 건강 - 웰빙
웰빙은 삶의 질을 포괄하는 척도로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의 균형 또는 긍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목표로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웰빙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건강 - 금연
금연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의 건강 피해를 막기 위해 흡연을 금지하는 조치로, 전 세계적인 실내 흡연 금지 법률 제정, 화재 예방, 시설물 청결 유지 등의 이유로 시행되며, 개인의 자유 침해 논쟁 속에서 지속적인 정책 검토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양실조 | |
---|---|
영양실조 | |
![]() | |
진료 분야 | 중환자의학 |
이미지 크기 | 280px |
증상 | 육체적, 정신적 발달 문제 에너지 수준 저하 탈모 다리와 배의 부종 |
원인 | 식단에서 영양소가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음 흡수 장애 |
위험 요인 | 모유 수유 부족 위장염 폐렴 말라리아 홍역 빈곤 노숙 |
예방 | 농업 방식 개선 빈곤 감소 위생 개선 교육 여성 권한 부여 |
치료 | 개선된 영양 섭취 식이 보충제 바로 먹을 수 있는 치료식 근본적인 원인 치료 |
약물 치료 | 거의 매일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음식 섭취 |
빈도 | 8억 2천 1백만 명의 영양 부족 인구 / 전체 인구의 11% (2017년) |
사망자 수 | 영양 결핍으로 인한 사망 406,000명 (2015년) |
관련 질병 | |
관련 질병 | 생리 장애 |
추가 정보 | |
외부 링크 | WHO 영양실조 정보 The Lancet Commission의 이중 영양실조 정보 |
체중 | |
일반 개념 | 비만 (역학) 저체중 여윔 체중 감소 음식 (영양학) 체중 관리 () |
의학적 개념 | 지방 조직 대사 증후군 () |
측정 | 체격 지수 체질량 지수 로럴 지수 비만도 체지방률 제지방 체중 |
관련 질환 | 당뇨병 (1형) 섭식 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증 • 신경성 과식증 • 폭식 장애) 음식 중독 갑상선 기능 항진증 영양실조 기아 () 다낭성 난소 증후군 |
사회적 측면 | 컴포트 푸드 패스트푸드 () 지방 수용 운동 비만 선호 기아 좌식 생활 체급 |
2. 질병 분류 및 심각도
세계보건기구(WHO)는 급성영양실조를 '경증 급성영양실조'(MAM: Moderate Acute Malnutrition), '중증 급성영양실조'(SAM: Severe Acute Malnutrition), 그리고 둘을 모두 포함한 '총 급성영양실조'(GAM: Global Acute Malnutrition)로 구분한다.[204]
2. 1. 국제 질병 분류 (ICD)
유엔은 급성영양실조를 국제질병분류(ICD-11) 상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5B52 Acute malnutrition in infants, children or adolescents)으로 분류 및 규정하고 있다.[321] 국제질병분류는 1893년 국제통계기구가 인류의 건강과 질병을 추적하기 위해 채택한 분류 기준으로 권고의 성격을 가진다. 제6차 개정판부터는 WHO(1948년 설립)가 작성하고 발표하고 있다.2. 2.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KCD)
한국은 영양실조를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 상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E64: 영양실조 및 기타 영양 결핍증의 후유증)으로 분류하며 의료보험을 적용한다.[321] 단, 콰시오르코르 등 중증(severe) 영양실조 규정은 있으나 급성영양실조에 대한 별도 규정은 없다. 한국의 질병분류는 일제강점기(1938년)에 도입되었고, 한국전쟁 이후인 1952년에 한국사인상해및질병분류가 공식 제정되었으나 실제로 통계화되지는 않았다. 현재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는 1972년에 경제기획원의 고시에 따라 제8차 국제사인분류(ICD-8)에 기초해 제정되고 이후 오늘날까지 통계화되고 있다.2. 3. 세계보건기구(WHO)의 급성영양실조 분류
세계보건기구(WHO)는 급성영양실조를 '경증 급성영양실조'(MAM: Moderate Acute Malnutrition, MUAC<125mm, ≥115mm), '중증 급성영양실조'(SAM: Severe Acute Malnutrition, MUAC<115mm), 그리고 둘을 모두 포함한 '총 급성영양실조'(GAM: Global Acute Malnutrition)로 구분한다.[204]중증 급성영양실조(SAM)를 겪는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은 일반 아동보다 12배 높다. 중증 급성영양실조는 전 세계 5세 미만 아동 사망 원인의 7.8%, 경증 급성영양실조는 4%를 각각 차지한다. 2013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최소 5200만 명의 5세 미만 아동이 급성영양실조를 겪고 있으며, 그중 1900만 명이 중증 급성영양실조를 겪고 있다.
오늘날 대규모 기근은 사라졌지만, 전쟁과 자연재해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급성영양실조가 발생한다. 급성영양실조는 5세 미만 아동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20년 전, 국제인도주의단체는 에티오피아의 대규모 기아를 치료하기 위해 급성영양실조 지역관리법(CMAM: Community-based Management of Acute Malnutrition)을 실험적으로 도입했고, 유엔의 지지하에 오늘날까지 급성영양실조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인도주의 핵심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3. 유형
영양실조는 크게 영양 부족, 영양 과잉, 미량 영양소 결핍으로 나눌 수 있다. 영양실조는 단백질-에너지 소모 또는 미량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며,[54][40][41][42][43][44][45] 신체적, 정신적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체성분과 체세포량의 변화를 일으킨다.[46][47]
특정 영양소의 결핍으로 발생하는 의학적 문제는 일반적으로 결핍증이라고 한다. 영양실조의 일반적인 형태는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와 미량 영양소 영양실조로 나뉜다.
3. 1. 영양 부족 (Undernutrition)
영양실조는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PEM)와 미량 영양소 결핍으로 나눌 수 있다.[54][40][41][42][43][44][45]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는 칼로리와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발생하며, 콰시오르코르와 마라스무스가 대표적이다.[50][40][2]
콰시오르코르는 주로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2] 부종, 소모, 간 비대, 저알부민혈증, 지방간 등이 나타나며, 피부와 모발의 탈색을 유발할 수 있다.[2] 특히 복부와 사지의 부종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쫓겨난 아이'를 뜻하는 가나 해안의 가어에서 유래한 '콰시오르코르'라는 이름처럼, 나이 많은 아이가 모유 수유를 중단하고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할 때 발생하기 쉽다.[52][61]
마라스무스는 단백질과 에너지 모두 부족한 식단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진대사를 늦춰 생존을 연장시킨다.[2] 심각한 소모, 부종 거의 없음, 최소한의 피하 지방, 비정상적인 혈청 알부민 수치가 주요 증상이다.[2] 기근, 심각한 식량 제한, 거식증 등에서 주로 나타나며, 근육 소모와 수척한 외모가 특징이다.[2][61]
영양실조는 성장 장애, 쇠약, 저체중 등을 유발하며, 임신 중이나 2세 이전에 발생하면 영구적인 신체적, 정신적 발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42][44] 극심한 영양실조는 기아, 만성적인 굶주림, 중증급성영양실조(SAM), 중등도급성영양실조(MAM)를 초래할 수 있다.
영양실조의 증상은 부족한 미량 영양소에 따라 다르지만,[54] 일반적으로 마르고 키가 작으며, 에너지 수준이 낮고, 다리 부종과 복부 부종이 나타난다.[42][54][44] 또한 감염에 취약하고 추위를 자주 느낀다.[54]
;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 (PEM)
: 신체의 에너지와 단백질의 불충분한 이용, 섭취 부족, 흡수 불량으로 인해 발생한다. 단백질과 에너지 모두 부족하면 마라스무스, 단백질만 부족하면 콰시오르코르가 된다.
; 미량 영양소 영양실조
: 생명 유지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 (비타민, 필수 원소, 아미노산, 지방산) 부족으로 발생한다.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신체 기능을 손상시킨다. 비타민 결핍증에는 괴혈병(비타민 C 결핍), 각기병(비타민 B1 결핍), 구루병(비타민 D 결핍), 펠라그라(나이아신 결핍) 등이 있다. 철 결핍증과 요오드 결핍증도 흔하다.[255]
; 신형 영양실조
: 고령자의 경우, 충분한 식사에도 불구하고 총 칼로리와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다.[256] 경제적 이유, 쇼핑난민(쇼핑 약자),[257] 근감소증 등이 원인으로 지적된다.[258] 또한, "자기 방식의 제한 식단 다이어트"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259][252]
; 기타
3. 2. 영양 과잉 (Overnutrition)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음식과 음료를 과다 섭취하고 신체 활동이 부족하면 영양 과잉이 발생한다.[53] 이는 체질량 지수(BMI) 25 이상으로 정의되는 과체중을 유발하며, 비만(BMI 30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41][54]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건강 문제가 되고 있다.[55] 영양 과잉은 당뇨병, 특정 암,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비전염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56] 따라서 즉각적인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것이 주요 건강 우선 순위가 되었다. 최근 임신 전후 아버지와 어머니의 식단 유발 비만의 영향에 대한 증거는 여러 세대의 건강 결과를 부정적으로 프로그램한다는 것이 밝혀졌다.[57]유니세프에 따르면, 33개국에서 5세 미만 어린이 10명 중 최소 1명이 과체중이다.[58]
미네랄은 서로 흡수와 작용에 영향을 주므로 균형 잡힌 식사가 필요하다.[263]
15세기 의사이자 독성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파라켈수스의 명언인 "모든 것은 독이며, 독이 아닌 것은 없다. 다만 그 양이 독이 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결정할 뿐이다"는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일반적인 식사에서는 일어나지 않더라도, 건강기능식품의 과다 섭취 등으로 인해 다양한 중독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016년에는 세계 인구의 13%에 해당하는 약 6억 5000만 명이 비만이었다.[261] 비만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심각하게 확산되고 있지만, 선진국에서는 저소득층이, 개발도상국에서는 고소득층이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다.[262]
3. 3. 미량 영양소 결핍
미량 영양소 결핍은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 부족으로 발생한다.[41] 전 세계적으로 요오드, 비타민 A, 철분 결핍이 가장 흔하다. 저소득 국가의 어린이와 임산부는 미량 영양소 결핍 위험이 특히 높다.[41][44]빈혈은 철분 결핍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다른 미량 영양소 결핍 및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49]
미량 영양소 결핍과 동시에 영양 과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영양실조의 이중 부담'''이라고 한다.
4. 원인 및 위험 요인
영양실조는 단순히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원인과 위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급성 영양실조를 팔 중간 윗부분 둘레(MUAC) 측정값을 기준으로 경증, 중증, 총 급성 영양실조로 구분한다. 중증 급성 영양실조를 겪는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은 일반 아동보다 12배나 높다.[321] 2013년 기준으로 전 세계 5세 미만 아동 중 최소 5200만 명이 급성 영양실조를 겪고 있으며, 이 중 1900만 명은 중증 급성 영양실조 상태이다.
과거에는 대규모 기근이 영양실조의 주된 원인이었지만, 현대에는 전쟁, 자연재해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급성 영양실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5세 미만 아동에게 치명적이다. 20년 전부터 국제인도주의단체들은 에티오피아의 대규모 기아를 치료하기 위해 급성 영양실조 지역관리법(CMAM)을 도입하였고, 유엔의 지원 하에 현재까지 급성 영양실조 예방 및 치료의 핵심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제질병분류(ICD-11)에서 영양실조는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으로 분류된다.[321] 한국 역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에서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으로 분류하여 의료보험을 적용하고 있다.
영양실조는 동물이 충분한 에너지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미량 원소를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질병으로 인한 영양실조는 악액질이라고 한다. 특히 신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한 상태를 저영양 또는 기아라고 한다.[243] 2022년 기준, 전 세계 인구의 약 7억 3,510만 명이 기아 상태에 있다.[245]
기아는 이상 기온, 전쟁, 재해, 만성적인 빈곤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246] 역사적으로는 정치·경제 체제 붕괴와도 관련이 깊다. 20세기 인구 폭발에도 불구하고 녹색 혁명 등으로 식량 생산 기술이 발전하여 1인당 식량 생산량은 증가했지만,[247]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영양실조 상태에 놓여 있다.[248]
현대 사회에서 영양실조는 빈곤, 거식증, 섭식 장애, 극단적인 편식, 자가(自家)식 채식주의 및 제한식 다이어트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고령자나 극단적인 편식을 하는 경우 '신형 영양실조'라고 불리기도 한다.[249][250] 선진국에서도 아연,[251][252] 철,[252] 요오드, 비타민 A, 비타민 B 등의 결핍증이 흔하게 발생하며,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4. 1. 사회경제적 요인
영양실조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빈곤, 식량 불안정, 낮은 교육 수준, 성 불평등, 정치적 불안정 등은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72] 특히, 높은 식량 가격은 저소득 가구가 영양가 있는 음식을 얻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영양 섭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2][73]방글라데시의 사례 연구에서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만성 영양실조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저소득 가구가 우유, 고기, 가금류, 과일과 같은 영양가 있는 식품을 구매하기 어렵기 때문이다.[75]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개발도상국 영양실조 어린이의 80%가 식량 잉여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76] 이는 식량 부족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식량 분배, 구매력, 빈곤 등의 문제가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77]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기근은 식량 분배와 구매력의 문제였다고 지적한다.[77]
상품 투기꾼들에 의한 식량 가격 인상 또한 문제로 제기된다. 미국에서 부동산 버블 붕괴 이후, 수조 달러가 식량 및 원자재 투자로 이동하면서 2007년-2008년 식량 가격 폭등을 야기했다는 주장이 있다.[81] 바이오연료 사용 증가 역시 식량 가격 상승의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82] 장 지글러 식량권에 대한 유엔 특별 보고관은 농업 폐기물을 활용한 연료 생산을 제안하기도 했다.[83]
세계은행과 일부 부유한 원조국들의 자유 시장 정책 강요도 개발도상국의 영양실조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선진국들이 자국 농민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개발도상국에는 농업 보조금 삭감을 요구하여 농업 생산량 감소, 임금 감소, 식량 가격 상승을 초래했다.[104][105] 녹색 혁명의 선구자 노먼 볼로그는 아프리카의 식량 문제 해결에 있어 이러한 점이 장애물이라고 언급했다.[106]
정부의 역량 부족과 지역 사회의 건강 서비스 부족 역시 영양실조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78] 소득 불평등, 토지 접근성 제한, 낮은 교육 수준 등도 특정 가구나 개인을 영양실조 위험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78]
4. 2. 질병
장염,[87] 폐렴, 말라리아, 홍역과 같은 감염성 질환은 영양 요구량을 증가시켜 영양실조를 유발할 수 있다.[73] HIV/AIDS 등의 만성 질환도 영양실조를 유발한다.[88][89]크론병, 치료받지 않은 셀리악병 등 소장 질환으로 인해 영양소 손실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도 영양실조가 발생할 수 있다.[90][91][92] 에너지 소비량 증가 또한 "이차적 영양실조"를 유발할 수 있다.[93][94]
유아의 경우 모유 수유 부족이 영양 부족을 유발할 수 있으며,[93][94] 신경성 식욕 부진 및 비만 수술 또한 영양실조의 원인이 될 수 있다.[95][96]
4. 3. 식이 습관
모유 수유 부족은 매년 약 100만 명의 어린이 사망과 관련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모유 대체식품 마케팅 국제규약'은 1981년에 모유 대체식품의 불법 광고를 금지하였으나,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러한 불법 광고는 영양실조에 기여하고 있다.[97] 산모의 영양실조 또한 영유아의 건강 악화 또는 사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8]감자, 옥수수, 쌀과 같이 단일 식품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식단은 영양실조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영양에 대한 교육 부족, 단일 식품 공급원에 대한 접근만 가능하거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열악하고 건강하지 못한 환경 때문일 수 있다.[99][100] 총 칼로리 섭취량뿐만 아니라 비타민 A 결핍, 철 결핍, 아연 결핍과 같은 특정 영양 결핍 또한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101]
5. 영향
영양실조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아동의 성장 발달에 치명적이다.[41][44]
세계보건기구(WHO)는 급성영양실조를 '경증 급성영양실조'(MUAC<125mm, ≥115mm), '중증 급성영양실조'(MUAC<115mm), 그리고 둘을 모두 포함한 '총 급성영양실조'로 구분한다. 중증 급성영양실조(SAM)를 겪는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은 일반 아이들보다 12배나 높다. 중증 급성영양실조와 경증 급성영양실조는 각각 전 세계 5세 미만 아동 사망 원인의 7.8%, 4%를 차지한다.
기아는 이상 기온, 전쟁, 재해와 만성적인 빈곤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246] 역사적으로는 정치·경제 체제 붕괴 시에도 많이 발생했다. 세계 식량 생산량은 항상 필요량을 초과하고 있지만, 21세기에도 여전히 기아는 존재한다.
미량영양소 결핍은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 부족으로 발생한다.[41] 요오드, 비타민 A, 철분 결핍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며, 저소득 국가의 어린이와 임산부는 특히 미량영양소 결핍 위험이 높다.[41][44] 빈혈은 철분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지만, 다른 미량영양소 결핍 및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49]
영양실조는 영양 과잉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영양실조의 이중 부담'''이라고 한다. 영양실조의 징후에는 움푹 들어간 눈, 심한 구강 건조, 소변량 감소, 심박수 증가 및 혈압 감소, 의식 변화 등이 있다.
영양실조는 동물이 식사를 통해 충분한 에너지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미량 원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2022년 세계 인구 약 80억 명[244] 중 약 7억 3,510만 명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는 기아 상태에 놓여 있다.[245]
현대 사회에서 영양실조는 경제적인 이유(빈곤), 거식증, 섭식 장애, 극단적인 편식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고령자나 극단적인 편식을 하는 경우 '''신형 영양실조'''라고 불리기도 한다.[249][250]
5. 1. 신체적 영향
영양실조는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면역력 저하: 영양소 부족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감염에 취약하게 만든다.
- 성장 지연: 특히 어린이의 경우, 영양 부족은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방해한다.
- 쇠약 및 피로: 에너지와 필수 영양소 부족은 신체 기능을 저하시켜 쇠약감과 피로감을 유발한다.
- 부종: 단백질 부족은 체액 불균형을 초래하여 부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콰시오르코르의 경우 복부와 사지의 부종이 두드러진다.
- 장기 기능 손상: 장기간의 영양실조는 간, 신장, 심장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 특정 영양소 결핍증:
- 괴혈병: 비타민 C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잇몸 출혈, 피로, 피부 문제 등을 유발한다.
- 구루병: 비타민 D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뼈의 변형과 약화를 초래한다.
- 빈혈: 철분 부족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피로, 쇠약, 창백함 등을 유발한다.
- 요오드 결핍증: 요오드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종 등을 유발한다.
- 비타민 A 결핍증: 비타민 A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야맹증, 안구 건조, 면역력 저하 등을 유발한다.
영양실조의 징후는 신체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부위 | 징후 | ||||||||||||||
---|---|---|---|---|---|---|---|---|---|---|---|---|---|---|---|
얼굴 | 달덩이 얼굴(콰시오르코르); 움츠러들고 원숭이 같은 얼굴(마라스무스) | ||||||||||||||
눈 | 건조한 눈; 창백한 결막; 안와 부종; 비타민 A 결핍증에서 나타나는 비토 반점 | ||||||||||||||
입 | 구각염; 입술염; 설염; 이하선 비대; 스펀지처럼 부드럽고 출혈이 있는 잇몸 (비타민 C 및 B12 결핍증) | ||||||||||||||
치아 | 법랑질 얼룩; 발치 지연 | ||||||||||||||
머리카락 | 칙칙하고, 숱이 적고, 잘 부러지는 머리카락, 모낭 얇아짐; 저색소침착; 깃발 징후(밝은 색과 정상적인 색이 번갈아 나타나는 줄무늬); 빗자루 같은 속눈썹; 탈모 | ||||||||||||||
피부 | 건조한 피부; 모낭 각화증; 얼룩덜룩한 과색소침착 및 저색소침착; 피부 침식; 불량한 상처 치유; 느슨하고 주름진 피부(마라스무스); 윤기 있고 부종이 있는 피부(콰시오르코르) | ||||||||||||||
손톱 | 숟가락 손톱; 얇고 부드러운 손톱판; 갈라짐 또는 홈 | ||||||||||||||
근육계 | 근육 소모, 특히 엉덩이와 허벅지에서 두드러짐 | ||||||||||||||
골격계 | 기형, 일반적으로 칼슘, 비타민 D 또는 비타민 C 결핍으로 인해 발생 | ||||||||||||||
복부 | 팽창; 간비대와 지방간; 가능한 복수 | ||||||||||||||
순환계 | 서맥; 저혈압; 감소된 심박출량; 소혈관 혈관병증 | ||||||||||||||
신경계 질환 | 전반적 발달 지연; 슬관절 및 족관절 반사 소실; 불량한 기억력, 종종 비타민 B12 및 기타 B 비타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 | ||||||||||||||
혈액학적 | 창백; 점상 출혈; 출혈 경향 | ||||||||||||||
행동 | 무기력; 무관심; 불안 | ||||||||||||||
출처: "단백질 에너지 영양부족"[93] |
이 외에도 움푹 들어간 눈, 심한 구강 건조, 소변량 감소 및 진한 소변, 심박수 증가, 혈압 감소, 의식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2. 인지 발달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는 인지 장애(인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임신 후반기에서 생후 2년까지의 중요한 시기"(임신) 동안 영양실조를 경험한 사람들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66] 2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철 결핍성 빈혈은 뇌 기능에 급성 및 만성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엽산(엽산) 결핍은 신경관 결손(신경관 결손)과 관련이 있다.[67]요오드 결핍은 "전 세계적으로 정신 장애의 가장 흔한 예방 가능한 원인"이다.[68][69] 특히 임산부와 유아의 경우, 중등도의 요오드 결핍조차도 지능을 10~15 IQ 포인트만큼 낮추어 국가 발전의 잠재력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감소시킨다.[68] 영향을 받는 사람들 중 극히 일부만이 장애를 유발하는 갑상선종, 크레틴병, 난장이병과 같은 가장 눈에 띄고 심각한 영향을 경험한다. 이러한 영향은 산간 마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전 세계 인구의 16%는 최소한 경도의 갑상선종(목의 갑상선이 부어오름)을 가지고 있다.[68][70]
5. 3. 사회경제적 영향
영양실조는 개인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고, 교육 성취도를 떨어뜨려 빈곤의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71][72] 사회적 조건은 사람들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71] 영양실조는 주로 열악한 교육, 빈곤, 질병 부담, 여성의 권한 부족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72] 이러한 요인들을 해결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영양실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하다.[72]영양실조는 일반적으로 양질의 영양가 있는 음식을 구하기 어려워서 발생한다.[73] 가구 소득은 영양가 있는 음식을 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지역 사회의 영양 과잉 및 영양 부족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사회경제적 변수이다.[74] 연구에 따르면, 영양 과잉 가능성은 저소득 가정보다 고소득 가정에서 훨씬 더 높게 나타난다.[12] 높은 식량 가격은 저소득 가구가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다.[42][73]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에서는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유, 고기, 가금류, 과일과 같은 영양가 있는 식품 구매를 어렵게 하여 만성 영양실조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5] 식량 부족 또한 기술이 부족한 국가에서 영양실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에서 영양실조 어린이의 80%는 식량이 남는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76]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기근은 식량 분배와 구매력, 그리고 빈곤의 문제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한다.[77]
영양실조에는 사회정치적 원인도 있다. 예를 들어, 정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지역에 건강 관련 서비스가 부족하면, 지역 주민들이 영양실조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개인이나 가구는 소득 수준 차이, 토지 접근성, 교육 수준에 따라 영양실조 위험이 달라질 수 있다.[78] 지역 사회는 영양실조의 사회적 원인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9] 예를 들어, 높은 사회적 지원과 사회 보호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 공유가 활발한 지역 사회는 공공 서비스 개선을 요구할 수 있으며,[80] 더 나은 공공 서비스와 사회 보호 프로그램은 이러한 지역 사회에서 영양실조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상품 투기꾼들이 식량 가격을 올려 식량 가격 폭등을 유발한다는 주장도 있다.[81] 부동산 버블 붕괴 이후, 수조 달러가 식량 및 원자재 투자로 이동하면서 2007년-2008년 식량 가격 폭등이 발생했다는 것이다.[81] 바이오연료 사용이 식량 가격을 상승시킨다는 주장도 있으며,[82] 식량권에 대한 유엔 특별 보고관인 장 지글러는 농업 폐기물을 활용하여 연료를 생산해야 한다고 제안한다.[83]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영양실조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영양 과잉(비만)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84] 영양 과잉은 도시화, 식품 상업화, 기술 개발과 함께 증가하며 신체 활동을 감소시킨다.[85] 사회 구조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소득 불평등, 인종차별, 교육 격차, 기회 부족으로 이어져 건강 상태의 차이를 유발한다.[86]
6. 역학
WHO영어는 급성영양실조를 '경증 급성영양실조'(MAM: Moderate Acute Malnutrition, MUAC<125mm, ≥115mm), '중증 급성영양실조'(SAM: Severe Acute Malnutrition, MUAC<115mm), 그리고 둘을 모두 포함한 '총 급성영양실조'(GAM: Global Acute Malnutrition)로 구분한다.
세계 기아 지수(GHI)는 세계적인 기아 퇴치 노력의 진전 또는 실패를 측정하는 지표이다.[277] 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에 비해 기아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27% 감소했지만, 여전히 52개국이 심각한 기아 수준 또는 경계 수준에 머물러 있다.[278]
중증 급성영양실조(SAM)를 겪는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은 일반 아이들보다 12배 높다. 2013년 기준, 전 세계 5세 미만 아동 최소 5200만 명이 급성영양실조를 겪고 있으며, 그중 1900만 명이 중증 급성영양실조 상태이다.
오늘날 대규모 기근은 사라졌지만, 전쟁과 자연재해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급성영양실조가 발생한다. 급성영양실조는 특히 5세 미만 아동에게 치명적이다.
감염성 질환(장염,[87] 폐렴, 말라리아, 홍역 등)은 영양 요구량을 증가시켜 영양실조를 유발할 수 있다.[73] HIV/AIDS와 같은 일부 만성 질환도 마찬가지이다.[88][89]
설사 또는 소장 질환(크론병, 치료받지 않은 셀리악병 등)으로 영양소 손실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도 영양실조가 발생할 수 있다.[90][91][92]
유아의 경우 모유 수유 부족,[93][94] 신경성 식욕 부진, 비만 수술도 영양실조를 유발할 수 있다.[95][96]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적 이유로 식량을 조달할 수 없는 상태(빈곤), 거식증, 섭식 장애, 극단적인 편식, 자가(自家)식 채식주의, 자가(自家)식 제한식 다이어트 등으로 인해 영양실조가 발생한다. 특히 고령자나 극단적인 편식을 동반하는 '신형 영양실조'도 나타난다.[249][250] 21세기 현재 선진국에서도 아연[251][252], 철[252], 요오드, 비타민 A, 비타민 B 등의 결핍증이 널리 퍼져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6. 1. 유병률
2021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3이 영양실조를 겪고 있으며, 특히 5세 미만 아동, 여성, 노년층에서 그 비율이 높다.[13] 영양실조는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14] 저신장은 농촌 지역보다 도시 빈민가에서 더 빈번하다.[15]5세 미만 어린이의 영양실조가 가장 심각하다.[15] 2021년 기준, 5세 미만 어린이 중 1억 4810만 명이 저신장, 4500만 명이 쇠약(wasted), 3700만 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였다.[41] 같은 해 5세 미만 어린이 사망 원인의 약 45%가 영양실조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1][73] 2020년 남아시아 5세 미만 어린이의 쇠약 발생률은 중등도 또는 중증 쇠약이 16%였다.[15] 유니세프(UNICEF)는 2022년 이 수치가 약간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14.8%에 달한다고 보고했다.[17]
비타민 A 결핍증은 전 세계 5세 미만 어린이 1/3에게 나타나며,[23] 연간 67만 명의 사망과 25만~50만 명의 시각 장애를 유발한다.[24]
2021년 6월 기준, 성인 19억 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었고, 4억 6200만 명은 저체중이었다.[41] 2020년에는 여성과 어린이 9억 명이 철 결핍 등으로 인한 빈혈을 앓았다.[27]
노년층 영양실조는 식량 부족보다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30] 저작 및 삼킴 문제, 감각 저하, 우울증, 장내 미생물 불균형, 빈곤, 고독 등이 노년층 식사량 감소와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이다.[31]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식량 안보와 기아 상황이 악화되었다. 2022년에는 6억 9,100만 명에서 7억 8,300만 명이 기아에 직면했다.[34] 2022년 유니세프 보고에 따르면, 24억 명이 중등도 또는 심각한 식량 불안을 겪었으며, 이는 2019년보다 3억 9,100만 명 증가한 수치이다.[35] 이는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식량 불안 증가와 관련이 있다.[36]
인위적 갈등, 기후변화, 경기 침체 등도 주요 기아 원인으로 꼽힌다.[39]
세계 기아 지수(GHI)는 각국의 기아 상황을 나타내는 다차원 통계 도구로, 세계적 기아 퇴치 노력의 성과를 측정한다.[184] 2015년 GHI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기아 수준이 27% 감소했으나, 52개국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185]
6. 2. 사망률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영양실조는 영유아 사망률의 가장 큰 원인이며, 모든 사례의 절반에 영향을 미친다.[194] 매년 600만 명의 어린이가 굶주림으로 사망한다.[195] 저체중 출산과 자궁 내 성장 제한은 연간 220만 명의 어린이 사망 원인이 된다. 적절하지 않거나 전무한 모유 수유는 추가적으로 140만 명의 사망을 야기한다. 비타민 A 또는 아연 부족과 같은 다른 결핍은 100만 명의 사망을 차지한다.[194]2010년 단백질 에너지 영양실조로 인해 60만 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1990년 88만 3천 명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다.[192] 같은 해 요오드 결핍 및 철 결핍성 빈혈을 포함한 다른 영양 결핍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8만 4천 명이 사망했다.[192] 2010년 영양실조로 인해 150만 명의 여성과 어린이가 사망했다.[193] 세이브 더 칠드런의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약 6200만 명이 영양실조를 원인으로 사망하고 있다.[294]
2012년 백만 명당 영양 결핍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다음과 같다.
범위 | 사망자 수 |
---|---|
0–4 | |
5–8 | |
9–13 | |
14–23 | |
24–34 | |
35–56 | |
57–91 | |
92–220 | |
221–365 | |
366–1,207 |
7. 예방 및 관리
영양실조는 예방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유엔은 급성영양실조를 국제질병분류(ICD-11) 상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으로 분류한다.[321] 한국 역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 상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으로 분류하여 의료보험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콰시오르코르 등 중증 영양실조에 대한 규정은 있지만, 급성영양실조에 대한 별도 규정은 없다.
20년 전, 국제인도주의단체는 에티오피아의 대규모 기아를 치료하기 위해 급성영양실조 지역관리법(CMAM)을 실험적으로 도입했고, 유엔의 지지하에 오늘날까지 급성영양실조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인도주의 핵심 활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영양실조 감소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2(지속가능발전목표 2)인 "제로 헝거(Zero Hunger)"의 핵심 부분으로, 영양실조, 영양 부족 및 아동 발육 부진 감소를 목표로 한다.[113]
현대 사회에서 영양실조는 경제적 이유, 거식증, 섭식 장애, 극단적인 편식, 자가(自家)식 채식주의 및 제한식 다이어트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고령자나 자가(自家)식 제한식 다이어트로 인한 극단적인 편식을 동반하는 경우는 '''신형 영양실조'''라고 불린다.[249][250]
모든 사람이 영양실조에 걸리지 않고 안전하고 영양가 있는 식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상태를 식량안보라고 한다.[298] 1996년 로마에서 열린 세계식량정상회의에서는 「세계식량안보에 관한 로마선언」이 채택되었고, 2015년까지 영양부족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세계 목표가 설정되었다.[299] 2000년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2015년까지 기아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거의 달성되었다.[300] 2015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서는 2030년까지 모든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301]
7. 1. 식량 안보 강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녹색혁명은 현대 서구 농업 기술을 아시아에 도입하여 식량 수확량과 식량 생산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식량 가격이 하락하고 영양실조가 감소했다.[104][114] 그러나 아프리카에서는 도로 시스템과 같은 인프라와 제도가 부족하여 녹색혁명의 효과가 제한적이었다.[115]말라위의 경우, 2000년대 초 정부가 농업 정책을 변경하여 비료와 종자에 대한 보조금을 실시하면서 옥수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 주요 식량 수출국이 되었다.[104] 이는 식량 가격 하락과 농업 노동자 임금 상승으로 이어졌다.[104] 제프리 삭스와 같은 이들은 선진국들이 아프리카 농부들을 위해 비료와 종자를 공급하는데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04][117]
농업 생산 기술의 발전은 영양실조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농업을 쉽게 하고 수확량을 개선하여 농민 소득을 늘리고 빈곤을 줄일 수 있으며, 농부들이 작물을 다양화할 수 있게 한다.[119]
세계은행은 국가가 수출 주도 경제를 구축하여 세계 시장에서 식품을 구입할 재정적 수단을 확보함으로써 빈곤과 영양실조의 빈곤의 악순환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국제연합 세계식량계획(WFP)과 같은 인도적 지원 단체들은 식량을 직접 전달하는 것보다 현금이나 배급권 등을 배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한다.[307] WFP는 개발도상국 학교에서 급식 사업을 실시하여 아동의 영양실조를 개선하고 교육을 장려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7. 2. 영양 교육 및 지원
모유 수유를 장려하고, 적절한 이유식을 제공하며, 영양 보충제를 통해 영양 섭취를 개선해야 한다.[147][148] 개발도상국의 임산부와 유아에게 미량 영양소 영양 보충제를 제공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좋은 증거도 있다.[149]영아의 경우, 생후 6개월에서 2세 사이의 아동이 (모유 외에) 이유식을 섭취할 때 결과가 개선된다.[149] 전적으로 모유 수유는 영아에게 음식과 영양 공급원으로 6개월 동안 모유만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136][138] 즉, 물이나 반고형 음식을 포함한 다른 액체는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138]
의료계에서는 전반적인 최적의 건강 결과를 위해 6개월 동안 모유만을 수유하고, 영양가 있는 이유식을 보충하며 2세 이상까지 모유 수유를 계속할 것을 권장한다.[136][137][138]
모유 수유는 아동 건강에 이로운 가장 비용 효과적인 의료 개입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37] 2016년 추산에 따르면 모유 수유를 더욱 광범위하게 확산하면 5세 미만 어린이의 사망자 수를 연간 약 823,000명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134]
유니세프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영양실조 아동을 위한 영양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151]
건강한 어린이를 위한 행동(Action for Healthy Kids)은 어린이들에게 영양에 대해 가르치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개발했다. 자신의 건강 관리에 대해 가르치는 자기 인식과 요리 예술이 문화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영양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사회적 인식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소개한다. 전자책, 팁, 요리 클럽 등을 포함하며, 채소와 과일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219]
팀 뉴트리션(Team Nutrition)은 "내플레이트 전자책(MyPlate eBooks)"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8가지 전자책이 포함되어 있다. 이 전자책에는 색칠할 그림, 오디오 해설, 다양한 캐릭터가 포함되어 있어 어린이들에게 영양 교육을 재미있게 만들어준다.[220]
FAO에 따르면, 여성은 종종 음식을 준비하는 책임을 지고 있으며, 유익한 음식과 건강 습관에 대해 자녀를 교육할 기회를 갖는다. 이는 어머니들에게 자녀의 영양 개선을 위한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216]
7. 3. 의료 서비스 접근성 확대
영양실조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 중 하나는 세계 농촌 지역의 의료 시설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시설은 영양실조 어린이를 관찰하고, 보조 식량 배급 센터 역할을 하며, 식이 요구 사항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페루와 가나와 같은 국가에서는 이미 이와 유사한 시설들이 매우 성공적임이 입증되었다.[132][133]아동의 영양실조를 확인하기 위해 신체 측정이 매우 중요하다. 2000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국제 미량영양소 영양실조 예방 및 관리(IMMPaCt)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이 프로그램은 아이패드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스캔을 통해 아동의 영양실조 여부를 검사했으며, 의사들이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154]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54] 소아 영양실조 평가를 위한 선별 도구(STAMPa)는 어린 아동의 영양실조 확인 및 평가를 위한 또 다른 방법이다.[155] 이 평가 도구는 영양실조 위험이 있는 아동을 확인하는 데 있어 중간 정도의 신뢰도를 보인다.[155]
42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검토 결과, 급성 영양실조 완화를 위한 많은 접근 방식이 효과가 비슷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중재 결정은 비용 관련 요소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급성 영양실조 중재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확실하지 않다. 비용과 관련된 제한적인 증거는 합병증이 없는 영양실조 아동에 대한 지역사회 및 외래 환자 관리가 가장 비용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56]
아동의 성장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건강 증진 활동을 포함하는 성장 모니터링 및 증진(GPM) 프로그램은 정책 입안자들이 자주 고려하고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방법이다.[157] 이 프로그램은 종종 아동의 정기적인 예방 접종과 동시에 실시된다.[158] 이러한 유형의 프로그램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성장 부진을 더 잘 해결하고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아동 식습관과 관련된 관행을 개선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58]
7. 4. 국제 협력
영양실조 감소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2(지속가능발전목표 2)인 "제로 헝거(Zero Hunger)"의 핵심 부분으로, 영양실조, 영양 부족 및 아동 발육 부진 감소를 목표로 한다.[113] 1996년 로마에서 열린 세계식량정상회의에서는 「세계식량안보에 관한 로마선언」이 채택되었고, 2015년까지 영양부족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세계 목표가 설정되었다.[299] 2000년에는 유엔에서 합의된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2015년까지 기아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거의 달성되었다.[300] 2015년에는 MDGs를 계승하는 형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제시되었고, 모든 기아와 영양실조를 2030년까지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301]1950년대와 1960년대의 녹색혁명은 질소 비료와 농약과 같은 현대 서구 농업 기술을 아시아에 도입하여 식량 수확량을 증가시키고 식량 가격과 영양실조를 감소시켰다.[104][114] 그러나 아프리카에서는 말라위와 같은 일부 성공 사례에도 불구하고, 인프라와 제도의 부족으로 인해 녹색혁명의 영향이 제한적이었다.[104][115] 제프리 삭스와 같은 사람들은 선진국들이 아프리카 농부들을 위해 투자하여 비료와 종자를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04][117]
세계은행은 국가가 세계 시장에서 식품을 구입할 재정적 수단을 제공하는 수출 주도 경제를 구축함으로써 빈곤과 영양실조의 빈곤의 악순환을 가장 잘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식량 주권은 식량 접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틀로 제시되며, 이 틀에서 사람들은 (국제 시장 세력이 아닌) 자신들의 식량, 농업, 축산, 수산업 시스템을 정의할 권리를 갖는다. 식량 제일(Food First)은 식량 주권에 대한 지지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는 주요 싱크탱크 중 하나이다.[302]
8. 21세기 글로벌 이니셔티브
영양실조는 오랫동안 국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1996년 로마에서 열린 세계식량정상회의에서는 "세계식량안보에 관한 로마선언"이 채택되었고, 2015년까지 영양부족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세계 목표가 설정되었다.[299]
식량을 구매할 여력이 없는 지역에서는 현금 지원(또는 현금 바우처)이 식량 기부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120] 2008년, 세계식량계획(WFP)은 일부 지역에서 식량 대신 현금과 바우처를 배포하기 시작했는데, 조셋 시어런 WFP 사무총장은 이를 식량 원조의 "혁명"이라고 표현했다.[120][121] 구호 단체 컨서른 월드와이드는 사파리콤을 이용한 현금 지원 방식을 시범 운영하기도 했다.[120]
그러나 가뭄 발생 시, 특히 시장 접근성이 제한적인 사람들에게는 식량을 직접 배달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120] 미국의 경우, 법률에 따라 굶주린 사람들이 사는 국가가 아닌 국내에서 식량 원조를 구매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지출 금액의 약 절반이 운송에 사용되는 비효율성이 발생하기도 한다.[171]
푸드뱅크와 무료급식소는 식량을 구매할 돈이 없는 사람들의 영양실조 문제를 해결하는 시설이다.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이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보장의 한 형태로 제안되기도 한다.[124]
8. 1.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유엔의 새천년 개발 목표(MDGs)는 2015년까지 기아 인구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거의 달성되었다.[300] 2015년에는 MDGs를 계승하는 형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제시되었으며, 2030년까지 모든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301] 특히,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목표 2: 기아 제로는 기아를 없애고 모든 형태의 영양실조를 종식시키며, 농업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전 세계적으로 합의하여 설정하였다.[143]8. 2. 기타 이니셔티브
2009년경부터 영양실조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졌다. 이는 식량 가격 급등과 2008년 금융 위기의 영향도 있었지만, 영양실조 퇴치가 개발에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2010년에는 UN의 ''영양 개선'' 운동(SUN)이 출범했다.[139]2012년 4월, 여러 국가들이 세계 최초로 식량 원조에 관한 법적 구속력을 가진 국제 협정인 식량 원조 협약에 서명했다. 같은 해 코펜하겐 컨센서스는 정치인과 민간 부문 자선가들이 원조 지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아와 영양실조 퇴치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특히 말라리아와 에이즈 퇴치보다도 우선해야 할 개입으로 제시되었다.[140]
2015년 6월, 유럽 연합과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은 어린이 영양실조 퇴치를 위한 파트너십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방글라데시, 부룬디, 에티오피아, 케냐, 라오스, 니제르에서 우선 시행되었으며, 이들 국가가 영양 관련 정보와 분석을 개선하여 효과적인 국가 영양 정책을 수립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1]
2015년에는 UN의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2025년까지 아프리카의 기아를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트너십을 결성했다. 아프리카 연합의 포괄적 아프리카 농업 개발 프로그램(CAADP)이 이 파트너십의 틀을 제공했으며, 식량 생산 지원, 사회 보호 강화, 식량에 대한 권리의 국가 법률 통합 등 다양한 개입을 포함했다.[142]
EndingHunger 캠페인은 기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으로, 유명인들이 굶주린 사람들에 대한 분노를 표현하는 바이럴 비디오를 제작했다.
참조
[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2]
서적
Clinical Nutrition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
웹사이트
Malnutrition
https://www.who.int/[...]
2024-05-03
[4]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dietetics in nutrition support
https://www.worldcat[...]
2018
[5]
웹사이트
WHO, nutrition experts take action on malnutrition
https://www.who.int/[...]
2012-02-10
[6]
간행물
Management of Severe and Moderate Acute Malnutrition in Children
http://www.ncbi.nlm.[...]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The World Bank
2024-05-03
[7]
웹사이트
Progress For Children: A Report Card On Nutrition
http://www.unicef.or[...]
UNICEF
2012-03-19
[8]
논문
Obesity as a form of malnutrition: over-nutrition on the Uganda 'malnutrition' agenda
[9]
논문
The Global Syndemic of Obesity, Undernutrition, and Climate Change: The Lancet Commission report
[10]
논문
Double burden of diseases worldwide: coexistence of undernutrition and overnutrition-related 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s
[11]
웹사이트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https://www.thelance[...]
The Lancet Commission
2022-01-17
[12]
논문
The child-level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in the MENA and LAC regions: Prevalence and social determinants
[13]
간행물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Policy 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14]
서적
World Hunger Routledge Introductions to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15]
논문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undernutrition among under-five children residing in urban slums and rural area, Maharashtra, India: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16]
논문
Adolescent undernutrition in South Asia: a scoping review protocol
[17]
웹사이트
Child Malnutrition
https://data.unicef.[...]
2023-05
[18]
논문
Nutritional status and its corelates in under five slum children of Kanpur Nagar, India
[19]
논문
Pooled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chronic undernutrition among under-five children in East Africa: A multilevel analysis
[20]
논문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Undernutrition among 6- to 59-Months-Old Children in Lowland and Highland Areas in Kilosa District, Tanzania: A Cross-Sectional Study
[21]
논문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undernutrition among under-five children in South Sudan using the standardized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relief and transitions (SMART) methodology
[22]
웹사이트
Malnutrition in Children
https://data.unicef.[...]
2023-11-07
[23]
간행물
Global prevalence of vitamin A deficiency in populations at risk 1995–2005,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database on vitamin A deficiency.
[24]
논문
Maternal and child undernutrition: global and regional exposures and health consequences
[25]
웹사이트
Vitamin A Deficiency in Children
https://data.unicef.[...]
2023-10-31
[26]
논문
Iodine Deficiency, Still a Global Problem?
2017
[27]
웹사이트
WHO guidance helps detect iron deficiency and protect brain development
https://www.who.int/[...]
2021-11-19
[28]
웹사이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SOFI) 2023
https://data.unicef.[...]
2023-11-08
[29]
논문
Undernutrition in nursing home rehabilitation patients
[30]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geriatric surge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
[31]
논문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unintentional weight loss in older adults
2011-03-29
[32]
서적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18
http://www.fao.org/s[...]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1-11
[33]
웹사이트
Global hunger declining, but still unacceptably high International hunger targets difficult to reach
http://www.fao.org/d[...]
2010-09
[34]
웹사이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SOFI) 2023
https://data.unicef.[...]
2023-10-31
[35]
웹사이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SOFI) 2023
https://data.unicef.[...]
2023-10-31
[36]
논문
Malnutrition: the silent pandemic
2020-12-01
[37]
웹사이트
Goal 2020: Zero Hunger-United Nations
https://www.wfp.org/[...]
2020-04-20
[38]
논문
Severe Malnutrition and Anemia Are Associated with Severe COVID in Infants
2020-01-01
[39]
웹사이트
2020 Global crisis on Food crises
https://www.wfp.org/[...]
2020-04-20
[40]
서적
Essentials of International Health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01-01
[41]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2023
https://data.unicef.[...]
2023-07-12
[42]
서적
Facts for life
http://www.unicef.or[...]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2012-03-19
[43]
사전
malnutrition
[44]
서적
Essential Nutrition Actions: Improving Maternal, Newborn, Infant and Young Child Health and Nutrition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45]
논문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2012-01-01
[46]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malnutrition – An ESPEN Consensus Statement
2015-01-01
[47]
서적
Basics in clinical nutrition
Galen
2012-01-01
[48]
논문
Long-Lasting Effects of Undernutrition
2011-01-01
[49]
논문
Burden of anemia and its underlying causes in 204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9: result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2021-11-01
[50]
서적
Nutrition in pediatrics: basic science, clinical application
https://books.google[...]
BC Decker
[51]
사전
hypoalimentation
[52]
논문
Women and Modern Medicine
[53]
웹사이트
Fact sheets – Malnutri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1-01
[54]
서적
Food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1-01
[55]
논문
Health Effec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195 Countries over 25 Years
2017-01-01
[56]
논문
Environment and obesity
2019-01-01
[57]
논문
Effects of paternal overnutrition and interventions on future generations
2022-01-01
[58]
웹사이트
Diets
https://data.unicef.[...]
[59]
논문
Weight and mortality rates: "Gómez classifica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011-08-01
[60]
논문
The Gomez classification. Time for a change?
http://whqlibdoc.who[...]
[61]
논문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 in Different Grades of Protein Energy Malnutrition
[62]
논문
John Conrad Waterlow
2010-12-01
[63]
논문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1972-09-01
[64]
논문
Race, Sex, and the Neglected Risks for Women and Girls in Sub-Saharan Africa
[65]
논문
Malnutrition and infection: complex mechanisms and global impacts
2007-05-01
[66]
논문
Early postnatal protein-calorie malnutrition and cognition: a review of human and animal studies
2011-02-01
[67]
서적
Neurologic Consequences of Malnutrition
http://www.siecv.net[...]
Demos Medical Publishing
2007-01-01
[68]
뉴스
In raising the world's IQ the secret is in salt
https://www.nytimes.[...]
2006-12-16
[69]
논문
Health consequences of iodine deficiency
2007-12-01
[70]
웹사이트
Bệnh suy dinh dưỡng trẻ em: Tổng hợp năm 2021
https://ykhoablog.co[...]
2021-08-27
[71]
논문
Maternal profiles and social determinants of severe acute malnutrition among children under-five years of age: A case-control study in Nepal
[72]
논문
What works? Interventions for maternal and child undernutrition and survival
[73]
웹사이트
Maternal, newborn, child and adolescent health
https://www.who.int/[...]
2014-07-04
[74]
논문
Childhood Malnutrition and Its Determinants among Under-Five Children in Ghana
[75]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being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e among ever-married non-pregnant urban women in Bangladesh
2009-08
[76]
논문
Escaping Hunger, Escaping Excess
http://www.worldwatc[...]
2011-09-25
[77]
서적
Poverty and famines: 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v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8]
논문
Measuring socioeconomic status in health research in developing countries: Should we be focusing on households, communities or both?
[79]
논문
Social determinants of malnutrition in Chilean children aged up to five
[80]
논문
Determinants of Malnutrition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in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81]
뉴스
The role of speculators in the global food crisis
http://www.spiegel.d[...]
[82]
뉴스
Biofuel use increasing poverty
http://news.bbc.co.u[...]
2008-06-25
[83]
뉴스
Biofuels 'crime against humanity'
http://news.bbc.co.u[...]
2007-10-27
[84]
웹사이트
Progress For Children: A Report Card On Nutrition
http://www.unicef.or[...]
UNICEF
2012-03-19
[85]
논문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A Global Matrix of Grades Comparing 15 Countries
[86]
논문
Child Malnutrition and Mort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Evidence from a Cross-Country Analysis
[87]
서적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88]
EMedicine
Malnutrition
[89]
논문
Persistent Hunger: Perspectives on Vulnerability, Famine, and Food Security in Sub-Saharan Africa
[90]
Review
Diagnosing small bowel malabsorption: a review
2014-02
[91]
Review
Malnutri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2002-11
[92]
Review
Coeliac disease in the 21st century: paradigm shifts in the modern age
2017-03
[93]
논문
Protein energy malnutrition
2009-10
[94]
웹사이트
Water-related diseases: Malnutrition
https://www.who.int/[...]
[95]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nutri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Academic Press
2005
[96]
서적
Stoelting's anesthesia and co-existing disease
https://books.google[...]
Saunders/Elsevier
2012
[97]
논문
Marketing breast milk substitutes: problems and perils throughout the world
2012-06
[98]
뉴스
Malnutrition Kills Over 3 Million Children Annually Worldwide
https://www.medicaln[...]
2018-02-20
[99]
논문
The role of food and nutrition system approaches in tackling hidden hunger
2011-02
[100]
웹사이트
Causes and Impacts of Undernutrition over the Life Course
https://www.un.org/e[...]
[101]
간행물
Improving Child Nutrition – The achievable imperative for global progress
http://www.susana.or[...]
UNICEF
[102]
논문
Escaping Hunger, Escaping Excess
http://www.worldwatc[...]
2011-09-25
[103]
논문
Overweight and obesity epidemic in Ghana{{snd}}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04]
뉴스
Ending Famine, Simply by Ignoring the Experts
https://www.nytimes.[...]
2007-12-02
[105]
뉴스
Zambia: fertile but hungry
http://news.bbc.co.u[...]
2006-02-06
[106]
뉴스
Forgotten benefactor of humanity
https://www.theatlan[...]
[107]
웹사이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SOFI) 2023
https://data.unicef.[...]
2023-07-12
[108]
웹사이트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http://www.ipcc.ch/p[...]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0-01-27
[109]
논문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University of Washington
2008-10-27
[110]
뉴스
Rice yields falling under global warming
https://www.bbc.co.u[...]
2010-08-09
[111]
웹사이트
Honey Bee Die-Off Alarms Beekeepers, Crop growers and researchers
http://aginfo.psu.ed[...]
[112]
뉴스
Vanishing bees threaten US crops
http://news.bbc.co.u[...]
2007-03-11
[113]
웹사이트
Goal2: Zero Hunger – United Nations
https://www.un.org/s[...]
[114]
뉴스
How a Kenyan village tripled its corn harvest
http://www.csmonitor[...]
2008-06-18
[115]
뉴스
In Africa, prosperity from seeds falls short
https://www.nytimes.[...]
2007-10-10
[116]
웹사이트
Need in a land of planty
http://www.dandc.eu/[...]
dandc.eu
2013-03
[117]
뉴스
Obama enlists major powers to aid poor farmers with $15 billion
https://www.nytimes.[...]
2009-07-09
[118]
뉴스
Severe Malnutrition, A Disturbance in Nigerian Health Sector
https://publichealth[...]
2018-10-12
[119]
논문
Pushing the Yield Frontier: Hybrid rice in China
Inter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2010
[120]
뉴스
UN aid debate: give cash not food?
http://www.csmonitor[...]
2008-06-04
[121]
웹사이트
Cash roll-out to help hunger hot spots
http://www.wfp.org/e[...]
World Food Programme
2008-12-08
[122]
문서
Andrew S. Natsios (Administrator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123]
문서
Memorandum to former Representative Steve Solarz (United States, Democratic Party, New York), July 1994
[124]
웹사이트
Improving Social Security in Canada Guaranteed Annual Income: A Supplementary Paper
http://www.canadians[...]
Government of Canada
2013-11-30
[125]
뉴스
A model of African food aid is now in trouble
http://www.csmonitor[...]
2008-05-06
[126]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text, sources and background, criticism
https://archive.org/[...]
Norton
[127]
학술지
No room at the inn, or why population problems are not all economic
[128]
웹사이트
Environment –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www.un.org/en[...]
2018-09-21
[129]
웹사이트
Family planning/Contraception
https://www.who.int/[...]
2018-09-21
[130]
서적
Population control and economic development
Dev Centers, OECD
[131]
서적
Global Justice, Capitalism and the Third World
[132]
학술지
The cost-effectiveness of a child nutrition education programme in Peru
2006-07
[133]
논문
PE Initiative: Fostering Evidence-based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in a Resource- constrained Setting
http://www.popcounci[...]
Population Council
2003
[134]
학술지
Breastfeeding in the 21st century: epidemiology, mechanisms, and lifelong effect
2016-01
[135]
학술지
Position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promoting and supporting breastfeeding
2015-03
[136]
학술지
Factors influencing breastfeeding exclusivity during the first 6 months of life in developing countrie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2015-10
[137]
학술지
Breastfeeding duration, costs, and benefits of a support program for low-income breastfeeding women
2002-06
[138]
학술지
Global trends in exclusive breastfeeding
2012-09
[13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SUN Movement
https://scalingupnut[...]
United Nations
2015
[140]
웹사이트
Outcome | Copenhagen Consensus Center
https://www.copenhag[...]
[141]
뉴스
EU launches new partnership to combat Undernutrition with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http://europa.eu/rap[...]
European Commission
2015-06-00
[142]
간행물
Africa's Renewed Partnership to End Hunger by 2025
http://www.fao.org/a[...]
FAO
2015-00-00
[143]
웹사이트
Goal 2: Zero Hunger
https://www.un.org/s[...]
[144]
간행물
Compact2025: Ending hunger and undernutrition
https://www.ifpri.or[...]
IFPRI
2015-00-00
[145]
웹사이트
Leadership Council
https://www.compact2[...]
[146]
웹사이트
Goal 2: Zero hunger
http://www.undp.org/[...]
2017-04-13
[147]
웹사이트
An update of 'The Neglected Crisis of Undernutrition: Evidence for Action'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2-10-00
[148]
웹사이트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https://www.who.int/[...]
2023-02-14
[149]
논문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of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what can be done and at what cost?
2013-08-00
[150]
뉴스
Nutrition plays key role in HIV/AIDS care, UN reports
https://news.un.org/[...]
United Nations
2003-02-25
[151]
간행물
Child Matters
UNICEF UK
2023-06-00
[152]
웹사이트
World Food Programme, Cash and Vouchers for Food
http://documents.wfp[...]
2012-04-00
[153]
논문
Solutions for a cultivated planet
http://www.escholars[...]
2011-10-00
[154]
웹사이트
Division of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https://www.cdc.gov/[...]
2020-06-18
[155]
논문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creening tool for the assessment of malnutrition in Paediatrics (Stamp©) for use by Healthcare staff
https://doi.org/10.1[...]
2012-00-00
[156]
논문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manage acute malnutrition in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2020-00-00
[157]
웹사이트
Child growth
https://www.who.int/[...]
2023-10-17
[158]
논문
The impact of growth monitoring and promotion on health indicators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of ag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23-10-12
[159]
서적
Guidelines for the inpatient treatment of severely malnourished childre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00-00
[160]
서적
The Treatment of diarrhoea: a manual for physicians and other senior health work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00-00
[161]
논문
Nutritional Support and Outcomes in Malnourished Medic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1-00
[162]
논문
Community-based supplementary feeding for promoting the growth of children under five years of age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2012-06-00
[163]
논문
Food supplementation for improving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of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aged three months to five years
2015-03-00
[164]
논문
Specially formulated foods for treating children with moderate acute malnutri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3-06-00
[165]
뉴스
Firms target nutrition for the poor
http://news.bbc.co.u[...]
2009-06-24
[166]
논문
Ready-to-use therapeutic food (RUTF) for home-based nutritional rehabilitation of severe acute malnutrition in children from six months to five years of age
2019-05-00
[167]
논문
Refeeding syndrome: clinical and nutritional relevance
2012-03-00
[168]
논문
Refeeding syndrome: treatment considerations based on collective analysis of literature case reports
2010-02-00
[169]
뉴스
Raising the world's IQ
https://www.nytimes.[...]
2008-12-04
[170]
뉴스
The Hidden Hunger
https://www.nytimes.[...]
2009-05-24
[171]
뉴스
Let them eat micronutrients
http://www.newsweek.[...]
[172]
서적
The Treatment of Diarrhoea: A manual for physicians and other senior health workers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00-00
[173]
간행물
Nation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everely Malnourished Children in Bangladesh
http://www.unicef.or[...]
Institute of Public Health Nutrition, Directorate General of Health Services, Ministry of Health and Family Welfar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2008-05-00
[174]
서적
The Treatment of diarrhoea : a manual for physicians and other senior health work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00-00
[175]
논문
Reducing deaths from diarrhoea through oral rehydration therapy
2000-01-00
[176]
웹사이트
WHO Drug Information Vol. 16, No. 2, 2002: Current Topics: New formula oral rehydration salts
http://apps.who.int/[...]
2012-09-23
[177]
웹사이트
Low-osmolarity oral rehydration solution (ORS)
http://rehydrate.org[...]
2014-04-23
[178]
간행물
The Treatment of Diarrhoea: A manual for physicians and other senior health workers
http://whqlibdoc.who[...]
WHO
2005
[179]
간행물
Guidelines for the control of shigellosis, including epidemics due to Shigella dysenteriae type 1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180]
웹사이트
Dehydration, treatments and drugs
http://www.mayoclini[...]
2011-01-07
[181]
웹사이트
Oral Rehydration Solution
http://www.fpnoteboo[...]
2014-02-01
[182]
웹사이트
Nation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Severely Malnourished Children in Bangladesh
http://www.unicef.or[...]
[183]
웹사이트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Estimates for WHO Member States in 2002
https://www.who.int/[...]
2002
[184]
뉴스
Global hunger worsening, warns UN
http://news.bbc.co.u[...]
BBC (Europe)
2009-10-14
[185]
간행물
2015 Global Hunger Index – Armed Conflict and the Challenge of Hunger
http://www.ifpri.org[...]
Welthungerhilfe, IFPRI, and Concern Worldwide
2015-10
[186]
웹사이트
Promotion And Protection Of All Human Rights,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Development: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Jean Ziegler
http://www2.ohchr.or[...]
2008-01-10
[187]
논문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for 291 diseases and injuries in 21 region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
[188]
웹사이트
Putting a number on hunger
https://www.fao.org/[...]
2024-09-04
[189]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6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4-06
[190]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8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4-06
[191]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15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4-06
[192]
논문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www.cobiss.si[...]
2012-12
[193]
논문
A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attributable to 67 risk factors and risk factor clusters in 21 region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
[194]
뉴스
Malnutrition The Starvelings
http://www.economist[...]
2008-01-24
[195]
뉴스
U.N. chief: Hunger kills 17,000 kids daily
http://edition.cnn.c[...]
CNN
2009-11-17
[196]
웹사이트
Hunger, Science, and Politics: FAO, WHO, and Unicef Nutrition Policies, 1945–1978
http://discovery.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1996
[197]
서적
Hunger: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
논문
The historiography of hunger: changing views on the world food problem, 1945–1980
[19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www.un.org/en[...]
2015-10-06
[200]
웹사이트
What is the Right to Food?
http://www.righttofo[...]
[201]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n the Eradication of Hunger and Malnutrition
https://berkleycente[...]
[202]
웹사이트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http://www.hrcr.org/[...]
[203]
웹사이트
Rome Declaration and Plan of Action
http://www.fao.org/d[...]
[204]
논문
Maternal and child undernutrition: global and regional exposures and health consequences
2008-01
[205]
간행물
Tackling undernutrition in children – new opportunities for innovation and action
2014
[206]
간행물
Peanuts, Aflatoxins and Undernutrition in Children in Sub-Saharan Africa
2017
[207]
논문
Antibiotics as part of the management of severe acute malnutrition
2013-01
[208]
간행물
Undernutrition as an underlying cause of child deaths associated with diarrhea, pneumonia, malaria, and measles
2004
[209]
간행물
Safer water, better health – Costs, benefits and sustainability of interventions to protect and promote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8
[210]
간행물
Management of severe acute malnutrition in children – Authors' reply
2007
[211]
웹사이트
Undernourished and Overlooked
https://data.unicef.[...]
2023-02-24
[212]
논문
Gender and adult undernutr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213]
논문
Malnutrition in Women
http://www.krepublis[...]
[214]
웹사이트
Enduring misery
http://www.dandc.eu/[...]
dandc.eu
2013-03-01
[215]
웹사이트
Survey Reveals High Malnutrition Rates Among Pregnant Women in Kenya
http://www.unicef.or[...]
UNICEF
[216]
웹사이트
Gender and Nutrition 2001
https://www.uthfa.co[...]
Food and Agriculture of the United Nations
2001-07-01
[217]
논문
What works? Interventions for maternal and child undernutrition and survival
2008-02-01
[218]
뉴스
Folic acid to be added to UK flour in effort to reduce birth defects
https://www.theguard[...]
2014-10-14
[219]
웹사이트
Nutrition Education
https://www.actionfo[...]
[220]
웹사이트
Team Nutrition MyPlate eBooks
https://www.fns.usda[...]
[221]
논문
Risk of malnutr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living elderly men and women: the Tromsø study
2011-05-01
[222]
논문
Elder insecurities: poverty, hunger, and malnutrition
1997-10-01
[223]
논문
Malnutrition in the elderly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geriatric syndromes
2010-12-01
[224]
논문
Malnutrition in the elderly – prevalence, causes and corrective strategies
[225]
논문
Malnutrition in the elderly – prevalence, causes and corrective strategies
[226]
논문
Protein and energy supplementation in elderly people at risk from malnutrition
2009-04-01
[227]
논문
Malnutrition in elder care: qualitative analysis of ethical perceptions of politicians and civil servants
2010-06-01
[228]
뉴스
Care crisis triggers rise in malnutrition, charities claim
https://www.homecare[...]
Home care Insight
2019-08-19
[229]
논문
Malabsorption may contribute to malnutrition in the elderly
[230]
서적
Facts for life
http://www.unicef.or[...]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2010-01-01
[231]
서적
Food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1-01
[232]
사전
malnutrition
[233]
Review
Diagnosing small bowel malabsorption: a review
[234]
웹사이트
Maternal, newborn, child and adolescent health
https://www.who.int/[...]
[235]
웹사이트
An update of 'The Neglected Crisis of Undernutrition: Evidence for Action'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2-10-01
[236]
논문
Solutions for a cultivated planet
https://escholarship[...]
2011-10-01
[237]
웹사이트
An update of 'The Neglected Crisis of Undernutrition: Evidence for Action'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2-10-01
[238]
논문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of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what can be done and at what cost?
2013-08-03
[239]
Review
Malnutri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240]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18
http://www.fao.org/s[...]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4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242]
문서
병약(신체허약을 포함)
[243]
웹사이트
굶주림 제로
http://ja.wfp.org/ze[...]
국제연합 세계식량계획
2018-11-27
[244]
보도자료
세계 인구는 올해 11월에 80억 명에 도달: 국제연합이 「세계 인구 추계 2022년판」을 발표
https://tokyo.unfpa.[...]
국제연합인구기금 주일사무소
2022-07-12
[245]
웹사이트
2023년 세계의 식량안보와 영양의 상황 > 제2장 세계의 식량안보와 영양 > 2.1 식량안보지표 – 굶주림 퇴치와 식량안보 확보를 향한 최신 업데이트와 진척 상황 > 그림 1 세계의 굶주림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여전히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훨씬 상회하고 있다.
https://openknowledg[...]
2023-07-12
[246]
웹사이트
世界の飢餓状況
http://119.245.211.1[...]
2021-02-05
[247]
서적
食 90億人が食べていくために
丸善出版
1995-06-25
[248]
웹사이트
世界の飢餓人口 増加続く 2030年の「飢餓ゼロ」達成困難のおそれ ユニセフなど、国連5機関が新報告書
https://www.unicef.o[...]
2021-02-05
[249]
웹사이트
新型栄養失調って何?
https://www.healthca[...]
[250]
논문
健康長寿と食品
2017
[251]
논문
施設入所要介護高齢者における亜鉛摂取量と血清中亜鉛値および関連成分値に関する検討
2013
[252]
논문
耳鼻咽喉科の味覚障害治療-新たなる希望-
2017
[253]
서적
人間のための一般生物学
裳華房
2010-03-10
[254]
서적
新・食文化入門
弘文堂
2004-10-15
[255]
서적
食料の世界地図
丸善
2005-10-30
[256]
논문
フードデザートマップを用いた後期高齢者の買い物環境
2014
[257]
논문
食料品の買い物における不便や苦労とその改善に向けての住民の意向 : 大都市郊外団地, 地方都市, 農山村における意識調査から
2013-03-01
[258]
논문
ロコモティブシンドロームの概念と現状
2011-04
[259]
논문
過剰なダイエットにより生じた Wernicke 脳症例
2007
[260]
웹사이트
骨粗鬆症の予防のための食生活
https://www.e-health[...]
2022-11-05
[261]
웹사이트
肥満と過体重
https://japan-who.or[...]
2021-02-09
[262]
서적
食 90億人が食べていくために
丸善出版
1995-06-25
[263]
웹사이트
ミネラル
https://www.e-health[...]
2022-06-14
[264]
논문
悪液質のメカニズムと栄養
https://doi.org/10.1[...]
2016
[265]
논문
極度の低栄養状態における低血糖に伴うリフィーディング症候群
https://doi.org/10.1[...]
2020
[266]
논문
リフィーディング症候群 (特集 メンタルヘルスと栄養)
https://repo.lib.tok[...]
2012-04
[267]
웹사이트
大腿骨骨髄による奈良公園シカの栄養診断
https://cir.nii.ac.j[...]
2009-02-28
[268]
웹사이트
奈良の鹿は栄養失調? 鹿せんべい食えたらイイわけじゃない(田中淳夫)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3-11-08
[269]
웹사이트
奈良の鹿 施設で“虐待”と獣医師 愛護会は反論 市が調査へ|NHK 関西のニュース
https://www3.nhk.or.[...]
2023-11-08
[270]
웹사이트
ホッキョクグマ、2100年までに絶滅の恐れ 気候変動で
https://www.bbc.com/[...]
2020-07-21
[271]
웹사이트
地球温暖化による野生生物への影響
https://www.wwf.or.j[...]
2017-09-06
[272]
논문
A Deficiency Disease of Foxes Produced by Feeding Fish: B1 Avitaminosis Analogous to Wernicke’s Disease of Man
https://www.scienced[...]
1941-03-01
[273]
웹사이트
環境省_パンフレット「飼い主のためのペットフード・ガイドライン ~犬・猫の健康を守るために~」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환경청
2023-04-25
[274]
논문
Lifestage Nutrition of Dogs and Cats
https://doi.org/10.1[...]
2004
[275]
논문
牛の栄養と疾病 (その2)
https://doi.org/10.1[...]
日本獣医師会
1962
[276]
웹사이트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Estimates for WHO Member States in 2002
http://www.who.int/e[...]
2020-03-17
[277]
뉴스
Global hunger worsening, warns UN
http://news.bbc.co.u[...]
BBC (Europe)
2009-10-14
[278]
간행물
2015 Global Hunger Index - Armed Conflict and the Challenge of Hunger
http://www.ifpri.org[...]
Welthungerhilfe, IFPRI, and Concern Worldwide
2015-10
[279]
웹사이트
Suite of Food Security Indicators(食料安全保障指標サイト)
https://www.fao.org/[...]
2024-09-11
[280]
문서
FAOSTAT 데이터 설명
[281]
보도자료
세계의 굶주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악화 아프리카 인구의 2할 이상이 영양 부족 식량과 영양에 관한 국제연합 공동 보고서
https://www.unicef.o[...]
유니세프(국제연합아동기금)
2021-07-12
[282]
보도자료
우크라이나 전쟁:국제연합 세계식량계획, 세계가 심각해지는 기아의 위기에 직면하는 가운데, 항구의 재개를 요구
https://ja.wfp.org/s[...]
국제연합 세계식량계획
2022-05-06
[283]
뉴스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초래할 우려=국제연합
https://www.bbc.com/[...]
2022-05-19
[284]
뉴스
닥쳐오는 “식량 위기” 일본과 세계의 식량은 어떻게 될까?
https://www3.nhk.or.[...]
2022-06-16
[285]
뉴스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량 “흑해 방위 강화로 거의 군사 침공 전 수준에”
https://www3.nhk.or.[...]
2024-01-31
[286]
보고서
Promotion And Protection Of All Human Rights,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Development: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Jean Ziegler
http://www2.ohchr.or[...]
유엔 인권이사회
2008-01-10
[287]
웹사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고령자의 영양
https://www.tyojyu.o[...]
공익재단법인 장수과학진흥재단
2024-08-14
[288]
저널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for 291 diseases and injuries in 21 region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15
[289]
웹사이트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Statistics Division>StatisticsSDG Indicators Database>DATE>GLOBAL DATABASE(경제사회국>통계과>SDG에 관한 통계의 지표 데이터베이스>데이터>국제DATABASE)
https://unstats.un.o[...]
2023
[290]
문서
Data Series의 란에서 2.1.1을 선택하고、「Show Results」버튼을 클릭한다.
[291]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6
https://www.fao.org/[...]
유엔 식량농업기구
[292]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8
https://www.fao.org/[...]
유엔 식량농업기구
[293]
보도자료
세계의 기아 인구 증가 계속 2030년의 「기아 제로」달성 곤란의 우려 유니세프 등, 국제연합 5기관이 신보고서
https://www.unicef.o[...]
유니세프
2020-07-13
[294]
웹사이트
STATE-OF-THE-WORLDS-MOTHERS-REPORT-2012-FINAL.PDF
http://www.savethech[...]
[295]
서적
L'Empire de la honte
Fayard
[296]
저널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
[297]
저널
A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attributable to 67 risk factors and risk factor clusters in 21 region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
[298]
웹사이트
わかる!国際情勢 Vol.158日本と世界の食料安全保障のために - 国連食糧農業機関(FAO)との関係強化
https://www.mofa.go.[...]
일본 외무성
2017-08-15
[299]
웹사이트
세계식량정상회의(개요와 평가)
https://www.mofa.go.[...]
일본 외무성
[300]
웹사이트
밀레니엄 개발 목표 (MDGs)
https://www.unicef.o[...]
공익재단법인 일본 유니세프 협회
[301]
웹사이트
굶주림을 제로로
https://www.jp.undp.[...]
UN개발계획(UNDP) 주일대표사무소
[302]
서적
식량의 세계지도
마루젠
2006-10-30
[303]
서적
가난한 사람의 경제학 다시 한번 빈곤 문제를 뿌리부터 생각한다
미스즈 쇼보
2012-04-02
[304]
서적
가난한 사람의 경제학 다시 한번 빈곤 문제를 뿌리부터 생각한다
미스즈 쇼보
2012-04-02
[305]
웹사이트
고령자의 식사는 「규동」이나 「햄버거」가 이상적인 이유【현역 의사가 해설】 (2/3페이지)
https://gentosha-go.[...]
겐토샤 GOLD ONLINE
2021-11-10
[306]
웹사이트
고령자의 식사는 「규동」이나 「햄버거」가 이상적인 이유【현역 의사가 해설】 (3/3페이지)
https://gentosha-go.[...]
겐토샤 GOLD ONLINE
2021-11-10
[307]
웹사이트
UN aid debate: give cash not food?
http://www.csmonitor[...]
[308]
서적
Facts for life
https://web.archive.[...]
유엔아동기금
2010
[309]
서적
Food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310]
사전
malnutrition
[311]
Review
Diagnosing small bowel malabsorption: a review
[312]
웹사이트
Maternal, newborn, child and adolescent health
http://www.who.int/m[...]
[313]
웹사이트
An update of 'The Neglected Crisis of Undernutrition: Evidence for Action'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2-10
[314]
저널
Solutions for a cultivated planet
https://escholarship[...]
2011-10
[315]
저널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of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what can be done and at what cost?
2013-08-03
[316]
Review
Malnutri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317]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18
http://www.fao.org/s[...]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01-11
[318]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319]
서적
탐욕의 시대
갈라파고스
[320]
간행물
다시 해방신학을 말한다
대한 기독교 서회
2008-04
[32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diseases
https://www.who.int/[...]
WHO
2021-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