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군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횡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10개의 법정리가 있다. 횡성읍은 횡성군 인구의 약 40%가 거주하며 면적은 72.41 km²이다. 횡성군은 고조선 시대에는 맥국의 영역이었고,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횡천현이었다가 신라에 편입되었다. 1895년 춘천부 횡성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 강원도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8개 면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읍·면 간 경계 조정과 행정구역 변경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횡성군의 행정 구역 - 횡성읍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의 중앙에 위치한 횡성읍은 삼국시대에 횡천 또는 어사매라 불리다 조선 시대 횡성으로 개칭되었고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20개가 넘는 법정리와 다양한 교육기관을 포함한다. - 횡성군 - 횡성읍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의 중앙에 위치한 횡성읍은 삼국시대에 횡천 또는 어사매라 불리다 조선 시대 횡성으로 개칭되었고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20개가 넘는 법정리와 다양한 교육기관을 포함한다. - 횡성군 - 횡성교육도서관
횡성교육도서관은 1982년 횡성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199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서 자료실, 어린이 자료실, 열람실을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 공휴일, 설날 및 추석 연휴에 휴관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강릉시의 행정 구역
강릉시는 1읍, 7면, 1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통일 신라 시대에는 명주도독부가 설치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강릉대도호부가 설치되었다가 1955년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을 통합하여 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명주군과 통합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동해시의 행정 구역
동해시의 행정 구역은 2024년 현재 6개의 행정동(북삼동, 북평동, 묵호동, 발한동, 삼화동, 천곡동)과 31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횡성군의 행정 구역 | |
---|---|
개요 | |
명칭 | 횡성군의 행정 구역 |
종류 | 행정 구역 |
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
행정 구역 정보 | |
하위 행정 구역 수 | 1읍 8면 |
읍 | 횡성읍 |
면 | 우천면, 공근면, 서원면, 성내면, 갑천면, 청일면, 강림면, 안흥면 |
2. 행정 구역
횡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8면, 총 1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1] 각 읍면의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읍면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km²) | 법정리 |
---|---|---|---|---|---|
횡성읍 | 橫城邑 | 19,648 | 7,672 | 72.41 | 읍상리, 읍하리, 북천리, 내지리, 마옥리, 송전리, 궁천리, 옥동리, 영영포리, 개전리, 마산리, 조곡리, 생운리, 남산리, 교항리, 입석리, 청용리, 묵계리, 곡교리, 모평리, 반곡리, 갈풍리, 학곡리, 가담리, 추동리, 정암리 |
우천면 | 隅川面 | 4,381 | 2,024 | 9.5 | 두곡리, 용둔리, 산전리, 상하가리, 정금리, 하궁리, 상대리, 하대리, 오원리, 백달리, 우항리, 양적리, 법주리, 문암리 |
안흥면 | 安興面 | 3,013 | 3,013 | 9.7 | 안흥리, 가천리, 송한리, 상안리, 지구리, 소사리, 성산리 |
둔내면 | 屯內面 | 5,394 | 5,394 | 12.8 | 현천리, 둔방내리, 영랑리, 조항리, 우용리, 두원리, 자포곡리, 석문리, 삽교리, 마암리, 화동리, 궁종리, 태기리 |
갑천면 | 甲川面 | 2,272 | 2,272 | 12.4 | 중금리, 부동리, 화전리, 구방리, 포동리, 매일리, 하대리, 상대리,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 |
청일면 | 晴日面 | 2,333 | 2,333 | 13.4 | 봉명리, 속실리, 춘당리, 유동리, 초현리, 유평리, 갑천리, 고시리, 신대리 |
공근면 | 公根面 | 3,585 | 3,585 | 13 | 상동리, 부창리, 어둔리, 공근리, 가곡리, 삼배리, 청곡리, 행정리, 상창봉리, 창봉리, 도곡리, 초원리, 학담리, 매곡리, 오산리, 수백리, 덕촌리, 신촌리 |
서원면 | 書院面 | 2,219 | 2,219 | 12.4 | 창촌리, 압곡리, 옥계리, 석화리, 유현리, 금대리 |
강림면 | 講林面 | 1,514 | 1,514 | 9.7 | 강림리, 부곡리, 월현리 |
횡성군은 고조선 시대에는 맥국의 영역이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횡천현이었다가 신라 진흥왕 때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횡천현이 횡성현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도 횡성현으로 유지되었다.
3. 역사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가,[2] 1896년 8월 4일 강원도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3] 1979년 5월 1일 횡성면이 횡성읍으로 승격되었다.[10]
2000년 1월 12일 갑천면 부동리를 삼거리에 통합하였다.[13]
3. 1. 일제강점기 면 통폐합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8개 면(군내면, 우천면, 정곡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고모곡면)으로 개편되었다.[4] 당시 행정구역과 현재 행정구역 비교는 다음과 같다.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읍·면 | 리 |
군내면 (郡內面) | 갈풍리, 반곡리, 모평리, 곡교리, 청용리, 묵계리, 가담리, 입석리, 교항리, 읍상리, 읍하리, 내지리, 마옥리·소군리, 궁천리, 송전리, 북천리, 옥동리, 영영포리, 개전리, 마산리 | 횡성군 횡성읍 | 갈풍리, 반곡리, 모평리, 곡교리, 청용리, 묵계리, 가담리, 입석리, 교항리, 읍상리, 읍하리, 내지리, 마옥리, 궁천리, 송전리, 북천리, 옥동리, 영영포리, 개전리, 마산리 |
우천면 (隅川面) | 남산리, 생운리, 조곡리, 추동리, 정암리 | 남산리, 생운리, 조곡리, 추동리, 정암리 | |
두곡리, 하수남리, 중수남리, 상수남리, 법주리, 백달리, 오원리 | 횡성군 우천면 | 두곡리, 문암리, 양적리, 우항리, 법주리, 백달리, 오원리 | |
정곡면 (井谷面) | 상대미원리·중대미원리, 하대미원리, 상가좌곡리·하가좌곡리, 상산전리·하산전리, 정금리, 용둔리, 하궁종리 | 상대리, 하대리, 상하가리, 산전리, 정금리, 용둔리, 하궁리 | |
가리천리, 상안흥리, 소사리, 송한리, 하안흥리, 지구리 | 안흥면 | 가천리, 상안리, 소사리, 송한리, 안흥리, 지구리 | |
상궁종리 | 횡성군 둔내면 | 궁종리 | |
갑천면 (甲川面) | 태기리 | 태기리 | |
구방리, 매일리, 부동리, 상금대리, 중금대리, 포동리, 하금대리, 화전리 | 갑천면 | 구방리, 매일리, 부동리, 상대리, 중금리, 포동리, 하대리, 화전리 | |
유평리, 갑천리, 고시리 | 횡성군 청일면 | 유평리, 갑천리, 고사리 | |
청일면 (晴日面) | 봉명리, 속실리, 신대리, 유동리, 유평리, 초현리, 춘당리 | 봉명리, 속실리, 신대리, 유동리, 유평리, 초현리, 춘당리 | |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 | 횡성군 갑천면 |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 | |
둔내면 (屯內面) | 두원리, 둔방내리, 마암리, 삽교리, 석문리, 영랑리 일부, 우용리, 자포곡리, 조항리, 현천리, 화동리 | 둔내면 | 두원리, 둔방내리, 마암리, 삽교리, 석문리, 영랑리, 우용리, 자포곡리, 조항리, 현천리, 화동리 |
영랑리 일부 | 안흥면 | 성산리 | |
공근면 (公根面) | 백아곡리, 내공근리, 덕촌리, 도곡리, 상갈마곡리, 하갈마곡리, 하토동리, 삼배리, 상토동리, 상수백리, 하수백리, 어둔리, 오산리, 하창봉리, 청곡리, 상초원리, 학곡리 일부, 학담리, 행정리 | 공근면 | 가곡리, 공근리, 덕촌리, 도곡리, 매곡리 일부, 매곡리 일부, 부창리, 삼배리, 상동리, 수백리 일부, 수백리 일부, 어둔리, 오산리, 창봉리, 청곡리, 초원리, 신촌리, 학담리, 행정리 |
학곡리 일부 | 횡성군 횡성읍 | 학곡리 | |
고모곡면 (古毛谷面) | 이리, 삼리, 오리, 육리, 분일리 일부, 분이리 | 서원면 | 옥계리, 창촌리, 금대리, 유현리, 압곡리, 석화리 |
일리, 사리, 분일리 일부 | 원주시 호저면 | 산현리, 매호리, 용곡리 |
1917년 10월 1일 군내면을 횡성면으로, 고모곡면을 서원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6] 1937년 4월 1일에는 정곡면을 안흥면으로 개칭하였다.[7]
3. 2. 해방 이후
1963년 1월 1일 영월군 수주면 강림리, 부곡리, 월현리가 안흥면에 편입되었다.[8] 1973년 7월 1일 홍천군 남면 상창봉리가 공근면에 편입되고, 우천면 조곡리, 생운리, 남산리가 횡성읍에 편입되었으며, 안흥면 하궁리, 정금리, 용둔리, 상하가리, 하대리, 상대리, 산전리가 우천면에 편입되었다. 또한, 안흥면 궁종리와 갑천면 태기리, 신대리 일부가 둔내면에 편입되고, 청일면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가 갑천면에, 갑천면 유평리, 갑천리, 고시리, 신대리 일부가 청일면에 편입되었으며, 둔내면 영랑리 일부는 안흥면 성산리에, 공근면 학곡리 일부는 공근면 신촌리에 각각 편입되었다.[9]1983년 2월 15일 서원면 매호리, 산현리, 압곡리 일부가 원성군 호저면에 편입되었고, 우천면 정암리, 추동리가 횡성읍에 편입되었다.[11] 1989년 4월 1일 안흥면 강림출장소가 강림면으로 승격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횡성군의 인구
http://www.hsg.go.kr[...]
2012-04-12
[2]
문서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3]
문서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4]
문서
다이쇼 3년 강원도령 제2호
1914-03-11
[5]
문서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6]
문서
다이쇼 6년 강원도령 제10호
1917-10-01
[7]
문서
쇼와 12년 강원도령 제8호
1937-03-31
[8]
문서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9]
문서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0]
문서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1]
문서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2조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
1983-01-10
[12]
문서
군조례 제1254호
1989-03-29
[13]
문서
군조례 제1705호
200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