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휘르트겐 숲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휘르트겐 숲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9월부터 1945년 2월까지 독일 휘르트겐 숲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연합군은 독일군의 저항과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전략적 목표였던 루르 댐 점령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미군은 이 전투에서 3만 3천 명에서 최대 5만 5천 명에 달하는 사상자를 냈으며, 독일군 역시 2만 8천 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 이 전투는 전쟁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여겨지며, 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소모적인 전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펠 - 로타리우스 1세
    로타리우스 1세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장남으로 공동 황제에 책봉되어 이탈리아를 통치하고, 베르됭 조약으로 중프랑크 왕국을 세웠으나, 사후 왕국이 분할 상속되어 카롤링거 왕조 몰락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로트링겐 지방의 지명으로 남아있다.
  • 아이펠 - 벌지 전투
    벌지 전투는 1944년 12월 독일군의 마지막 대규모 공세 작전으로, 연합군의 보급로 차단과 앤트워프 탈환을 목표로 했으나 실패하고 독일군의 전력 손실을 가져왔다.
  • 라인란트의 역사 - 라인란트 진주
    라인란트 진주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비무장화된 독일 라인란트 지역에 대한 독일의 재무장으로, 히틀러는 이를 통해 베르사유 조약을 위반하고 유럽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긴장을 고조시켰다.
  • 라인란트의 역사 - 트리어 선제후국
    트리어 선제후국은 트리어 대주교가 통치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 지위를 가진 국가였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해체되고 제국대표자회의 결의에 따라 세속화되었다.
  • 1944년 11월 -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민주당 후보로, 토머스 E. 듀이가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루스벨트가 4선 연임에 성공했으며, 해리 S. 트루먼을 러닝메이트로 지명하여 부통령으로 선출시킨 선거로, 주요 정당 후보가 모두 뉴욕주 출신이었고 민주당이 남부 주를 모두 석권한 마지막 선거이다.
  • 1944년 11월 - 모로타이섬 전투
    모로타이섬 전투는 1944년 9월 연합군이 필리핀 진격을 위한 거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모로타이섬을 공격하여 시작되었으며, 압도적인 전력으로 섬을 점령하고 비행장을 건설하여 주요 군사 기지로 사용했다.
휘르트겐 숲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휘르트겐 숲의 농가는 제9미육군 제19군단 제8보병사단 제121보병연대 본부 중대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 그들은 그것을
휘르트겐 숲의 농가는 제9미육군 제19군단 제8보병사단 제121보병연대 본부 중대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 그들은 그것을 "휘르트겐 호텔"이라고 불렀다.
시기1차 공세: 1944년 9월 19일 – 1944년 12월 16일
2차 공세: 1945년 2월 7일 – 1945년 2월 10일
장소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독일
결과1차 공세: 독일군의 방어 승리
2차 공세: 미국의 승리
교전 세력
지휘관
지휘관 1오마 브래들리
코트니 호지스
레너드 T. 지로
조제프 로턴 콜린스
지휘관 2발터 모델
병력 규모
병력 1120,000명
병력 280,000명
사상자
사상자 1총 32,000명 ~ 33,000명 (사망자 12,000명 포함)
사상자 2약 28,000명 (사망자 12,000명 포함)
관련 전투

2. 배경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성공 이후, 연합군은 라인강을 목표로 독일 본토로 진격하려 했다. 미군은 독일 국경 도시 아헨을 점령하고, 동쪽의 휘르트겐 숲과 루르강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러나 휘르트겐 숲은 울창한 삼림과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방어에는 유리하고 공격에는 불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미국 제1보병사단은 10월 초에 도착하여 아헨을 포위하고 있던 제19군단과 제7군단의 부대와 합류했다. 제1보병사단은 아헨 주둔 독일군에게 항복을 요구했지만, 독일군 사령관 게르하르트 빌크(en) 대령은 10월 21일까지 항복을 거부했다.

연합군은 또한 독일군이 루르 댐을 이용하여 저장된 물을 방류할 경우, 하류에서 작전 중인 모든 부대가 물에 잠길 수 있다는 위협을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마 브래들리, 코트니 호지스, 조셉 로턴 콜린스 등 미국 사령관들은 댐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는 숲을 통과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일부 군사 역사가들은 이러한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휘르트겐 전투에 참전했던 미국 육군 역사학자이자 전 소대장이었던 찰스 B. 맥도널드는 이 전투를 "잘못된 판단으로 시작되었고, 근본적으로 무의미하여 피했어야 할 전투"라고 묘사했다.

3. 지리

휘르트겐 숲은 루르 강과 아헨 사이의 견고한 지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빽빽한 침엽수림은 몇 안 되는 길, 궤도, 방화대로 나뉘어져 있었고, 차량 이동이 제한되었다.[21] 1944년 가을부터 초겨울까지 날씨는 춥고 습하며 종종 항공 지원을 방해했고, 지면은 습기 많은 눈으로 덮여 있었다.[21]

독일 방어군은 요새, 지뢰 매설 지역, 철조망과 부비 트랩으로 대비했으며, 이들은 눈으로 덮여 있었다. 또한, 다수의 엄폐호가 준비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지크프리트 선의 깊은 방어 진지에 배치되어 방어의 중심 거점이 되었다. 밀림은 침투와 측면 공격을 가능하게 했지만, 최전선을 확립하거나 그 지역 내의 적을 섬멸했다고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적은 길과 트인 곳은 독일군의 기관총, 박격포, 포병 팀의 정확한 사정거리에 들어와 있었다. 악천후와 더불어 밀림과 기복이 심한 지형은 어떤 목표도 공격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연합군이 가진 제공권 사용을 방해했다.

전력이 우세한 (독일군의 5배) 미군의 기갑 부대, 기동성, 항공 지원이라는 이점은 날씨와 지형에 의해 상쇄되었다. 숲 안에서는 비교적 소수이고 단호한 신념으로 각오를 다진 방어 부대가 훨씬 유리했다. 미군 사단은 희생자를 후송했기 때문에, 경험이 부족한 신병이 전선에 배치되었다.[22]

침투하기 어려운 숲은 전차 사용을 제한했고, 판저파우스트를 갖춘 독일군 대전차 사냥꾼이 숨기에 편리했다. 이후 전투 중에 숲을 통과하는 전차 통로를 파괴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수송 또한 길이 적어 제한되었다. 위기 상황에 빠진 최전선 부대에 증원을 보내는 것, 물자 공급, 부상자 후송이 어려웠다. 독일군도 비슷한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독일 사단은 프랑스를 통과하여 퇴각하는 중에 큰 손해를 입었고, 훈련이 부족한 병사, 임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되는 남자나 노인들을 소집하여 정원을 채웠다. 수송은 험한 길, 트럭과 연료 부족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고, 대부분의 물자가 인력으로 최전선까지 운반되었다. 그러나 독일군 방어 부대의 지휘관과 병사들은 이미 2~3년 동안 싸웠고, 겨울 숲 지대에서 효율적으로 싸우기 위해 필요한 전술을 배우고 있었다는 점에서, 훈련은 받았지만 경험이 부족한 미군과 비교해 유리했다.

숲의 키 큰 나무에 의한 차폐는 방어 측에 유리했다. 포병 포격은 '수목에 의한 견인화'[23]를 일으키도록 신관이 조정되었고, 방어 측은 참호 등으로 포탄과 나무 조각으로부터 보호받았던 반면, 트인 곳에 있는 공격 측은 더 치명적이었다. 미군 박격포 소대는 활동하기 위해 빈터를 필요로 했지만, 독일군 부대가 사전에 조준했기 때문에 위험이 따랐고, 보병 소대는 종종 박격포 지원을 이용할 수 없었다.

4. 양측 군대

휘르트겐 숲은 미국 제1군 관할 구역이었으며, 제5군단제7군단이 번갈아 가며 책임을 맡았다.

전투 초기, 숲은 한스 슈미트 게네랄로이테난트가 지휘하는 독일군 제275보병사단과 제353보병사단이 방어하고 있었다. 이들은 5,000명(예비대 1,0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포병과 전차가 부족했다. 미군은 독일군이 약하고 철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예상했지만, 이는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다. 전투가 진행되면서 독일군은 증원되었다.

4. 1. 미군

부대지휘관
제1보병사단클래런스 R. 휴브너 소장
제4보병사단레이먼드 O. 바튼 소장
제8보병사단도널드 A. 스트로 소장
제9보병사단루이스 A. 크레이그 소장
제28보병사단노먼 코타 소장
제29보병사단 (일부 병력)찰스 H. 게르하르트 소장
제78보병사단에드윈 P. 파커 주니어 소장
제82공수사단제임스 M. 개빈 소장
제83보병사단로버트 C. 메이컨 소장
제99보병사단월터 E. 로어 소장
제104보병사단테리 데 라 메사 앨런 시니어 소장
제3기갑사단모리스 로즈 소장
제5기갑사단런스포드 E. 올리버 소장
제2레인저대대
제5레인저대대
제366전투비행단


4. 2. 독일군

전투 초기에 숲은 병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잘 준비된 독일군 제275보병사단과 제353보병사단이 방어하고 있었다. 이들은 5,000명(예비대 1,0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게네랄로이테난트 한스 슈미트가 지휘했다. 그들은 약간의 포병과 전차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전투가 진행되면서 독일군 증원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독일군 부대가 약하고 철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미국의 예상은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다.

사단
제89 보병 사단
제275 보병 사단
제344 보병 사단
제347 보병 사단
제353 보병 사단
제3 공수 사단
제3 기갑척탄병 사단
제116 기갑 사단
제12 국민척탄병 사단
제47 국민척탄병 사단
제246 국민척탄병 사단
제272 국민척탄병 사단
제326 국민척탄병 사단


5. 전투

1944년 9월 중순 이후,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마친 연합군은 독일군을 추격했지만, 늘어난 보급선과 증대되는 독일군의 저항으로 인해 진격 속도가 둔화되기 시작했다. 다음 전략 목표는 라인강 전장에 걸쳐 진격하여, 라인강을 횡단할 준비를 하는 것이었다. 코트니 호지스가 이끄는 미국 제1군은 아헨 갭 진격 중에 격렬한 저항을 받았으며, 휘르트겐 숲을 기지로 삼고 있는 적군을 잠재적인 위협으로 간주했다.

전투 지역 지도


칼 계곡 서쪽 조망


휘르트겐 숲은 루르 강과 아헨 사이에 위치한 험준한 지역이다. 울창한 침엽수림에는 도로, 샛길, 방화선이 거의 없어 차량 이동이 제한되었다. 또한, 숲에는 수많은 콘크리트 벙커가 있었는데, 대부분 지크프리트 선의 깊은 방어에 속했으며 저항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숲 속의 적은 수의 길과 개간지는 독일 기관총, 박격포, 포병 부대가 무기를 미리 조준하고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게 했다.

10월 초, 미국 제1보병사단은 아헨을 포위하고 있던 제19군단과 제7군단 등에 합류했다. 제1보병사단은 아헨의 독일군 수비대에 항복을 요구했지만, 독일군 지휘관 게르하르트 빌크(en)는 10월 21일까지 항복을 거부했다.

연합군은 룰 댐의 위협을 제거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댐의 물은 독일군이 언제든지 방류할 수 있는 상태였고, 방류될 경우 하류에서 작전 중인 모든 부대가 수몰될 가능성이 있었다. 미국군 사령관인 오마 브래들리, 호지스, 조셉 로턴 콜린스 등은 댐으로 직접 진격하기 위해서는 휘르트겐 숲을 통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일부 군사 역사가들은 이러한 판단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휘르트겐 전투에 참전했던 전 중대장이자 미국 육군 역사가인 찰스 B. 맥도널드는 "피해야 할 무익한 전투였다"라고 평했다.

1944년 12월 16일, 독일군은 아르덴 대공세를 개시하여 연합군을 기습했다. 이 공세는 연합군의 진격선에 거대한 돌출부를 형성했지만, 독일군은 주요 목표인 앤트워프 점령에는 실패했다. 아르덴 대공세1945년 1월 초에 완전히 멈췄다.[11]

1945년 2월 초, 미군은 휘르트겐 숲을 통해 공격을 재개했다. 2월 10일, 루르 댐을 점령했고, 2월 17일에는 제82공수사단이 루르 강에 도달하면서 숲에서 독일군을 완전히 몰아냈다.[11]

휘르트겐 호텔 옆의 미군 지프

5. 1. 1단계 (1944년 9월 ~ 11월)

1944년 9월, 미군은 독일 국경 도시 아헨을 점령하고 동쪽의 휘르트겐 숲과 루르강을 점령하려 했다. 미 9보병사단과 60보병연대는 휘르트겐에서 독일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많은 병력을 잃고 후퇴했다.[5]

10월 5일, 미군은 병력을 보강하여 다시 공격했고, 11월 3일 슈미트를 점령했으나, 독일군 제116 기갑사단의 반격으로 다시 빼앗겼다.

11월 2일, 제28보병사단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독일 방어군은 이를 예상하고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 미국 제109 보병 연대는 게르메터 북쪽 숲을 점령하는 임무를 맡았지만, 예상치 못한 지뢰밭("와일드 피그")에 의해 진격이 저지되었고, 박격포와 포병 사격, 국지적인 반격에 시달렸다. 이틀 만에 약 1.61km를 확보했지만, 제109 연대는 참호를 파고 더 이상의 진격을 멈춰야 했다. 미국 제110 보병 연대는 칼 강 옆 숲을 제거하고 시몬스칼을 점령하여 슈미트 진격을 위한 보급로를 확보해야 했다. 그러나 날씨, 독일군의 방어,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작전 수행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11월 5일까지는 악천후로 인해 전술적 항공 지원도 불가능했다.

미국 제112 보병 연대는 게르메터에서 공격을 시작하여 오후에 포세나크와 인접한 능선을 점령했다. 그러나 제112 연대 역시 강력한 방어와 어려운 지형으로 인해 진격이 멈췄다. 제112 연대 제1대대와 제3대대는 칼 계곡을 건너 11월 3일 코머스샤이트와 슈미트를 점령했다. 몽샤우로 가는 독일군 보급로는 차단되었지만, 칼 길은 지형이 험악하고 독일군의 침투가 잦아 미군의 보급, 증원, 철수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11월 4일 새벽, 제116 기갑 사단 전차와 제89 보병 사단 병력의 기습적인 포위 공격으로 제3대대는 슈미트에서 빠르게 쫓겨났고, 반격할 여력조차 없었다. 끊임없는 포격과 제116 기갑 사단의 맹렬한 공격에 제3대대는 와해되었고, 일부 병사들은 의도치 않게 동쪽으로 도망쳐 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혔다.[26] 나머지 대대는 제112 연대 제1대대에 합류하기 위해 코머스샤이트로 후퇴했다. 제707 전차 대대 A 중대의 M4 셔먼 8대 중 3대만이 칼 계곡을 건너 제112 연대를 지원할 수 있었다. 제116 기갑 사단은 전차와 보병을 동원하여 여러 차례 공격을 가했다. 미군 전차는 보병 및 항공 지원과 함께 5대의 독일 4호 전차를 파괴했다. 포세나크에서 제112 연대 제2대대는 11월 6일 독일군의 맹렬한 반격으로 마을에서 거의 쫓겨날 뻔했지만, 공병의 도움을 받아 마을 서쪽 부분을 탈환했다. 칼 계곡 건너편 코머스샤이트에 있던 미군은 11월 8일 철수 명령이 내려질 때까지 버텼다.[30] 슈미트와 칼 길은 포기되었다.

11월 7일부터 12일까지 독일 연대 의무관인 귄터 슈퇴트겐 대위는 칼 다리에서 미군과 비공식적인 휴전을 협상하여 양측 부상병 수천 명을 치료했다.[6] 많은 미군 병사들이 독일군 의무병에 의해 목숨을 구했다.[7]

11월 16일, 미군의 공격이 다시 시작되었다. 제8연대와 제22연대는 평행 대열로 공격했다. 제8연대는 숲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뒈렌 방향으로, 제22연대는 그보다 남쪽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열린 측면은 독일군의 침투를 허용했고, 이는 휘르트겐의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앙"을 초래했다.

제8보병연대는 로터 베 크릭에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큰 피해를 입고 격퇴되었다. 제22연대는 방화선에 걸쳐 기관총과 포격에 의해 래번 헤지(라벤헤크)를 점령하지 못했다. 3일 만에 다수의 장교와 부사관을 포함하여 3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1월 18일, 전차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미군은 공병을 투입하여 숲을 가로지르는 전차 통로를 만들었다. 통신과 물류는 여전히 문제였고, 다음날 공격은 보급 및 부상병 후송을 위해 일시 중단되었다. 독일군은 제344 및 제353보병사단을 증원하여 저항을 더욱 강화했다.

11월 21일, 제5군단이 다시 작전 책임을 맡았고, 제8사단은 바이서 베 계곡을 공격하여 휘르트겐으로 진격을 계속했다. 제121보병연대는 즉시 강력한 방어에 부딪혔다. 제10전차대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하루 평균 약 548.64m 미만으로 진격했다. 11월 29일, 휘르트겐이 점령되었지만, 전투는 북쪽으로 약 1.61km 떨어진 클라인하우까지 계속되었다.

5. 2. 2단계 (1944년 11월 ~ 1945년 2월)

1944년 11월, 미군은 퀸 작전의 일환으로 휘르트겐 숲 북쪽을 정리하고 루르 강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제4보병사단은 숲 북쪽 절반을 정리하고 휘르트겐 점령을 목표로 공격을 시작했다. 제12보병연대는 이미 슈미트에서의 작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작전에 투입 가능한 연대는 두 개뿐이었다.[8]

11월 16일, 제8연대와 제22연대가 평행 대열로 공격을 개시했다. 제8연대는 숲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뒈렌 방향으로, 제22연대는 남쪽에서 공격했다. 그러나 열린 측면은 독일군의 침투를 허용했고, 이와 유사한 전술은 다른 지역에서 "재앙"을 초래했다.[8] 제8연대는 로터 베 크릭에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큰 피해를 입고 격퇴되었고, 제22연대는 래번 헤지(''라벤헤크'')를 점령하지 못하고 기관총과 포격에 의해 저지당했다. 3일 만에 3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8]

11월 18일, 전차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공병들이 숲을 가로지르는 통로를 폭파했다. 그러나 통신과 물류 문제는 여전했고, 11월 19일 공격은 일시 중단되었다. 그 사이 독일군은 제344 및 제353보병사단을 증원하여 저항을 강화했다.[8]

11월 21일, 제8보병사단이 바이서 베 계곡을 공격하여 휘르트겐으로 진격했다. 제121보병연대는 즉시 강력한 방어에 부딪혔고, 제10전차대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매우 적은 거리만 진격했다. 11월 29일, 미군은 휘르트겐을 점령했지만, 전투는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클라인하우까지 이어졌다.[8]

미국 보병이 휘르트겐을 지나 전선으로 이동한다. 제8보병사단 제181연대 I중대


1944년 12월 16일, 독일군은 아르덴 대공세를 개시하여 연합군을 기습했다. 이 공세는 연합군의 진격선에 거대한 돌출부를 형성했지만, 독일군은 주요 목표인 앤트워프 점령에는 실패했다. 아르덴 대공세1945년 1월 초에 완전히 멈췄다.[11]

1945년 2월 초, 미군은 휘르트겐 숲을 통해 공격을 재개했다. 2월 10일, 루르 댐을 점령했고, 2월 17일에는 제82공수사단이 로어 강에 도달하면서 숲에서 독일군을 완전히 몰아냈다.[11]

6. 피해

미군은 이 전투 과정에서 33,000명에서 최대 55,000명(비전투 손실 9,000명 포함)의 사상자를 기록하여 25%의 사상률을 보였다.[22] 독일군 또한 28,000명의 사상자를 기록했으며, 이 중 다수는 비전투원과 포로였다.

오마하 해변 전투의 희생자는 4,000명이었으나, 슈미트 공방전에서 미군은 6,184명의 희생자를 기록하여 이를 넘어섰다. 반면 독일군의 희생자는 3,000명에 미치지 못했다.[32]

미 제28보병사단은 11월 초순에만 사상자 5,684명을 기록, 사단 병력의 절반 이상을 잃어 사실상 전력을 상실했다. 특히 제112보병연대는 정원 3,100명 중 2,093명(전사 167명, 부상 719명, 포로 232명, 행방불명 431명, 기타 사유 후송 544명)을 잃었다.[30]

11월 4일부터 8일까지 슈미트, 코머샤이트 부근에서 독일군은 포로 641명을 생포했으며, 자국군 사상자는 약 2,900명이라고 발표했다.[30]

제2단계에서 미 제4보병사단은 11월 20일 1.5마일을 전진했지만, 전투 중 1,500명, 전투 외 수백 명(참호족, 동상, 피로)의 희생자를 냈다. 2주 후 3마일 전진 시에는 전투 중 희생자 4,053명, 비전투 희생자 2,000명으로, 11월 총 170명의 장교와 4,754명의 병사가 희생되었다.

오마하 해변 전투와 휘르트겐 숲 전투에 모두 참전했던 베테랑 병사들은 휘르트겐 숲 전투가 훨씬 더 참혹했다고 비교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이 전투를 "나무가 폭발하는 파스샹달과 같다"고 표현했다.[33]

미 제28보병사단의 엠블럼은 '키스톤(붉은 요석)'이었으나, 독일군은 이들이 입은 피해를 보고 '블루티게 아이머(피의 양동이)'라고 불렀다. 이는 미군 내에서도 퍼져 '블러디 버킷(피 묻은 양동이)'이 제28보병사단의 대명사가 되었다.[34]

7. 역사적 분석

미군의 작전 계획은 전술적, 작전적으로 무리한 측면이 있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미군은 숲의 통행 불가능성과 독일군의 방어 능력을 과소평가했다는 지적이 있다.[35] 훈련받지 않은 병사들의 사기 저하와 지휘관들의 경험 부족, 코트니 호지스 중장의 비효율적인 지휘[14] 등이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8. 전후

휘르트겐 숲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혹함과 무의미함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전투로 기억되고 있다.

휘르트겐 군사 묘지에는 미국 제4보병사단 참전 용사들이 독일군 중위 프리드리히 렝펠트를 기리기 위해 헌정한 청동 기념 명판이 새겨진 석조 기념비가 있다. 렝펠트는 1944년 11월 12일, 부상당한 미군 병사를 "와일드 사우" 지뢰밭에서 구출하다가 심각한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이는 적군에 의해 독일 군사 묘지에 세워진 독일군 병사를 위한 유일한 기념비이다.[12]

1944년 휘르트겐 숲 박물관은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1983년 3월 29일 클라인하우의 석조 창고에서 개관했다.

8. 1. 기념 조각상

칼 다리의 기념 조각은 전쟁의 비참함을 사람들에게 상기시키는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2004년 11월 7일, 카를교에서 거행된 휴전 60주년 기념일에 공식적으로 헌정되었다. 이 조각은 미하엘 페어만(Michael Pahlmann)이 제작했다. 그는 "나는 영웅이나 극적인 인물, 비극을 위한 기념비를 만들고 싶지 않았고, 전투가 실제로 벌어졌던 장소에 위엄을 부여하는 소박하고 꾸밈없는 돌을 조각하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장식 액자는 조각가 틸만 슈미텐(Tillmann Schmitten)이 제작했으며, 기념 조각과 기념판 제작 비용은 코네융 재단이 기증했다.[27]

참조

[1] 서적 The Siegfried line campaign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2] 서적 The Legacy of the Purple Heart https://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2001-01-01
[3] 웹사이트 World War II Database http://ww2db.com/bat[...] 2011-02-10
[4] 문서 Rur Dam
[5] 논문 Major General Cota and the Battle of the Huertgen Forest: A Failure of Battle Command? https://usacac.army.[...]
[6] 뉴스 WBAMC's Troop Command welcomes new CSM https://web.archive.[...] Fort Bliss Bugle 2018-03-03
[7] 웹사이트 Konejung Stiftung: Kultur http://www.konejung-[...]
[8] 웹사이트 CSI Battlebook http://apps.dtic.mil[...] 2007-02-03
[9] 논문 Taking Hill 400: Army Rangers vs Fallschirmjägers http://warfarehistor[...] 2016-10-03
[10] 논문 Desperate Hours at Kesternich http://www.historyne[...] 1996-11
[11] 웹사이트 Battle of the Hürtgenwald Operations & Codenames of WWII https://codenames.in[...] 2024-09-10
[12] 이미지 Lengfeld memorial
[13] 뉴스 Hopes Dashed in the Hürtgen http://www.historyne[...] 2005-08-16
[14] 서적 The Boys' crusade: American G.I.s in Europe: chaos and fear in World War Two 2023-09-22
[15] 문서 Schlacht im Hürtgenwald
[16] 서적 The Siegfried line campaign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7] 서적 More military blunders
[18] 서적 Battle of Hurtgen Forest
[19]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20] 서적 The Battle for the Rhine 1945 Orion Publishing Group
[21]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22] 서적 Siegfried Line Campaign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23] 문서 樹木による曳火
[24]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25]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26]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27] 웹사이트 Konejung Stiftung: Kultur http://www.konejung-[...]
[28]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29]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30]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31] 웹사이트 Huertgen Forest: Offensive, Deliberate Attack, Forest, 16 November 1944 http://stinet.dtic.m[...] http://www.dtic.mil/ 2007-02-03
[32] 서적 Three battles
[33] 웹사이트 Don’t Fraternize! Post-war American-German relations began 60 years ago http://www.atlantic-[...] The Atlantic Times 2004-10
[34] 서적 ラスト・オブ・カンプフグルッペ
[35] 뉴스 Hopes Dashed in the Hürtgen http://www.historyne[...] 2005-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