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 린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 린턴은 1926년 전라북도 군산에서 선교사 윌리엄 린턴(한국명: 인돈)과 샬럿 벨 린턴(한국명: 인사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미국에서 교육을 받고 한국전쟁에 미 해군 대위로 참전했으며, 종전 후에는 등대선교회를 설립하여 전라남도 순천을 중심으로 선교와 의료 봉사 활동을 펼쳤다. 특히 아내 인애자와 함께 결핵 퇴치에 헌신했으며, 순천기독치료소와 순천결핵재활원 설립에도 기여했다. 만년에는 공황장애로 고통받다 1984년 교통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인요한은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한국형 구급차 개발에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 인씨 - 인요한
인요한은 미국 국적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5·18 민주화 운동 당시 통역 활동,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 개선, 대북 의료 지원 등의 활동을 했으며, 한국 국적을 취득 후 국민의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과거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순천 인씨 - 윌리엄 린튼
윌리엄 린튼은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로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교육 및 의료 선교 활동에 헌신하며 군산영명학교, 전주신흥고등학교, 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했고 3.1운동의 실상을 알렸으며 신사참배 거부로 추방 후 광복 후 돌아와 대전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했다. - 기분 장애 환자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분 장애 환자 - 윈스턴 처칠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을 승리로 이끈 수상이었으며 군인, 정치가, 작가, 화가로서 활동하며 냉전 시대 개막을 알린 윈스턴 처칠은 제국주의적 관점과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미국계 한국인 - 인순이
인순이는 한국인 어머니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희자매로 데뷔 후 솔로 가수로 성공했으며, 다양한 음악 활동과 사회적 기여로 대중과 소통하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 미국계 한국인 - 함중아
함중아는 1971년 데뷔하여 《내게도 사랑이》, 《풍문으로 들었소》 등의 히트곡을 남긴 대한민국의 록 음악 가수로, 2019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휴 린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인휴 |
현지어 표기 | 印休 |
로마자 표기 | In Hyu |
영어 이름 | Hugh MacIntyre Linton |
출생일 | 1926년 2월 24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군산 |
사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 |
본관 | 순천(順天)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배우자 | 인애자(印愛子, Lois Elizabeth Flowers Linton) |
친척 | 인도아(친남동생) 배유지(외조부) |
부모 | 부: 윌리엄 린턴(William Linton(한국명: 인돈) 모: 샬럿 위더스푼 벨 린턴(Charlotte Witherspoon Bell Linton; 한국명: 인사례) |
자녀 | 슬하 7남 2녀 장남 칼 월리스 린턴(어린 시절 병사) 차남 빅터 윌슨 린턴 3남 스티븐 윈 린턴(인세반) 4남 제임스 버나드 린턴 5남 빈센트 유진 린턴 6남 앤드루 해리스 린턴 장녀 메어리 올리비아 린턴 막내아들 존 올더먼 린턴(인요한) 막내딸 애너 빅토리아 린턴(어린 시절 병사) |
군사 경력 | |
소속 군대 | 미국 해군 |
복무 기간 | 1945년 3월 16일 ~ 1953년 8월 15일 |
최종 계급 | 미국 해군 대위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
근무 | 주한 미8군 예하 미국 해군 부대 |
지휘 | 편대장 |
기타 이력 | |
직업 | 미국 해군 대위 예편 후 대한민국에서 건축기사 겸 개신교 장로회 선교사 활동 |
웹사이트 |
2. 생애
휴 린턴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미국 출신 선교사이자 의료인이다. 그의 가계는 증조부 유진 벨 선교사로부터 시작되어 4대에 걸쳐 한국에서 봉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한국 전쟁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전라남도 순천을 중심으로 도서 지역에 교회를 개척하고 결핵 퇴치 활동을 펼치는 등 선교와 의료 봉사에 헌신했다. 만년에는 공황장애를 겪다가 1984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2. 1. 유년기와 교육
그는 1926년 전라북도 군산에서 선교사였던 아버지 윌리엄 린턴(한국명: 인돈)과 어머니 샬럿 벨 린턴(한국명: 인사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잠시 일제 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순천에서 보낸 적이 있다. 이후 미국에서 교육받으며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는 1928년 안식년을 맞아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입학하였으며, 1930년 목사 안수를 받고 조선으로 돌아왔으나, 1940년 일제에 의해 다시 미국으로 추방되었다. 따라서 그의 자녀들도 조선과 미국을 오가며 자랐을 것으로 보인다. 1947년 5월 로이스 베티(Lois Elizabeth Flowers Linton, 한국명: 인애자)와 결혼하고, 1950년 컬럼비아 대학교 신학교를 졸업하였다.[1]2. 2. 한국전쟁 참전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 해군 대위로 인천 상륙 작전에 참전했다. 종전 후 1953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선교와 의료 봉사에 나섰다.[1]2. 3. 선교 및 의료 봉사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와 선교와 의료봉사에 나섰다. 등대선교회를 설립하여 전라남도 순천을 중심으로 도서 지역에 600여 개의 교회를 개척했으며, 그의 아내 인애자(로이스 베티, Lois Elizabeth Flowers Linton)와 함께 30여 년간 결핵 퇴치 활동에도 매진하였다.[1] 1960년 순천 일대에 홍수가 나고 결핵이 크게 유행하게 되자, 순천기독치료소를 설립하여 결핵 치료에 나섰고, 아내 인애자는 순천결핵재활원(현 순천기독결핵요양원)을 설립하여 은퇴할 때까지 결핵 퇴치를 위해 헌신하였다.[1]2. 4. 사망
1983년 10월 10일, 공황장애로 선교와 목회 분야에서 은퇴하고 서울을 떠나 전라남도 순천 승평 원도심촌에 낙향했다. 1984년 4월, 전남 순천에서 음주운전을 하던 버스와 충돌하는 사고로 의식을 잃었다. 앰뷸런스 차량이 없어 광주기독병원까지 택시로 이송하던 중 5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이는 사후 그의 아들인 인요한이 한국형 구급차를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었다.[1]3. 가족 관계
- 아버지 윌리엄 린턴은 21세 때인 1921년 한국에 선교사로 파송되어 48년간 의료 및 교육 선교 활동을 했다. 파송 당시 윌리엄은 한국에 온 최연소 선교사였다.
- 아내 로이스 베티 (한국명 : 인애자 印愛子)는 휴 린튼 사후에도 결핵재활원 봉사를 꾸준히 한 공로로 1996년 호암상과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하였으며, 2023년 9월 별세하였다.[2]
- 아들 스티브 린턴(인세반)은 유진 벨 재단 회장이다.
- 아들 존 린턴(인요한)은 연세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이며,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이다.
참조
[1]
뉴스
보도 자료 리스트
http://m.newspower.c[...]
[2]
뉴스
30여년간 결핵 퇴치 운동 헌신… 로이스 린튼 여사 별세
https://news.kmib.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