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요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요한은 한국계 미국인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1987년 외국인 최초로 한국 의사 면허를 취득했다. 그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통역을 맡았고,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2023년에는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및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가족은 5대째 한국에서 의료 및 선교 활동을 해왔으며, 그는 한국형 구급차 개발에 기여하고 북한에 대한 의료 지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 인씨 - 윌리엄 린튼
    윌리엄 린튼은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로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교육 및 의료 선교 활동에 헌신하며 군산영명학교, 전주신흥고등학교, 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했고 3.1운동의 실상을 알렸으며 신사참배 거부로 추방 후 광복 후 돌아와 대전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했다.
  • 순천 인씨 - 휴 린턴
    미국 선교사 휴 린턴은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전쟁에 참전 후 등대선교회를 설립, 전남 순천을 중심으로 도서 지역 교회 개척과 결핵 퇴치에 헌신했으며 그의 활동은 아들 인요한에게 영향을 주었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신의진
    신의진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동 성폭력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아동 및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법률 제정 및 개정에 힘썼으나, 조두순 사건 피해 아동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정의화
    정의화는 신경외과 의사 출신으로 15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5선 의원, 국회 부의장, 한나라당 원내대표, 최고위원을 거쳐 19대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 - 신의진
    신의진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동 성폭력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아동 및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법률 제정 및 개정에 힘썼으나, 조두순 사건 피해 아동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 - 마종기
    마종기는 1939년 도쿄에서 태어난 한국의 시인이자 의사로, 의사로서의 경험과 이민 생활에서 비롯된 인간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하며 한국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은퇴 후에도 강의와 집필 활동을 지속하며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인요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인요한
이름인요한
로마자 표기In Yohan
한자 표기印曜翰
영어 이름John Alderman Linton
출생일1959년 12월 8일
출생지전주, 대한민국
국적미국
대한민국 (2012년부터)
직업의사
정치인
종교개신교(장로회)
학력연세대학교
서명
가족 관계
조부윌리엄 알더먼 린턴
인휴
정치 경력
소속 정당미래대연합 (2024년부터)
이전 소속 정당국민의힘
국회의원비례대표
임기 시작2024년 5월 30일
기타 정보
알려진 업적응급 의학 분야 기여
수상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수훈
웹사이트유진벨 재단

2. 생애

인요한은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6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1][2] 그는 어린 시절을 순천에서 보냈다.[3] 인요한의 가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라도에 거주해왔다. 1895년 그의 증조부 유진 벨(배유지(裵裕祉))은 남장로교 선교사로 전라도에 왔다.[1][2][4] 그의 할아버지 윌리엄 린튼(인돈)은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1][4] 인요한의 부모 또한 선교 활동을 하며 한국에 여러 교회와 학교를 설립했다.[1][2] 일제강점기 시절인 1940년, 그의 부모는 미국으로 추방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군과 싸웠다.[5] 인요한의 아버지는 이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1]

인요한은 순천의 선교사 사택에서 자랐다. 그는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 사용하며 자랐고, 그의 한국어는 강한 전라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4] 그는 십대 시절 대전 크리스천 국제학교에 다녔다.[4]

1980년, 인요한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학년생이었는데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발생했다. 인요한은 서울에서 광주로 가서 외국 기자들을 위한 통역을 했다. 2주 만에 그는 자신을 운동의 선동자로 묘사한 편지와 관련하여 미국 대사관에 소환되었다. 그 후 수년 동안 그는 대한민국 정부의 면밀한 감시를 받았다.[2] 그는 다시 학교로 돌아가 한국 의사 면허 시험에 합격한 최초의 서구인이 되었다.[1]

2. 1. 가계와 성장 배경

인요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의 가계는 4대째 대한민국에서 교육 및 의료 봉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1][2] 인요한의 할아버지 윌리엄 린튼(인돈)은 대한민국에서 48년간 의료 및 교육 선교 활동을 했으며,[1][4] 아버지 휴 린튼(인휴)은 전라남도 도서 지역에 600여 개 교회를 개척했다.[1][2] 인요한의 형 스티브 린턴(인세반)은 유진 벨 재단 회장직을 맡고 있다.[1] 인요한의 증조부 유진 벨(Eugene Bell, 배유지(裵裕祉))은 1895년 조선에 온 이후, 5대째 대한민국에서 선교, 봉사활동, 북한결핵퇴치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인요한은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순천에서 유년기를 보냈고,[3] 대전광역시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그의 가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라도에 거주해왔다.[1][2][4] 1940년 일제강점기 시절, 그의 부모는 미국으로 추방되었고, 그의 아버지는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며,[5] 이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1] 인요한은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 사용하며 자랐고, 강한 전라도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4]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인요한은 외국 기자들을 위한 통역을 했다.[2] 그는 한국 의사 면허 시험에 합격한 최초의 서구인이 되었다.[1] 이후 순천 인씨(Suncheon Ihn clan)의 시조가 되었다.[1] 2012년에는 특별귀화허가를 받고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여, 미국 시민권을 유지하면서 대한민국 국적을 함께 보유하게 되었다.[2]

2. 2. 5.18 민주화 운동 참여와 이후

인요한은 연세대학교 가정의학과 1학년 재학 중이던 1980년 5.18 민주화운동에서 시민군의 통역을 맡았다. 연세대학교가 신군부의 조치에 따라 폐교되자 인요한은 순천으로 내려가 가족 집에 머물렀는데, 광주에서 폭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러나 광주에서 순천으로 갓 탈출한 마을 사람이 광주에서 일어난 건 폭동이 아니라 봉기라고 말하는 소리를 듣게 된다. 의구심을 품게 된 인요한은 광주에 갈 결심을 하고 순천의 지인 1명과 함께 광주로 향하게 된다. 인요한은 떠나기 전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아버지 인휴는 “성인이니까 너 가는 건 막지 않겠다. 그런데 거기 가면 죽을 수도 있으니 잘 생각해보고 가라” 라고 조언했다. 인요한은 친구의 지프차를 빌려 탄 뒤 당시 0으로 시작하던 외국인 전용 자동차 번호판을 달고 5월 24일 순천을 출발하였다.

광주는 당시 신군부에 의해 봉쇄된 상태였고 고속도로는 모두 막힌 상태였다. 인요한 일행은 담양 인근에서 국도로 차를 돌렸으며, 이 과정에서 7개의 검문소를 통과했다. 검문에서 저지당하지 않기 위해 인요한은 미국 대사관 직원으로 위장하여 “광주에 있는 미국인의 안전을 위해 왔으니 허가해주지 않으면 외교 문제가 될 것” 이라고 말하며 검문소를 통과했다. 같이 동행했던 지인은 가짜 통역관 역을 했다. 7개의 검문소를 통과한 뒤, 다음 날인 5월 25일 인요한 일행은 광주 시내에 진입한다. 광주 시내에서 일행은 폐허가 된 시내와 금남로, 전소된 광주문화방송 건물을 지나 시신들이 안치되어 있던 도청으로 향했다.

도청에서 시민군의 시신을 살펴보던 중 시민군에게 광주에 머물던 외신 기자들이 인터뷰를 요청하였고, 인요한이 한국어가 가능하다는 걸 알게 된 시민군이 인요한에게 통역을 부탁하여 인요한은 시민군의 기자회견을 통역하게 된다. 인요한이 통역한 시민군의 기자회견은 외신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된다. 인요한은 5월 27일 광주를 빠져나와 순천으로 돌아갔으며, 얼마 후 서울로 다시 돌아온다.

한편 신군부는 인요한을 데모 주동자로 규정하고, 주한미국대사관에 측에 인요한에 대한 추방 공지를 보낸다. 인요한은 대사관에 소환되었고, 영사는 “당신이 한 건 통역이 아니라 데모 주동이다. 당신의 조상이 이 나라에서 한 일을 감안해 구속은 하지 않겠으니 한국을 떠나라” 라고 추방을 통보하였다. 인요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영사와 말다툼을 벌였고, 인요한의 아버지인 인휴가 직접 영사를 설득한 끝에 3가지의 제안을 받아낸다. 하나는 추방 당하는 것, 또 하나는 구속되어 형사 처벌을 받는 것, 나머지 하나는 순천에서 기거하며 생활하는 것이었다. 한국에 남길 원했던 인요한은 순천으로 내려가 생활하며 영어 교사를 하며 지냈다. 중앙정보부는 당시 요원을 보내 인요한을 사찰 했는데, 인요한이 “당신들이 날 죽이거나 잡아가면 외신 기자들이 가만두지 않을 것” 이라고 밝힌 이후부터 중앙정보부 직원들 역시 사찰 수위를 줄였다고 한다.

인요한은 추방 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생겨 당시 대학생을 상대로 한 병영훈련소인 문무대에 자원해서 입대하게 된다. 당시 인요한은 미국 시민권자 신분으로 외국인이어서 문무대에 입영할 의무는 없었다. 인요한은 한국에 남기 위해 정권에 자신이 불순 분자가 아니라는 걸 증명하려고 문무대에 자원했다고 설명한다. 당시 호국단 단장은 미 대사관의 허락을 받아오라며 자원 입대를 거절했고, 인요한은 미국 대사관 영사를 찾아갔으나 영사는 “타국 군 입영은 시민권 박탈의 사유다”라며 거절했고 결국 인요한은 호국단 단장에게 “허락을 받으려고 했으나 그들이 개인의 선택이라며 안 해줬다”라고 거짓말을 하여 문무대에 입소하게 된다. 전두환 정권은 미국 국적으로 자진 입영한 인요한에게 표창장을 수여했는데, 인요한은 당시 퇴소 후 집에 가는 동안 자신이 호남 사람들을 배신하고 정권에 빌 붙었다는 생각이 들어 상심하고 눈물을 흘렸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1980년 7월 추방을 면하기 위해 이지나 씨와 결혼하였다.

2. 3. 의사 활동과 한국형 구급차 개발

1987년 6.10 항쟁 이후 인요한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취득 후 의사고시에 합격하였고, 미국으로 건너가 수련의 과정을 수료 및 미국 의사 면허를 취득하였다.[2][4] 4년 간의 미국 유학 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뒤 1992년부터 세브란스병원 외국인 진료소 소장을 맡았고, 1996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외국인 진료소는 2005년 국제진료센터로 승격하였고, 현재도 소장직을 맡고 있다.[2][4]

1984년 4월 10일, 인요한은 부친상을 당했다. 당시 교회 건축에 필요한 자재를 싣고 이동하던 중 만취한 기사가 운전하던 관광버스에 치여 부친이 부상을 당했으나, 당시에는 구급차가 없어서 차량 뒷좌석에 실려 이송되던 중 결국 사망하였다. 1992년 귀국 후 외국인 진료소 소장을 맡게 된 인요한은 미국의 남장로교로부터 받은 추모 자금을 이용하여 15인승 승합차를 구입, 미국 텍사스에서 본 구급차의 구조를 바탕으로 승합차를 개조하여 구급차를 제작하였다. 인요한이 만든 1호 구급차는 당시 순천 진료소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이후 건설업체와 계약 후 전국에 5,000여 대 이상 보급되었다.[2][4]

1991년, 연세대학교 국제보건센터 역사상 최연소 소장이 되었다. 이듬해, 대한민국에 최초의 구급차 도입을 지원했다. 구급차 도입 전에는 환자들이 택시와 같은 차량으로 이송되었다. 인요한은 1984년 음주운전으로 인해 사망한 자신의 아버지의 경험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가 부분적으로 작용했다고 한다. 1993년, 고향인 순천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응급구조사 전문팀을 훈련시켰고, 1995년에는 개선된 구급차 개발에 기여했다.

1997년부터 북한에 의료 지원을 위한 방문을 시작하여 2018년 기준으로 29차례 북한을 방문했다.[2][4] 2017년에는 비무장지대(DMZ)를 통해 남한으로 탈출한 북한 군인 오충성을 치료했다.[1]

2. 4. 대북 지원 활동

린튼 형제들은 1995년 북한 결핵사업 지원을 위해 유진 벨 재단을 설립하였고, 인요한은 1997년 북한을 처음 방문한 이래 총 28번 방북하였다.[4] 유진벨 재단은 북한에 200여개의 결핵진료소를 세우고, 인요한이 제작한 구급차를 기증하였다. 인요한은 2006년에 자서전 『내 고향은 전라도 내 영혼은 한국인』(내 고향은 전라도 내 영혼은 한국인/내 고향은 전라도 내 영혼은 한국인한국어)을 출판했다.[4] 2019년에는 예능 프로그램 집사부일체에 출연했다.[1] 2014년에는 인권훈장을 수여받았다.[4]

2. 5. 정치 활동


  • 1987: 한국 의사 국가시험 합격(외국인 최초)
  • 1987~1991: 미국 코넬 대학교 산하 브루클린퀸스가톨릭병원 가정의학과 수련
  • 1991~2001. 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조교수
  • 1995. 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
  • 2002~2009. 9.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부교수
  • 2010. 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교수
  • 2010. 3.~2016. 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
  • 2010. 3.~2016. 9.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과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항공우주의학협회 이사
  • 2012. 8.~ 한국국제협력단 자문위원
  • 박근혜 후보캠프 국민대통합위원장
  •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대통합위원장
  • 새누리당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 부위원장
  • 2015. 6. 제4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총재
  • 2021~2024. 9. 천리포수목원 이사장
  • 김포시 홍보대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교수

인요한은 한국에서 유명인사가 되었다. 그는 1994년 김대중(후에 대통령이 됨)[2]을 만났고, 2012년에는 박근혜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2]

인요한은 한국 통일 운동가이며, 북한에 대한 추가 지원을 지지한다고 밝혔다.[4]

====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활동 ====

2023년 10월 23일, 인요한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과 함께 여당이 된 국민의힘의 혁신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6] 인요한은 윤석열국민의힘(People Power Party, PPP) 경선 승리 후 그의 도움을 요청한 후 "온건 보수"를 채택했다고 밝혔다.[5] 혁신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인요한은 과거 성경을 따르지 않아 에이즈(AIDS)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거나, 박정희백선엽을 지지하는 등의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그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사회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민간보험 추가를 제안했는데, 이는 일부 의료 제공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0][6] 2023년 12월까지 혁신위원장으로 활동했다.

==== 제22대 국회의원 활동 ====

2024년 4월 10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8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초선)[5][7] 2024년 5월부터 제22대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6월, 제22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및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또한, 제22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선진 외교를 위한 초당적 포럼', '북한 그리고 통일',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구조개혁 실천 포럼'의 구성의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24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산하 시급한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한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24년 7월부터 12월까지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2024년 9월부터 국민의힘 호남동행 국회의원 발대식에서 전라남도 순천시 명예의원으로 위촉되었다.

인요한은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동맹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후 탄핵에 반대표를 던졌다.[8] 그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가 "극단적이지만 완전히 부당하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9]

2. 5. 1.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활동

2023년 10월 23일, 인요한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과 함께 여당이 된 국민의힘의 혁신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6] 인요한은 윤석열국민의힘(People Power Party, PPP) 경선 승리 후 그의 도움을 요청한 후 "온건 보수"를 채택했다고 밝혔다.[5] 혁신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인요한은 과거 성경을 따르지 않아 에이즈(AIDS)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거나, 박정희백선엽을 지지하는 등의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그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사회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민간보험 추가를 제안했는데, 이는 일부 의료 제공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0][6] 2023년 12월까지 혁신위원장으로 활동했다.

2. 5. 2. 제22대 국회의원 활동

2024년 4월 10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8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초선)[5][7] 2024년 5월부터 제22대 국회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6월, 제22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및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또한, 제22대 국회 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선진 외교를 위한 초당적 포럼', '북한 그리고 통일',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구조개혁 실천 포럼'의 구성의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24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산하 시급한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한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2024년 7월부터 12월까지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2024년 9월부터 국민의힘 호남동행 국회의원 발대식에서 전라남도 순천시 명예의원으로 위촉되었다.

인요한은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동맹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후 탄핵에 반대표를 던졌다.[8] 그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가 "극단적이지만 완전히 부당하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9]

3. 논란

4. 학력

인요한은 1987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0년에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석사 학위를, 2003년에는 같은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5. 경력

인요한은 1987년 외국인 최초로 한국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코넬 대학교 산하 브루클린퀸스가톨릭병원 가정의학과에서 수련의 과정을 거쳤다. 1991년부터 2001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조교수를 역임했다. 1995년 2월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을 맡았다.

2002년부터 2009년 9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부교수를 지냈으며, 2010년 3월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0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를, 2010년 3월부터 2016년 9월까지는 가정의학과 과장을 역임했다.

항공우주의학협회 이사, 2012년 8월부터 한국국제협력단 자문위원, 박근혜 후보캠프 국민대통합위원장,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대통합위원장, 새누리당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 부위원장, 2015년 6월 제4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총재, 2021년부터 2024년 9월까지 천리포수목원 이사장, 김포시 홍보대사를 역임하였다.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국민의힘 국민과 함께 혁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24년 3월부터 4월까지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및 4·10 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했다.

2024년 4월 10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미래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024년 5월부터 국민의힘 소속 제22대 국회의원(비례대표)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6월부터 제22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외교통일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또한, 선진 외교를 위한 초당적 포럼, 북한 그리고 통일,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구조개혁 실천 포럼의 구성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산하 시급한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한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24년 7월부터 12월까지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2024년 9월부터 국민의힘 호남동행 국회의원 발대식에서 전라남도 순천시 명예의원으로 위촉되었다.

6. 상훈


  • 국민훈장 목련장[4]
  • 인권훈장 (2014년)[4]

7. 저서

인요한은 2006년에 자서전 내 고향은 전라도 내 영혼은 한국인/내 고향은 전라도 내 영혼은 한국인한국어을 출판했다.[4] 2019년에는 예능 프로그램 집사부일체에 출연했다.[1]

8. 가족 관계

인요한의 할아버지 윌리엄 린튼(인돈)은 22세 때 대한민국에 와서 48년간 의료, 교육 선교 활동을 했다. 아버지 휴 린튼(인휴)은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태어나 전라남도 지방 도서촌 지역에 600여 개 교회를 개척했고, 인천 상륙 작전에 참전하기도 했다. 형인 스티브 린턴(인세반)은 '유진 벨 재단'의 회장이다. 인요한의 가족은 조선 고종 시절이던 1895년 인세반·인요한 형제의 진외증조부인 유진 벨(Eugene Bell, 배유지(裵裕祉), 1868~1925) 선생이 1895년 조선 전라도 전주시에 정착한 이후 현재까지 5대째 대한민국에 살면서 선교, 봉사활동, 북한결핵퇴치사업과 의료장비 지원 관련 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인요한은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출생하고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대전광역시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인요한은 한국의 여러 성씨 중 하나인 순천 인씨의 시조가 되었다.[1] 배우자는 차혜진이며, 슬하에 딸 인라헬을 두고있다.

2012년, 인요한은 성인으로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으며, 현재 미국 국적과 함께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Ihn Yo-han: American-Korean doctor in love with Korea https://www.koreatim[...] 2023-09-01
[2] 웹사이트 [Herald Interview] 'Forgiveness key for South Korea to advance into the future' https://www.koreaher[...] 2023-09-01
[3] 웹사이트 "전주" vs "순천"...'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출생지 놓고 언론들 헷갈린 보도, 그의 진짜 고향은? https://www.jbsori.c[...] 2024-03-05
[4] 웹사이트 Love for Korea over 4 generations https://www.korea.ne[...] 2023-09-01
[5] 웹사이트 [INTERVIEW] Ihn Yo-han calls for grand role of politics befitting global top 10 power https://www.koreatim[...] 2024-12-08
[6] 웹사이트 John Linton, descendant of US missionaries and naturalized Korean citizen, to lead PPP's reform effort https://english.hani[...] 2023-10-26
[7] 웹사이트 與비례대표 1번 최보윤,2번 박충권, 8번 인요한 https://www.joongang[...] 2023-04-01
[8] 웹사이트 [명단] 한 명씩 외쳤다…윤석열 탄핵안 불참 국힘 105명 https://www.hani.co.[...] 2024-12-07
[9] 뉴스 South Korea's Yoon: Embittered survivor staggers on after impeachment vote https://www.reuters.[...] 2024-12-07
[10] 웹사이트 인요한 “건강보험은 사회주의적” “백선엽 존경, 일부 국민들 친일파 군인으로 깎아내려” https://n.news.naver[...] 2024-12-07
[11] 뉴스 [속보] 김기현 "인요한 혁신위원장, 구성·활동 범위·기한 등 전권 부여" https://n.news.naver[...] 아시아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