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모는 1936년 네덜란드어로 창간된 잡지로, 유머와 라디오를 결합한 이름으로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행이 중단되었다가 1958년 텔레비전의 등장에 맞춰 '휴모'로 이름을 변경하고 주간지로 발행을 재개했다. 가이 모티어 편집장 부임 이후 록 음악 관련 기사와 좌익 및 진보적 성향의 독자층을 위한 콘텐츠를 강화하며 잡지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휴모 팝 폴, 휴모 록 랠리 등 다양한 기획과 행사를 주최했으며, 카마구르카와 같은 만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컬트적인 매력을 더했다. 사노마를 거쳐 더 페르스흐로퍼에 인수되었으며, 2024년 헤르만 브뤼셀만스의 칼럼 내용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음악 잡지 - 조피 (잡지)
조피는 1973년 벨기에에서 창간된 청소년 잡지로서, 초기에는 벨기에 가수들을 소재로 한 사진 소설을 다루다가 1985년 디자인 개편 이후 팝 음악 유명 인사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변경하여 12~17세 소녀들을 위한 잡지로 인기를 얻었으며, 2015년 폐간되었다. - 텔레비전 잡지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엔터테인먼트 위클리는 타임사가 창간한 미국의 대중문화 잡지로, 뉴스와 비평을 중심으로 영화, 텔레비전, 음악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다루며, 전국 잡지상을 수상하고 디지털 전용으로 전환되는 등 변화를 거듭해왔다. - 텔레비전 잡지 - 라디오 타임스
라디오 타임스는 1923년 BBC 라디오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창간된 영국의 주간 잡지로, 초기에는 BBC와 조지 뉴언즈의 공동 사업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며 BBC 지놈 프로젝트를 통해 과거 잡지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공개하고 있다.
휴모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HUMO |
국가 | 벨기에 |
언어 | 네덜란드어 |
창간일 | 1936년 |
간행 빈도 | 주간 |
분야 | TV 잡지 풍자 잡지 음악 잡지 |
회사 | De Persgroep |
웹사이트 | http://www.humo.be/ Humo |
발행 | |
발행 부수 (2013년) | 150,232부 |
2. 역사
''휴모''의 역사는 1936년, 당시 프랑스어권 잡지 ''르 무스티크''(Le Moustiquefra, 현재의 ''텔레무스틱'')에 대응하는 네덜란드어 잡지 '휴머라디오'(Humoradionl)가 창간되면서 시작되었다.[12][1]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40년부터 1944년까지는 발행이 중단되었다.[13][2]
전후 1958년, 벨기에에 텔레비전 방송이 보급되면서 잡지는 '라디오'를 뗀 ''휴모''로 제호를 변경하고 주간지로 발행되기 시작했다.[13][2][14][7] 1969년 가이 모티어가 편집장으로 부임한 이후, ''휴모''는 유쾌하고 코믹한 분위기를 불어넣었으며 록 음악을 적극적으로 다루는 등 오늘날과 같은 잡지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이 시기부터 독자 투표 행사인 '휴모 팝 폴'(Humo's Pop Poll영어)이나 신인 록 밴드 경연 대회인 휴모 록 랠리(Humo's Rock Rally)와 같은 연례 문화 행사가 시작되었고, 록 베르흐터 페스티벌 후원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3] 또한 만화가 카마구르카의 합류로 베르트와 카우보이 헹크 같은 상징적인 캐릭터가 탄생하기도 했다.
잡지의 소유권은 사노마를 거쳐 2015년 5월 데 페르스그루프로 이전되었다.[15][4][16][5]
2. 1. 창간과 초기 (1936-1944)
휴모의 전신은 1936년 네덜란드어로 처음 발행된 '휴머라디오'(Humoradio)이다. 이는 당시 프랑스어권 잡지였던 Le Moustique|르 무스티크fra(현재의 ''텔레무스틱'')에 대응하는 성격의 잡지였다.[12][1] '휴머라디오'라는 이름은 영어 단어 '유머'(humor)와 '라디오'(radio)를 합쳐 만든 말이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40년부터 1944년까지는 발행이 중단되었다.[13][2]2. 2. 재창간과 변화 (1958-1969)
1958년, 벨기에에서 텔레비전이 보급되며 많은 시청자를 확보하기 시작하자, 기존의 '휴머라디오'는 '라디오'를 제외한 ''휴모''라는 이름으로 제호를 변경하여 출판되기 시작했다.[13][2] 이는 증가하는 텔레비전 시청자층을 고려한 변화로, 잡지 내용에 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가 포함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이때부터 ''휴모''는 주간 단위로 발행되었다.[14][7]2. 3. 가이 모티어 시대와 전성기 (1969-2003)
1969년 가이 모티어가 편집장으로 부임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휴모''의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3] 그는 잡지에 유쾌하고 코믹한 분위기를 불어넣었으며, 록 음악 관련 기사를 강화했다. 이를 통해 좌익 및 진보 성향의 독자들에게 어필하는 잡지로 자리매김했다.[3]모티어의 재임 기간 동안 ''휴모''를 상징하는 많은 고전적인 칼럼, 인터뷰 시리즈, 연례 문화 행사, 만화 등이 탄생했다.[3] 대표적인 연례 행사로는 1967년부터 시작된 '휴모 팝 폴'(Humo's Pop Poll영어)이 있다. 이 행사는 독자들이 직접 올해 가장 좋아한 인물, 라디오 및 TV 쇼, 음악 그룹 등을 선정하는 설문조사이다.[3] 또한, 젊은 록 밴드를 위한 중요한 벨기에 경연 대회인 휴모 록 랠리(Humo's Rock Rally)도 정기적으로 개최되었다.[3] ''휴모''는 1977년 록 베르흐터(Rock Werchter) 페스티벌 창립 이후 지속적으로 후원해왔다.[3]
잡지의 전속 만화가는 카마구르카였으며, 그의 독특한 스타일은 잡지의 컬트적인 매력을 더하는 데 기여했다. 잡지의 마스코트인 베르트와 카우보이 헹크는 모두 카마구르카가 창작했으며, 각각 주간 만화 시리즈로 연재되었다.
가이 모티어는 2003년에 편집장 자리에서 은퇴했다.[3]
2. 4. 최근 동향 (2003-현재)
2003년, 오랫동안 ''휴모''의 색깔을 만들어 온 편집장 가이 모티어가 은퇴했다.[3] 그의 퇴임 이후, 2002년부터 잡지의 발행 부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6]연도 | 발행 부수 | 비고 |
---|---|---|
2006-2007 | 278,000부[7] | |
2008년 9월 23일 | 320,000부[6] | 플랑드르 작가 드미트리 베르훌스트의 미출간 소설 무료 제공 |
2009년 1분기 | 256,558부[8] | |
2010 | 215,409부[9] | |
2011 | 197,105부[9] | |
2012 | 166,732부[9] | |
2013 | 150,232부[10] |
1969년 가이 모티어가 편집장이 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휴모''의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 그는 잡지에 유쾌하고 코믹한 분위기를 불어넣었으며, 록 음악 관련 기사를 강화하여 좌익 및 진보 성향 독자들의 호응을 얻었다.[3] 모티어 재임 기간 동안 ''휴모''를 대표하는 여러 고전적인 칼럼, 인터뷰 시리즈, 연례 문화 행사, 만화 등이 탄생했다.[3] 대표적인 연례 행사로는 1967년부터 시작된 '휴모 팝 폴', 젊은 록 밴드를 위한 경연 대회인 휴모 록 랠리, 그리고 1977년부터 후원해 온 록 베르흐터 페스티벌 등이 있다.[3]
한편, 잡지의 소유권에도 변화가 있었다. 기존 소유주였던 사노마는[4] 2015년 5월, ''휴모''를 데 페르스그루프에 매각했다.[5]
3. 주요 기획 및 행사
''휴모''의 전속 만화가인 카마구르카는 잡지 특유의 컬트적인 매력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잡지의 마스코트인 베르트와 카우보이 헹크는 그가 창작한 캐릭터로, 각각 주간 만화 시리즈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3. 1. 휴모 팝 폴 (Humo's Pop Poll)
1967년부터 시작된 연례 독자 투표 행사이다. ''휴모''의 독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한 해 동안 가장 좋아했던 인물, 라디오 및 TV 프로그램, 음악 그룹 등을 선정한다.[3]
3. 2. 휴모 록 랠리 (Humo's Rock Rally)
휴모 잡지가 주최하는 정기적인 행사 중 하나로, 휴모 록 랠리가 있다.[3] 이는 벨기에의 젊은 록 밴드를 위한 중요한 경연 대회이다.[3]
3. 3. 록 베르흐터 (Rock Werchter) 후원
휴모는 1977년 록 베르흐터 페스티벌이 처음 시작된 이래로 꾸준히 이 행사를 후원해 왔다.[3]
4. 주요 기고자
''휴모''의 대표적인 만화가로는 카마구르카가 있다. 그의 독특한 스타일은 잡지의 전반적인 컬트적 매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잡지의 마스코트인 베르트와 카우보이 헹크는 모두 카마구르카가 창작했으며, 각각 주간 만화 시리즈로 연재되고 있다.
2024년 8월, 칼럼니스트 헤르만 브뤼셀만스는 이스라엘-가자 전쟁과 관련하여 "눈에 보이는 모든 유대인의 목에 날카로운 칼을 꽂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는 내용을 담은 칼럼을 기고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11] 해당 발언은 심각한 반유대주의적 표현으로 사회적으로 강한 비판에 직면했다.
그 외 ''휴모''에 기고했거나 기고 중인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헤르만 데 코닌크
- 이브 드스메트
- 마르크 디덴
- 가이 모르티에
- 헤르만 셀슬라흐스
- 세르주 시모나르
- 루디 반덴데일
- 헤르만 브뤼셀만스
- 윌리 코르토
- 패트릭 드 비테
- 아르논 그룬베르크 (2024년 8월까지)
- 헤리트 코므리
- 톰 라노예
- 위고 마티센
- 얀 멀더
- 케스 판 코턴
- 귀도 판 메이르
- 루디 반덴데일레
- 요나스 게이르나르트
- 검바
- 제로옴
- 에버 뫼울렌
- 헤르 젤레 (''카우보이 헹크'')
- 피터 판 스트라턴
5. 판매 부수
2002년 이후 ''휴모''의 발행 부수는 감소세를 보였다.[6]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잡지 발행 부수는 278,000부였다.[7] 2008년 9월 23일에는 플랑드르 작가 드미트리 베르훌스트의 미출간 소설 ''Goddamned Days on a Goddamned Planet''을 무료로 제공하면서 320,000부가 판매되기도 했다.[6]
연도별 판매 부수는 다음과 같다.
6. 논란
2024년 8월, 작가 헤르만 브뤼셀만스가 기고한 칼럼으로 인해 반유대주의 논란이 일었다.[11]
6. 1. 2024년 반유대주의 칼럼 논란
2024년 8월, 잡지 휴모는 작가 헤르만 브뤼셀만스가 기고한 칼럼을 게재했다. 해당 칼럼에서 브뤼셀만스는 이스라엘-가자 전쟁을 언급하며 "눈에 보이는 모든 유대인의 목에 날카로운 칼을 꽂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고 써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11]참조
[1]
웹사이트
Dupuis
https://web.archive.[...]
2010-10-12
[2]
웹사이트
Corporate Overview 1993
https://web.archive.[...]
2010-10-12
[3]
논문
Hail the Rock Rally
https://web.archive.[...]
2010-10-12
[4]
웹사이트
Stop/watch
https://web.archive.[...]
2015-04-12
[5]
뉴스
De Persgroep takes over Humo, Story and Vitaya magazines
http://www.flanderst[...]
2015-12-27
[6]
논문
Readers' Responses to Product+ Strategies of Print Media Brands: Increasing Readership or Commoditization of Print Media?
2011
[7]
웹사이트
Western Europe Market & Media Fact
https://web.archive.[...]
2015-04-08
[8]
논문
Candidate Choice in Political Advertising: What Determines Who Gets Attention?
http://regisdandoy.c[...]
2015-03-31
[9]
웹사이트
Top 50 Magazines
https://web.archive.[...]
2015-03-22
[10]
웹사이트
Belgium: Magazine market
https://web.archive.[...]
2015-05-01
[11]
웹사이트
Joodse organisatie wil naar rechter stappen na column van Herman Brusselmans waarin hij “elke Jood een mes door de keel wil rammen”
https://www.gva.be/c[...]
2024-08-06
[12]
웹인용
Dupuis
https://web.archive.[...]
2010-10-12
[13]
웹인용
Corporate Overview 1993
https://web.archive.[...]
2010-10-12
[14]
웹인용
Western Europe Market & Media Fact
https://web.archive.[...]
2015-04-08
[15]
웹인용
Stop/watch
https://web.archive.[...]
2015-04-12
[16]
뉴스
De Persgroep takes over Humo, Story and Vitaya magazines
http://www.flanderst[...]
2015-12-27
[17]
간행물
Readers' Responses to Product+ Strategies of Print Media Brands: Increasing Readership or Commoditization of Print Media?
2011
[18]
웹인용
Western Europe Market & Media Fact
https://web.archive.[...]
2015-04-08
[19]
저널
Candidate Choice in Political Advertising: What Determines Who Gets Attention?
http://regisdandoy.c[...]
2015-03-31
[20]
웹인용
Top 50 Magazines
http://ifabc.org/sit[...]
2015-03-22
[21]
웹인용
Top 50 Magazines
http://ifabc.org/sit[...]
2015-03-22
[22]
웹인용
Belgium: Magazine market
https://web.archive.[...]
2015-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