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코우시노오키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오진 천황의 4대손이며 게이타이 천황의 아버지이다. 그는 오미국 다카시마군의 미오노 별업에 거주하며 에치젠의 후리히메와 결혼했으나, 게이타이 천황을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그의 묘소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시가현 다카시마시의 다나카오즈카 고분과 후쿠이현의 니혼마츠야마 고분 등이 묘소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타이 천황 - 기키
- 게이타이 천황 - 다시라카 황녀
다시라카 황녀는 닌켄 천황의 손녀이자 게이타이 천황의 왕후로서 긴메이 천황을 낳아 게이타이 천황의 왕위 정통성 강화에 기여했으며, 그녀의 능묘는 니시토노츠카 고분으로 지정되었으나 니시야마즈카 고분이라는 주장도 있고, 일각에서는 백제 무령왕의 딸이라는 설도 제기되나 역사적 근거는 희박하다. - 일본의 남성 황족 - 오시사카노히코히토노오에노미코
민다쓰 천황의 황자이자 스메이 천황의 아버지인 오시사카노히코히토노오에노미코는 소가씨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으며, 요메이 천황 사후 왕위 계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일본의 남성 황족 - 와카누케후타마타노미코
와카누케후타마타노미코는 오진 천황의 황자로, 여러 사서에서 출생과 자손에 대한 기록이 다르게 나타나며, 오키나가 씨족과 관련이 깊고, 그의 후손들은 다양한 씨족의 조상이 되었다. - 야요이 시대 사람 - 스진 천황
스진 천황은 일본 전설상의 제11대 천황으로 중앙 집권 체제 강화, 영토 확장, 사도 장군 제도 설치, 호구 조사와 과역 부과를 실시하고 역병 극복과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 황실의 조상으로 추앙받고 능은 나라현 텐리시의 안돈야마 고분으로 추정된다. - 야요이 시대 사람 - 진구 황후
진구 황후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일본의 전설적인 인물로, 섭정 기간 동안 구마소 정벌과 삼한 정벌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왜곡된 측면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히코우시노오키미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코우시노오키미 (彦主人王) |
이칭 | 게히코 (笥飯彦) 게타군노오키미 (気多郡王) |
시대 | 야마토 시대(大和時代) |
활동 연도 | 5세기 |
가계 | |
아버지 | 오호도노오오미 (意富斗能命) |
어머니 | 후루히메노미코토 (振媛命) |
배우자 | 카라히메 (迦良比売) |
자녀 | 미케이리노미코 (御笥入命) 누노시노미코 (布忍命) 스가노미코 (須賀之命) |
주요 활동 | |
활동 지역 | 에치젠 국(越前国) |
관련 장소 | 게타 대사(気多大社) 쓰루가 (敦賀) 후추(府中) |
역할 | 게타 씨(気多氏)의 선조 |
기타 정보 | |
비고 | 『고지키(古事記)』 및 『일본서기(日本書紀)』에 기록됨 게타 대사(気多大社)에 모셔짐 |
2. 가계 및 계보
wikitext
신일본기에 인용된 상궁기의 유실된 구절[1]에 따르면, 히코우시노오키미(彦主人王)는 오진 천황(제15대)의 4대손이다. 아버지는 오히노오키미(乎非王)이며, 어머니는 무기노쿠니노미야츠코(牟義都国造) 이지무라키미(伊自牟良君)의 딸인 쿠루비노미코토(久留比弥命)이다.
상궁기의 유실된 구절과 일본서기에 따르면, 부인은 스이닌 천황(垂仁天皇)의 7대손인 후리히메(振媛, 布利比弥命)이며, 그 사이에서 게이타이 천황(제26대)가 태어났다.
히코우시노오키미의 어머니는 무기국조의 딸로, 후의 미노국무기군의 호족 출신이며, 무기 땅은 오미의 오키나가와 멀지 않다. 오비왕의 본거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미·미노 사이에 있었다고 추정된다. 오비왕의 혼인은 오미·미노 부근의 호족 간의 혼인으로, 그 사이에서 태어난 히코누시왕은 미노 부근을 본거지로 하면서도 오미의 다카시마의 미오에 별장을 소유하고, 에치젠 호족의 여성을 아내로 맞이했다. 이는 당시 호족이 인접하는 국가를 통혼권으로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자 | 남자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
스진 천황 (10대)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히코이마스오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토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 | 스이닌 천황 (11대)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가미츠케노씨 시모츠케노씨 | 게이코 천황 (12대)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1 | |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1 | | 주아이 천황 (14대)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1 | | 진구 황후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오진 천황 (15대)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우지노와키이라츠코 | 와카노케후타마타노미코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오호도노오 | 오시사카노오오나카히메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오히노오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히코우시노오키미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게이타이 천황 (26대) |
2. 1. 가계
신일본기에 인용된 상궁기의 유실된 구절[1]에 따르면, 히코우시노오키미(彦主人王)는 오진 천황(제15대)의 4대손이다. 아버지는 오히노오키미(乎非王)이며, 어머니는 무기노쿠니노미야츠코(牟義都国造) 이지무라키미(伊自牟良君)의 딸인 쿠루비노미코토(久留比弥命)이다.상궁기의 유실된 구절과 일본서기에 따르면, 부인은 스이닌 천황(垂仁天皇)의 7대손인 후리히메(振媛, 布利比弥命)이며, 그 사이에서 게이타이 천황(제26대)가 태어났다.
히코우시노오키미의 어머니는 무기국조의 딸로, 후의 미노국무기군의 호족 출신이며, 무기 땅은 오미의 오키나가와 멀지 않다. 오비왕의 본거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미·미노 사이에 있었다고 추정된다. 오비왕의 혼인은 오미·미노 부근의 호족 간의 혼인으로, 그 사이에서 태어난 히코누시왕은 미노 부근을 본거지로 하면서도 오미의 다카시마의 미오에 별장을 소유하고, 에치젠 호족의 여성을 아내로 맞이했다. 이는 당시 호족이 인접하는 국가를 통혼권으로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 class="wikitable"
|-
! colspan="2" | 히코우시노오키미 가계도
|-
| colspan="2"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style="padding:0 2em; border: 0;" | |
|}
2. 2. 계보
오진 천황(제15대)의 4대손으로, 아버지는 오히노오키미(乎非王)이며, 어머니는 무기노쿠니노미야츠코(牟義都国造) 이지무라키미(伊自牟良君)의 딸인 쿠루비노미코토(久留比弥命)이다. 부인은 스이닌 천황(垂仁天皇)의 7대손인 후리히메(振媛, 布利比弥命)이며, 그 사이에서 게이타이 천황(제26대)이 태어났다.히코우시노오키미(彦主人王)의 어머니는 무기국조의 딸로, 후의 미노국무기군의 호족 출신이며, 무기의 땅은 오미의 오키나가와 그리 멀지 않다. 오비왕의 본거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미·미노 사이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오비왕의 혼인은 오미·미노 부근의 호족 간의 혼인이며, 그 사이에서 태어난 히코우시노오키미가 미노 부근을 본거지로 하면서도, 오미의 다카시마의 미오에 별업을 가지고, 에치젠의 호족 여성을 아내로 맞이한 것은 당시 호족이 인접하는 국가를 통혼권으로 했다는 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여자 | 남자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
스진 천황 (10대)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히코이마스오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토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 | 스이닌 천황 (11대)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가미츠케노씨 시모츠케노씨 | 게이코 천황 (12대)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1 | |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1 | | 주아이 천황 (14대)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1 | | 진구 황후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오진 천황 (15대)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우지노와키이라츠코 | 와카노케후타마타노미코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오호도노오 | 오시사카노오오나카히메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오히노오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히코우시노오키미 | |
style="border: 1px solid #aaa;" colspan=2 | | |
게이타이 천황 (26대) |
『일본서기』 게이타이 천황 즉위 전 조에 따르면,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오미국다카시마군의 "미오노별업" (현재의 시가현다카시마시의 아도가와 이남 지역)에 있었고, 에치젠 미쿠니의 사카나이 (현재의 후쿠이현사카이시의 구 미쿠니정 지역)의 후리히메를 아내로 맞이했다.
3. 생애 및 기록
그 후 후리히메는 오오도노오오 (후의 게이타이 천황)를 낳았지만,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어린 시절에 사망했다. 그 때문에 후리히메는 다카무라 (현재 후쿠이현 사카이시의 구 마루오카정 지역)로 귀향하여 오오도노오오를 양육했다고 한다.
히코우시노오키미의 어머니는 무기국조의 딸이라고 하며, 후의 미노국무기군의 호족 출신이며, 무기의 땅은 오미의 오키나가와 그리 멀지 않다. 오비왕의 본거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미·미노 사이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오비왕의 혼인은 오미·미노 부근의 호족 간의 혼인이며, 그 사이에서 태어난 히코우시노오키미가 미노 부근을 본거지로 하면서도 오미의 다카시마의 미오에 별업을 가지고, 에치젠의 호족 여성을 아내로 맞이한 것은 당시 호족이 인접하는 국가를 통혼권으로 했다는 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3. 1. 생애
『일본서기』 게이타이 천황 즉위 전 조에 따르면,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오미국다카시마군의 "미오노별업" (현재의 시가현다카시마시의 아도가와 이남 지역)에 있었고, 에치젠 미쿠니의 사카나이 (현재의 후쿠이현사카이시의 구 미쿠니정 지역)의 후리히메를 아내로 맞이했다.
그 후 후리히메는 오오도노오오 (후의 게이타이 천황)를 낳았지만,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어린 시절에 사망했다. 그 때문에 후리히메는 다카무라 (현재 후쿠이현 사카이시의 구 마루오카정 지역)로 귀향하여 오오도노오오를 양육했다고 한다.
히코우시노오키미의 어머니는 무기국조의 딸이라고 하며, 후의 미노국무기군의 호족 출신이며, 무기의 땅은 오미의 오키나가와 그리 멀지 않다. 오비왕의 본거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미·미노 사이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오비왕의 혼인은 오미·미노 부근의 호족 간의 혼인이며, 그 사이에서 태어난 히코우시노오키미가 미노 부근을 본거지로 하면서도 오미의 다카시마의 미오에 별업을 가지고, 에치젠의 호족 여성을 아내로 맞이한 것은 당시 호족이 인접하는 국가를 통혼권으로 했다는 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3. 2. 기록 관련 논쟁
『일본서기』 게이타이 천황 즉위 전 조에 따르면,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오미국다카시마군의 "미오노별업" (현재의 시가현다카시마시의 아도가와 이남 지역)에 있었고, 에치젠 미쿠니의 사카나이 (현재의 후쿠이현사카이시의 구 미쿠니정 지역)의 후리히메를 아내로 맞이했다.
그 후 후리히메는 오오도노오오 (후의 게이타이 천황)를 낳았지만, 어린 시절에 히코우시노오키미는 사망했다. 그 때문에 후리히메는 다카무라 (현재 후쿠이현 사카이시의 구 마루오카정 지역)로 귀향하여, 오오도노오오를 양육했다고 한다.
히코우시노오키미의 어머니는 무기국조의 딸인데, 후의 미노국무기군의 호족 출신이며, 무기의 땅은 오미의 오키나가와 그리 멀지 않다. 따라서 오비왕의 본거지는 불분명하지만, 오미·미노 사이에 있었다고 생각된다. 오비왕의 혼인은 오미·미노 부근의 호족 간의 혼인이며, 그 사이에서 태어난 히코누시노오키미가 아마 미노 부근을 본거지로 하면서도, 오미의 다카시마의 미오에 별업을 가지고, 더 나아가 거기에서 에치젠의 호족의 여성을 구혼한 사정도, 당시 호족이 인접하는 국가를 그 통혼권으로 했다는 상정 하에 이해할 수 있다.
4. 미오노 별업 (三尾別業)
'''삼미 별업'''(三尾別業, 미오노 나리도코로, 삼미지별업)은 히코우시노오키미가 거점으로 삼았던 삼미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별업이다. 게이타이 천황의 출생지라고도 하며, 오미국다카시마군 삼미향(현재의 시가현다카시마시의 아도가와 이남 지역)으로 여겨지지만, 구체적인 비정지는 미상이다.
"삼미"라는 땅은 『상궁기』에서는 "미코쿠"로 보이며, 『엔기시키』에서는 병부성 조에 "삼미역"이, 『와묘쇼』에서는 다카시마군에 "삼미향"이 보인다. 현재도 미오 신사나 "삼미리"라는 지명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삼미"는 다카시마시의 카모가와 하류 유역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여겨진다. 현재 그 지역에는 게이타이 천황 출생에 관한 수많은 전승지가 남아있다[3].
그 외에도, 그 지역에 있는 다나카 왕총 고분(히코우시노오키미 묘 전승지)과 이나리야마 고분은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전반의 수장묘로 여겨지며, 호족인 삼미군(미오노키미, 삼미 씨)과의 관계도 지적된다[5].
4. 1. 개요
4. 2. 역사적 의의
'''삼미 별업'''(三尾別業, 미오노 나리도코로, 삼미지별업)은 히코우시노오키미가 거점으로 삼았던 삼미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별업이다. 게이타이 천황의 출생지라고도 하며, 오미국다카시마군 삼미향(현재의 시가현다카시마시의 아도가와 이남 지역)으로 여겨지지만, 구체적인 비정지는 미상이다.이 "삼미"의 땅에 대해 『엔기시키』에서는 병부성 조에 "삼미역"이, 『와묘쇼』에서는 다카시마군에 "삼미향"이 보인다. 현재도 미오 신사나 "삼미리"라는 지명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삼미"는 다카시마시의 카모가와 하류 유역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여겨진다. 현재, 그 지역에는 게이타이 천황 출생에 관한 수많은 전승지가 남아있다.[3]
그 지역에 있는 다나카 왕총 고분(히코우시노오키미 묘 전승지)과 이나리야마 고분은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전반의 수장묘로 여겨지며, 호족인 삼미군(미오노키미, 삼미 씨)과의 관계도 지적된다.[5]
4. 3. 관련 유적
'''삼미 별업'''(三尾別業, 미오노 나리도코로, 삼미지별업)은 히코우시노오키미가 거점으로 삼았던 별업으로, 게이타이 천황의 출생지라고도 전해진다. 오미국다카시마군 삼미향(현재의 시가현다카시마시의 아도가와 이남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삼미"라는 지명은 『엔기시키』의 병부성 조에 "삼미역"으로, 『와묘쇼』에서는 다카시마군에 "삼미향"으로 나타난다. 현재 미오 신사와 "삼미리"라는 지명이 남아있어, 다카시마시의 카모가와 하류 유역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게이타이 천황 출생과 관련된 전승지가 많이 남아있다. 미오 신사는 시키나이 묘진타이샤로, 제신은 이와츠키와케노미코토(삼미 씨의 조상)와 후리히메이다. 삼중생 신사는 시키나이샤로, 제신은 히코우시노오키미와 후리히메이며, 게이타이를 포함한 3자 출산의 전승지이다. 안산 모타레 돌은 후리히메 출산 전승지이며, 게이타이 천황 태반총(에나즈카)은 게이타이 천황의 태반 매장 전승지로 6세기에 축조된 지름 약 11.5m의 원형분이다.
그 외에도 다나카 왕총 고분(히코우시노오키미 묘 전승지)과 이나리야마 고분은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전반의 수장묘로 여겨지며, 호족인 삼미군(미오노키미, 삼미 씨)과의 관계가 주목된다.
5. 묘소
궁내청에 의한 지정묘는 없다. 그러나 시가현다카시마시 아도가와정에 있는 궁내청의 '''아도 능묘 참고지'''에서는 히코우시노오키미가 피장 후보자로 상정되고 있다[6]。 유적명은 「다나카오즈카 고분」. 직경 약 58m・높이 약 10m의 원분(또는 호타테조개형 고분)으로,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여겨진다[7]。 속칭은 「우시즈카」이다[7]。
능묘 참고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추정 축조 시기의 일치로 보아 고고학적으로도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묘로 보는 설이 유력시된다. 또한, 미오에서는 시가현 다카시마시 카모의 이나리야마 고분 (전방후원분, 분구 길이 45미터)이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묘라고도 전해지지만, 이쪽은 현재 아도가와 이남의 호족・미오 씨의 수장묘로 여겨지고 있다.
그 외, 히코우시노오키미 및 미오 씨의 과거 본거지는 에치젠이었지만 5세기 후반경에 오미로 옮겼다는 입장(미오 씨 이동설)에서, 니혼마츠야마 고분 (후쿠이현요시다군에이헤이지정)과 관련짓는 설도 있다. 이 설에서는, 니혼마츠야마 고분이 시기가 다른(5세기 후반경과 6세기 초두경) 2개의 석관을 가지고, 한쪽(고상)에는 인골이 없는 것을 근거로, 고분을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빈 무덤과 후리히메의 묘로 추측한다[8]。
5. 1. 아도 능묘 참고지
궁내청에 의한 지정묘는 없다. 그러나 시가현다카시마시 아도가와정에 있는 궁내청의 '''아도 능묘 참고지'''에서는 히코우시노오키미가 피장 후보자로 상정되고 있다。 유적명은 「다나카오즈카 고분」. 직경 약 58m・높이 약 10m의 원분(또는 호타테조개형 고분)으로,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여겨진다。 속칭은 「우시즈카」이다。
능묘 참고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추정 축조 시기의 일치로 보아 고고학적으로도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묘로 보는 설이 유력시된다. 또한, 미오에서는 시가현 다카시마시 카모의 이나리야마 고분 (전방후원분, 분구 길이 45미터)이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묘라고도 전해지지만, 이쪽은 현재 아도가와 이남의 호족・미오 씨의 수장묘로 여겨지고 있다.
그 외, 히코우시노오키미 및 미오 씨의 과거 본거지는 에치젠이었지만 5세기 후반경에 오미로 옮겼다는 입장(미오 씨 이동설)에서, 니혼마츠야마 고분 (후쿠이현요시다군에이헤이지정)과 관련짓는 설도 있다. 이 설에서는, 니혼마츠야마 고분이 시기가 다른(5세기 후반경과 6세기 초두경) 2개의 석관을 가지고, 한쪽(고상)에는 인골이 없는 것을 근거로, 고분을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빈 무덤과 후리히메의 묘로 추측한다。
5. 2. 기타 묘소 후보지
궁내청에 의한 지정묘는 없지만, 시가현다카시마시 아도가와정에 있는 궁내청의 '''아도 능묘 참고지'''에서는 히코우시노오키미가 피장 후보자로 상정되고 있다[6]。유적명은 「다나카오즈카 고분」이며, 직경 약 58m・높이 약 10m의 원분(또는 호타테조개형 고분)으로,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여겨진다[7]。속칭은 「우시즈카」이다[7]。
능묘 참고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추정 축조 시기의 일치로 보아 고고학적으로도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묘로 보는 설이 유력시된다。또한, 미오에서는 시가현 다카시마시 카모의 이나리야마 고분 (전방후원분, 분구 길이 45미터)이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묘라고도 전해지지만, 이쪽은 현재 아도가와 이남의 호족・미오 씨의 수장묘로 여겨지고 있다。
그 외, 히코우시노오키미 및 미오 씨의 과거 본거지는 에치젠이었지만 5세기 후반경에 오미로 옮겼다는 입장(미오 씨 이동설)에서, 니혼마츠야마 고분 (후쿠이현요시다군에이헤이지정)과 관련짓는 설도 있다. 이 설에서는, 니혼마츠야마 고분이 시기가 다른(5세기 후반경과 6세기 초두경) 2개의 석관을 가지고, 한쪽(고상)에는 인골이 없는 것을 근거로, 고분을 히코우시노오키미의 빈 무덤과 후리히메의 묘로 추측한다[8]。
참조
[1]
서적
釈日本紀』巻13(述義9)第17所引『上宮記』逸文
https://dl.ndl.go.jp[...]
経済雑誌社
1897-1901
[2]
논문
継体天皇の系譜について : 釈日本紀所引上宮記逸文の研究
https://hdl.handle.n[...]
学習院大学史学会
1968-12
[3]
웹사이트
継体天皇(高島ゆかりの人物から学ぶ)
http://www.takashima[...]
[4]
웹사이트
胞衣塚
http://www.takashima[...]
[5]
문서
[6]
서적
事典陵墓参考地 もうひとつの天皇陵
吉川弘文館
2005
[7]
문서
[8]
서적
「越」の豪族・三尾氏と三国氏
洋泉社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