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세기는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 게르만족의 이동과 왕국 건설, 동로마 제국의 유지, 기독교의 확산 등 유럽 대륙에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서로마 제국은 410년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 451년 훈족의 침입, 476년 오도아케르에 의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의 폐위 등으로 멸망했다. 게르만족은 이동하며 서고트 왕국, 반달 왕국, 프랑크 왕국 등을 건설했다. 동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중심으로 제국을 유지했고, 기독교는 교세 확장을 이루었다. 아시아에서는 고구려가 전성기를 맞이하고, 굽타 제국이 번성했으며, 불교가 미얀마와 인도네시아로 전파되었다. 문화적으로는 아르메니아 문자가 창제되고, 0의 개념이 사용되었으며, 체스, 말목걸이 등이 발명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아틸라, 클로비스 1세, 성 아우구스티누스, 광개토대왕, 장수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 테오도시우스 법전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테오도시우스 2세가 혼란스러운 법원을 정리하고 법 적용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321년 이후의 칙령들을 모아 편찬한 최초의 관찬 칙령집으로, 동서 로마 제국에 반포되어 로마법 분열의 계기가 되고 후대 법전에 영향을 주었다. - 5세기 - 찬드라굽타 2세의 발흐 원정
찬드라굽타 2세의 발흐 원정은 굽타 제국 시대에 훈자 비문과 델리의 철 기둥 비문을 통해 펀자브, 방가 왕국, 신두강 유역, 발흐(박트리아)를 정복한 군사적 활동으로, 굽타 제국의 승리로 끝났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5세기 | |
---|---|
지도 | |
세기 정보 | |
연도 범위 | 서기 401년부터 500년까지 |
천년기 | 제1천년기 |
사건 및 동향 | |
서유럽 | 로마 제국의 쇠퇴가 가속화됨 훈족의 침략으로 인한 게르만족의 대이동 심화 프랑크 왕국, 부르군트 왕국, 반달 왕국, 서고트 왕국, 동고트 왕국 등 게르만족 국가들이 서유럽 곳곳에 등장함 |
동유럽 |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이 서유럽의 혼란 속에서 번영을 누림 |
아시아 | 중국에서 남북조시대가 시작됨 고구려가 장수왕 시대를 맞아 전성기를 맞이함 왜의 영향력이 한반도 남부와 일본 열도 일대에서 증가함 굽타 왕조가 쇠퇴하며 인도가 혼란에 빠짐 신라가 국가의 기틀을 다짐 |
문화 및 예술 | |
유럽 | 서유럽에서 기독교가 더욱 확고하게 자리매김함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들이 등장하여 신학 발전에 기여함 에치미아진 대성당 건설 |
아메리카 | 모체 문화가 번성함 랄코 박물관 설립 |
기술 및 과학 | |
일반 | 잉카 문명의 성립 |
한국 | 광개토대왕릉비 건립 호우총 청동합 제작 |
주요 인물 | |
유럽 | 서로마 제국의 황제 호노리우스 훈족의 왕 아틸라 반달족의 왕 가이세리크 서고트족의 왕 알라리크 1세 성 아우구스티누스 성 히에로니무스 교황 레오 1세 |
아시아 | 고구려의 왕 장수왕 백제의 왕 비유왕 왜의 왕 왜왕 무 중국의 북위 황제 태무제 중국의 남조 황제 유송 무제 신라의 왕 눌지 마립간 |
기타 | |
기타 | 이나리야마 고분 출토 철검 제작 |
2. 유럽
5세기 유럽에서는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서로마 제국은 410년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에게 로마가 약탈당하고, 455년에는 반달족에게 약탈당하는 등 쇠퇴가 가속화되다가, 476년 게르만족 용병 대장 오도아케르에 의해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폐위되면서 멸망했다. 480년에는 마지막 황제였던 율리우스 네포스가 달마티아에서 살해당했다.
451년 훈족의 아틸라 왕이 로마에 입성하였으나, 카탈라우눔 전투에서 서고트족에게 대패하였다. 453년 아틸라 왕 사후, 훈 제국은 아틸라의 자손에 의해 분열되었다.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게르만족이 훈족을 격파하고, 469년에는 뎅기지크가 사망하면서 훈 제국은 완전히 멸망했다.
5세기 초, 수에비, 알라니족, 반달족이 라인강을 건너 골 지역으로 침공하면서 서로마 제국의 동부 국경지대가 무너졌다. 서고트족은 이베리아 반도에 서고트 왕국을, 반달족은 439년 카르타고를 점령하고 북아프리카 지역에 반달 왕국을 건설했다. 481년 클로비스 1세가 서프랑크 왕국의 국왕에 즉위했고, 494년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가 골 북부를 통일하였다. 440년 이후, 앵글로색슨 족이 브리튼섬에 정착하여 앵글로색슨 왕국을 건설했다.
동로마 제국의 테오도시우스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을 강화하고 법전을 편찬하는 등 제국 안정에 힘썼다.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신의 어머니'로 명명하였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예수를 완전한 인간이자 완전한 하느님으로 설정했다. 413년 히포의 주교 성 아우구스투스는 《신국》 집필을 시작했다. 아일랜드에서 선교 활동을 펼친 파트리키우스는 "아일랜드의 사도"라고 불린다.
2. 1.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멸망
410년,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로마를 약탈하면서 서로마 제국의 쇠퇴가 가속화되었다.[5] 455년에는 반달족이 로마를 약탈하기도 하였다. 476년, 게르만족 용병 대장 오도아케르가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시키면서 서로마 제국은 멸망했다. 훈족의 침입, 반달족의 로마 약탈 등 외부 세력의 침입과 내부 혼란이 서로마 제국 멸망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451년 훈족의 아틸라 왕이 로마에 입성하였으나, 카탈라우눔 전투에서 서고트족에게 대패하였다.[5] 453년 아틸라 왕 사후, 훈 제국은 아틸라의 자손에 의해 분열되었다.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게르만족이 훈족의 군대를 격파하고 훈족의 통치를 무력화시켰으며, 469년에는 훈 제국의 마지막 칸이었던 뎅기지크가 사망하면서 훈 제국은 완전히 멸망했다.
480년에는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던 율리우스 네포스가 달마티아에서 살해당했다.
2. 2. 게르만족의 이동과 왕국 건설
5세기 초, 수에비, 알라니족, 반달족이 마인츠 부근의 얼어붙은 라인강을 건너 골 지역으로 침공하면서 서로마 제국의 동부 국경지대가 무너졌다.[5] 410년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로마를 약탈했다.[5] 이후 서고트족은 이베리아 반도에 서고트 왕국을 건설했다.439년 반달족은 카르타고를 점령하고[5] 북아프리카 지역에 반달 왕국을 건설했다. 481년 클로비스 1세가 서프랑크 왕국의 국왕에 즉위했고, 494년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가 골 북부를 통일하였다. 440년 이후, 앵글로색슨 족이 브리튼섬에 정착하여 앵글로색슨 왕국을 건설했다.[5]
2. 3. 동로마 제국의 유지
테오도시우스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을 강화하고 법전을 편찬하는 등 제국 안정에 힘썼다.[5]2. 4. 기독교의 확산
431년 제3차 공의회인 에페소스 공의회가 열려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신의 어머니'로 명명하였다.[5] 451년 제4차 공의회인 칼케돈 공의회가 열려 예수를 완전한 인간이자 완전한 하느님으로 설정했다.[5] 413년 히포의 주교였던 성 아우구스투스는 《신국》 집필을 시작했다.[5] 아일랜드에서 선교 활동을 펼친 파트리키우스 주교는 "아일랜드의 사도"라고 불린다.3. 아시아
5세기 아시아에서는 여러 국가와 문명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했다.
380년부터 415년까지 찬드라굽타 2세가 굽타 제국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415년부터 455년까지는 쿠마라굽타가 굽타 제국을 통치했다.
420년부터 589년까지 중국에서는 남북조 시대가 이어졌다. 이 시기, 불교가 중국에 전파되어 널리 퍼졌다. 401년에는 승려이자 경전 번역가인 구마라습이 장안에 도착했고, 399년부터 412년까지는 중국 승려 법현이 인도와 스리랑카를 여행하며 불경을 수집했다.
420년 동진이 멸망하고 유유가 유송을 건국하면서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439년 북위가 화북 지역을 통일하여 남조와 대립하였다.
일본에서는 5세기 후반 야마토 왕권이 성장하여 전방후원분이라는 독특한 무덤 양식을 만들었다. 왜는 한반도 국가들의 분쟁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기도 하였으며, 중국 남조와 외교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450년에는 서자바의 칙령을 증명하는 몇몇 석비가 만들어졌는데, 그중 투구 비문은 자바의 초기 힌두 왕국 중 하나인 타루마나가라의 왕 푸르나바르만의 칙령을 발표한 것이다.
불교는 미얀마와 인도네시아로 전파되었다. 아프리카와 인도네시아인 정착민이 마다가스카르에 도착했다.
3. 1. 동아시아
5세기 동아시아에서는 여러 국가와 문명 간의 교류와 갈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420년부터 589년까지 중국에서는 남북조 시대가 이어졌다. 이 시기, 불교가 중국에 전파되어 널리 퍼졌다. 401년에는 승려이자 경전 번역가인 구마라습이 장안에 도착했고, 399년부터 412년까지는 중국 승려 법현이 인도와 스리랑카를 여행하며 불경을 수집했다.[5]
일본에서는 5세기 후반 야마토 왕권이 성장하여 전방후원분이라는 독특한 무덤 양식을 만들었다. 왜는 한반도 국가들의 분쟁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기도 하였으며, 중국 남조와 외교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연도 | 사건 |
---|---|
404년 | 왜군이 옛 대방군 지역에 출병, 고구려군에 격퇴 (광개토왕비) |
5세기 후반 | 야마토 왕권, 대형 전방후원분 축조 (다이센 고분, 혼다 고묘산 고분 등) |
5세기 | 왜의 오왕, 중국 남조에 사신 파견 및 외교 관계 수립 |
3. 1. 1. 한국
427년 고구려의 장수왕이 수도를 평양성으로 옮겼다.[5]475년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위례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이 전사하였다. 백제 문주왕은 웅진(지금의 공주시)으로 수도를 옮겼다.[5]
3. 1. 2. 중국
420년 동진이 멸망하고 유유가 유송을 건국하면서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439년 북위가 화북 지역을 통일하여 남조와 대립하였다.[5] 이 시기, 구마라습은 장안에 도착하여 불경 번역에 힘썼고, 법현은 인도와 스리랑카를 여행하며 불경을 수집했다.3. 1. 3. 일본

5세기 후반, 야마토 왕권은 전방후원분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무덤을 크게 만들어 자신들의 힘을 과시했다. 다이센 고분(전 인덕 천황릉)과 혼다 고묘산 고분(전 응신 천황릉)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무덤 안에는 하니와라는 인물 모양의 토기를 함께 묻었다.[1] 가와치 평야에는 이바라다 제방과 난바의 호리에와 같은 큰 규모의 토목 공사를 벌인 흔적도 남아 있다.
왜는 한반도 여러 나라 사이의 분쟁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기도 했다. 404년에는 옛 대방군 지역에 출병했다가 고구려군에 격퇴당하기도 했다. (광개토왕비)[1]
5세기, 왜의 오왕으로 알려진 5대에 걸친 왕들은 중국 남조에 사신을 보내 외교 관계를 맺고, 왕의 칭호와 관직을 받았다.[1]
연도 | 사건 |
---|---|
404년 | 왜군이 옛 대방군 지역에 출병, 고구려군에 격퇴 (광개토왕비) |
5세기 후반 | 야마토 정권, 대형 전방후원분 축조 (다이센 고분, 혼다 고묘산 고분 등) |
5세기 | 왜의 오왕, 중국 남조에 사신 파견 및 외교 관계 수립 |
3. 2. 남아시아
380년부터 415년까지 찬드라굽타 2세가 굽타 제국의 황금기를 이끌었다.[5] 415년부터 455년까지는 쿠마라굽타가 굽타 제국을 통치했다.[5]399년에서 412년 사이, 중국의 승려 법현이 인도양을 건너 스리랑카와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수집했다.[5]
불교는 미얀마와 인도네시아로 전파되었다.[5]
3. 3. 중앙아시아 및 기타 지역
4. 문화와 기술
5. 주요 인물
5세기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알라리크 1세: 410년 서고트족을 이끌고 로마를 약탈하여 서로마 제국 멸망을 가속화했다.[5]
- 성 아우구스티누스: 413년 히포의 주교로서 《신국》 집필을 시작했다.
- 431년: 제3차 공의회인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신의 어머니'로 명명.
- 아틸라: 451년 훈족의 왕으로서 로마에 입성, 서고트족은 카탈라우눔 전투에서 대패.[5] 452년 교황 레오 1세가 민초 강에서 아틸라를 만나 로마 약탈을 막도록 설득, 453년 사망 후 훈 제국 분열.
- 476년: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오도아케르 장군에 의해 폐위, 서로마 제국 멸망.
- 클로비스 1세: 481년 힐데리히 1세 사후 서프랑크 국왕 즉위, 486년 스바그리우스를 격파하고 서로마 제국 잔존 영토 병합, 494년 골 북부 통일, 496년 톨비아크 전투에서 알레만니를 굴복시키고 가톨릭으로 개종.
- 테오도리쿠스 대왕: 493년 오도아케르를 몰아내고 이탈리아의 군주가 됨.
- 찬드라굽타 2세: 380년 ~ 415년 굽타 제국의 황금기를 이끎.
- 법현: 399년 ~ 412년 중국 승려로 인도양을 건너 스리랑카와 인도에서 경전을 수집.
- 구마라습: 401년 장안에 도착.
- 420년: 진 왕조가 유송에 의해 멸망, 남북조 시대 시작 (~589년).
- 장수왕: 427년 고구려의 왕으로 수도를 평양성으로 천도.[5]
- 광개토대왕, 장수왕: 475년 고구려가 위례성에서 백제를 몰아내고 전성기를 이룩함 (평양 전투).[5]
- 404년: 왜군이 옛 대방군 지역에 출병, 고구려군에 격퇴(광개토왕비).[4]
- 421년: 왜왕 찬(讃)이 송에 조공, 송 무제에게서 안동장군 왜국왕 칭호를 받음(『송서』왜국전).[4]
- 425년: 왜왕 찬이 사마 조달을 보내 송 문제에게 공물을 바침(『송서』왜국전).[4]
- 유랴쿠 천황: 457년 일본에서 즉위.[3]
5. 1. 유럽
410년: 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로마를 약탈했다.[5] 이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을 가속화하는 결정적인 사건이었다.413년: 히포의 주교였던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 집필을 시작했다.
431년: 제3차 공의회인 에페소스 공의회가 열려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를 '신의 어머니'로 명명하였다.
451년
452년: 교황 레오 1세가 민초 강에서 아틸라 왕과 만나 로마를 몰살시키지 말아달라고 설득했다.
453년: 아틸라 왕 사망. 훈 제국은 아틸라의 자손에 의해 분열되었다.
454년: 네다오 전투. 게르만족이 훈족의 군대를 격파하고 훈족의 통치를 무력화시켰다.
455년: 반달족이 로마를 약탈했다.
476년: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가 오도아케르 장군에 의해 폐위당했다. 이를 서로마 제국 멸망의 기준으로 본다.
481년: 힐데리히 1세의 죽음으로 클로비스 1세가 서프랑크의 국왕에 즉위했다.
486년: 클로비스 1세가 스바그리우스를 물리치고 서로마 제국의 남은 영토를 참공했다.
493년: 테오도리쿠스 대왕이 오도아케르를 쫓아내고 이탈리아의 군주가 되었다.
494년: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가 골 북부를 통일하였다.
496년: 톨비아크 전투. 클로비스 1세 왕이 알레만니를 종속시키고, 랭스의 교주였던 레미기우스로부터 수많은 프랑크족과 함께 가톨릭교에 귀의하였다.
5. 2. 아시아
- 380년 ~ 415년: 찬드라굽타 2세가 굽타 제국의 황금기를 다스렸다.
- 399년 ~ 412년: 중국의 법현 스님이 인도양을 건너 스리랑카와 인도를 다니며 경전을 수집했다.
- 401년: 구마라습이 장안에 도착하였다.
- 420년: 진 왕조가 유송에 의해 멸망하고, 남북조가 시작되었다 (~589년).
- 427년: 고구려의 장수왕이 수도를 평양성으로 옮겼다.[5]
- 475년: 고구려가 위례성에서 백제를 몰아내고 전성기를 이루었다.(당시 광개토대왕, 평양 전투)[5]
- 5세기: 고구려가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의 정복 활동으로 최대 전성기에 이르렀다.[5]
- 400년대 초: 대왕급의 대형 전방후원분이 나라 분지에서 오사카 평야로 이동하며 더욱 거대해진다.[4]
- * 다이센 고분(전 인덕 천황릉)과 혼다 고묘산 고분(전 응신 천황릉)이 대표적인 예이다. 부장품에 인물 하니와가 등장한다.[4]
- * 가와치 평야에는 이바라다 제방과 난바의 호리에 등의 토목 공사 흔적이 남아 있다.[4]
- 404년: 왜군이 옛 대방군 지역에 출병하여 고구려군에 격퇴당한다(광개토왕비).[4]
- 421년: 왜왕 찬(讃)이 송에 조공하고, 송 무제로부터 제수의 조서를 받음(아마도 안동장군 왜국왕)(『송서』왜국전).[4]
- 425년: 왜왕 찬이 사마 조달을 보내 송 문제에게 공물을 바침(『송서』왜국전).[4]
- 457년 - 일본에서 유랴쿠 천황이 즉위한다.[3]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D. Appleton-Century Company
1935
[2]
논문
2003
[3]
서적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1994
[4]
웹사이트
Kyiv's 1,530th birthday marked with fun, protest
http://www.kyivpost.[...]
2012-05-31
[5]
서적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