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치젠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치젠국은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후쿠이현과 기후현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이었다. 7세기 말 고시국이 분할되면서 에치젠, 에치추, 에치고로 나뉘었으며, 8세기 초 노토국과 가가국이 분리되면서 현재의 후쿠이현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영역이 형성되었다. 교토와 나라에 인접하여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종이와 도자기 생산으로 유명했다. 고대부터 중세, 근세를 거치며 여러 무장들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막부 시대에는 후쿠이 번을 중심으로 여러 번이 존재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후쿠이현과 기후현으로 편입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치젠국 - 에치젠 마쓰다이라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둘째 아들인 유키 히데야스를 시조로 하는 에치젠 마쓰다이라가는 후쿠이 번을 중심으로 분가를 형성하여 에도 시대 번주 가문으로 존속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에 편입되어 작위를 받았다. - 에치젠국 - 마루오카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축성되어 에도 시대 마루오카 번의 중심지였던 마루오카성은 현존하는 12개의 천수 중 하나로, 일본 중요문화재이자 벚꽃 명소인 "가스미가조 공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수각 건축 시기 논란과 '오시즈의 인주' 전설이 전해진다. - 호쿠리쿠도 - 사도국
사도국은 7세기 후반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군으로 구성되어 에치고국에 병합되기도 하고 독립하기도 하였으며, 막부 시대에는 수호가 파견되는 등 다양한 시설과 관직이 존재했다. - 호쿠리쿠도 - 에치고국
에치고국은 7세기 후반에 설치되어 현재의 니가타현 대부분을 포함했던 고대 일본의 국으로, 영토 확장과 여러 지배 세력의 변화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교통 요충지로 번성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니가타현으로 통합되었다. - 후쿠이현의 역사 - 마에다 도시이에
마에다 도시에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일본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오다 노부나가 휘하에서 이름을 알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에 참여하여 가가번을 기반으로 백만 석의 영지를 얻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 후쿠이현의 역사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에치젠국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에치젠 국 |
로마자 표기 | Echizen-no-kuni |
별칭 | 에쓰슈 |
로마자 표기 (별칭) | Esshū |
소속 | 호쿠리쿠도 |
영역 | 후쿠이현레이호쿠 지방 ( 기후현 구조 시 시로토리초 이시도라의 지역 포함) 쓰루가시 |
창설 당시 영역 | 이시카와현 전역 포함 |
국력 | 대국 |
거리 | 중국 |
군 | 6군 55향 |
국부 | 에치젠시, 후쿠이현 |
국분사 | (미상) |
국분니사 | (미상) |
이치노미야 | 게히 신궁, 후쿠이현쓰루가시 |
역사 | |
설치 시작 | 701년 |
설치 시작 사건 | 율령제 시행 |
폐지 | 1871년 |
현대 | |
현재 | 후쿠이현 |
위치 |
2. 역사
4세기 이후 야마토 왕권의 지배하에 호쿠리쿠도가 들어오면서 각록국조, 고지국조, 삼국국조, 강沼국조, 가가국조, 우가국조, 능등국조가 설치되었다.
7세기 말 689년-692년경 고시국이 고지도전, 고지도중, 고지도후의 3국으로 분할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국인(國印) 제작 당시 에치젠, 에치추, 에치고로 표기가 정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3국 분할 당시 에치젠국은 현재의 이시카와현과 후쿠이현 북부를 포함하여 쓰루가군, 니우군, 아스와군, 오노군, 사카이군, 에누마군, 가가군, 하쿠이군, 노토군, 호우지군, 슈슈군의 11개 군에 이르는 광대한 면적이었다.
718년 5월 2일에는 노토국이, 823년 3월 1일에는 가가국이 분리되었다. 이후 에치젠국은 현재 후쿠이현의 남부(와카사국)를 제외한 지역을 영역으로 하게 되었으며, 엔기시키에 의한 등급에서 호쿠리쿠도 유일의 대국으로 분류되었다.
하쿠산 서쪽 기슭 지역은 가가와 에치젠 양국 간 귀속 다툼이 끊이지 않던 곳으로, 최종적으로는 메이지 유신 초기 이시카와현에 편입되었다.[8][9] 미노국과의 경계 지역 또한 쇼와 대합병으로 기후현에 편입되었다.[8]
교토나 나라와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위치 때문에, 니타 요시사다, 아사쿠라 요시카게, 시바타 가쓰이에 등 이곳을 근거지로 삼아 천하를 다투다 멸망한 무장들이 있었다. 아케치 미쓰히데도 한때 에치젠국의 주민이었다. 게이타이 천황은 에치젠국에서 야마토로 초대되었다고 전해지며, 만요슈 가인 시키노미코의 어머니 "에치미치노 키미 이라토메"도 이 지역 출신으로 여겨진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 유키 히데야스도 이곳의 영주로 여생을 보냈다. 쌀 생산지로 하리마국과 함께 "일반이에치"(일반니에치)라고 불렸다.[11]
1868년부터 1869년까지 벌어진 보신 전쟁에서 후쿠이 번의 17대 번주였던 마쓰다이라 요시나가(마쓰다이라 슌가쿠)는 막부 측과 메이지 정부 사이의 협상을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 그러나 메이지 유신으로 정치 권력의 중심이 교토에서 도쿄로 이동하면서 에치젠은 점차 변방 지역으로 전락했다.[4]
1871년 폐번치현으로 후쿠이현과 쓰루가현이 설치되었으나, 1875년 이시카와현과 시가현에 통합되었다가 1881년 후쿠이현이 재설치되었다.[4] 1871년 이후 에치젠이라는 행정 구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지만,[4] 1894년 일본과 미국, 일본과 영국 간의 조약에서 에치젠이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등 특정 목적을 위해 법적으로는 계속 존재했다.[5] 1958년 10월 15일에는 후쿠이 현과 기후 현의 경계 조정으로 오노 군 이시토시로 촌이 기후 현으로 이관되었다.
메이지 초기 시점의 에치젠 국 지배 구역은 다음과 같다.(1,495개 마을, 680,914석).
군 | 석 | 마을 수 | 지배 |
---|---|---|---|
난조군 | 35,502석 | 89개 마을 | 천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사바에 번, 와카사고하마 번, 미카와니시오 번, 미노구조 번 |
이마다테군 | 85,575석 | 191개 마을 | 막부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와카사 고하마 번 |
단뉴군 | 86,692석 | 231개 마을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오노 번, 미카와 니시오 번, 미노 구조 번 |
오노군 | 96,259석 | 258개 마을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오노 번, 가쓰야마 번, 사바에 번, 미노 구조 번 |
아스와군 | 88,467석 | 158개 마을 | 후쿠이 번 |
요시다군 | 80,191석 | 136개 마을 | 후쿠이 번 |
사카이군 | 185,419석 | 351개 마을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미카와 니시오 번 |
쓰루가군 | 22,806석 | 81개 마을 | 기본령, 마리야마 번, 와카사 고하마 번, 아와가쓰야마 번, 고와쿠씨 지행 |
2. 1. 고대 ~ 중세
689년-692년(기토쿠 3-6년)경 고지국(こしのくに)이 고지도전・고지도중・고지도후의 3국으로 분할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고지전・고지중・고지후의 표기를 거쳐,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국인(國印) 제작 당시 에치젠・에치추・에치고의 표기로 정해진 것으로 추정된다.3국으로 분할되었을 당시의 "에치젠국"의 영역은 현재의 이시카와현과 후쿠이현 북부를 포함하여, 후의 쓰루가군(구 각록국), 니우군(구 고지국), 아사후군, 오노군, 사카이군(구 삼국), 에누마군(구 강沼국), 가가군(구 가가국), 하쿠이군(구 우가국), 노토군(구 능등국), 호우지군, 슈슈군의 11군에 이르는 광대한 면적이었다.
요로 2년(718년) 5월 2일에, 현재의 이시카와현 북부에 해당하는 하쿠이군, 노토군, 호우지군, 슈슈군 4군을 노토국으로 분리시켰다.
코닌 14년(823년) 3월 1일에, 현재의 이시카와현 남부에 해당하는 가가군과 에누마군을 떼어내어 가가국을 설치하였다. 이후로는 군 단위의 이관은 없었고, 주로 현재 후쿠이현의 남부(와카사국)를 제외한 부분이 영역이 되었다. 7세기 말의 에치젠국으로부터는 5분할, 8세기 초의 에치젠국으로부터는 3분할되었지만, 그래도 남은 에치젠국은 엔기식에 의한 등급에서 북륙도 유일의 대국으로 분류되었다.
하쿠산 서쪽 기슭에 해당하는 현재의 이시카와현 일부(하쿠산시의 구 하쿠산촌 지역, 동시 구 오구치촌 지역 일부 및 동현 고마쓰시 구 신마루촌 지역)은 하쿠산록 18개 마을이라고도 불리며, 신앙 등산을 둘러싼 이권을 놓고 가가 측과 에치젠 측에서 중세 이래 귀속 다툼이 끊이지 않는 지역이었고, 가가와 에치젠 양국의 사이를 흔들렸다. 최종적으로 에치젠국이었으면서도 메이지 유신 초기 이시카와현에 편입된 지역이 되었다.[8][9] 미노국과의 경계에 있던 현 기후현구조시의 구 이시토시로촌 지역도 에치젠국의 영역으로 한때 후쿠이현이었지만, 쇼와 대합병으로 기후현 쪽으로 경계를 넘어 합병되었다.[8]
교토나 나라를 겨냥하기에 너무 가깝지도 않고 너무 멀지도 않은 대국[10]이기도 하여, 고래로부터 이곳을 근거로 천하를 다투어 멸망한 무장이 적지 않다. 니타 요시사다, 아사쿠라 요시카게, 시바타 카츠이에가 거론되며(특히 요시사다의 농성은 후에 즉위 무효가 되었지만 새로운 천황을 추대했던 것이다), 주장(主將)은 아니지만 오타니 요시쓰구, 이곳을 재기의 거점으로 피난하는 도중 살해당한 후지와라노 나카마로 등도 이에 준한다. 아케치 미쓰히데도 한때 이국의 주민이었다.
계태 천황은 에치젠국으로부터 야마토로 맞이해졌다고 전해지며, 만엽집 가인으로 잘 알려진 시키노 미코(덴지 천황 황자)의 어머니 "에치미치노 키미 이라토메"도 이국의 출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외, 직접 천하를 취하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으로 영명하다고 일컬어지면서도 동생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계승을 넘겨줄 수밖에 없었던 유키 히데야스도 이곳의 영주로서 후반생을 보냈다. 쌀의 산지로서 하리마국과 "일반이에치"(일반니에치)라고 불렸다.[11]
남북조 시대 대부분 동안 에치젠은 아시카가 막부와 북조의 지배하에 있었다. 이 지역은 막부가 수도를 공격하기 위한 발진 기지로 자주 이용되었으며, 여러 결정적인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 대부분 동안에는 시바 씨가 에치젠의 슈고로 통치했다. 시바 씨는 센고쿠 시대 초기에 아사쿠라 씨에게 밀려났고, 아사쿠라 씨는 이치조다니를 본거지로 삼았다. 아사쿠라 요시카게 통치하에 에치젠은 이 혼란스러운 시대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큰 평화와 안정을 누렸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잇코잇키와의 협상 덕분이었다. 그 결과 에치젠은 남쪽의 폭력에서 피난 온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2. 2. 근세 ~ 현대
1868년부터 1869년까지 벌어진 보신 전쟁에서 후쿠이 번의 17대 번주였던 마쓰다이라 요시나가(마쓰다이라 슌가쿠)는 막부 측과 메이지 정부 사이의 협상을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 그러나 메이지 유신으로 정치 권력의 중심이 교토에서 도쿄로 이동하면서 에치젠은 점차 변방 지역으로 전락했다.[4]1871년 8월 29일, 후쿠이 현(제1차)과 쓰루가 현이 설치되었으나, 1875년 8월 21일 후쿠이 현은 이시카와 현에, 쓰루가 현은 시가 현에 통합되었다.[4] 이후 1881년 2월 7일 후쿠이 현이 재설치되었다.[4]
1871년 이후 에치젠이라는 행정 구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지만,[4] 1894년 일본과 미국, 일본과 영국 간의 조약에서 에치젠이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등 특정 목적을 위해 법적으로는 계속 존재했다.[5]
1958년 10월 15일에는 후쿠이 현과 기후 현의 경계 조정으로 오노 군 이토시로 촌이 기후 현으로 이관되었다.
메이지 초기 시점의 지배 구역은 다음과 같다.
군 | 마을 수 | 석 | 지배 구역 |
---|---|---|---|
난조 군 | 89개 마을 | 35,502석 | 천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사바에 번, 와카사고하마 번, 미카와니시오 번, 미노구조 번 |
이마다테 군 | 191개 마을 | 85,575석 | 막부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와카사 고하마 번 |
단뉴 군 | 231개 마을 | 86,692석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오노 번, 미카와 니시오 번, 미노 구조 번 |
오노 군 | 258개 마을 | 96,259석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오노 번, 가쓰야마 번, 사바에 번, 미노 구조 번 |
아스와 군 | 158개 마을 | 88,467석 | 후쿠이 번 |
요시다 군 | 136개 마을 | 80,191석 | 후쿠이 번 |
사카이 군 | 351개 마을 | 185,419석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미카와 니시오 번 |
쓰루가 군 | 81개 마을 | 22,806석 | 기본령, 마리야마 번, 와카사 고하마 번, 아와가쓰야마 번, 고와쿠 씨 지행 |
- 1869년 7월 31일 : 아와 가쓰야마 번이 가치야마 번으로 개칭.
- 1869년 8월 1일 : 마리야마 번의 공식 명칭이 '''쓰루가 번'''이 됨.
- 1870년 4월 23일 : 쓰루가 번이 개칭하여 '''마리야마 번'''이 됨.
- 1870년 10월 11일 : 마리야마 번이 고하마 번에 편입.
- 1871년 2월 11일 : 막부령·기본령이 '''혼포 현'''의 관할이 됨.
- 1871년 8월 29일 : 폐번치현에 따라 번령이 '''후쿠이 현'''(제1차), '''가쓰야마 현''', '''사바에 현''', '''오노 현''', '''마루오카 현''' 및 가치야마 현, 고하마 현, 니시오 현, 구조 현의 비지가 됨.
- 1871년 12월 25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따라 가치야마 현의 관할 구역이 '''기사라즈 현'''의 관할이 됨.
- 1871년 12월 31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따라 쓰루가 군·이마다테 군·난조 군이 '''쓰루가 현''', 나머지가 '''아스와 현'''의 관할이 됨.
- 1873년 1월 14일 : 전역이 '''쓰루가 현'''의 관할이 됨.
- 1875년 8월 21일 : 쓰루가 군이 '''시가 현''', 나머지가 '''이시카와 현'''의 관할이 됨.
- 1881년 2월 7일 : 전역이 '''후쿠이 현'''의 관할이 됨.
- 1958년 10월 15일 : 오노 군 이시토시로 촌이 기후 현 구조 군 시라토리 정(현·구조 시)에 편입됨.
2. 3. 행정 구역 변천
7세기 말 689년-692년(기토쿠 3-6년)경 고지국(こしのくに)이 고지도전・고지도중・고지도후의 3국으로 분할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고지전・고지중・고지후의 표기(表記)를 거쳐,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국인(國印) 제작 당시 에치젠・에치추・에치고의 표기로 정해진 것으로 추정된다.701년, 대보령 개혁에 따라 고시 국은 에치젠, 에치우, 에치고의 세 국으로 나뉘었다. 원래의 에치젠은 현재의 이시카와현 전체를 포함했다.[2] 요로 2년(718년) 5월 2일에, 현재의 이시카와현 북부에 해당하는 하쿠이 군, 노토 군 (가시마 군이라고도 함), 후게시 군, 스즈 군 4군을 노토국으로 분리시켰다. 코닌 14년(823년) 3월 1일에, 현재의 이시카와현 남부에 해당하는 가가군과 에누마군을 떼어내어 가가국을 설치하였다. 이후로는 군 단위의 이관은 없었고, 주로 현재 후쿠이현의 남부(와카사국)를 제외한 부분이 영역이 되었다. 7세기 말의 에치젠국으로부터는 5분할, 8세기 초의 에치젠국으로부터는 3분할되었지만, 그래도 남은 에치젠국은 엔기식에 의한 등급에서 북륙도 유일의 대국으로 분류되었다.[4]
3국으로 분할되었을 당시의 "에치젠국"의 영역은 현재의 이시카와현과 후쿠이현 북부를 포함하여, 후의 쓰루가군(구 각록국), 니우군(구 고지국), 아사후군, 오노군, 사카이군(구 삼국), 에누마군(구 강沼국), 가가군(구 가가국), 하쿠이군(구 우가국), 노토군(구 능등국), 호우지군, 슈슈군의 11군에 이르는 광대한 면적이었다.
메이지 유신 직전의 영역은 현재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로 표기된 자치체 및 군은 전역이, 보통 글씨는 일부가 영토에 해당한다.
- 후쿠이현
- * '''후쿠이시'''
- * '''쓰루가시'''
- * '''오노시'''
- * '''가쓰야마시'''
- * '''사바에시'''
- * '''아와라시'''
- * '''에치젠시'''
- * '''사카이시'''
- * '''요시다군'''
- * '''이마다테군'''
- * '''난죠군'''
- * '''니우군'''
- 기후현
- * 구조시
- ** 시라토리정 이시토시라
메이지 초기 시점의 지배 구역은 다음과 같다.(1,495개 마을, 680,914석).
군 | 석 | 마을 수 | 지배 |
---|---|---|---|
난조군 | 35,502석 | 89개 마을 | 막부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사바에 번, 와카사고하마 번, 미카와니시오 번, 미노구조 번 |
이마다테군 | 85,575석 | 191개 마을 | 막부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와카사 고하마 번 |
다뉴군 | 86,692석 | 231개 마을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오오노 번, 미카와 니시오 번, 미노 구조 번 |
오노군 | 96,259석 | 258개 마을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오오노 번, 가쓰야마 번, 사바에 번, 미노 구조 번 |
아시와군 | 88,467석 | 158개 마을 | 후쿠이 번 |
요시다군 | 80,191석 | 136개 마을 | 후쿠이 번 |
사카이군 | 185,419석 | 351개 마을 | 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미카와 니시오 번 |
쓰루가군 | 22,806석 | 81개 마을 | 기본령, 마리야마 번, 와카사 고하마 번, 아와가쓰야마 번, 고와쿠씨 지행 |
- 메이지 2년
- * 6월 23일(1869년7월 31일) - 아와 가쓰야마 번이 에치젠 가쓰야마 번, 미사키 가쓰야마 번과의 구별을 위해 임지한사 이후 '''가치야마 번'''으로 개칭.
- * 6월 24일(1869년8월 1일) - 판적봉환에 따라 마리야마 번(통칭)의 공식 명칭이 '''쓰루가 번'''이 됨.
- 메이지 3년
- * 3월 23일(1870년4월 23일) - 쓰루가 번이 개칭하여 '''마리야마 번'''이 됨.
- * 9월 17일(1870년10월 11일) - 마리야마 번이 고하마 번에 편입됨.
- * 12월 22일(1871년2월 11일) - 막부령·기본령이 '''혼포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4년
- * 7월 14일(1871년8월 29일) - 폐번치현에 따라 번령이 '''후쿠이현'''(제1차), '''가쓰야마현''', '''사바에현''', '''오오노현''', '''마루오카현''' 및 가치야마현, 고하마현, 니시오현, 구조현의 비지가 됨.
- * 11월 14일(1871년12월 25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따라 가치야마현의 관할 구역이 '''키사라즈현'''의 관할이 됨.
- * 11월 20일(1871년12월 31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따라 쓰루가군·이마다테군·남조군이 '''쓰루가현''', 나머지가 '''아시와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6년(1873년)1월 14일 - 전역이 '''쓰루가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8년(1875년)8월 21일 - 쓰루가군이 '''시가현''', 나머지가 '''이시카와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14년(1881년)2월 7일 - 전역이 '''후쿠이현'''의 관할이 됨.
- 쇼와 33년(1958년)10월 15일 - 오오노군 이시토시로촌이 기후현구조군시라토리정(현·구조시)에 편입됨.
3. 지역
메이지 유신 직전 에치젠국의 영역은 현재의 후쿠이현의 후쿠이시, 쓰루가시, 오노시, 가쓰야마시, 사바에시, 아와라시, 에치젠시, 사카이시, 요시다군, 이마다테군, 난조군, 니우군과 기후현 구조시의 일부(시라토리정 이시토시라)에 해당한다.
3. 1. 군(郡)
- 쓰루가군(敦賀郡)
- 뉴군(丹生郡)
- 이마다테군(今立郡)
- 아스와군(足羽郡)
- 오노군(大野郡)
- 사카이군(坂井郡)
- 요시다군(吉田郡)
- 난조군(南条郡) - 메이지 시대에 뉴군에서 분리되었으나, 지역 관습으로는 중세 시대부터 별개의 군으로 취급되었다.
3. 2. 막말 번(藩)
藩일본어은 메이지 유신까지 마쓰다이라씨가 에치젠의 대부분을 통제했지만, 내부 갈등으로 인해 후쿠이번의 고쿠다카(석고)는 초기 규모보다 훨씬 줄었고, 여러 새로운 번이 만들어졌다. 또한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은 막부가 직접 관리하는 천령(쇼군령)이 되었다.# | 이름 | 유형 | 다이묘 | 고쿠다카(석고) |
---|---|---|---|---|
![]() | 후쿠이번 | 신판 | 마쓰다이라씨 | 32만 곡 |
마루오카번 | 부다이 | 아리마씨 | 5만 곡 | |
사바에번 | 부다이 | 마나베씨 | 4만 곡 | |
![]() | 오노번 | 부다이 | 도이씨 | 5만 곡 |
에치젠 가쓰야마번 | 부다이 | 오가사와라씨 | 2만 2천 곡 | |
![]() | 쓰루가번 | 부다이 | 사카이씨 | 1만 1천 곡 |
- 「旧高旧領取調帳」에 기록된 메이지 초기 시점의 지배 구역은 다음과 같다(1,495개 마을, 680,914석). '''굵은 글씨'''는 해당 군에 번청(한청)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국명이 있는 것은 비지(월경지)이다.
- * 난조군(89개 마을, 35,502석) - 천령(막부령)(후쿠이 번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사바에 번, 와카사고하마 번, 미카와니시오 번, 미노구조 번
- * 이마다테군(191개 마을, 85,575석) - 천령(막부령)(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와카사고하마 번
- * 뉴군(231개 마을, 86,692석) - 천령(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기본령, 후쿠이 번, 사바에 번, 오노 번, 미카와니시오 번, 미노구조 번
- * 오노군(258개 마을, 96,259석) - 천령(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오노 번''', '''가쓰야마 번''', 사바에 번, 미노구조 번
- * 아스와군(158개 마을, 88,467석) - '''후쿠이 번'''
- * 요시다군(136개 마을, 80,191석) - 후쿠이 번
- * 사카이군(351개 마을, 185,419석) - 천령(막부령)(혼포 대관소·후쿠이 번 예지), 후쿠이 번, '''마루오카 번''', 미카와니시오 번
- * 쓰루가군(81개 마을, 22,806석) - 기본령, '''마리야마 번''', 와카사고하마 번, 아와가쓰야마 번, 고와쿠씨 지행
- 메이지 2년
- * 6월 23일(1869년7월 31일) - 아와가쓰야마 번이 에치젠가쓰야마 번, 미사키가쓰야마 번과의 구별을 위해 임지한사 이후 '''가치야마 번'''으로 개칭.
- * 6월 24일(1869년8월 1일) - 판적봉환에 따라 마리야마 번(통칭)의 공식 명칭이 '''쓰루가 번'''이 됨.
- 메이지 3년
- * 3월 23일(1870년4월 23일) - 쓰루가 번이 개칭하여 '''마리야마 번'''이 됨.
- * 9월 17일(1870년10월 11일) - 마리야마 번이 고하마 번에 편입됨.
- * 12월 22일(1871년2월 11일) - 천령(막부령)·기본령이 '''혼포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4년
- * 7월 14일(1871년8월 29일) - 폐번치현에 따라 번령이 '''후쿠이현'''(제1차), '''가쓰야마현''', '''사바에현''', '''오노현''', '''마루오카현''' 및 가치야마현, 고하마현, 니시오현, 구조현의 비지(월경지)가 됨.
- * 11월 14일(1871년12월 25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따라 가치야마현의 관할 구역이 '''키사라즈현'''의 관할이 됨.
- * 11월 20일(1871년12월 31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따라 쓰루가군·이마다테군·난조군이 '''쓰루가현''', 나머지가 '''아스와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6년(1873년)1월 14일 - 전역이 '''쓰루가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8년(1875년)8월 21일 - 쓰루가군이 '''시가현''', 나머지가 '''이시카와현'''의 관할이 됨.
- 메이지 14년(1881년)2월 7일 - 전역이 '''후쿠이현'''의 관할이 됨.
- 쇼와 33년(1958년)10월 15일 - 오노군 이시토시로촌이 기후현구조군시라토리정(현·구조시)에 편입됨.
4. 시설
국부(國府)는 현재의 에치젠시(越前市)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유구는 발견되지 않았고,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에치젠시청(에치젠시 후츄) 부근에서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기둥 구멍과 "국찰(國寺)" 등의 먹글 명토기가 발견되어, 그곳이 국부 유적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2]
- 에치젠 국분사터
- : 창건 당시의 유구는 소재 불명이다. 고쿠산 국분사(에치젠시 교마치)가 불법을 계승한다.
니테라터도 불명이다.
- '''延喜式 神名帳'''
- : 『延喜式 神名帳』에는 대사 8좌 2사, 소사 118좌 111사의 총 126좌 113사가 기록되어 있다(「越前国의 式内社 목록」 참조). 대사 2사는 아래와 같으며, 모두 명신대사이다.
- * 敦賀郡 기비신사 7좌
- ** 비정사: 氣比神宮 (敦賀市 아케보노마치)
- * 丹生郡 오무시신사
- ** 비정사: 오무시신사 (越前市 오무시마치)
- '''총사·일궁 이하'''
- : 『중세 제국 일궁제의 기초 연구』에 근거한 일궁 이하의 목록[13]이다.
- * 총사: 총사대신궁 (에치젠시 교마치)
- * 일궁: 氣比神宮 (敦賀市 아케보노마치)
참고로, 이궁을 劔神社(丹生郡 越前町 오리다)로 보는 설이 있으나, 중세 사료가 없어 불명[14]이다. 삼궁 이하는 미상이다.
5. 인물
헤이안 시대 에치젠 국의 국주였던 후지와라노 타메토키는 유명한 작가 무라사키 시키부의 아버지였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평생 단 한 번, 아버지와 함께 에치젠에 갔을 때만 고향 헤이안쿄를 떠났다. 1년 남짓 머물다가 고향으로 돌아와 후지와라노 노부타카와 결혼했는데, 에치젠에서의 경험은 그녀의 대표작 『겐지 모노가타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전해지며, 작품 속 많은 지명이 에치젠과 관련되어 있다.[2]
교토나 나라와 적당한 거리에 있는 대국[10]이었던 에치젠은, 예로부터 이곳을 근거지로 천하를 다투다 멸망한 무장이 많다. 니타 요시사다, 아사쿠라 요시카게, 시바타 카츠이에가 대표적이며(특히 요시사다는 후에 즉위가 무효가 되었지만 새 천황을 추대하기도 했다), 주장은 아니지만 오타니 요시쓰구, 이곳으로 피난 왔다가 살해당한 후지와라노 나카마로 등도 이에 해당한다. 아케치 미쓰히데도 한때 이곳 사람이었다.
게이타이 천황은 에치젠국에서 야마토로 초대되었다고 전해지며, 만엽집 가인으로 유명한 시키노 미코(덴지 천황 황자)의 어머니 "에치미치노 키미 이라토메"도 이 지역 출신으로 여겨진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으로, 영특했지만 동생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후계를 양보해야 했던 유키 히데야스도 이곳 영주로 여생을 보냈다. 쌀 생산지로 하리마국과 함께 "일반이에치"(일반니에치)라고 불렸다.[11]
막말 시대 후쿠이 번의 17대 번주 마쓰다이라 요시나가(마쓰다이라 슌가쿠)는 국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보신 전쟁 종결 시 도쿠가와 측의 메이지 정부 항복 협상을 중재했다.
5. 1. 국사(国司)
취임 년도 | 이름 |
---|---|
759년 (덴표호지 3년) | 아베 히로토(阿倍広人) |
785년 (연력 4년) | 후지와라노 우치마로(藤原内麻呂) |
786년 (연력 5년) | 후지와라노 우치마로 |
844년 (조와 11년) – 849년 (가쇼 2년) | 료젠 모쿠렌 |
892년 2월 25일 (간표 4년 정월 23일) – 895년 (간표 7년) | 미나모토노 나오 |
901년 (엔기 원년) | 미나모토노 요시, 산토리헤이(三統理平) |
906년 (엔기 6년) | 다치바나노 요시쿠 |
996년 (조토쿠 2년) | 미나모토노 구니모리, 후지와라노 다메토키 (무라사키 시키부의 아버지. 무라사키 시키부도 에치젠 국후에 동행했다고 한다.) |
1058년 (고헤이 원년) | 후지와라노 사다나리 |
1100년 (고와 2년) | 후지와라노 무네요시 |
1171년 (조안 3년) | 다이라노 스케모리 |
1200년경 | 후지와라노 다카노부 |
? | 니와 나가히데 |
5. 2. 수호(守護)
무로마치 시대 대부분 동안 시바 씨가 에치젠 국의 슈고(守護)로 통치했다. 센고쿠 시대 초기에 아사쿠라 씨에게 밀려났고, 아사쿠라 씨는 이치조다니를 본거지로 삼았다. 아사쿠라 요시카게 통치하에 에치젠은 이 혼란스러운 시대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큰 평화와 안정을 누렸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잇코잇키와의 협상 덕분이었다. 그 결과 에치젠은 남쪽의 폭력에서 피난 온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었다.[3]오다 노부나가가 에치젠을 침공했을 때, 그는 아사쿠라 씨를 패배시키고 이치조다니 성을 불태워 버렸으며, 에치젠후추에 지방 중심지를 재건했고, 후와 미쓰하루, 사사 나리마사, 마에다 도시이에 등 그의 장군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지역은 그들의 손에 잠시 머물렀을 뿐, 그 후 세 장군은 다른 곳에서 더 큰 영지를 받았다. 노부나가 사후 에치젠은 시바타 가쓰이에에게 넘어갔고, 그는 현재 후쿠이시에 있는 기타노쇼 성을 건설했다. 시바타 자신은 에치젠을 몇 년 동안만 지배했고, 그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패배했다.[3]
에치젠 국의 슈고는 다음과 같다.
재임 기간 | 이름 |
---|---|
? ~ 1191년 | 비키 아사무네 |
1213년 ~ ? | 오오우치 요리요시 |
? ~ 1221년 | 오오우치 요리노부 |
1221년 ~ 1227년 | 시마즈 타다히사 |
1227년 ~ 1228년 | 시마즈 타다토키 |
1228년 ~ ? | 고토 모츠나 |
1275년경 ~ ? | 기라 만우지/아시카가 만우지? |
1301년 ~ ? | 고토 모토요리 |
1321년 ~ ? | 고토 모토오 |
1336년 ~ 1341년 | 스파 다카쓰네 |
1346년 ~ 1350년 | 호소카와 요리하루 |
1352년 ~ 1366년 | 스파 다카쓰네·스파 우지쓰네·스파 요시타네 |
1366년 ~ 1379년 | 하타케야마 요시후카 |
1379년 | 하타케야마 모토쿠니 |
1380년 ~ 1396년 | 스파 요시마사 |
1398년 ~ 1418년 | 스파 요시시게 |
1418년 ~ 1433년 | 스파 요시아쓰 |
1433년 ~ 1436년 | 스파 요시카타 |
1436년 ~ 1452년 | 스파 요시타케 |
1452년 ~ 1460년 | 스파 요시토시 |
1460년 ~ 1461년 | 스파 마쓰오마루 |
1461년 ~ 1466년 | 스파 요시카즈 |
1466년 | 스파 요시토시 |
1466년 ~ 1471년 | 스파 요시카즈 |
1471년 ~ 1481년 | 아사쿠라 다카카게(7대 당주) |
1481년 ~ 1486년 | 아사쿠라 우지카게(8대 당주) |
1486년 ~ 1512년 | 아사쿠라 사다카게(9대 당주) |
1512년 ~ 1548년 | 아사쿠라 다카카게(10대 당주) |
1548년 ~ 1573년 | 아사쿠라 요시카게 |
5. 3.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
무로마치 시대 대부분 동안 시바 씨(斯波氏)가 슈고로 에치젠을 통치했다. 시바 씨는 센고쿠 시대(戦国時代) 초기에 아사쿠라 씨(朝倉氏)에게 밀려났고, 아사쿠라 씨는 일조다니(一乗谷)를 본거지로 삼았다. 아사쿠라 요시카게(朝倉義景) 통치하에 에치젠은 이 혼란스러운 시대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큰 평화와 안정을 누렸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이꼬익키(一向一揆)와의 협상 덕분이었다. 그 결과 에치젠은 남쪽의 폭력에서 피난 온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었다.[3]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에치젠을 침공했을 때, 그는 아사쿠라 씨를 패배시키고 일조다니 성(一乗谷城)을 불태워 버렸으며, 에치젠후추(越前府中)에 지방 중심지를 재건했고, 후와 미쓰하루(不破光治), 사사 나리마사(佐々成政), 마에다 토시이에(前田利家) 등 그의 장군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지역은 그들의 손에 잠시 머물렀을 뿐, 그 후 세 장군은 다른 곳에서 더 큰 영지를 받았다. 노부나가 사후 에치젠은 시바타 가쓰이에(柴田勝家)에게 넘어갔고, 그는 현재 후쿠이시(福井市)에 있는 기타노쇼 성(北ノ庄城)을 건설했다. 시바타 자신은 에치젠을 몇 년 동안만 지배했고, 그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게 패배했다.[3]
5. 4. 오다/도요토미 정권 다이묘(大名)
오다 노부나가가 아사쿠라 씨를 멸망시킨 후, 에치젠후추에 지방 중심지를 재건하고 후와 미츠하루, 사사 나리마사, 마에다 토시이에 등 자신의 장군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들은 잠시 후 다른 곳으로 더 큰 영지를 받아 옮겨갔다. 노부나가 사후 시바타 가쓰이에가 기타노쇼 성을 건설하고 에치젠을 다스렸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패배했다.[3]; 오다 정권
; 도요토미 정권
- 니와 나가히데 - 니와 나가시게 (기타노쇼 성 )
- 호리 히데마사 - 호리 히데하루 (기타노쇼 성 )
- 아오키 카즈나리 (오노 성 → 에치젠 후츄 성 → 기타노쇼 성 )
- 아오키 토시나리 (콩고인 성 )
- 아오야마 무네카츠 (마루오카 성 )
- 아카자 나오야스 (이마죠 )
- 오타니 요시쓰구 (쓰루가 성 )
5. 5. 에도 시대 이후 무가 관위(武家官位)
- 나가오 하루카게 (우에다 나가오가, 요네자와번 초대 번주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조부)
- 나가오 마사카게 (나가오 하루카게와 동일인물,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친부)
- 나카죠 후지스케
- 아키야마 노부토모 (다케다 가문 가신)
- 혼조 시게나가
- 다테 마사무네 伊達 政宗|다테 마사무네일본어 (1597년(게이초 2년) - 1608년(게이초 13년))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기타노쇼(후쿠이) 번 제2대 번주, ) (1615년(겐와 원년) 윤6월 19일 - 1623년(겐와 9년))
- 센가쿠 마사토시 (1634년(간에이 11년) - 1628년(간에이 5년))
- 혼다 도시나가 (1646년(쇼호 3년))
- 마쓰다이라 미쓰미치 (에치젠 후쿠이 번 제4대 번주, ) (1648년(게이안 원년) 12월 21일 - 1674년(엔포 2년) 3월 24일)
- 센가쿠 마사아키 (1672년(간분 12년))
- 마쓰다이라 쓰나마사 (에치젠 후쿠이 번 제6대 번주, ) (1675년(엔포 3년) 11월 23일 - 1686년(조쿄 3년) 윤3월 6일)
- 마베 아키후사 (1704년(호에이 원년))
- 오오카 다다스케 (에도 마치부교, 지샤부교를 거쳐 미카와 니시오히라 번 초대 번주, ) (1717년(교호 2년))
- 오오카 다다타카 (1752년(호레키 2년))
- 마쓰다이라 시게마사 (에치젠 후쿠이 번 제11대 번주, ) (1755년(호레키 5년) 6월 13일 - 1758년(호레키 8년) 3월 21일)
- 마쓰다이라 시게토미 (에치젠 후쿠이 번 제12대 번주, ) (1760년(호레키 10년) - 1799년(간세이 11년) 9월 18일)
- 오오카 다다쓰네 (1766년)
- 오오카 다다요시 (1784년)
- 우에스기 하루노리 (요네자와 번 제9대 번주) (1785년(덴메이 5년) - )
- 오오카 다다히로
- 마쓰다이라 하루요시 (에치젠 후쿠이 번 제13대 번주, 30→) (1802년(교와 2년) 2월 29일 - 1825년(분세이 8년) 12월 1일)
- 마쓰다이라 나리쓰구 (에치젠 후쿠이 번 제14대 번주, ) (1826년(분세이 9년) 12월 19일 - 1835년(덴포 6년) 윤7월 2일)
- 오오카 다다요시
- 마쓰다이라 나리요시 (에치젠 후쿠이 번 제15대 번주, ) (1835년(덴포 6년) 10월 28일 - 1838년(덴포 9년))
-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에치젠 후쿠이 번 제16대 번주, ) (1838년(덴포 9년) 12월 11일 - 1864년(겐지 원년) 2월 16일)
- 오오카 다다타카
- 마쓰다이라 시게아키 (에치젠 후쿠이 번 제17대 번주, ) (1858년(안세이 5년) 10월 21일 - 1869년(메이지 2년) 6월)
6. 기타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5
[2]
서적
Transactions of the Asiatic Society of Japan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874
[3]
서적
Ancien Japon
https://books.google[...]
1888
[4]
서적
Provinces and prefectures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5]
서적
A digest of international law as embodied in diplomatic discussions,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State
1906
[6]
문서
별칭「越州」는, 에치젠쿠니·에치고쿠니와 아울러, 또는 단독으로의 호칭.
[7]
문서
창설시에는 이시카와현 전역을 포함했다.
[8]
웹사이트
에도시대에 에치젠쿠니, 와카사쿠니였던 지역에서, 현재는 후쿠이현이 아닌 곳은 어디인가.
https://crd.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07-11-13
[9]
학술지
白山麓の越境出作り一文書に見る白峰村白峰の事例-
https://www.pref.ish[...]
石川県白山自然保護センター
[10]
문서
거리적으로는 꽤 가깝지만, 겨울철에는 험준한 기노메 고개가 눈으로 막힌다. 그러나, 츠루가 평야만은 이 영역 밖, 킨키 쪽에 있다는 복잡한 국정이 되고 있다.
[11]
웹사이트
옛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자연에 둘러싸인 도시, 에치젠시
http://www.city.echi[...]
[12]
뉴스
에치젠쿠니의 중심 「국부」 해명할까 에치젠시 제2청사 터에 헤이안의 기둥 구멍
https://web.archive.[...]
중일신문
2016-03-01
[13]
서적
중세 제국 일궁제의 기초 연구
이와타 서원
2000
[14]
서적
중세 제국 일궁제의 기초 연구
이와타 서원
2000
[15]
웹사이트
부자현 제1위는 상재에 능한 「후쿠이현」
https://web.archive.[...]
SANKEI BIZ
2017-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