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か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か행은 일본어 음운의 한 종류로, 청음 'か', 'き', 'く', 'け', 'こ'와 탁음 が행, 요음, 합요음으로 구성된다. 청음의 음소는 /k/이며, 탁음은 /ɡ/로 발음된다. 외래어 표기 시에는 '콰', '퀴', '퀘', '쿼', 'グァ', 'キェ' 등이 사용된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か행은 각각 한자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일본어에서는 갑류와 을류로 구분되기도 했다. 'き', 'く' 뒤에 か행이 올 경우 촉음화가 일어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십음 - あ행
  • 오십음 - や행
    や행은 일본어 가나의 한 행으로, 'や', 'ゆ', 'よ'를 포함하며 자음 y 또는 j와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역사적으로 음운 변화와 요음 형성의 특징을 가지며, 현대 일본어에는 'え'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か행
가행 (か行)
설명가행(か行, 카교-)은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다. 오십음도에 따르면, 2번째 행에 위치한다.
발음가행의 각 음은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음성학적 설명"か"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k + 모음 ɑ로 발음된다.
"き"는 무성 경구개 파열음 c + 모음 i로 발음된다.
"く"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k + 모음 ɯ로 발음된다.
"け"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k + 모음 e로 발음된다.
"こ"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k + 모음 o로 발음된다.
문자"か"는 가(카타카나) 또는 か(히라가나)로 쓴다.
"き"는 キ(카타카나) 또는 き(히라가나)로 쓴다.
"く"는 ク(카타카나) 또는 く(히라가나)로 쓴다.
"け"는 ケ(카타카나) 또는 け(히라가나)로 쓴다.
"こ"는 コ(카타카나) 또는 こ(히라가나)로 쓴다.
탁음
설명가행의 글자에는 탁점을 붙여서 발음이 바뀐다.
발음"が"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 + 모음 ɑ로 발음된다.
"ぎ"는 유성 경구개 파열음 ɟ + 모음 i로 발음된다.
"ぐ"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 + 모음 ɯ로 발음된다.
"げ"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 + 모음 e로 발음된다.
"ご"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 + 모음 o로 발음된다.
문자"が"는 ガ(카타카나) 또는 が(히라가나)로 쓴다.
"ぎ"는 ギ(카타카나) 또는 ぎ(히라가나)로 쓴다.
"ぐ"는 グ(카타카나) 또는 ぐ(히라가나)로 쓴다.
"げ"는 ゲ(카타카나) 또는 げ(히라가나)로 쓴다.
"ご"는 ゴ(카타카나) 또는 ご(히라가나)로 쓴다.
가행 (가행)
설명가행(가행, 문화어: 가줄기)은 일본어 모음의 하나이다. 오십음도에 따르면, 두 번째 줄에 위치한다. 가행의 각 글자는 다음과 같다.
글자か、き、く、け、こ
カ、キ、ク、ケ、コ
발음 (대략)ka, ki, ku, ke, ko.

2. 발음

か행의 발음은 한국어의 'ㄱ'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청음 か행의 두자음(초성) 음소는 이다. 음성학적으로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이며, 혀 뒷부분을 입천장 속 부분(연구개(여린 입천장))에 밀착시켜 폐쇄한 후 파열시켜서 소리낸다. 다만, 「き」의 두자음은 경구개화되어 조음점이 다른 か행 음보다 전방으로 이동하여 후부 경구개가 된다.

탁음 が행(が ぎ ぐ げ ご)의 두자음 음소는 이다. 일상적으로 비탁음을 사용하는 화자는 이 두자음을 유성 연구개 파열음 로, 그 외에는 연구개 비음 으로 발음한다.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화자는 문두(문절의 머리) 및 발음(「ん」) 뒤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 그 외에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또는 약한 유성 연구개 파열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어느 경우든 「ぎ」의 두자음은 「き」와 마찬가지로 경구개화되어 조음점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か행과 が행의 い단음을 1문자로 하는 개요음 「きゃ」, 「きゅ」, 「きょ」와 「ぎゃ」, 「ぎゅ」, 「ぎょ」의 두자음 음소는 각각 와 이다. 그 발음은 「き」 및 「ぎ」의 두자음과 마찬가지이다.

전통적으로 사용된 합요음「くゎ」, 「ぐゎ」는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か, が로 발음되고 현대 가나 사용법에서는 か, が로 쓰인다.

일본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는 아이누어, 한국어, 중국어에서 か행이 존재한다.

2. 1. 청음 (清音)

청음(清音) 'か', 'き', 'く', 'け', 'こ'의 두자음(초성) 음소는 /k/이다. 음성학적으로 무성 연구개 파열음 [k]로 발음되며, 혀 뒷부분을 연구개(여린입천장)에 밀착시켜 폐쇄한 후 파열시켜 소리낸다. 'き'는 경구개화되어 다른 가행 음보다 조음점이 전방으로 이동, 후부 경구개에서 발음된다.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 헵번식 모두 'ka', 'ki', 'ku', 'ke', 'ko'이다.

2. 2. 탁음 (濁音)

탁음 が행(が ぎ ぐ げ ご)의 두자음 음소는 /ɡ/이다. 일상적으로 비탁음을 사용하는 화자는 문절의 시작에서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 그 외에는 연구개 비음 [ŋ]으로 발음한다.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화자는 문절의 시작 및 'ん' 뒤에서 유성 연구개 파열음 [ɡ], 그 외에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 또는 약한 유성 연구개 파열음으로 발음한다. 'ぎ'는 'き'와 마찬가지로 경구개화되어 조음점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 헵번식 모두 'ga', 'gi', 'gu', 'ge', 'go'이다. 비탁음 사용 지역은 도쿄 방언을 중심으로 동일본 이북에 널리 퍼져 있으며, 주고쿠, 시코쿠 이서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3. 요음 (拗音)

か행과 が행의 い단을 1문자로 하는 개요음 "きゃ", "きゅ", "きょ"와 "ぎゃ", "ぎゅ", "ぎょ"의 두자음 음소는 각각 /kj/와 /ɡj/이다. 그 발음은 "き" 및 "ぎ"의 두자음과 마찬가지이다. 로마자로는 일본식, 헵번식 모두 kya, kyu, kyo 및 gya, gyu, gyo로 표기된다.[1]

전통적으로 사용된 합요음 "くゎ", "ぐゎ"는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들은 현재 대부분의 지역에서 か, が로 발음되고,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か, が로 쓰인다. 로마자 표기는 헵번식에서는 ka, ga이지만, 일본식에서는 kwa, gwa이다.[1]

3. 외래어 표기

일본어는 외래어를 가나로 표기할 때 원음이나 원철자에 가깝게 표기하기 위해 특별한 가나 조합을 사용한다. 외래어 표기법 제2표에는 '콰'(クァ), '퀴'(クィ), '퀘'(クェ), '쿼'(クォ), '과'(グァ)가 제시되어 있으며, '키에'(キェ)는 표에 없지만 가끔 사용된다.[1]

3. 1. 「クァ」「クィ」「クェ」「クォ」

'콰'(クァ), '퀴'(クィ), '퀘'(クェ), '쿼'(クォ)는 외래어 표기법 제2표에 제시되어 있으며, 외래어의 원음 또는 원철자에 최대한 가깝게 표기하려는 경우에 사용되는 가나이다. 일본어에서는 "쿠아", "쿠이", "쿠에", "쿠오"나 "쿠와", "쿠위", "쿠웨", "쿠워" 또는 "카", "키", "케", "코"로 발음되며, 또 그렇게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콰르텟(カルテット), 퀘스천(クエスチョン) 등.[1]

3. 2. 「グァ」

'과'(グァ)는 외래어 표기법 제2표에 제시되어 있으며, 외래어의 원음 또는 원철자에 최대한 가깝게 표기하려는 경우에 사용되는 가나이다. 일본어에서는 '구아' 또는 '가'로 발음되며, 또 그렇게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파라과이(パラグァイ), 과테말라(グアテマラ・ガテマラ) 등.[1]

3. 3. 「キェ」

'키에'는 외래어 표기법에는 없지만, 가끔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키에르케고르 등이 있다.[1]

4. 가행 가나의 유래

가행의 히라가나가타카나는 각각 다음 한자에서 유래했다.

히라가나한자가타카나한자
加 (더할 가)加의 부수
幾 (몇 기)幾의 윗부분 변형
久 (오랠 구)久의 처음 두 획
計 (셀 계)介 (끼일 개)를 줄인 것
己 (몸 기)己의 처음 두 획



헨타이가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히라가나

히라가나의 か행은 각각 다음의 한자에서 유래하였다.

글자한자
加 (더할 가)
幾 (몇 기)
久 (오랠 구)
計 (셀 계)
己 (몸 기)



헨타이가나로서 다음과 같은 한자에서 유래하는 것도 많이 사용되었다.


  • か - 可 (옳을 가), 閑 (막을 한), 家 (집 가), 我 (나 아)
  • き - 支 (지탱할 지), 起 (일어날 기), 貴 (귀할 귀), 喜 (기쁠 희)
  • く - 具 (갖출 구), 倶 (함께 구), 九 (아홉 구), 求 (구할 구)
  • け - 介 (끼일 개), 希 (바랄 희), 遣 (보낼 견), 気 (기운 기)
  • こ - 古 (옛 고), 故 (옛 고), 許 (허락할 허), 期 (기약할 기)[1]

4. 2. 가타카나

가타카나의 か행은 각각 다음의 한자에서 유래한다.

가타카나한자
加 (더할 가)의 부수
幾 (몇 기)의 윗부분 변형
久 (오랠 구)의 처음 두 획
介 (끼일 개)를 줄인 것
己 (몸 기)의 처음 두 획


4. 3. 헨타이가나 (変体仮名)

헨타이가나는 히라가나와 모양이 다른 가나를 말한다.

可, 閑, 家, 我支, 起, 貴, 喜具, 倶, 九, 求介, 希, 遣, 気古, 故, 許, 期


5.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 (上代特殊仮名遣)

만요가나에서는 'き'(키), 'け'(케), 'こ'(코)와 그 탁음(각각 'ぎ', 'げ', 'ご')에 대해 갑(甲)류와 을(乙)류, 두 종류의 구분이 나타난다. 이를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이라고 부르며, 고대 일본어의 음운 구별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이러한 구별이 사라졌다.

5. 1. 갑류(甲類)와 을류(乙類)

만요가나에서는 "키", "케", "코"와 그 탁음에 갑을 두 종류로 구별하여 사용했다. 각각 다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상대 특수 가명遣).

갑류을류
伎, 岐, 吉, 棄, 支, 企 등紀, 幾, 貴, 奇, 寄, 綺 등
伎, 岐, 陣, 藝, 蟻 등疑, 宜, 義, 擬 등
家, 計, 鶏, 結, 啓 등気, 既, 該, 戒, 階, 居, 介 등
下, 牙, 雅, 夏気, 宜 등
古, 故, 胡, 孤, 姑, 高 등許, 去, 虚, 興, 己, 居 등
吾, 呉, 胡, 後, 悟, 虞 등其, 期, 碁, 語, 御, 馭 등


6. 촉음화

모라에 맞춰 '기', '쿠' 뒤에 다른 'か행'의 소리가 연속될 경우 촉음화되는 경우가 있다. '학교→가쿠코→각코', '적혈구→세키켓큐→셋켓큐'가 그 예시이다. 하지만 '적확', '독기' 등 촉음이 되지 않고 표기·발음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처음 か행의 모음이 무성음화되어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1] '적확→테키카쿠→테ㅋ카ㅋ', '독기→도쿠케→도ㅋ케'와 같이 발음된다.

7. 음성학적 분류

청음 か행의 첫 자음의 음소무성 연구개 파열음으로, 혀의 뒤쪽 부분을 구개의 안쪽 부분(연구개)에 밀착시켜 일단 닫은 다음 파열시켜 발음하는 무성 자음이다. 단, 'き'의 첫 자음은 구개음화하므로 조음점이 다른 か행 음보다 앞으로 이동하여 후부 경구개가 된다.

탁음 행(が・ぎ・ぐ・げ・ご)의 두 자음 음소는 이다. 일상적으로 비탁음을 사용하는 화자의 경우, 이 두 자음은 문절의 시작에서는 청음의 유성음화된 유성 연구개 파열음, 그 외에는 연구개 비음으로 발음된다. 일상적으로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화자의 경우, 이 두 자음은 문절의 시작 및 비음 "ん" 뒤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 비음 뒤를 제외한 문절 중・문절말에서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또는 그에 가까운 소리(폐쇄 밀착의 정도가 약한 유성 연구개 파열음)로 발음된다. "ぎ"의 두 자음은, "き"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구개화되어 조음점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 'か'행과 'が'행의 'い'단 음을 첫 글자로 하는 요음 "きゃ", "きゅ", "きょ"와 "ぎゃ", "ぎゅ", "ぎょ"의 두음 자음의 음소는 각각 와 이다. 그 발음은 "き" 및 "ぎ"의 두음 자음과 완전히 동일하다.
  •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합요음 "くゎ", "ぐゎ"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들은 현재 대부분의 지역에서 "か", "が"로 발음되며,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か", "が"로 표기된다.


발음표
모음
카행
캬행
콰행
가행
갸행
과행



무색은 무성음, 주황색은 유성음이다. 유성 자음은 문두나 받침 뒤에서는 파열음, 그 외에는 마찰음이 된다. "콰", "과"는 각각 "쿠와", "구와"로도 표기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