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늘고 푸른 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늘고 푸른 선은 1988년에 개봉한 에롤 모리스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1976년 댈러스에서 발생한 경찰관 살해 사건과 관련된 랜들 데일 아담스의 유죄 판결에 초점을 맞춘 이 영화는, 증언, 재연, 그리고 필립 글래스의 음악을 활용하여 사건의 진실을 파헤친다. 이 영화는 아담스의 석방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다큐멘터리 영화 기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화는 2001년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되었고, 이후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립 글래스 영화 음악 - 햄버거 힐
    1969년 아사우 계곡의 937고지, 일명 "햄버거 힐"을 점령하기 위한 [[제101공수사단]]의 전투를 배경으로, 신병들이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겪는 고통과 전우애를 그린 [[존 어빈]] 감독의 1987년 [[베트남 전쟁]] 영화이다.
  • 필립 글래스 영화 음악 - 사랑의 레시피
    완벽주의 셰프 케이트가 조카 조이를 맡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2007년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영화 사랑의 레시피는 캐서린 제타존스, 애런 에크하트, 아비게일 브레스린이 주연을 맡았으며, 엇갈린 평가 속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9,26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 텍사스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더 리턴
    더 리턴은 11살 때부터 환영에 시달리던 조애나 밀스가 고향에서 15년 전 살인 사건과 연관된 단서를 찾아 진범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을 그린 2005년 개봉 영화이다.
  • 텍사스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수색자
    수색자는 1868년 텍사스 서부를 배경으로 남북 전쟁 참전 군인이 조카를 구출하기 위해 여정을 떠나는 내용을 그린 1956년 미국 서부 영화이다.
  •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북극의 나누크
    《북극의 나누크》는 로버트 J. 플래허티가 제작한 1922년 개봉 다큐멘터리 영화로,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인 나누크와 그의 가족의 삶을 담고 있으며, 다큐멘터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게 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아버지, 군인, 아들
    아버지, 군인, 아들은 미국 육군 상사 출신 브라이언 아이쉬와 그의 가족이 겪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후 부상, 아들의 죽음, 다른 아들의 군 입대 등 역경과 변화를 장기간에 걸쳐 기록한 다큐멘터리이다.
가늘고 푸른 선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가늘고 푸른 선
원제The Thin Blue Line
장르다큐멘터리
범죄
미스터리
감독에롤 모리스
제작마크 립슨, 게리 맥도널드
각본에롤 모리스
출연랜들 애덤스, 데이빗 해리스
음악필립 글래스
촬영로버트 샤펠, 스테판 크자프스키
편집폴 반즈
제작사American Playhouse
배급사미라맥스 필름
개봉일1988년 8월 25일
상영 시간103분
국가미국
언어영어
흥행 수입1,209,846 미국 달러 (미국 및 캐나다)
영화제 개봉일1988년 3월 18일 (샌프란시스코 영화제)
영화 공개일1988년 8월 25일 (미국)
영화 각본에롤 모리스

2. 배경

이 영화는 1976년 댈러스 경찰관 로버트 우드의 살해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은 랜들 데일 애덤스의 이야기를 다룬다. 감독 에롤 모리스는 본래 다른 주제의 다큐멘터리를 기획하던 중 애덤스의 사건을 접하고 그의 유죄 판결에 의문을 품게 되면서, 이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것으로 방향을 바꾸었다.[5][6][9][11]

모리스는 영화 제작 과정에서 과거 사립 탐정으로 일했던 경험을 살려 사건을 면밀히 조사했다.[10][13] 또한,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를 직접 보며 인터뷰하는 독특한 방식인 '인터로트론' 기법을 개발하여 사용했는데, 이는 이후 모리스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19] 이 장치는 인터뷰 대상자가 카메라 렌즈 너머의 모리스 감독의 영상을 보며 직접 대화하는 듯한 효과를 내는 방식으로, 영화 ''빠르고, 싸고, 통제 불능''(1997)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19]

사건의 또 다른 핵심 인물인 데이비드 레이 해리스는 이후 1985년 9월 1일, 마크 워커 메이즈를 살해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아 처형되었다.[17] 모리스는 해리스가 해당 살인을 저지른 주말에 그와 인터뷰 약속이 잡혀 있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18]

2. 1. 제작 비화

본래 에롤 모리스 감독은 '닥터 데스'(Doctor Death)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검찰 측 정신과 의사 제임스 그리그슨 박사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기획했다.[5][6] 그리그슨 박사는 100건이 넘는 재판에서 피고인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여 사형 선고를 이끌어낸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7][8]

모리스는 이 초기 구상을 위해 공영 방송 서비스와 국립 예술 기금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9][10] 모리스는 지원금으로 그리그슨 박사를 인터뷰했는데, 이때 그리그슨은 자신이 증언했던 모든 수감자를 먼저 만나볼 것을 제안했다.[9] 이 과정에서 모리스는 랜들 데일 애덤스를 만나 그의 사건에 대해 알게 되었다.[9] 그리그슨은 배심원에게 애덤스가 살아있는 한 지속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모리스는 애덤스를 직접 만난 후 그의 유죄 여부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11] 그리그슨 박사의 피고인 면담은 매우 형식적이고 짧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10] 결국 모리스는 애덤스의 유죄 판결을 둘러싼 진실을 파헤치는 것으로 다큐멘터리의 초점을 변경했고, 그리그슨 박사는 최종 편집본에 등장하지 않았다.[9]

영화 제작 전, 모리스는 뉴욕시에서 사립 탐정으로 일하며 주식 시장 사기 거래를 조사한 경험이 있었다.[10][13] 그는 애덤스와 데이비드 레이 해리스 사건에 매료되어 탐정 시절의 조사 기술을 영화 연구에 적용했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모리스와 해리스의 목소리만 들리고 테이프 녹음기만 보이는 것은 원래 계획된 것이 아니었다. 인터뷰 당일 카메라가 고장 나면서 대화를 녹음하기 위해 테이프 녹음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20]

이 다큐멘터리는 공영 방송 재단, 국립 예술 기금, Program Development Company Productions Inc., 공영 텔레비전 방송국, The Chubb Group of Insurance Companies 등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21]

2. 2. 제목의 유래

영화의 제목은 검사 더그 뮬더가 결심 진술에서 경찰을 "무정부 상태"로부터 사회를 분리하는 "가늘고 푸른 선"(The Thin Blue Line)이라고 표현한 데서 유래했다. 이는 러디어드 키플링의 시 "토미(Tommy)"의 한 구절을 재해석한 것으로, 키플링은 이 시에서 당시 영국 군인(별명 "토미 앳킨스")들을 그들의 제복 색상과 전투 대형을 따서 "가늘고 붉은 선"(the "thin red line")으로 묘사했다.

3. 사건 개요

이 영화는 1976년 댈러스에서 발생한 경찰관 로버트 우드 총격 사건과 그 수사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이다. 영화는 사건 관련자들의 인터뷰와 증언,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범죄 재연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로버트 우드 살해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랜들 데일 애덤스와, 실제 범인으로 의심받는 데이비드 레이 해리스를 중심으로 사건의 진실을 추적한다.

영화는 애덤스의 변호인들이 제기하는 주장을 비중 있게 다룬다. 변호인들은 사건 당시 미성년자였던 해리스와 달리 성인이었던 애덤스가 텍사스 법에 따라 사형 선고 대상이었기 때문에, 해리스에게 불리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애덤스가 부당하게 기소되었다고 주장한다.

영화의 제목 '가늘고 푸른 선'(The Thin Blue Line)은 당시 사건을 담당했던 검사가 결심 진술에서 경찰을 "무정부 상태"로부터 사회를 분리하는 존재로 묘사하며 사용한 표현에서 유래했다. 이는 러디어드 키플링의 시 "토미"에서 영국 군인들(별명 토미 앳킨스)을 그들의 제복 색과 전열 형태를 따 "가늘고 붉은 선"(the "thin red line")으로 묘사한 구절을 재해석한 것이다.

3. 1. 주요 등장인물


  • '''랜들 데일 애덤스''' (Randall Dale Adams): 댈러스 경찰관 로버트 우드 살해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인물이다. 영화는 그의 유죄 판결에 의문을 제기하며 사건의 진실을 파헤친다.[11] 그의 변호인들은 성인이었던 애덤스가 사형을 선고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미성년자였던 데이비드 해리스 대신 부당하게 기소되었다고 주장한다.
  • '''데이비드 레이 해리스''' (David Ray Harris): 사건 당시 애덤스와 함께 있었던 인물로, 많은 정황 증거가 그를 진범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하지만 미성년자라는 이유로 사형을 피할 수 있었고, 애덤스에게 불리한 증언을 했다. 그는 나중에 다른 살인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1985년 처형되었다.[17]
  • '''제임스 그리그슨''' (James Grigson): "닥터 데스"(Doctor Death)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검찰 측 정신과 의사이다.[5][6] 그는 100건이 넘는 재판에서 피고인이 장래에 또다시 폭력 범죄를 저지를 것이라는 "100% 확신한다"는 증언을 통해 사형 선고를 이끌어냈다.[7][8] 애덤스의 재판에서도 그가 계속 사회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증언했다.[11] 에롤 모리스 감독은 원래 그리그슨 박사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기획했으나, 애덤스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계획을 변경했다.[9] 그리그슨 박사의 인터뷰 방식은 매우 형식적이었으며, 때로는 1시간 미만으로 진행되기도 했다.[10] 그는 영화 최종 편집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9]
  • '''도널드 J. 메트칼프''' (Donald J. Metcalfe): 애덤스의 사건을 담당했던 재판 판사이다. 영화에 인터뷰이로 등장하여 당시 상황에 대해 증언한다.
  • '''더글러스 D. 뮬더''' (Douglas D. Mulder): 애덤스 사건의 검사이다. 그는 결심 진술에서 경찰을 사회와 "무정부 상태"를 가르는 "가늘고 푸른 선"(The Thin Blue Line)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영화의 제목이 되었다. 영화에는 직접 출연하지 않는다.
  • '''에디스 제임스''' (Edith James), '''데니스 화이트''' (Dennis White): 애덤스를 변호했던 두 명의 변호사이다. 영화에 출연하여 해리스에게 불리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애덤스가 기소된 배경에 대해 설명하며, 사법 절차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 외에도 사건 관련 증인들(에밀리 밀러, R. L. 밀러 등)과 형사들(거스 로즈, 재키 존슨, 마샬 터치턴 등)이 인터뷰 형식으로 영화에 등장하여 각자의 기억과 증언을 전달한다.

4. 영화의 구성 및 스타일

이 영화는 인터뷰 증언, 극적인 재연, 필립 글래스의 음악 등을 활용하며, 필름 느와르의 미학과 픽션 영화 기법을 다큐멘터리에 접목한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준다.[12][13][14][15]

영화의 마케팅 과정 역시 독특했다. 에롤 모리스 감독은 자신의 영화가 단순한 다큐멘터리로 분류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배급사 미라맥스는 영화의 독특한 스타일에 주목하여 배급을 맡았고, "예술 영화관에서 복합 상영관으로" 상영관을 확장하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다.[24] 당시 미라맥스의 대표였던 하비 와인스타인은 "미라맥스는 한 남자의 삶이 위태로운 영화를 제작한 적이 없다"고 선언하며 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영화 포스터는 마치 범죄 추리물처럼 디자인되었고, "소프트 포르노 영화, 제임스 그리그슨 박사, 초콜릿 밀크셰이크, 참견하기 좋아하는 금발 여자, 그리고 ''캐롤 버넷 쇼''. 이 미스터리를 푸는 것은 살인과 같을 것이다."라는 도발적인 문구를 담았다.

와인스타인은 모리스 감독에게 영화 홍보 방식을 개선하라는 메모를 보내기도 했다. 그는 모리스의 NPR 인터뷰가 지루하다고 지적하며, 영화를 스릴러나 공포 영화처럼 매우 긴장감 넘치고 감정적인 경험으로 포장하고, 더 짧고 명확한 문장으로 설명하라고 조언했다.[25]

4. 1. 영화 기법

이 영화는 극적인 재연, 작곡된 악보, 그리고 해설자 대신 인터뷰 증언을 활용하는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준다.[12]

에롤 모리스 감독은 종종 다큐멘터리 형식에 필름 느와르 미학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3] 영화 학자 찰스 머서는 모리스가 이 영화에서 '픽션 영화' 기법을 사용했다고 분석했다.[14] 모리스 자신은 자신의 모든 영화가 의도적으로 "반(反) 베리테" 스타일이라고 주장했다.[15] 그는 등장인물들을 전형적인 다큐멘터리 방식과 달리, 마치 픽션 영화의 인물처럼 제시했다. 인터뷰 대상자들에게 공식적인 이름표나 직책 자막을 붙이지 않아 관객이 영화를 보면서 스스로 판단하도록 유도했으며,[14] 관련 문서를 보여줄 때도 진위 여부를 강조하기보다는 예술적으로 연출했다. 또한, 필립 글래스가 작곡한 음악을 인터뷰 음성 아래에 배치했는데, 이는 다큐멘터리에서는 흔치 않은 방식이지만 모리스는 이를 "영화 음악"처럼 사용하여 영화적인 경험을 만들어냈다.[14] 모리스는 종종 이 영화를 필름 느와르 장르와 연관 지으며 픽션 영화 제작 방식과의 연결성을 강조하기도 했다.[14]

영화 속 재연 장면들은 증인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세심하게 구성되었다.[16] 모리스가 다큐멘터리에서 재연 장면을 처음 사용한 감독으로 알려지기도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12] 영화는 총격 사건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버전의 상황을 재현하지만, 영화가 진실이라고 제시하는 해석, 즉 데이비드 해리스가 경찰관을 쏘는 장면은 의도적으로 재현하지 않는다.

모리스의 독특한 인터뷰 방식, 즉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를 똑바로 응시하게 하는 방식은 이후 그가 발명한 '인터로트론(Interrotron)'이라는 장치로 이어졌다. 이 장치는 모리스의 아내가 이름을 붙였으며, 1997년 영화 ''빠르고, 싸고, 통제 불능''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인터로트론은 감독인 모리스가 커튼 뒤에서 한 카메라를 보고 말하면, 그 영상이 인터뷰 대상 앞의 다른 카메라에 부착된 텔레프롬프터와 유사한 장치에 나타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인터뷰 대상은 옆에 앉은 인터뷰어가 아닌, 카메라 렌즈에 비친 모리스의 이미지를 직접 보면서 이야기하게 된다.[19]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모리스와 해리스의 목소리만 들리고 테이프 레코더의 모습이 다양한 각도에서 클로즈업되는 것은 원래 계획된 연출이 아니었다. 인터뷰 당일 모리스의 카메라가 고장 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테이프 레코더로 대화를 녹음해야 했기 때문이다.[20]

4. 2. 음악

이 영화의 음악은 작곡가 필립 글래스가 맡았다.[22] 오리지널 영화 사운드트랙은 Dunvagen Music Publishers, Inc.에서 발매되었다.[22] 오리지널 영화 음악은 커트 문카시가 프로듀싱했으며, 오케스트라 연주는 마이클 리스먼이 지휘했다.[22]

감독 에롤 모리스는 필립 글래스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전에, 자신이 직접 《가늘고 푸른 선》을 글래스의 이전 작품들, 특히 《미시마 - 그의 인생》과 《In the Upper Room and Glassworks》의 곡들을 선별하여 믹스 테이프로 편집했다고 밝혔다.[15][23] 모리스는 《POV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글래스를 음악 작곡가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 "나는 그 [필립 글래스]가 직접 사운드트랙을 쓰도록 설득하는 행운을 누렸다. 누군가 나에게 '왜 필립 글래스인가요?'라고 물었고, 나는 '그는 누구보다 실존적 공포를 잘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실존적 공포의 대가입니다'라고 말했다."라고 설명했다.[15]

5. 영화의 영향 및 평가

영화 마케팅 과정은 순탄치 않았는데, 감독 에롤 모리스는 자신의 작품이 단순한 다큐멘터리로 분류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배급사 미라맥스는 영화의 독특한 스타일에 주목하여 배급을 결정했고, "예술 영화관 상영작에서 복합 상영관 상영작으로 전환"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다.[24] 당시 미라맥스의 대표였던 하비 와인스타인은 "미라맥스가 한 남자의 생사가 달린 영화를 제작한 적은 없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영화 포스터는 마치 범죄 추리물처럼 디자인되었으며, "소프트 포르노 영화, 제임스 그리그슨 박사, 초콜릿 밀크셰이크, 참견하기 좋아하는 금발 여자, 그리고 ''캐롤 버넷 쇼''. 이 미스터리를 푸는 것은 살인과 같을 것이다."라는 문구를 담았다.

와인스타인은 모리스 감독에게 인터뷰에서 영화를 더 효과적으로 홍보하라는 메모를 보내기도 했다. 메모에는 "NPR 인터뷰를 들었는데 지루했다"는 내용과 함께, 영화를 스릴러나 공포 영화처럼 긴장감 넘치고 감정적인 경험으로 소개하고, 더 짧고 명확한 문장을 사용하라는 조언이 담겨 있었다.[25]

5. 1. 사회적 반향

모리스의 조사를 통해 5명의 증인이 위증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2] 이 영화를 둘러싼 언론의 관심은 랜들 애덤스의 사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애덤스는 이전에 미국 연방 대법원에 의해 사형 판결이 뒤집히고 텍사스 주지사 빌 클레멘츠에 의해 종신형으로 감형된 상태였으나, 영화 개봉 후 텍사스 형사 항소 법원은 그의 유죄 판결을 파기했다.[43]

사건은 재심을 위해 댈러스 카운티로 이송되었으나,[44] 지방 검찰청은 재기소를 포기했다.[45] 결국 애덤스는 1989년 인신 보호 영장 심리를 통해 석방 명령을 받았다.

석방 후 애덤스는 자신의 이야기에 대한 권리를 두고 모리스와 법적 분쟁을 겪었다. 이 문제는 애덤스가 자신의 삶에 대한 독점적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으로 법정 밖에서 합의되었다.[46] 애덤스는 이와 관련하여 "모리스 씨는 자신의 삶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언론이 그렇게 묘사했지만, 에롤 모리스를 상대로 돈이나 ''가늘고 푸른 선''의 어떤 퍼센티지에 대해서도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했다.[47] 모리스는 애덤스가 석방 후 권리 양도 동의서에 서명한 것에 대해 분노했으며, 복잡한 상황이었다고 회상했다.[48]

애덤스는 12년간 부당하게 수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텍사스 주로부터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다. 현행 텍사스 법이라면 부당한 유죄 판결에 대해 수감 연도당 8만달러를 받을 수 있었지만, 그의 석방은 사면이 아닌 사건 기각에 따른 것이었기 때문에 보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49] 애덤스는 이후 반사형 제도 활동가로 활동했다. 그는 2010년 10월 61세의 나이로 뇌암으로 사망했으나, 그의 죽음은 2011년 6월이 되어서야 언론에 알려졌다.[49]

5. 2. 비평 및 수상

''가늘고 푸른 선''은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의 신선도를 기록하고 있다.[30] 메타크리틱에서는 12명의 평론가 평가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79점을 받아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얻었다.[31] ''시카고 트리뷴''의 진 시스켈은 이 영화를 1988년 최고의 영화 7위로 선정했으며,[32] ''엠파이어''의 킴 뉴먼은 "매우 훌륭하고 끔찍하다. 부실한 수사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매우 권장할 만한 증언"이라고 평가했다.[33]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4점 만점에 3.5점을 주며, 영화의 독특한 시각적 스타일과 인터뷰 방식이 관객으로 하여금 듣는 것만큼 보는 것에서도 많은 것을 배우게 한다고 언급했다.[34] ''워싱턴 포스트''의 데슨 톰슨은 만점을 주며 영화가 "다큐드라마라기보다는 깨어 있는 악몽에 가깝다"고 표현하고, 실제 사건을 초현실적인 추리 소설처럼 그려내어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고 평했다.[35] 이 영화는 1988년에 다른 어떤 영화보다 더 많은 평론가들의 10대 영화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36]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나,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영화가 다큐멘터리가 아닌 "논픽션"으로 홍보되었고[16] 재연 장면을 사용했다는 이유로[3]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후보 지명을 거부했다.

연도단체[37]결과
1988국제 다큐멘터리 협회IDA상수상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다큐멘터리수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다큐멘터리/논픽션 영화후보
전미 비평 위원회최우수 다큐멘터리후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다큐멘터리수상
1989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최우수 편집 다큐멘터리후보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다큐멘터리수상
도빌 아메리카 영화제비평가상후보
에드거상최우수 영화수상
필름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최우수 작품후보
최우수 감독후보
금마장최우수 외국 영화수상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다큐멘터리수상
2001미국 국립 영화 보존 위원회국립 영화 등록부수상
2014시네마 아이 아너스영향력 있는 영화상수상


5. 3.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가늘고 푸른 선''은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 신선도를 기록했으며,[30] 메타크리틱에서는 12명의 평론가 평가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79점을 받아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31] 시카고 트리뷴의 진 시스켈은 이 영화를 1988년 최고의 영화 7위로 선정했고,[32] 엠파이어의 킴 뉴먼은 "매우 훌륭하고 끔찍하다. 부실한 수사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매우 권장할 만한 증언"이라고 평했다.[33] 로저 이버트는 4점 만점에 3.5점을 주며 시각적 스타일과 인터뷰 방식의 독창성을 높이 평가했으며,[34] 데슨 톰슨은 만점을 주며 "다큐드라마라기보다는 깨어 있는 악몽에 가깝다"고 말했다.[35] 이 영화는 1988년에 다른 어떤 영화보다 더 많은 평론가들의 10대 영화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36]

2008년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를 "지난 20년간 가장 정치적인 영화 작품" 중 하나로 평가하며 그 영향력을 강조했다.[38] ''가늘고 푸른 선''은 이후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현대 범죄 현장 재연 스타일의 선구자로 자주 언급된다.[16]

이러한 중요성을 인정받아 2001년에는 "문화적, 역사적 또는 미학적으로 중요한" 작품으로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되어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39] 또한 Current TV가 2011년 선정한 죽기 전에 봐야 할 다큐멘터리 50선 목록에서 2위를 차지했으며, 2014년 사이트 앤 사운드가 실시한 영화 평론가 설문 조사에서는 역대 최고의 다큐멘터리 영화 5위로 선정되었다.[40] 2014년에는 시네마 아이 아너스에서 영향력 있는 영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대중문화에서도 이 영화는 주목을 받아, 다큐멘터리 나우! 시즌 1의 "눈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에피소드에서 패러디되었다.[41]

한편, 영화에 사용된 재연 기법[3] 및 '논픽션' 영화라는 홍보 방식[16]으로 인해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이 영화를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후보에서 제외했다.

6. 논란 및 비판

(내용 없음)

6. 1.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일부 학자들은 이 영화가 살인 사건과 관련된 사실의 확실성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포스트모던 영화의 특징을 보인다고 주장한다.[50] 영화 평론가 린다 윌리엄스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이론을 바탕으로, 과거를 밝히는 데만 집중하는 일반적인 다큐멘터리와 달리 ''가늘고 푸른 선''은 기존에 확립된 사실들을 모호하게 만들어 랜들 애덤스의 무죄를 암시한다고 분석했다.[51]

''스탠퍼드 로 리뷰''의 저자 리처드 셔윈은 ''가늘고 푸른 선''이 실제로는 두 가지 플롯을 제시한다고 보았다. 첫 번째 플롯은 에롤 모리스 감독이 비선형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여, 애덤스 대신 데이비드 해리스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이해하기 쉬운 서사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는 애덤스를 처음 범인으로 지목했던 이야기 구조와 유사하게, 쉽게 믿을 수 있는 이야기를 재현하는 방식이다. 셔윈은 다른 플롯을 "포스트모던 회의론"의 사례로 보았다. 그는 사회학자 장 보드리야르가 포스트모던 미디어 환경을 의미를 "평평하게 만들고" "진실, 권위, 역사"의 존재를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해석한 것을 언급하며 이 개념을 설명했다.

셔윈은 ''가늘고 푸른 선''이 그가 "무원인" 플롯이라고 부르는 것을 끝까지 해결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예를 들어, 애덤스가 범행 당일 밤 실제로 어디 있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애덤스 자신은 모텔 방에서 TV를 보다 잠들었다고 주장했지만, 당시 함께 있었던 형제가 영화에 나와 이를 뒷받침하지 않아 의문으로 남았다). 영화는 결말 부분에서 해리스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쉽게 믿을 수 있는 서사로 돌아가면서 이 "무원인" 플롯을 포기한다고 보았다. 셔윈은 영화가 긍정적인 포스트모던 작품으로 평가받으려면 과거 사건을 현재의 서사 안에서 제대로 맥락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역사를 모호하게 만드는 대신, 서사의 유혹에 저항하고 "합리적인 의심이 없을 때만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는 도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52]

그러나 현대 미술관과의 인터뷰에서 모리스 감독은 자신이 포스트모더니스트라는 해석을 강하게 부인했다.

"저는 포스트모더니스트가 아닙니다. 저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좋은 점 중 하나는 '보드리야르'가 전화번호부에 없다는 것입니다.

저에게는 순수하고 단순한 물리적 세계가 있습니다.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 있는 세계가 있습니다. ''가늘고 푸른 선''에서 누가 그 차를 운전했는지, 누가 좌석 아래에서 총을 꺼냈는지, 누가 경찰을 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이와 같은 질문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53]


모리스는 컬럼비아 저널리즘 리뷰와의 비디오 인터뷰에서도 진실이 가진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역사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이 항상 완벽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추구하는 노력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54]

7. 랜들 데일 애덤스의 이후

영화 《가늘고 푸른 선》과 에롤 모리스의 조사를 통해 증인 5명의 위증이 드러났다.[42] 이로 인해 텍사스 형사 항소 법원은 애덤스의 유죄 판결(이전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사형 판결이 뒤집혔고, 이후 텍사스 주 주지사 빌 클레멘츠에 의해 종신형으로 감형된 상태였다)을 다시 뒤집었고,[43] 사건은 재심을 위해 댈러스 카운티로 보내졌다.[44] 지방 검찰청이 재기소를 포기하면서[45] 애덤스는 1989년 인신 보호 영장 심리를 통해 마침내 석방되었다.

석방 이후 애덤스는 자신의 삶의 이야기에 대한 권리를 두고 영화감독 에롤 모리스와 법적 분쟁을 겪었다. 이 문제는 애덤스가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의 독점적 사용권을 확보하는 것으로 법정 밖에서 마무리되었다.[46] 애덤스는 이와 관련해 "모리스 씨는 자신의 삶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언론 보도와 달리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은 제기하지 않았다고 밝혔다.[47] 모리스는 애덤스가 석방 후 자신의 삶에 대한 권리를 넘겨주는 동의서에 서명했다는 사실에 분노했으며, 자신이 애덤스가 오랫동안 억울하게 수감되었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회상했다. 또한 변호사와의 관계 등이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48]

애덤스는 12년간의 억울한 수감 생활에도 불구하고 텍사스 주로부터 어떠한 금전적 보상도 받지 못했다. 그의 석방은 사면이 아닌 사건 기각 결정에 따른 것이었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의 텍사스 주 법률이 적용되었다면, 그는 억울하게 수감된 기간에 대해 연간 8만달러를 보상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49]

석방된 후 애덤스는 사형 제도 폐지를 주장하는 활동가로 활동했다. 그는 2010년 10월, 61세의 나이에 뇌암으로 사망했으나, 그의 죽음은 한동안 알려지지 않다가 2011년 6월에야 언론 보도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49]

8. 출연진

이 영화는 달라스 경찰관 로버트 우드 총격 사건 수사와 관련된 인물들의 인터뷰 및 증언,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재연 장면들로 구성된다.[1] 사건의 피의자로 지목된 랜들 애덤스, 실제 살인범으로 밝혀지는 데이빗 해리스를 비롯하여 재판 관계자, 증인, 형사, 변호인 등 다수의 관련 인물이 출연하여 각자의 시각에서 사건을 이야기한다.[1] 다만, 사건 담당 검사는 영화에 직접 출연하지 않았다.[1]

8. 1. 주연


  • 랜들 애덤스
  • 데이빗 해리스

8. 2. 조연


  • 거스 로즈
  • 잭키 존슨
  • 애덤 골드파인
  • 마리앤 레온
  • 에롤 모리스
  • 데니스 존슨


이 영화는 달라스 경찰관 로버트 우드 총격 사건 수사에 대한 인터뷰와 재연으로 구성된다. 랜들 애덤스, 실제 살인범인 데이비드 해리스, 판사 도널드 J. 메트칼프, 증인 에밀리 밀러와 R. L. 밀러, 형사 거스 로즈, 재키 존슨, 마샬 터치턴 등의 증언과 기억을 바탕으로 한다. 애덤스를 변호했던 에디스 제임스와 데니스 화이트 변호사도 등장한다. 그들은 해리스가 미성년자였던 반면, 성인이었던 애덤스는 텍사스 법에 따라 사형 선고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해리스에게 불리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애덤스가 범죄 혐의를 받았다고 주장한다. 검사 더글러스 D. 뮬더는 영화에 출연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1988)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10-06-25
[2] 웹사이트 Film Dissects Murder and Justice https://archive.nyti[...] 2020-04-15
[3]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A Radical Classic https://www.criterio[...] The Criterion Collection 2020-04-28
[4]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Justice for All?: An inside look at why a documentary that had real-life impact didn't make the cut in the Oscar race https://www.latimes.[...] 2020-04-28
[5] 뉴스 Expert psychiatric witness was nicknamed Dr. Death http://docs.newsbank[...] Dallas Morning News 2009-03-21
[6] 뉴스 Groups Expel Psychiatrist Known for Murder Cases; Witness nicknamed 'Dr. Death' says license won't be affected by allegations http://www.ccadp.org[...] Dallas Morning News 2009-03-21
[7] 뉴스 Study: State relies too much on 'killer shrinks' http://docs.newsbank[...] Fort Worth Star-Telegram 2008-03-11
[8] 웹사이트 Errol Morris: Profiles http://www.errolmorr[...] 2021-11-16
[9] 서적 The cinema of Errol Morris 2015-04-08
[10] 서적 The Cinema of Errol Morris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015-04-08
[11] 서적 Outsider features : American independent films of the 1980s Greenwood Press 1996
[12] 서적 The cinema of Errol Morris 2015-04-08
[13] 서적 Outsider features : American independent films of the 1980s Greenwood Press 1996
[14]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A Radical Classic https://www.criterio[...] 2020-04-14
[15] 웹사이트 Errol Morris Speaks Out! http://povmagazine.c[...] 2020-04-14
[16] 뉴스 Play It Again, Sam (Re-enactments, Part One) http://morris.blogs.[...] 2008-03-11
[17] 웹사이트 David Ray Harris http://www.clarkpros[...] Office of the Clark County (Indiana) Prosecuting Attorney 2017-10-20
[18] 웹사이트 Errol Morris: Interview http://www.errolmorr[...] 2021-11-16
[19] 웹사이트 Errol Morris: Eye Contact http://www.errolmorr[...] 2021-11-16
[20] 간행물 Errol Morris's Construction of Innocence in "The Thin Blue Line" 1995
[21] IMDb The Thin Blue Line - Combined Details https://www.imdb.com[...] 2010-06-25
[22] 웹사이트 Thin Blue Line, Music From – Philip Glass https://philipglass.[...] 2020-04-14
[23]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 Philip Glass https://philipglass.[...] 2020-04-14
[24] 서적 Hollywood (Critical Concepts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25] 웹사이트 Letters of Note: You're boring http://www.lettersof[...] 2021-11-16
[26] 웹사이트 Documentary Movies at the Box Office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11-07-30
[27] 뉴스 Adams v. The Death Penalty http://www.truthinju[...] Columbus Alive 2008-03-11
[28] 웹사이트 Umbrella Entertainment http://www.umbrellae[...] 2013-05-21
[29] 웹사이트 Criterion Collection http://www.criterion[...] 2015-01-10
[30]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http://www.rottentom[...] Rotten Tomatoes 2010-06-25
[31]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4-07-02
[32] 웹사이트 Siskel and Ebert Top Ten Lists (1969-1998) -> 1988 http://www.innermind[...] innermind.com 2010-06-25
[33]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https://www.empireon[...] 2020-04-28
[34]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movie review (1988) https://www.rogerebe[...] 2020-04-28
[35] Citation The Thin Blue Line (1988) - IMDb http://www.imdb.com/[...] 2020-04-28
[36] 뉴스 100 Film Critics Can't Be Wrong, Can They? : The critics' consensus choice for the 'best' movie of '88 is . . . a documentary! https://www.latimes.[...] 2021-11-16
[37] 웹사이트 The Thin Blue Line - IMDb http://www.imdb.com/[...] 2020-04-13
[38] 간행물 Op-Ed Films for the Ages Variety 2006-02-20
[39] 웹사이트 Films Selected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Library of Congress 1989-2008 (National Film Preservation Board,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0-06-25
[40] 뉴스 Silent film tops documentary poll https://www.bbc.co.u[...] 2014-08
[41] 웹사이트 Documentary Now! · 5 Ways The Eye Doesn't Lie is Just Like Thin Blue Line · IFC https://www.youtube.[...] YouTube 2021-11-16
[42] 뉴스 Thin Blue Line: Five Key Witnesses http://www.errolmorr[...] ErrolMorris.com 2008-03-11
[43] 문서 768 S.W.2d 281 (Tex. Ct. Crim. App. 1989) (en banc) https://scholar.goog[...] 1989
[44] 문서 Ex parte Adams, 768 S.W.2d 281 (Tex. Ct. Crim. App. 1989) (en banc) https://scholar.goog[...] 1989
[45] 뉴스 DA DROPS MURDER CHARGE AGAINST ADAMS http://docs.newsbank[...] Dallas Morning News 2008-03-11
[46] 뉴스 Freed Inmate Settles Suit With Producer Over Rights to Story https://archive.toda[...] Dallas Morning News 2008-03-11
[47] 뉴스 Danny Yeager Interviews Randall Dale Adams http://www.rtis.com/[...] The Touchstone 2008-03-11
[48] 뉴스 An Interview with Errol Morris http://www.wpr.org/n[...] Wisconsin Public Radio 2008-03-11
[49] 뉴스 Randall Adams, 61, Dies - Freed With Help of Film https://www.nytimes.[...] 2012-12-27
[50] 웹사이트 10 Great Postmodern Documentaries That Are Worth Your Time http://www.tasteofci[...] 2021-11-16
[51] 간행물 Mirrors without Memories: Truth, History, and the New Documentary Film Quarterly 1993-Spring
[52] 간행물 Law Frames: Historical Truth and Narrative Necessity in a Criminal Case Stanford Law Review 1994-Nov
[53] 웹사이트 Errol Morris: Interview http://www.errolmorr[...] 2021-11-16
[54] Youtube Recovering Reality: A Conversation with Errol Morris https://www.youtube.[...] YouTube 2021-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