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스가노쓰보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가노쓰보네는 1579년 단바국에서 태어난 여성으로, 아케치 미쓰히데의 가신이었던 사이토 도시미쓰의 딸이다. 혼노지의 변 이후 구게 사회의 교양을 쌓은 후, 이나바 마사나리와 결혼하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남편의 공로로 1604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들 이에미쓰의 유모가 되었다. 이에미쓰가 쇼군이 된 후에는 오오쿠를 총괄하며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고, 조정에서 종3위의 지위를 받았다. 1643년 6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녀의 묘는 도쿄 린쇼인에 있다. 그녀는 쇼군 계승 분쟁 중재, 오오쿠 개혁, 정치적 영향력 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토씨 - 기후성
    기후성은 가마쿠라 시대에 축조되어 센고쿠 시대에 오다 노부나가가 일본 통일을 추진한 거점이었으며, 현재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일본 100명성 중 하나이다.
  • 사이토씨 - 사이토 도시미쓰
    사이토 도시미쓰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가신으로, 단바 구로이성 성주를 지냈으며 혼노지의 변에 참여했으나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고, 그의 딸 카스가노 쓰보네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가 되었다.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참근교대
    참근교대는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가 다이묘의 반란을 억제하기 위해 다이묘가 정기적으로 에도에 머물게 한 제도로, 다이묘의 재정 약화와 도로망 발전, 에도 문화 확산 등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 도쿠가와 이에미쓰 - 무단 통치
    무단 통치는 무력을 배경으로 하는 정치 형태로, 중국 당나라 말기 절도사의 군사력 장악, 일본 에도 막부 초기 쇼군의 다이묘 통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헌병 경찰 통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 유모 - 후지와라노 켄시
    고토바 천황의 유모였던 후지와라노 켄시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조큐의 난 이후 몰락하여 불운한 노년을 보낸 인물이다.
  • 유모 - 가와고에노아마
    가와고에노아마는 가마쿠라 시대 초,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의 아내이자 무사시국 가와고에 출신의 호족 가와고에 씨 딸로, 요시츠네와 도망 생활을 함께하고 그의 몰락 후 가와고에 장을 하사받아 가문 재건에 헌신한 비극적인 여인이다.
가스가노쓰보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스가노쓰보네의 초상
가스가노쓰보네의 초상
본명사이토 후쿠 (斉藤福)
존칭조로 오토시요리
휘호가스가노쓰보네
출생1579년
출생지단바, 효고현,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현재의 일본)
사망1643년 10월 26일
사망 장소에도성, 무사시, 일본
안장 장소분쿄
가문image_file: 家徽.jpg
사이토 씨
image_file: Inaba_crest1.svg
이나바 씨
image_file: Tokugawa_family_crest.svg
도쿠가와 씨
경력
주요 업적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에도 막부에서의 영향력
작위종2위 (1629년)
가족 관계
배우자이나바 마사나리
자녀이나바 마사카쓰
핫타 마사토시 (양자)
기타 아들
아버지사이토 도시미쓰

2. 생애

1579년 사이토 도시미쓰의 딸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이나바 요시미치의 딸이었다. 친가인 사이토씨는 미노국슈고다이를 맡았던 명문가였고, 아버지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중신이었다. 혼노지의 변 이후 아버지가 처형되면서 가문이 몰락했지만, 후쿠는 여자였기 때문에 처벌을 면하고 외가 친척인 산조니시가에서 자라며 구게 사회의 교양을 익혔다.[1]

가스가노쓰보네는 고토(強盗)와 싸우다. 아다치 긴코 (1880년경)


그 후 이나바 시게미치의 양녀가 되어 이나바 마사나리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낳았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남편과 함께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도록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를 설득하여 도쿠가와 가문의 승리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과 본인의 교양 덕분에 1604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들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 발탁되었다.[1]

이에미쓰가 쇼군이 된 후에는 유모라는 배경을 바탕으로 오오쿠를 총괄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1629년 이에미쓰의 병이 낫기를 기원하며 이세 신궁을 참배하고 교토로 가 고미즈노오 천황을 알현하고 종3위와 '가스가노쓰보네'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이 일로 고미즈노오 천황이 양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이에미쓰의 후사를 잇는 일에 힘쓰며 여러 여성들을 오오쿠에 불러들여 이에미쓰의 측실로 삼게 했다. 무사 가문 출신으로 검소함을 중시하여 오오쿠 내에서도 검소한 생활을 강조했다.

1643년 6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묘는 도쿄도 분쿄구 린쇼인 등에 있다.

2. 1. 출생과 성장

1579년 단바(현재의 효고현)에서 사이토 도시미쓰의 딸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도시미쓰의 후처로 미노 소네성주 이나바 요시미치(稲葉良通)의 딸이었다. 친가인 사이토씨는 대대로 미노슈고다이를 맡았던 명문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중신이자 조카(실제로는 사촌)였다. 아버지가 혼노지의 변에 연루되어 로쿠조가와라에서 처형된 후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1]

후쿠는 여자인 관계로 처벌을 받지 않고 외할머니의 친가인 산조니시가(三条西家)에서 지내면서 구게 사회의 교양(서예, 다도, 향도 등)을 익혔다. 그 후, 서백부 이나바 시게미치(稲葉重通)의 양녀가 되어 외가쪽 친척인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의 가신 이나바 마사나리(시게미치의 데릴사위)와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3형제를 두었다.[1]

사이토 씨는 미노 슈고다이를 대대로 역임한 무가의 명문이었다. 후쿠는 아버지 사이토 도시미쓰의 영지가 있던 단바 국의 구로이 성 아래 저택(현 효고현 단바시 가스가 정 구로이의 고젠지)에서 태어났다. 단바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영지였고, 도시미쓰는 가신으로서 단바 국내에서 미쓰히데로부터 영지를 받았다.

미쓰히데의 거성을 수호하기 위해 후쿠치야마 성 근교의 요충지인 구로이 성을 하사받아, 히카미 군 전역을 수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쿠는 구로이 성의 평상시 거처인 아래 저택(현 고젠지)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그 후, 아버지는 미쓰히데를 따라 함께 혼노지의 변에서 오다 노부나가를 쳤지만,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전하여 귀성 후 오미 국가타타에서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다른 형제들은 패잔병이 되어 각지를 유랑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후쿠는 어머니 쪽 친가인 이나바 가문으로 거두어져 성인이 될 때까지 미노의 시미즈 성에서 지냈다고 보이며, 어머니 쪽 친척에 해당하는 교토의 공경 산조니시 킨쿠니에게 양육되었다. 이로 인해 공가의 소양인 가도, 서도, 향도 등의 교양을 익힐 수 있었다.

2. 2. 결혼과 유모 발탁

1579년 단바국(현재의 효고현)에서 사이토 도시미쓰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중신이자 조카(실제로는 사촌)였다. 아버지가 혼노지의 변에 연루되어 처형된 후 가족은 뿔뿔이 흩어졌으나, 후쿠는 여자였기 때문에 처벌을 면하고 외할머니의 친가인 산조니시가에서 지내며 구게 사회의 교양(서예, 다도, 향도 등)을 익혔다.[1] 그 후, 서백부 이나바 시게미치의 양녀가 되어 외가쪽 친척인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의 가신 이나바 마사나리와 결혼하여 아들 3형제를 두었다.[1]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남편 이나바 마사나리는 이시다 미쓰나리가 이끄는 서군에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를 섬겼다. 히데아키가 미쓰나리와 겪던 긴장 관계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에게 유리하게 전황이 흘러가면서, 후쿠와 마사나리는 히데아키가 동군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는 큰 공을 세웠다고 전해진다.[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승리에 기여한 남편의 전공과 후쿠의 교양이 높이 평가되어, 1604년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들 다케치요의 유모로 임명되었다.[1] 쇼군 가문에서 유모가 되기 위해 남편 마사나리와 이혼하는 단계를 거쳤다.[1] 이타쿠라 가쓰시게의 추천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자리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추천되었지만, 이에야스가 직접 그녀를 선택했다는 설도 있다.[1]

2. 3. 오오쿠 확립과 권력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쇼군이 된 후, 가스가노쓰보네는 그의 유모라는 배경으로 로주를 능가하는 권력을 휘두르며 오오쿠를 총괄하였다. 1626년 고우(江与)가 사망한 후부터는 이에미쓰의 측실 찾기에 진력하여 오만, 오라쿠노가타, 오나쓰 등을 오오쿠에 불러들여 이에미쓰의 측실로 삼게 했다.[3][4][5] 또한, 오오쿠의 직책이나 법도 등을 정리, 확충하는 등 오오쿠를 구조적으로 정비했다. 쇼군의 권위를 배경으로 노중마저 능가하는 실질적인 권력을 쥐었다.

1629년 이에미쓰의 천연두 치유를 기원하기 위해 이세 신궁 참배 여행 중 교토로 가게 되었다. 그러나 무가인 사이토 가문의 딸이라는 신분으로는 조정에 들어갈 수 없어, 사망한 양아버지의 아들과 의남매가 되어 산조니시 가문의 딸이라는 자격으로 천황을 배알하고, 종3위 지위와 가스가노쓰보네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지만 이것이 원인이 되어 그 당시 천황이었던 고미즈노오 천황이 굴욕을 견디다 못해 천황 자리를 버리고 만다.

2. 4. 이에미쓰와의 관계

다케치요가 후에 도쿠가와 이에미쓰로서 쇼군이 된 후, 가스가노쓰보네는 그의 유모라는 배경으로 로주를 능가하는 권력을 휘두르며 오오쿠를 총괄하였다.[2] 1629년 이에미쓰의 천연두 치유를 기원하기 위해 이세 신궁에 참배하고 교토로 가게 되었는데, 무가인 사이토 가문의 딸이라는 신분으로는 조정에 들어갈 수 없었다. 그래서 사망한 양아버지의 아들과 의남매가 되어 산조니시 가문의 딸이라는 자격으로 천황을 배알하고, 종3위의 지위와 가스가노쓰보네라는 칭호를 받았다.[2] 하지만 이 일은 고미즈노오 천황이 굴욕을 견디다 못해 천황 자리에서 물러나는 원인이 되었다.

그 후, 가스가노쓰보네는 이에미쓰의 후사를 잇는 일에 전력을 다하여 오만노가타[3][4][5], 오라쿠노가타(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생모), 오나쓰노가타(도쿠가와 이에노부의 할머니) 등을 오오쿠에 불러들여 이에미쓰의 측실로 삼게 했다. 생전에 이에미쓰의 정실과 오만노가타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으며, 특히 이에미쓰와 정실의 불화로 정실이 니노마루로 거처를 옮기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이에미쓰의 쇼군 취임과 함께 가스가노쓰보네는 "쇼군 님 어국"으로서 오오미다이도코로(大御台所)・고우(江与) 님 아래에서 대오(大奥)의 공무를 처리하게 되었다. 1626년 고우(江与) 님이 사망한 후부터는 이에미쓰의 측실 찾기에 힘을 쏟아, 이세 경광원의 원주였던 오만이나, 오란(오라쿠노카타), 오후리, 오나쓰, 오타마, 오리사, 오마사 등을 잇따라 오쿠에 들였다. 또한, 오오쿠의 직책이나 법도 등을 정리, 확충하는 등 오오쿠를 구조적으로 정비했다. 쇼군의 권위를 배경으로 노중마저 능가하는 실질적인 권력을 쥐었다.

1629년에는 이에미쓰의 마마 치유 기원을 위해 이세 신궁에 참배하고, 그대로 10월에는 상경하여 고사(御所)에 승전을 꾀하였다. 그러나 무위무관한 무가의 딸이라는 신분으로는 고사에 승전할 자격이 없었기에, 혈족이며 (후쿠는 산조니시 킨토의 현손), 양육한 부모이기도 한 산조니시 킨쿠니의 양녀가 되려고 했지만, 이미 타계했기에, 어쩔 수 없이 그 아들 산조니시 사네토와 유매의 연을 맺어, 공경 산조니시가 (후지와라씨)의 딸이 되어 참내할 자격을 얻었다. 산조니시 후지와라 후쿠코로서 같은 해 10월 10일, 고미즈노오 천황과 중궁가즈코에게 배알, 종3위의 위계와 「가스가노 쓰보네(春日局)」라는 명호 및 천작 어배를 하사받았다. 그 후, 1632년 7월 20일 재상경 때 종2위에 오르고 비고 착용을 허락받았으며, 다시 천작 어배도 하사받았다. 따라서 2위국이라고도 칭해지며, 같은 종2위인 다이라노 토키코나 호조 마사코에 필적하는 위계가 된다.

1634년 마사카쓰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 어린 손자 마사노리를 양육하고, 후에 형 사이토 도시무네가 후견인을 맡았다. 1635년에는 이에미쓰의 상의로 의붓 증손자인 홋타 마사토시를 양자로 맞이했다.

2. 5. 말년과 죽음

1643년 9월, 64세로 사망했다. 사세구(辭世句)는 "서(西)로 들어가는 달을 꾀어 불법(佛法)의 길을 따라 오늘이야말로 속세에서 도망칠 수 있을까"이다.[6]

린쇼인(麟祥院) '가스가노쓰보네의 무덤' (2019년 4월 29일 촬영)


묘는 도쿄도 분쿄구 린쇼인에 있으며, 이 절에는 가노 탄유가 그린 가스가노쓰보네의 초상화가 소장되어 있다. 분쿄구의 가스가 지역은 그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또 다른 묘는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에 있다. 가스가노쓰보네는 호조 마사코와 타이라노 도키코에 필적하는 조정 직위를 가졌으며, 당대 가장 저명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간에이 20년(1643년) 9월 14일에 사망, 향년 64세. 법명은 린쇼인전인연료의니대사(麟祥院殿仁淵了義尼大姉). 묘소는 도쿄도분쿄구의 린쇼인(麟祥院), 가나가와현오다와라시의 쇼타이지(紹太寺), 교토시의 곤카이코묘지(金戒光明寺) 및 묘신지의 탑두 린쇼인.

사망 직전인 9월 10일, 이에미쓰는 이나바 마사노리의 딸(3세)과 홋타 마사토시의 약혼, 마사노리의 여동생과 사카이 다다요시의 약혼을 발표했다. 이 상의(上意)에는 신흥 후다이 다이묘인 이나바 씨와 홋타 씨를 문벌 후다이 다이묘인 사카이 씨와 맺어주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후 마사노리・마사토시는 각각 막부에 등용되어, 로주・다이로에 취임하여 막정에 참여했다.

3. 가스가노쓰보네의 정치적 영향력

가스가노쓰보네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후계자인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서 도쿠가와 가문에 들어갔으며, 황실과의 협상, 쇼군 내각 유지, 관료 임명, 오오쿠 시스템 안정화 등 높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에미쓰 사후 1686년에 완성된 전기인 "가스가노쓰보네 략부"에 따르면, 가스가노쓰보네는 이에미쓰의 이복동생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총애하는 부모에게 항의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직접 호소하여 쇼군 계승을 이에미쓰로 확정지었다고 한다.

에도 성에 여성 거주 구역인 ''오오쿠''를 설립하고, 초대 미다이도코로 오에이요의 추천으로 조로 오토시요리(上臈御年寄)에 임명되어 오오쿠 관련 모든 업무를 결정하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녀의 실질적인 권력은 쇼군의 로주(원로 회의)를 능가했다.

1629년, 이에미쓰가 천연두에 걸리자 이세 신궁에 쾌유를 빌었고, 교토 황궁에서 메이쇼 천황고미즈노오 천황을 알현했다. 무가 출신이라 황궁 출입 자격이 없었기에 산조니시 사네다의 누이가 되어 귀족 신분으로 알현 자격을 얻었다. 고미즈노오 천황에게 '가스가노쓰보네'라는 이름과 종삼위 칭호를 받았고, 이후 정이위까지 승진했다.

고미즈노오 천황이 가스가노쓰보네와 황후 도쿠가와 마사코의 평민 복장 황궁 방문으로 인해 양위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자주색 가사 사건의 여파가 더 큰 원인으로 보인다.

오에이요 사후, 이세 국 게이코인 사찰 주지 에이코인 등을 설득하여 오오쿠에 들어오게 했다.[2] 생전에 10만 석이 넘는 재산을 소유했다.[2]

가스가노쓰보네의 정치적 영향력은 그녀의 사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녀와 관련된 인물들은 막부와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인물가스가노쓰보네와의 관계주요 행적
산조니시 사네다황궁 방문 계획 조력무가 전주(쇼군가와 조정 사이 소통 담당) 임명, 우대신 지위
마에다 하루나가후손쇼군가에 의해 명문가(고케) 일원으로 환영
에이코인오오쿠 입성을 권유받음산조니시 씨와 연관된 와카 시인 가문 로쿠조 씨의 딸
토다 우지토요에이코인의 남동생막부로부터 고케로 맞이됨
이나바 마사나리전 남편마쓰다이라 타다마사의 가로(수석 가신)로 입양, 다이묘 지위로 승진
이나바 마사카쓰친아들로주(쇼군가 원로 회의 구성원)
홋타 마사모리결혼을 통한 손자로주(쇼군가 원로 회의 구성원)
소신니조카가스가노쓰보네의 보좌관
마치노 유키카즈소신니의 남편쇼군 직속 가신
지쇼인소신니의 손녀오오쿠에 들어감, 이에미쓰 측실, 치요히메 출산
오카지노 가타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실이에야스 사후 가스가노쓰보네에게 고용되어 도쿠가와 씨 관련 아이 양육
가이호 유세츠없음아버지 유쇼가 가스가노쓰보네 아버지 사이토 도시미가를 비호한 인연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소환되어 어용을 맡음
사이토 토시무네친오빠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5천 석의 하타모토로 발탁



가스가노쓰보네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가 된 경위는 교토 쇼시다이 이타쿠라 가쓰시게의 일반 공모, 고의 시녀 민부경국의 중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계 등 여러 설이 있다. 소설가 야키리 도메오는 가스가노쓰보네가 이에미쓰의 생모라는 설을 주장하기도 했다.[10] 역사학자 후쿠다 치즈루 역시 비슷한 주장을 한다.[11]

3. 1. 쇼군 계승 분쟁 중재

후쿠는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남편 이나바 마사나리와 함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10] 히데아키의 배신으로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은 패배했고, 후쿠의 가문은 많은 전리품을 얻었다.

이후 후쿠는 쇼군 가문의 유모가 되기 위해 남편과 이혼하고, 1604년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적자이자 후계자인 다케치요(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 정식 임명되었다. 교토 쇼시다이 이타쿠라 가쓰시게의 추천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추천되었다는 설과 이에야스가 직접 선택했다는 설이 있다.[11] 후쿠의 훌륭한 가문, 세련된 교육, 전 남편의 군사적 공적 등이 유모로 선택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전해진다.

3. 2. 오오쿠 개혁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서 도쿠가와 가문에 들어간 가스가노쓰보네는 오오쿠 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했다. 에도 성에 여성 거주 구역인 오오쿠를 설립하고, 초대 미다이도코로 오에이요의 추천으로 조로 오토시요리(上臈御年寄)에 임명되어 오오쿠와 관련된 모든 공식적인 업무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녀의 실질적인 권력은 쇼군의 로주 (원로 회의)의 권력을 능가했다.[2]

1629년, 이에미쓰가 천연두에 걸리자 쾌유를 기원하며 이세 신궁을 방문했다. 이후 교토 황궁에서 메이쇼 천황고미즈노오 천황을 알현했다. 무가 출신인 사이토 가문의 딸은 황궁에 들어갈 자격이 없었기에, 산조니시 킨쿠니에게 입양되려 했으나 이미 사망한 후였다. 결국 킨쿠니의 아들 산조니시 사네다의 누이가 되어 귀족 가문의 일원으로서 궁궐을 방문할 자격을 얻었다. 고미즈노오 천황과 도쿠가와 마사코를 알현하여 '가스가노쓰보네'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종삼위 칭호를 받았다. 나중에는 이례적으로 높은 조정 품계인 정이위에까지 승진했다.

오에이요(이에미쓰의 어머니)가 사망한 후, 가스가노쓰보네는 이세 국 게이코인 사찰의 주지인 에이코인을 비롯하여 호쥬인과 준쇼인 등 일련의 여성들을 설득하여 오오쿠에 들어가게 했다.[2]

3. 3. 대외 관계

가스가노쓰보네가 쇼군가의 유모로 등용된 경위에는 교토 쇼시다이이타쿠라 가쓰시게가 일반 공모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혹은 히데타다의 정실인 고의 시녀인 민부경국의 중개로 유모가 되었다고도 한다. 또한, 이에야스의 손이 닿았었다는 시각도 있다. 유모에 불과한 신분의 자가 쇼군 후계자 문제로 이에야스에게 직소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에야스가 만났을 것으로 생각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오후쿠가 한때 애첩 중 한 명이었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영화 『여제 카스가노쓰보네』(1990년)는 이 이설로 묘사되어 있다.

가스가노쓰보네는 통설에서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이지만, 소설가 야키리 도메오는 가스가노쓰보네가 이에미쓰의 생모라는 설을 세우고 있다. 에도성에서 도쿠가와 쇼군가의 장서를 보관했던 코요산 문고에 전래되는 『마츠노 사카에』 중 「도쇼구 어문 사본」의 말미에 「히데타다 공의 적자, 타케치요 군, 어복, 카스가노쓰보네, 3대 쇼군 이에미쓰 공야,」라고 적혀 있다.[10] 역사학자 후쿠다 치즈루도 이에미쓰의 누나인 하츠히메의 실제 탄생을 게이초 8년 7월로 한 후, 정실인 고가 딱 1년 후에 이에미쓰를 낳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지만 당시 의학으로는 어렵다고 하여, 이에미쓰의 생모를 고 이외의 히데타다의 처첩으로 추정하며, 상황적으로 가스가노쓰보네 밖에 없다고 추정한다.[11]

4. 가스가노쓰보네에 대한 평가

お福|오후쿠일본어(가스가노쓰보네)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도쿠가와 이에미쓰를 위해 헌신한 충신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권력을 남용한 인물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도쿠가와 실기에는 "이 쓰보네|局일본어의 충절에 관한 이야기가 세상에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이 아닌 것이 많아 이로움이 없는 듯하다"라는 평가가 기록되어 있다.[7] 카노 탄유가 그린 お福|오후쿠일본어의 초상화가 린쇼인에 소장되어 있다.

4. 1. 긍정적 평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서, 도쿠가와 히데타다, 고우 부부가 이에미쓰의 친동생인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편애하는 것을 보고 이에미츠를 위해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직소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직소는 실패했지만, 이후 이에야스가 고우의 편애를 보고 생각을 바꾸었다는 설도 있다.[7][8]

어린 이에미츠의 천연두 완치를 기원하며 약을 끊었다는 일화도 있다. 말년에 병이 들었을 때도 치료를 거부했으나, 이에미츠가 직접 약과 함께 요헨텐모쿠 다완을 하사하며 복약을 권하자 감격하여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약을 몰래 뱉어냈다고 전해진다. 이때 하사받은 다완(이나바 텐모쿠)은 현재 국보로 세이카도 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니시혼간지에서 발견된 친필 편지에는 자신의 부하를 위해 료뇨에게 부탁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그녀의 다정함과 모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는다.[9]

4. 2. 부정적 평가

도쿠가와 실기에는 お福|오후쿠일본어의 충절에 관한 이야기가 세상에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이 아닌 것이 많아 이로움이 없는 듯하다는 평가가 기록되어 있다.[7]

고우에게 대항심을 불태워 이에야스에게 호소한 일이나, 슨푸까지 달려갔다는 것, 남편의 외도에 분노하여 상대를 살해하고 집을 뛰쳐나온 일, 고미즈노 천황에게 양위를 강요했다는 이야기는 에도 시대에 창작된 것이라는 게 최근의 통설이다.[8]

로주 이노우에 마사나리의 적자 마사토시의 혼담에 お福|오후쿠일본어가 개입하여, 결과적으로 원한을 품은 인물에게 마사나리가 에도성 안에서 살해되었다. 에도성 내 참극 사건의 첫 번째 원인은 お福|오후쿠일본어의 권세에 의한 압력의 결과라는 평가도 있다.

4. 3. 종합적 평가

가스가노쓰보네에 대한 평가는 여러 가지가 전해져 내려오지만, 진실성이 의심되는 경우도 많다. 『도쿠가와 실기』에는 "이 쓰보네의 충절의 일들. 세상에 전해지는 것이 많지만. 진실하지 않은 것들만 많이 전해져. 이로움이 없는 듯하다"라고 적혀 있다.[7]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로서 이에미쓰의 쇼군 계승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조쿄 3년(1686년)에 성립된 『가스가노쓰보네 약보』에 따르면, 도쿠가와 히데타다고우 부부가 이에미쓰의 친동생인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편애하자 이에미쓰가 자결하려 했고, 가스가노쓰보네가 이를 만류하고 슨푸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직소하여 이에미쓰의 세습을 확정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그 당시에는 실패했다는 설과, 이에야스가 고우의 편애하는 모습을 보고 생각을 고쳐먹었다는 설도 존재한다.[8]

하지만, 고우에게 대항하여 이에야스에게 호소했다는 것이나 슨푸까지 달려갔다는 이야기는 에도 시대에 창작된 것이라는 설이 최근의 통설이다. 남편의 외도에 분노하여 상대를 살해하고 집을 뛰쳐나왔다는 이야기, 고미즈노 천황에게 양위를 강요했다는 이야기도 창작으로 여겨진다.

한편, 가스가노쓰보네의 다정함과 모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도 있다. 2012년 니시혼간지에서 발견된 친필 편지에는 자신의 부하의 어머니가 니시혼간지에 있다는 것을 알고, 료뇨에게 "(부하를) 어머니와 만나게 해주고, 니시혼간지에서 봉사하게 해주면 정말 감사하겠다"라고 부탁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9]

또한, 로주 이노우에 마사나리의 적자 마사토시의 혼담에 개입하여 원한을 품은 인물에 의해 마사나리가 에도성 안에서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가스가노쓰보네의 권세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지기도 한다.

5. 관련 인물

인물관계 및 설명
산조니시 사네다가스가노쓰보네가 황궁을 방문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웠다. 조정으로부터 무가 전주(쇼군가와 조정 사이의 소통을 담당하는 관직)에 임명되었고, 우대신의 지위에 올랐다.[7]
마에다 하루나가가스가의 후손. 쇼군가에 의해 명문가(고케)의 일원으로 환영받았다. 마에다 씨를 칭했다.
에이코인가스가노쓰보네가 오오쿠에 들어가기를 원했던 인물. 산조니시 씨와 연관된 와카 시인 가문인 로쿠조 씨의 딸이다.
가스가의 남동생쇼군가에 의해 명문가의 일원으로 환영받았다. 토다 씨를 칭했다.
이나바 마사나리가스가노쓰보네의 전 남편. 로닌이었으나, 가스가노쓰보네의 주선으로 마쓰다이라 타다마사의 가로(수석 가신)로 입양되었고, 이후 다이묘의 지위로 승진했다.
도쿠가와 이에미쓰가스가노쓰보네가 유모를 맡았다. 그의 시동들 중 많은 수가 로주(쇼군가 원로 회의의 구성원)의 지위까지 올랐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가스가의 친척이었다.
이나바 마사카쓰가스가노쓰보네의 친아들. 로주까지 오른 인물 중 하나이다.
홋타 마사모리가스가노쓰보네의 손자(결혼을 통한). 로주까지 오른 인물 중 하나이다.
소신니가스가노쓰보네의 조카. 남편 마치노 유키카즈가 가모 씨의 개역(강등)으로 로닌이 되자, 가스가노쓰보네가 자신의 보좌관으로 고용했다.
지쇼인소신니의 손녀(다른 가문에 시집간 딸의). 가스가노쓰보네의 주선으로 오오쿠에 들어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이 되어 치요히메를 낳았다.
마치노 유키카즈소신니의 남편. 가모 씨의 개역으로 로닌이 되었으나, 쇼군의 직속 가신으로 복무할 수 있었다.
오카지노 가타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실. 이에야스 사후 가스가노쓰보네에 의해 도쿠가와 씨와 관련된 아이들을 키우기 위해 고용되었다.
도쿠가와 히데타다, 고우 부부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친부모. 도쿠가와 다다나가를 편애하여 이에미쓰가 자결하려 하자, 가스가노쓰보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타케치요(이에미쓰)의 세습을 확정하도록 직소했다고 한다.[8]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조부. 가스가노쓰보네의 직소를 받고 타케치요(이에미쓰)의 세습을 확정했다고 한다.
료뇨니시혼간지의 승려. 가스가노쓰보네가 자신의 부하를 어머니와 만나게 해주고 니시혼간지에서 봉사하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편지를 보냈다.[9]
이노우에 마사나리로주. 그의 아들 마사토시의 혼담에 가스가노쓰보네가 개입하여 원한을 품은 인물에게 살해되었다.
도요시마 노부미쓰하타모토. 마사토시의 첫 번째 혼약 중매인이었으나, 가스가노쓰보네의 개입으로 파혼되면서 체면을 잃고 이노우에 마사나리를 살해했다.
산조니시 사네토미가스가노쓰보네가 참내할 수 있도록 책략을 꾸민 인물. 후에 조정으로부터 무가 덴소에 임명되어 최종적으로 우다이진이 되었다.
겐초산조니시 사네토미의 자손. 막부에 고케 간닌으로 맞이되었다. 마에다 씨를 칭했다.
우지토요오만노카타의 남동생. 막부로부터 고케로 맞이되었다. 토다 씨를 칭했다.
카이호 유세츠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어용을 맡게 된 화가. 아버지 유쇼가 가스가노쓰보네의 아버지 사이토 도시미쓰 사후 도시미쓰 일가를 비호한 인연으로 가스가노쓰보네의 추천을 받았다.
사이토 토시무네가스가노쓰보네의 친오빠.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5천 석의 하타모토로 발탁되었다.


6. 관련 작품

가스가노쓰보네는 여러 미디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했다.



다음은 가스가노쓰보네를 다룬 소설, 만화,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무대 작품 목록이다.

  • 소설
  • 호리 카즈히사 저, ''춘일국(春日局)''
  • 스기모토 소에코 저, ''춘일국(春日局)''
  • 요시야 노부코 저, ''도쿠가와의 부인들''
  • 히라이와 유미에 저, ''화택의 여자 - 춘일국 -''
  • 키타하라 아이코 저, ''소설 춘일국''
  • 사와다 후지코 저, ''에도의 고동 - 춘일국의 생애 -''
  • 마츠모토 세이초 저, ''파담 변이''

  • 만화
  • 이케다 리요코 저, ''춘일국 오늘이야말로 화택을''
  • 사카구치 나오미 저, ''춘일국 - 쇼군 이에미츠의 유모 [학연 만화 인물 일본사 에도시대(전기)]''
  • 사사키 미스즈 저, ''춘일국 [학연 만화 전기 시리즈]''

  • 영화
  • 1990년 도에이 제작, ''여제 춘일국'' - 토아케 사치요 주연
  • 2008년 에스피오 제작, ''오오쿠 백화요란'' - 코바야시 카오리 주연

  • 텔레비전 드라마
  • 1974년 내셔널 극장 방영, ''에도를 베다 아즈마 우콘 은밀장'' 제18화 - 키타죠 마키코 주연
  • 1980년 후지 TV 라이온 부인 극장 방영, ''도쿠가와의 여자들'' 제1부 화려한 춘일국 - 마츠오 카요 주연
  • 1982년 TBS 방영, ''천하 면제의 완고한 영감 오오쿠보 히코자에몬'' - 키시다 쿄코 주연
  • 1983년 칸사이 TV 방영, ''오오쿠'' - 오오타니 나오코 → 와타나베 미사코 주연
  • 1989년 NHK 대하드라마 방영, ''춘일국'' - 안마 치히로 → 오바네 치카코 → 오하라 레이코 주연
  • TV 아사히도에이 제작, ''쇼군 이에미츠 은밀 여행'' 시리즈 - 미츠야 카코 주연
  • 1991년 TBS 방영, ''유의 사람 - 천하의 어전 번 오오쿠보 히코자에몬 -'' - 후지마 무라사키 주연
  • 2000년 NHK 대하드라마 방영,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 키키 키린 주연
  • 2004년~2005년 후지 TV 목요 극장 방영, ''오오쿠 제1장'' - 야마다 나츠미 → 마츠시타 유키 주연
  • 2011년 NHK 대하드라마 방영, ''고 ~공주들의 전국~'' - 토미타 야스코 주연
  • 2012년 TBS 텔레비전 드라마 방영, ''오오쿠 ~탄생[아리코・이에미츠 편]'' - 아소 유미 주연
  • 2023년 NHK 대하드라마 방영, ''어떻게 할까 이에야스'' - 테라지마 시노부 주연
  • 2023년 NHK 드라마10 방영, ''오오쿠'' - 사이토 유키 주연

참조

[1] 웹사이트 黒井城 https://kojodan.jp/c[...] 攻城団 2019-07-25
[2] 서적 A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3] 서적 国史大辞典 吉川弘文館
[4] 서적 徳川諸家系譜 続群書類従完成会
[5] 서적 徳川諸家系譜 続群書類従完成会
[6] 서적 幕閣譜代藩の政治構造 岩田書院
[7] 문서 ブリタニカ百科事典
[8] 문서 小学百科大辞典 きっずジャポニカ
[9] 뉴스 春日局、実は部下思い? 西本願寺で自筆の手紙 https://www.nikkei.c[...] 2012-11-30
[10] 서적 春日局 ミネルヴァ書房
[11] 서적 大奥を創った女たち 吉川弘文館 2022-05-23
[12] Youtube 大河ドラマ 春日局 - NHK名作選(動画・静止画)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13] 웹사이트 https://www.city.bun[...]
[14] 웹사이트 https://www.sanke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