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담 F90 (건담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담 F90은 오오카와라 쿠니오가 디자인한 소형화 MS 개발 계획인 "포뮬러 계획"에 따라 개발된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 등장하는 모빌 슈트(MS)이다. F90은 0102년 사나리의 MS 소형화 제안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미션에 대응하기 위해 26종류의 "미션 팩"을 교체 장착하는 특징을 갖는다. 1호기, 2호기, 3호기로 나뉘어 개발되었으며, 1호기는 0120년, 2호기는 0120년, 3호기는 0116년에 각각 실전 투입되었다. F90은 F91의 기반이 되었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를 통해 그 활약상을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 작업용 자쿠 II
    작업용 자쿠 II는 지온 공국군의 주력 모빌 슈트인 자쿠 II를 기반으로 지상전 능력을 강화한 다양한 파생형 모델들을 통칭하며, 특히 자쿠 탱크는 120mm 저격포 등의 무기를 장비하고 험한 지형에서 뛰어난 기동성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1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건담 시리즈의 기동병기 - 야크트 도가
    야크트 도가는 우주세기 0090년대 네오 지온에서 개발된 뉴타입 전용 시작형 모빌 슈트로, 기라 도가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이코 프레임, 고출력 제네레이터, 건다리움 합금 장갑 등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규네이 거스, 퀘스 파라야 등이 탑승했고 빔 어설트 라이플, 메가 개틀링 건, 판넬 등 다양한 무장을 사용하며 여러 파생 기체가 존재한다.
건담 F90 (건담 시리즈)
기체 개요
명칭건담 F90
형식 번호F90
개발지구연방군 해군 전략 연구소
제조지구연방군 해군 전략 연구소
소속지구연방군
분류시작형 모빌 슈트
본체 재질건다리움 합금
전고14.8m
본체 중량7.9t
장비 중량21.4t
발전기 출력3,240 kW
추진력64,200 kg
스러스터 총추진력134,400 kg
센서 범위14,200m
무장60mm 발칸포
빔 사벨
빔 라이플
실드
탑승자1명
기술 및 특징
특징콕피트 모니터
흉부 제네레이터
핀 판넬 (일부 미션 팩)
멀티플 조인트
웨폰 랙
F90 A 타입 (돌격 사양)대 빔 코팅 실드 장비
팔 부분에 증가 장갑 장착
다리 부분에 추가 스러스터 장착
F90 D 타입 (파괴 사양)장거리 빔 캐논 장비
미사일 포드 장비
F90 S 타입 (지원 사양)대형 레돔 장비
정찰 포드 장비
F90 II흉부 제네레이터 추가 장비
트윈 빔 라이플 장비
I 필드 제네레이터 장비
기타 정보
첫 등장기동전사 건담 F90
디자이너오오카와라 쿠니오

2. 디자인

메카닉 디자인오오카와라 쿠니오가 담당했다.[1] 초기에는 "헤이세이 건담" 기획의 일환으로 "신 건담"으로 불렸다.[1]

처음에는 옛날 건담을 현대적으로 디자인하는 방향으로 작업이 진행되었지만, 기획이 어느 정도 진행된 단계에서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으로부터 "자신의 작품에 사용할 것은 더욱 도전적인 디자인으로 하고 싶다"라는 요구가 나왔다.[2][1] 그래서 자동차 라인을 이미지하여 디자인했다는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이 나왔다.

이후 『F91』의 기획이 변경되면서 1년의 공백 기간이 발생했고, F91에는 새롭게 디자인을 시작했고, 지금까지 주인공으로 진행해 오던 디자인은, 『기동전사 건담 F90』에 전용하여 미디어 믹스 전개하게 되었다.[1]

미션 팩은 선라이즈의 이노우에 코이치가 제출한 A부터 Z까지의 컨셉을 제시한 기획서를 바탕으로 부품을 그려냈다.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백팩과 일체화된 코어 파이터도 그려졌다.

3. 설정 해설

사나리는 우주세기 0102년, 연방군에 MS 소형화를 제안했고, 0105년 11월 아나하임 일렉트로닉스가 소형 MS 개발에 착수하여 0109년에 헤비건을 롤아웃했다. 사나리는 헤비건 시제 1호기의 성능에 불만을 품고 연방 의회 승인을 거쳐 자체적으로 MS 개발을 시작, 'F 계획'이라 불리는 소형 MS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연방군은 0111년, 'ATMS (Advance Tactical Mobile Suit)'라 불리는 차기 주력 MS 개발 계획에서 고성능 소형 MS 개발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AE사의 MSA-120과 사나리의 F9 (초기 형식 번호)가 경쟁하게 되었다.

사나리는 기술 담당 중역 조브 존의 지휘 아래, AE사와 목성 지사에서 초빙한 기술자 그룹과 수석 디자이너 알마이아 구겐바이거를 중심으로 개발팀을 꾸려, 같은 해 9월에 1호기를 롤아웃했다.

0111년 10월에 이루어진 콩페티션에서, 1차 심사 (설계 데이터 기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MSA-120이 최대 출력과 대탄성에서 우세했지만, F9는 운용 비용, 기동 전력 비, 종합 성능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2차 심사 (테스트 베드 간 모의전)에서는 기동성이 뛰어난 F9가 압승하여 채택되었다. 이때 미션 팩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MS 간의 도그 파이트에서는 소체 상태의 F9가 가장 뛰어나다는 전술 사상 때문이었으며, 이후 이 사상을 추구한 Q타입이 완성되었다.

F9 채택으로 AE사의 MS 개발 독점은 무너졌지만, 연방군은 사나리의 기체 양산은 시기상조라 판단하여 F9 개수 및 데이터 수집, 평가 시험 속행을 명령했다. 이에 따라 제작된 2기의 실험기는 F9 시리즈의 0호기라는 의미로 F90이라 불리게 되었다.

머리는 트윈 아이, V자 안테나 등 건담 타입의 디자인을 계승하고, 트리컬러를 기조로 배색되었다.

만화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DUST'에서는 F90의 전신인 F89가 등장하며, F89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운사이징하여 F90이 개발되었다고 한다.

## 본체

굿겐바이가(Guggenbager)는 "MS의 원점으로 돌아가자"라는 사상 아래, MS 기본 동작에 불필요한 장비 등을 제거하고 필요 최소한의 소체로 설계하여 소형, 경량화된 고기동성 기체를 만들었다.

또한, 미션 팩 방식을 채용하여 필요에 따라 장비를 선택, 외장함으로써 본래의 기동성을 유지하고 신형 병장을 쉽게 채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방식은 단독으로 전 영역 대응 능력은 없지만, 주력 MS가 단독으로 다 영역 전투를 벌이는 일은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채택되었다. 규격 통일로 기체 재조정이 필요 없어 정비 및 가동률 측면에서도 요구를 충족시킨다.

## 장갑

야시마 중공에서 입수한 마이크로 허니컴 기술을 도입, 건다리움 합금 이상의 강도와 경량화를 실현했다. 무버블 프레임과 장갑은 30% 얇아져 경량화에 기여했다. 이 기술은 F 시리즈 이후 부흐사(Buch社)나 AE사(AE社)제 MS를 포함해 일반화되었다.

## 제네레이터

당시 사나리(Sannari)에는 MS용 소형 고출력 제네레이터가 없었기 때문에, 궤도 주회 레이서용으로 개발된 것을 양 다리에 2기 탑재했다. 내구성을 위해 디튠(detune)되어 예정 출력을 밑돌았지만, 통상 출력으로 기존과 동등하며, 전투 시에는 1.5배의 파워 밴드를 자랑한다. 이후 F91에서는 동일 제네레이터를 보어업(bore-up)하여 출력을 향상시키고, 군 규격으로 재설계한 것을 1기 탑재할 예정이었다. 그 후, 1,500킬로와트급 제네레이터로 환장되었으며, 1호기는 0120년 화성 항해에 앞서 최신형 J-79로 환장되었다.

## 콕피트

전천후 모니터·리니어 시트를 채용하고 있지만, 더욱 콤팩트하게 정리되었다.

## 의사인격 컴퓨터

'의사인격형 AI'라고도 불리는 고성능 기체 제어를 위한 컴퓨터로, MS 최초로 시냅스 프로세서 수 100만 이상인 홀로 큐브 처리계를 탑재했다. 기체뿐만 아니라 각 미션 팩의 관리도 수행한다. 비 노이만형 제5세대 컴퓨터이며, 정식 명칭은 "8000계 뉴로 컴퓨터"이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하여, 프로세서 상에 의사인격 지식 베이스를 구성하고, 과거 MS전 데이터를 설치한 교육형 컴퓨터와 시뮬레이션으로 대전함으로써 시냅스 결합 프로그래밍을 수행한다. 1호기에는 전투 프로그램 '''TYPE "A.R"'''이 설치되어 적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듯한 반응을 보인다. 2호기에는 '''TYPE "C.A-III"'''가 설치되어 계산상 일반 MS의 3배 기동성을 발휘한다. 일설에는 1호기에는 아무로 레이, 2호기에는 샤아 아즈나블의 의사인격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었다고 한다.

3호기에는 '''TYPE "K.B"'''가 설치되었으며(후술), 후에 벨프 스크렛 소위가 탑승하는 F91에 가설되었다.

OMS-90R2에도 의사인격 컴퓨터가 탑재되어 있지만, '''TYPE "---"'''와 마지막 부분이 노이즈가 섞여 읽을 수 없게 되었다.

무장으로는 빔 라이플, 빔 사벨, 쉴드, 머리 부분 발칸포를 장착한다. 빔 라이플은 후단부에 E팩을 갖추고 있으며, 허리 하드 포인트에 예비를 휴대하는 경우도 있다. 빔 사벨은 백 팩에 2기 장비하며, 미션 팩에 따라 떼어내는 경우도 있다. 쉴드는 빔 실드가 아닌 장갑판 방식을 채용, 신소재로 강도와 경량성을 양립했다. 머리 부분 발칸포는 측두부에 2문을 내장, 실체탄식으로 주로 견제, 요격, 소프트 스킨 목표에 사용된다.

4. 작중에서의 활약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 패스터스트 포뮬러(F90FF)》에서 최초의 테스트 파일럿으로 유리 미노프스키(후에 사이퍼라고 불림)가 탑승했다. 0111년의 콩쿠르에도 탑승하고 있다. 또한, 동 콩쿠르에서 경쟁하는 MSA-0120에 탑승했던 베로니카 바논은, 0115년에 돌연 나타나 2호기를 집요하게 노리는 MSA-0120 (사이퍼가 탑승)의 거동을 보고, 당시의 F90과 같다고 확신하고 있다. 우주세기 0112년에는, 2호기와 다른 제13 실험 전단 팀 A에서 테스트가 행해지고 있다고 언급된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에서 0120년에 연방군 제13 실험 함대의 라 카이람급 전함 「어드미럴 티안무」를 모함으로, 데프 스탤리온을 파일럿으로 2호기와 함께 사이드 4 우역에서 테스트를 실시했다. 10월 28일에 돌연 나타난 화성 독립 지온군 「올즈모빌」에 의해 2호기가 탈취된다. 2호기의 탈환 및 적의 섬멸을 위해, 원래의 제13 기동 함대를 편성하고, A・D・S타입의 미션 팩을 적재하여 적의 본거지인 화성으로 향한다. 화성 강하 작전 시에는 강하정에 탑재되어 강하, A・D・S의 옵션을 혼재하여, 본거지 내에서 적에게 개조된 2호기와 교전, 최종적으로 머리와 왼쪽 팔, 오른쪽 앞팔부를 잃으면서도 승리한다.

슈퍼 패미컴용 게임 《기동전사 건담 F91 포뮬러 전기 0122》, 만화 《F90FF》에서 0122년에 사이드 4에서 연방군 제13 함대의 라 카이람급 「에이브럼」에 A・D 타입과 함께 탑재되어, 올즈모빌 소탕 부대 본대로 수송된다. 그러나, 3월 8일에 적의 공격을 받아, 탑승기인 제간을 잃은 벨프 스크레트 소위가 탑승하여 A타입으로 실전 참가, 그대로 전속 파일럿이 된다. D타입으로, 10일에 라그랑주 포인트, 13일에 쾰른 콜로니에서 전투를 치뤘다. 본대와 합류 후에 P타입으로 지구에 강하하여, 가르다급 초대형 수송기 「가위쉬」와 합류, H타입으로 올즈모빌 지상군의 다브데급 육전정 「베뭄블」을 단기로 격침했다. V타입을 수령하고, 6월 28일에는 태평양상에서 전투를 치뤘으며, 9월 18일에는 가위쉬가 엔진 트러블로 설산에 불시착, V타입에서 C타입으로 환장하여 적을 요격했다. 10월의 우주항에서 셔틀로 다시 우주로 올라가기 직전의 올즈모빌 지상군과의 결전에서는, 서브 플라이트 시스템에 탄 비행 부대에 W타입으로 대항하여 섬멸한다. 우주로 올라가, 위성 궤도상에서의 샤를 함대와의 전투로부터는, 벨프는 F91로 갈아탄다.

《B-CLUB》 연재 「월간 MS 저널 다이제스트판」에서 0122년 10월 경에, 파리 MS 쇼에서 F90II와 함께 V타입 장비로 출전, 게다가 헤비건 3기와 데먼스트레이션 파이팅을 실시하여, 2분만에 승리한다. 파일럿은 불명이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클라이맥스 U.C. 엮어가는 혈통》에서 0123년 3월의 크로스본 뱅가드의 프론티어 I 습격 시에 사라미스 개급 순양함에 회수되지만, 적 MS가 추격해 왔기 때문에 나나 타치바나가 탑승, V타입 장비로 실의 쌍둥이 형인 슈테인 바니엘의 베르가 기로스와 교전하여, 철수시키는 데 성공한다.

만화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강철의 7인》에서 0136년에도 사나리가 보관하고 있으며, 목성 제국의 콜로니 레이저 「신바츠」 공략 작전 「강철의 7인」에서의 전력 중 하나로서, I타입 장비로 미노루 스즈키가 탑승한다. 1호기의 롤아웃으로부터 약 25년이 경과, 연대적으로는 상당히 구식기가 되었지만, 0136년 시점에서의 기술로 가능한 한의 튜닝이 이루어져, 종합 성능은 최신예기에 뒤지지 않는다. 작전 종반에는, 그림자 칼리스타의 바이오 뇌가 탑재된 리벨다스 덱스트라 디키투스에 양 다리를 파괴당하지만, 아군의 희생을 동반하면서도 일순간의 틈을 노려 숏 랜서로 격파했다. 그 후에는 스러스터도 거의 손상되어 방향도 만족스럽게 바꿀 수 없는 상태에서, 「떠다니는 포대」로서 적의 주의를 가능한 한 끌어, 신바츠 파괴를 토비아 아로낙스의 크로스본 건담 X1 풀 크로스에 맡긴다. 목성군의 맹공에 노출되지만, 달려온 로즈마리 라즈베리의 알라나 아비조와 등을 맞대고 콤비네이션을 발휘, 함께 생환한다.

4. 1. 1호기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 패스터스트 포뮬러(F90FF)》에서 최초의 테스트 파일럿으로 유리 미노프스키(후에 사이퍼라고 불림)가 탑승했다. 0111년의 콩쿠르에도 탑승하고 있다. 또한, 동 콩쿠르에서 경쟁하는 MSA-0120에 탑승했던 베로니카 바논은, 0115년에 돌연 나타나 2호기를 집요하게 노리는 MSA-0120 (사이퍼가 탑승)의 거동을 보고, 당시의 F90과 같다고 확신하고 있다. 우주세기 0112년에는, 2호기와 다른 제13 실험 전단 팀 A에서 테스트가 행해지고 있다고 언급된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에서 0120년에 연방군 제13 실험 함대의 라 카이람급 전함 「어드미럴 티안무」를 모함으로, 데프 스탤리온을 파일럿으로 2호기와 함께 사이드 4 우역에서 테스트를 실시했다. 10월 28일에 돌연 나타난 화성 독립 지온군 「올즈모빌」에 의해 2호기가 탈취된다. 2호기의 탈환 및 적의 섬멸을 위해, 원래의 제13 기동 함대를 편성하고, A・D・S타입의 미션 팩을 적재하여 적의 본거지인 화성으로 향한다. 화성 강하 작전 시에는 강하정에 탑재되어 강하, A・D・S의 옵션을 혼재하여, 본거지 내에서 적에게 개조된 2호기와 교전, 최종적으로 머리와 왼쪽 팔, 오른쪽 앞팔부를 잃으면서도 승리한다.

슈퍼 패미컴용 게임 《기동전사 건담 F91 포뮬러 전기 0122》, 만화 《F90FF》에서 0122년에 사이드 4에서 연방군 제13 함대의 라 카이람급 「에이브럼」에 A・D 타입과 함께 탑재되어, 올즈모빌 소탕 부대 본대로 수송된다. 그러나, 3월 8일에 적의 공격을 받아, 탑승기인 제간을 잃은 벨프 스크레트 소위가 탑승하여 A타입으로 실전 참가, 그대로 전속 파일럿이 된다. D타입으로, 10일에 라그랑주 포인트, 13일에 쾰른 콜로니에서 전투를 치뤘다. 본대와 합류 후에 P타입으로 지구에 강하하여, 가르다급 초대형 수송기 「가위쉬」와 합류, H타입으로 올즈모빌 지상군의 다브데급 육전정 「베뭄블」을 단기로 격침했다. V타입을 수령하고, 6월 28일에는 태평양상에서 전투를 치뤘으며, 9월 18일에는 가위쉬가 엔진 트러블로 설산에 불시착, V타입에서 C타입으로 환장하여 적을 요격했다. 10월의 우주항에서 셔틀로 다시 우주로 올라가기 직전의 올즈모빌 지상군과의 결전에서는, 서브 플라이트 시스템에 탄 비행 부대에 W타입으로 대항하여 섬멸한다. 우주로 올라가, 위성 궤도상에서의 샤를 함대와의 전투로부터는, 벨프는 F91로 갈아탄다.

《B-CLUB》 연재 「월간 MS 저널 다이제스트판」에서 0122년 10월 경에, 파리 MS 쇼에서 F90II와 함께 V타입 장비로 출전, 게다가 헤비건 3기와 데먼스트레이션 파이팅을 실시하여, 2분만에 승리한다. 파일럿은 불명이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클라이맥스 U.C. 엮어가는 혈통》에서 0123년 3월의 크로스본 뱅가드의 프론티어 I 습격 시에 사라미스 개급 순양함에 회수되지만, 적 MS가 추격해 왔기 때문에 나나 타치바나가 탑승, V타입 장비로 실의 쌍둥이 형인 슈테인 바니엘의 베르가 기로스와 교전하여, 철수시키는 데 성공한다.

만화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강철의 7인》에서 0136년에도 사나리가 보관하고 있으며, 목성 제국의 콜로니 레이저 「신바츠」 공략 작전 「강철의 7인」에서의 전력 중 하나로서, I타입 장비로 미노루 스즈키가 탑승한다. 1호기의 롤아웃으로부터 약 25년이 경과, 연대적으로는 상당히 구식기가 되었지만, 0136년 시점에서의 기술로 가능한 한의 튜닝이 이루어져, 종합 성능은 최신예기에 뒤지지 않는다. 작전 종반에는, 그림자 칼리스타의 바이오 뇌가 탑재된 리벨다스 덱스트라 디키투스에 양 다리를 파괴당하지만, 아군의 희생을 동반하면서도 일순간의 틈을 노려 숏 랜서로 격파했다. 그 후에는 스러스터도 거의 손상되어 방향도 만족스럽게 바꿀 수 없는 상태에서, 「떠다니는 포대」로서 적의 주의를 가능한 한 끌어, 신바츠 파괴를 토비아 아로낙스의 크로스본 건담 X1 풀 크로스에 맡긴다. 목성군의 맹공에 노출되지만, 달려온 로즈마리 라즈베리의 알라나 아비조와 등을 맞대고 콤비네이션을 발휘, 함께 생환한다.

4. 2. 2호기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에서는 시드 앰버를 파일럿으로 하여 2호기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올즈모빌에 의해 강탈되었다. 강탈 후 화성 독립 지온군 사양으로 개조되었다가 연방군에 회수된 후 F90II로 재개수되었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 패스터스트 포뮬러(F90FF)》에서는 0112년에 제13 실험 전단 팀 B에서 팟치 안젤리카 소위를 파일럿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이 시기의 본기는 롤아웃 컬러로, 1호기의 트리콜로를 기본으로 사지 및 허리 측면의 청색 부분이 적색으로 되어 있다. E타입, S타입, M타입, F타입 등 다양한 미션 팩 테스트를 거쳤으며, 아 바오아 쿠 우역에서의 B타입 전투 기록도 확인되지만 상세 불명이다. 이후 N타입 개발용으로 사나리 본사로 보내지면서 팀 B는 해산되고, K타입 테스트 도중 란데거 중공의 습격을 받아 대파, 팟치는 작전 중 행방불명(MIA) 처리된다. 0115년에는 수리 후 U타입 테스트를 거쳐 특무 부대 패스터스트 포뮬러(FF) 소속 딜 라이더 준위가 전임 파일럿이 되어 복합 장비 테스트를 겸해 실전에 참가했다. 0116년에는 시제 미노프스키 드라이브 장비 테스트 중 폭주하여 행방불명되었다가 회수, 수리 후 카나타 사와메 소위가 파일럿으로 선출되어 T타입으로 폭동 진압 임무를 맡았다.

4. 3. 3호기

0116년에 프론티어 I에서 롤아웃되었다. 같은 해에 올즈모빌이 동 콜로니에 침공을 개시, 병원에서 퇴원한 지 얼마 안된 딜은 하우젤리 로나의 도움으로 사나리 본사에 있는 본기에 탑승한다. 컬러링은 백색을 기조로, 일부 적색・청색・황색으로 칠해져 있다. 2호기와 동사양이짐나, 실전을 상정하지 않은 완전한 실험기로 여겨진다. 인스톨되어 있는 "TYPE K.B"에 대해, 딜은 자신과 마찬가지로 분노하고, 그리고 사람의 생명이 짓밟히는 것을 슬퍼하는 것처럼도 느끼고 있어, "TYPE C.A" 보다 반응이 약간 성실하다고 평하고 있다. 또한 하우젤리로부터의 "선물"인 헤드셋에 의해, 딜은 N타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체와의 "연결"을 느끼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R타입의 스텔스 아머만을 장비하고, L타입의 롱 라이플이나 H타입의 빔 피스톨 2정을 구사하여 사나리 본사를 방위한다. 그대로 FF대에 배치되어, 2호기 등과 함께 NE타입으로 「바라트」의 폭동 진압 임무를 맡는다. 트리무르티의 원호를 향할 때에는 NV타입으로 출격, 테러 조직 「에그무」의 기함 「캐번디쉬」를 격침하지만, 격파된 것으로 여겨졌던 슈트룸 디아스에게 틈을 찔려, 빔 바주카로 등을 맞고 딜은 의식 불명이 된다. 예비 부품을 이용하여 수리되어, 깨어난 딜과 함께 타입 FF로 트리무르티 방어에 참가한다. 사이퍼의 MSA-0120과 일기토가 되어, 「사이코 해크」에 의한 정신 오염을 당해 궁지에 빠지지만, 빈사의 기데온의 F89에 구원받는다. 기데온을 간호한 후, 할 블래스터 측에 미즈마 무엘테가 탑승하여 MSA-0120과 재전, 미노프스키 드라이브의 임계 출력에서의 사용과, 분리하여의 연계에 의해 마침내 격파에 성공한다. 트리무르티 파괴 후, 베로니카 바논의 MSA-0120의 도움을 얻어 탈출을 꾀하지만, 기체는 아프리카에서 반파 상태로 발견되고 있다.

그 후, 클러스터 건담의 소체가 된다.

5. 바리에이션

5. 1. 건담 F90 화성 독립 지온군 사양

화성 독립 지온군(올즈모빌)이 탈취한 F90 2호기를 대폭 개수한 기체이다. 기체 색상은 주홍색과 흰색을 기본으로 한다.

외장의 80%를 교체하고, 미션 팩 방식을 제거하여 MS 단독으로서의 능력을 향상시켜, 원형기 이상의 성능을 갖는다. 화성 독립 지온군이 보유한 정비 부품과의 호환성을 위해 구동 부분을 중심으로 개조되었다. 센서를 대형화하고 아포지 모터를 증설했으며, 왼쪽 어깨에 스파이크 아머를 장착하는 등, 특히 손상되기 쉬운 부분을 우선적으로 개조하여 구 지온계 MS를 의식한 개수가 이루어졌다. 화성 독립 지온군은 정책적으로 사용하는 기체의 외장을 교체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F90과는 다른 조인트 구조를 가진 하드 포인트가 설정되어, 화성 독립 지온군에서 새롭게 준비한 옵션을 장비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양팔에는 F90과는 다른 대형 장갑이 장착되어 있으며, 막대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마운트가 준비되어, 일설에는 빔 실드를 장비할 예정이었다고도 한다. 한편, 기본 아비오닉스나 탑재된 의사 인격 컴퓨터는 거의 손대지 않았다. 중량 증가의 영향으로 원형기에 비해 기동력이 약간 떨어지지만, 근접 전투 시 방어력은 향상되었다.

;작중에서의 활약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에서는 화성 독립 지온군과 내통하고 있던 연방군의 보쉬 웨일러 대위가 탑승하여, 본거지 안에서 시드의 리아 도가나 엘릭의 제간을 중파시킨 후 1호기와 교전했다. 오른팔과 왼쪽 다리를 잃었지만 몰아넣었다. 그 후 격파되었다고 하지만, 작중에서는 1호기의 마지막 일격으로 보이는 묘사(초대 건담의 「라스트 슈팅」과 같은 형태)는 있지만, 격파 묘사는 없다. 게임 『SD건담 GGENERATION』시리즈에서는 1호기의 마지막 일격(빔 라이플)을 동체에 받는 장면이 나온다.

5. 1. 1. OMS-90R2

만화 《기동전사 건담 F90 클러스터》에 등장하는 건담 F90 화성 독립 지온군 사양의 복제기이다.

5. 2. 건담 F90II

건담 F90II는 올즈모빌에 강탈당한 F90 2호기가 화성 독립 지온군 사양으로 대폭 개수된 후, 1호기와의 전투에서 대파된 것을 사나리에서 수리 및 개수한 기체이다. 수리 과정에서 당시 기초 설계가 끝난 건담 F91의 기술이 피드백되었으며, 손실된 부품을 새로 제작하여 우주세기 0121년 10월 28일에 롤아웃하였다.

주요 개조 사항으로는 양 다리 프레임 갱신, 제어 컴퓨터를 뉴로 컴퓨터에서 바이오 컴퓨터로 교체, 제너레이터 효율 향상 등이 있다. 이 때문에 본 기체는 "'''F90Dash'''"라고도 불리며, 건담 F91의 발판이 되었다고도 한다. 화성 독립 지온군에 의해 상실되었던 미션 팩 시스템도 다시 도입되어 F90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도색 또한 롤아웃 컬러에 가깝게 변경되었다.

만화 《기동전사 건담 클라이맥스 U.C. 엮어지는 혈통》에서는 우주세기 0123년 3월, 연방군 제2함대의 크로스본 뱅가드 일루야카슈 요새 공략 시 나나 타치바나 소위가 탑승하여 L 타입 장비로 초장거리 저격을 통해 다수의 적 MS를 격파했다. 슈테인의 베르가 기로스와의 재전에서 컴퓨터 불량으로 위기에 몰리지만, 아버지 카무나의 프로토타입 자벨린에 의해 구출된다.

5. 3. 건담 F90III

"미지의 형식" 중 두 번째 "Y"로 개발되었다. 건조 중이던 F90 3호기의 소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그 때문에 "F90 서드"라고도 불린다. (F90 특유의 식별 코드로 "F90Y"라고도 불린다.) F91과 동시기에 개발되었다고도 하지만, 그 개발 목적은 F91에서 일정한 도달점에 도달한 초고성능 MS를, F90과 동등한 테스트 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대항 기업이 포뮬러 계획의 데이터를 도용하고 있다는 정보도 있기 때문에 코어 블록 시스템을 탑재하고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기체의 데이터 관리와 관제 중추를 코어 파이터에 집약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파일럿의 생환율 향상도 고려). 또한, 과거 기체를 강탈당한 것을 교훈으로 코어 파이터 그 자체를 기체 가동의 키로 하고 있다. 코어 파이터의 후부에는 MS 형태 시 백 팩으로도 기능하는 부스터를 장착한다. 코어 블록은 등 부분에서 수평으로 도킹하여 캐노피 부분이 모니터로 전환된다.

백 팩의 환장을 포함해 F90 시리즈의 미션 팩을 장비하는 것도 용이하며, 또한 하드 포인트에서 에너지 공급도 가능하다. 바이오 컴퓨터도 탑재되어 있다고 하는 자료도 있으며, 파일럿의 기량에 따라서는 금속 박리 효과(MEPE)도 가능하다.

본기의 롤아웃은 고성능 소형 MS에 코어 블록 시스템을 채용한 AE사의 네오 건담과 같은 0123년 2월이지만, 네오 건담 쪽이 먼저이며, 늦어진 사나리가 총력을 기울여 완성하고 있다.

; 주요 무장

:; 메가 빔 바주카

:: 사나리에 의해 신규 설계되어 시험적으로 본기에 장비된다. 허리 측면의 하드 포인트에 1문씩 연결하여 베스바에 필적하는 강력한 빔 병기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기의 명칭인 "클러스터"는 "수속"의 의미이며, 뛰어난 위력을 가진 본 무장에 연관되어 첫 출진 후에 붙여졌다. 또한, 허리의 하드 포인트에는 빔 라이플을 연결하여 사격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V건담'에서는 우주세기 0153년에는 하드 포인트 접속용 커넥터와 에너지 팩 용량을 개량한 모델이 AE사에 의해 생산되어, 연방군의 젬즈건이나 자벨린, 및 리가 밀리티어의 MS가 사용하고 있다.

:; 빔 실드

::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F91처럼 기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가동 가능하다. 본체로부터의 에너지 공급도 빔 라이플과 같은 규모의 전달 회로로 가능하며, 일설에는 빔 실드 이외의 기능도 넣으려고 했다고도 한다. F90의 실체 실드와 마찬가지로 그립이 달린 휴대식이 되고 있다.

; 작중 활약

: 만화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에서는 울프 라이르 소위가 코어 부스터에 탑승하여 크로스본 뱅가드에 제압되어 24시간 후의 프론티어 I에 잠입. 사나리의 연구 시설에서 코어 파이터 개발에 관한 극비 자료가 들어간 메모리 칩을 회수한 후, 시설을 폭파하고 탈출. 암초 영역에 은닉되어 있는 기체 본체(울프는 존재를 알지 못했다)와 도킹하여 데스 건즈를 격파하고 나머지 추격대는 철수한다. 이 전투에서 본기는 MEPE에 의한 "분신"도 선보였다.

5. 3. 1. 클러스터 건담

"미지의 형식" 중 두 번째 "Y"로 개발되었다. 건조 중이던 F90 3호기의 소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그 때문에 "F90 서드"라고도 불린다. (F90 특유의 식별 코드로 "F90Y"라고도 불린다.) F91과 동시기에 개발되었다고도 하지만, 그 개발 목적은 F91에서 일정한 도달점에 도달한 초고성능 MS를, F90과 동등한 테스트 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대항 기업이 포뮬러 계획의 데이터를 도용하고 있다는 정보도 있기 때문에 코어 블록 시스템을 탑재하고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기체의 데이터 관리와 관제 중추를 코어 파이터에 집약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파일럿의 생환율 향상도 고려). 또한, 과거 기체를 강탈당한 것을 교훈으로 코어 파이터 그 자체를 기체 가동의 키로 하고 있다. 코어 파이터의 후부에는 MS 형태 시 백 팩으로도 기능하는 부스터를 장착한다. 코어 블록은 등 부분에서 수평으로 도킹하여 캐노피 부분이 모니터로 전환된다.

백 팩의 환장을 포함해 F90 시리즈의 미션 팩을 장비하는 것도 용이하며, 또한 하드 포인트에서 에너지 공급도 가능하다. 바이오 컴퓨터도 탑재되어 있다고 하는 자료도 있으며, 파일럿의 기량에 따라서는 금속 박리 효과(MEPE)도 가능하다.

본기의 롤아웃은 고성능 소형 MS에 코어 블록 시스템을 채용한 AE사의 네오 건담과 같은 0123년 2월이지만, 네오 건담 쪽이 먼저이며, 늦어진 사나리가 총력을 기울여 완성하고 있다.

; 주요 무장

:; 메가 빔 바주카

:: 사나리에 의해 신규 설계되어 시험적으로 본기에 장비된다. 허리 측면의 하드 포인트에 1문씩 연결하여 베스바에 필적하는 강력한 빔 병기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기의 명칭인 "클러스터"는 "수속"의 의미이며, 뛰어난 위력을 가진 본 무장에 연관되어 첫 출진 후에 붙여졌다. 또한, 허리의 하드 포인트에는 빔 라이플을 연결하여 사격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V건담'에서는 우주세기 0153년에는 하드 포인트 접속용 커넥터와 에너지 팩 용량을 개량한 모델이 AE사에 의해 생산되어, 연방군의 젬즈건이나 자벨린, 및 리가 밀리티어의 MS가 사용하고 있다.

:; 빔 실드

::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F91처럼 기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가동 가능하다. 본체로부터의 에너지 공급도 빔 라이플과 같은 규모의 전달 회로로 가능하며, 일설에는 빔 실드 이외의 기능도 넣으려고 했다고도 한다. F90의 실체 실드와 마찬가지로 그립이 달린 휴대식이 되고 있다.

; 작중 활약

: 만화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에서는 울프 라이르 소위가 코어 부스터에 탑승하여 크로스본 뱅가드에 제압되어 24시간 후의 프론티어 I에 잠입. 사나리의 연구 시설에서 코어 파이터 개발에 관한 극비 자료가 들어간 메모리 칩을 회수한 후, 시설을 폭파하고 탈출. 암초 영역에 은닉되어 있는 기체 본체(울프는 존재를 알지 못했다)와 도킹하여 데스 건즈를 격파하고 나머지 추격대는 철수한다. 이 전투에서 본기는 MEPE에 의한 "분신"도 선보였다.

5. 3. 2. F90Y改

반다이가 발행한 잡지 "모형 정보" VOL.169의 뒷면에 게재되었다. '''시제 톱 파이터''' ''(PROTOTYPE TOPFIGHTER)''라고도 불린다.

클러스터 건담의 상반신을 코어 파이터와 부스터 팩으로 감싸듯이 도킹한 기체이다. 이 상태가 "F90Y改"인지, 하반신을 포함한 것인지 불명확하다. 머리 부분은 V건담처럼 동체에 반쯤 묻힌 상태이며, 팔 부분은 뒤로 접혀져 손 대신에 스러스터가 장착되어 있다. 기체 색상은 짙고 옅은 라이트 그레이를 기조로 하며, 일부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본 기체를 디자인한 오오카와라 쿠니오는 클러스터 건담은 어딘가 건이지와 비슷한 실루엣이며, 리가 밀리티어(Ria Militia)의 MS는 사나리의 흐름을 잇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6. 미션 팩

F90은 어깨, 팔뚝, 다리 등 기체 11곳에 하드포인트가 설치되어 있어, 운용 목적에 따라 포맷화된 "미션 팩"을 장비함으로써 주력 공격부터 후방 지원, 유격 전투, 강습 등 다양한 임무에 대응할 수 있다. 각 래치는 I/O 포트로 되어 있어, 장비마다 데이터·프로그램 수정을 할 필요가 없다. 각 장비의 설정은 모두 컴퓨터에 의해 관리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미션 팩을 혼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장비는 간단하게 탈착 가능하며, MS끼리의 야전 환장이나 격투전 시의 제거도 가능하다. 미션 팩은 26종류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상세 불명인 것도 많다.

미션 팩 중 A·D·H·M·S 타입은 우주세기 0111년 9월 기체 본체의 롤아웃에 앞서 완성되었다. 이듬해 0112년 2월에는 L·V·P 타입이 완성되었다. 0121년 10월 28일에는 F90II로의 본체 개수 작업과 함께 I·J 타입이 완성되었다. 또한, 『F90FF』에서는 0112년에 E·F·K·M·N 타입, 0115년에 G·U 타입의 테스트가 2호기에 의해 행해졌다.

미션 팩은 "A 타입" 등과 같이 알파벳으로 불리는데, 이는 각 사양의 용도를 나타내는 영문 머리글자이다.

rowspan="2" |기획 시설정
영문의미영문가타카나사양명
AAssoult맹공, 강습, 돌격, 폭행Assoult어설트장거리 침공 사양
BBombard폭격Bombard본바드중폭격 사양
CColdness한랭지 사양Coldness콜드네스한랭지 사양
DDestroy파괴, 파멸, 멸망, 구축Destroied데스트로이드근접전 사양
EElectronic전자전Electronic일렉트로닉전자전 사양
FFight격투전Fight파이트격투전 사양
GGuards호위Guards가드경비·호위 사양
HHover육전Hover호버고속 육전 사양
IInterceptor요격, 요격Intercept인터셉트요격·추격전 사양
JJacket증가 장갑Jacket재킷중장 사양
KKeep수비대용Keep지구전 사양
LLong range장사정Long-range롱레인지장사정 사양
MMarine바다의, 해병대원Marine마린수중전 사양
N-(기재 없음)Next넥스트뉴타입 사양
OOfficer지휘관용Officer오피서지휘관 사양
PPlunge돌입Plunge플런지대기권 돌입 사양
QQuick고기동, 민첩Quick기동력 향상 사양
RReconnoiter정찰, 조사Reconnoiter리코노이타정보 수집·전황 기록 사양
SSupport원호, 지원, 지시, 양호Support서포트장거리 지원 사양
TTracer추격Tracer트레이서추격전 사양
UUp-Lift대기권 이탈Up-Lift업리프트대기권 이탈 사양
VV.S.B.R.베스바 시험형V.S.B.R.베스바신형 화기 시험 사양
WWar bird비행 시험형Warbird워버드군용기 사양
XXtra(미지의) 번호 외
아머먼트 파츠(G아머)
---
YYoung star(두 번째 미지)F90-3호기Youngstar영스타-
ZZero(세 번째 미지)F0-1호기---



2019년에 웹사이트 『프리미엄 반다이』에서 "'''F90 A to Z PROJECT'''"가 시작되었다. 그때까지 상세 불명이었던 미션 팩이 오오카와라(大河原)에 의해 새롭게 디자인됨과 동시에 설정도 추가되었으며, 기 발표된 것을 포함하여 마스터 그레이드 (한정판)로 순차적으로 상품화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封入特典「F91 ドキュメントコレクション」収録インタビュー冒頭公開 http://www.gundam-f9[...] 株式会社サンライズ 2018-05-25
[2] 서적 グレートメカニックG 2018WINTER 双葉社
[3] 문서 組立図より。
[4] 간행물 EB 데라즈 분쟁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