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성여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성여객은 197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70년대 도시형 버스 131번과 132번 운행을 시작으로, 1979년 좌석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 및 간선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2010년 도원교통에 인수되었다. 현재 간선버스 271번, 지선버스 1213번, 2013번, 심야버스 N62번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271A, 271B번, 2219번, 2311번, 8220번 등의 노선을 운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원교통 계열사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도원교통 계열사 - 선일교통
    선일교통은 1969년 화계교통으로 설립되어 미아운수를 거쳐 199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서울 강북구 소재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간선, 지선, 맞춤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2022년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인수된 후 재정 악화 및 서비스 질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경성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경성여객 주식회사
원어Kyungsung Bus Co., Ltd.
종류주식회사
창립1970년 10월 1일
시장 정보비상장
장소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380 (면목동)
국가대한민국
인물김종원, 김정환 (공동대표이사)
산업운수업
자본금142,500,000원 (2020.12)
매출액16,277,670,118원 (2020)
영업이익993,164,097원 (2020)
순이익4,319,349,626원 (202.)
자산총액23,800,464,393원 (2020.12)
주주KS홀딩스컴퍼니 : 100%
계열사도원교통

2. 연혁

2. 1. 1970년대 ~ 1980년대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1991년 4월 25일 도시형버스 131번(면목동 ~ 망원동) 노선과 동일한 좌석버스 131번(면목동 ~ 망원동) 노선을 개통하였다.[3]

1991년 5월 1일 도시형버스 822번(상봉터미널 ~ 청량리역) 노선은 폐선되었다.[3]

1991년 도시형버스 132번(중곡동 ~ 망원동) 노선은 도시형버스 132번(중곡동 ~ 종로1가) 노선과 도시형버스 132-1번(2기노선) (망원동 ~ 종로1가)의 2개 노선으로 분할 운행되었다.[3]

1993년 8월 10일 도시형버스 131번(면목동 ~ 망원동)의 단축 노선으로 도시형버스 131-1번(면목동 ~ 신설동)노선이 개통되었다. 도시형버스 132번(중곡동 ~ 종로5가) 노선은 신설동으로, 도시형버스 132-1번(2기노선) (망원동 ~ 종로1가) 노선은 서대문으로 단축되었다.[3]

1997년 좌석버스 131번(면목동 - 망원동) 노선은 폐선되고 도시형버스 131번(면목동 ~ 망원동) 노선에 통합되었다.[3]

2002년 1월 도시형버스 131-1번(면목동 ~ 신설동) 노선은 폐선되었다.[3]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지선버스 3개 노선, 간선버스 1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05년 지선버스 2311번이 수요 저조로 폐선되었다. (현재 3215번으로 변경되어 운행 중인 북부운수 2311번과는 관계 없음)[4]

2010년 2월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소재 도원교통에 인수되었다. 같은 해 8월 21일 지선버스 2219번을 계열사인 도원교통에서 단독 운행 중인 1213번에 통합하면서, 1213번을 본 업체와 도원교통이 공동 배차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9월 13일 심야버스 N62번을 개통하여 도원교통과 공동 배차하였다.

2015년 2월 27일 지선버스 2013번의 일부 구간이 변경되었다.[4]

2020년 3월 20일 간선버스 271번에서 271A번(상암동)과 271B번(국회의사당) 노선이 분리되었다.

2021년 3월 27일 271A/B번이 271번으로 환원되었다.

3. 운행 노선

2024년 3월 17일 기준이다.[5]

경성여객은 간선버스 1개, 지선버스 2개, 심야버스 1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운행 노선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
인가 대수비고
271번용마문화복지센터상암동(월드컵파크 9단지)4~2044131번 연장, 2020년 3월 20일 271A번으로 번호 변경[6], 2021년 3월 27일 271B번과 통합
1213번용마문화복지센터국민대학교8~1520구 522-2번 변경, 2219번과 노선 통합
2013번용마문화복지센터신당역5~11122004년 7월 1일 신설
N62번중화중학교양천공영차고지40분, 6회6도원교통과 공동 배차


3. 1. 간선버스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271번용마문화복지센터 ↔ 상암동(월드컵파크 9단지)4~2044131번 연장, 2020년 3월 20일 271번에서 분리하여 271A번으로 번호 변경[6], 2021년 3월 27일 271B번과 통합하여 271번으로 번호 환원


3. 2. 지선버스

2024년 3월 17일 기준이다.[5]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1213번용마문화복지센터 ↔ 국민대학교8~1520구 522-2번 변경. 2219번과 노선 통합.
2013번용마문화복지센터 ↔ 신당역5~11122004년 7월 1일 신설


3. 3. 심야버스

2024년 3월 17일 기준이다.[5]

노선 번호기점종점배차 간격인가 대수비고
N62번중화중학교양천공영차고지40분, 6회6도원교통과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4. 과거 운행 노선

과거 경성여객에서 운행했던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기점종점비고
A번 (간선)면목8동상암동구 271번, 2021년 3월 27일 271B번과 통합 후 271번으로 환원[1]
B번 (간선)면목8동국회의사당2021년 3월 27일 271A번과 통합 후 폐선[2]
2219번 (지선)면목8동신설동구 132번, 2010년 8월 21일 태릉교통 1213번에 통폐합[1]
2311번 (지선)면목8동배명중학교, 배명고등학교2005년 8월 1일 폐선, 현 북부운수 2311번과는 무관[2]



A영어번과 B영어번은 제거했습니다.

4. 1. 간선버스

4. 2. 지선버스

5. 보유 차종

참조

[1] 버스노선 2311번 지선버스 (과거)
[2] 버스
[3] 버스노선 132-1번 1995
[4] 버스노선
[5]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6] 버스노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