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부운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운수는 1974년 서울시영버스 205번 노선을 불하받아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2000년 혁성운수와 선진교통을 인수합병하고,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 조정 및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지분 출자했다. 현재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우진산전, 하이거 버스, CRRC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부운수
    서부운수는 1974년 서울승합에서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며, 현재 간선버스 721번, 지선버스 7018번, 7719번, 8773번을 운행한다.
  • 197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일운수 (충북)
    동일운수는 1974년 설립되어 30대 시내버스로 시작하여 현재 80대를 운행하며, 다양한 수상 경력과 친환경적인 노력을 통해 청주시의 시내버스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북부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북부운수 주식회사
원어Buk-bu Transportation Co., Ltd.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창립1974년 9월 23일
인물최윤준 (대표이사)
국가대한민국
장소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로 230 (면목동)
사업 지역신내영업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자본금2,340,000,000원 (2020.12)
매출액43,552,456,649원 (2020)
영업이익1,105,121,780원 (2020)
순이익1,973,885,119원 (2020)
자산총액32,980,210,683원 (2020.12)
주주최윤준 : 20.6%
최형식 : 13.5%
박희서 : 13.1%
최상훈 : 10.8%
최원정, 최희정 : 각 8.3%
최면식 : 7.7%
기타 : 17.7%
종업원520명 (2020.12)

2. 역사

북부운수는 1974년 9월 23일 서울시영버스의 분할 매각에 따라 시영버스 205번 노선을 불하받아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인수, 합병,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1970년대 ~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전

1974년 9월 23일 서울시영버스의 분할 매각에 따라 시영버스 205번 노선을 불하받아 설립되었다.

1991년 도시형버스 205번의 단축 루트인 좌석버스 205번을 운행했다.

1997년 좌석버스 205번을 도시형버스 205-1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

2000년 2월 경영난으로 폐업한 혁성운수의 53번, 53-1번, 54번, 402번, 427번 등을 인수 합병했다. (이후 53-1번은 폐선되었다.)

같은 해 봄, 신성교통(현 서울운수)에서 당시 노사파업 문제에 놓여있던 중랑구시내버스 자회사인 선진교통(구 신한교통)을 북부운수에 매각하면서, 북부운수가 선진교통을 인수 합병하였다.

2002년 1월 10일 522번은 회기역 ~ 강변역으로 조정되었다.

2. 2.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서울시내버스 개편으로 북부운수는 큰 변화를 겪었다. 기존 노선들의 번호와 운행 구간이 변경되었는데, 205번은 간선버스 272번으로 바뀌어 남가좌동까지 운행하게 되었고, 522-1번은 지선버스 3215번으로 바뀌어 상봉동에서 전농동으로 운행 구간이 조정되었다. 427번은 지선버스 2211번, 402번은 지선버스 2112번, 53번은 간선버스 262번, 54번은 지선버스 2233번으로 변경되었다. 특히 2112번은 성북동으로 연장되었고, 262번은 면목동에서 중랑공영차고지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2233번은 대림동~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구간이 단축되고 옥수동으로 운행 구간이 변경되었다.[1]

새로운 노선도 신설되었다. 지선버스 2111번(면목동~상월곡동, 이후 2230번으로 변경)과 지선버스 2217번(중랑공영차고지~건대입구역, 2005년 폐선)이 신설되었고, 중랑공영차고지에 영업소가 새로 마련되었다. 2212번(면목동~신이문역)은 2005년 2211번에 통합 폐선되었다.[1]

북부운수는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여 서울시 버스 개편에 적극 참여했다.[1]

이후에도 노선 변경은 이어졌다. 2007년 지선버스 2111번은 동묘앞역으로 단축되고 중랑공영차고지로 기점이 연장되면서 지선버스 2230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2008년에는 2230번이 청량리역으로 단축되었고, 2112번은 면목동 방향 운행 시 양방향 천호대로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3215번이 면목동 북부운수 차고지로 변경되면서 운행 방식이 바뀌었다.[1]

2012년에는 간선버스 262번의 여의도 회차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고, 2013년에는 지선버스 3215번이 중랑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231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2230번은 중랑공영차고지~중랑구청사거리 구간이 단축되고 면목동 차고지~상봉역~중랑구청사거리 구간이 연장되었다. 2013년 11월에는 2311번의 경유지가 서울의료원, 중랑구청, 상봉1동으로 변경되었다.[1]

2014년 12월 23일에는 구리암사대교용마터널 개통으로 지선버스 2312번이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서울승합과 공동 배차로 개통되었다.[1]

2023년 11월 25일에는 녹색순환버스 01번, 8001번 노선이 각각 01A번, 01B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1]

3. 운행 노선

2023년 11월 25일 기준 북부운수가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01A번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6~9142022년 5월 2일 신설, 02번·04번 통합, 녹색순환버스
01B번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9~4052023년 4월 8일 신설, 녹색순환버스
262번중랑공영차고지 ↔ 여의도환승센터6~1028구 53번 변경,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272번면목동 ↔ 남가좌동4~740구 205번 변경
2112번면목동 ↔ 성북동10~1414구 402번 연장
2211번면목동 ↔ 회기역5~718구 427번 연장
2230번면목동 ↔ 경동시장5~1019구 2111번 단축
2233번면목동 ↔ 옥수동12~1717구 54번 단축 및 변경
2311번중랑공영차고지 ↔ 문정동11~1322구 522-1번, 3215번 변경
2312번강동공영차고지 ↔ 중랑공영차고지8~309대원여객과 공동 배차
N72번은평공영차고지 ↔ 신내역20~4542022년 12월 1일 개통, 보광교통, 유성운수와 공동 배차



8221번은 태릉교통, 한성운수, 상진운수와 공동 배차로 운행하는 맞춤버스이다.[1]

3. 1. 간선버스

노선 번호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262번중랑공영차고지 ↔ 여의도환승센터6~1028구 53번 변경,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272번면목동 ↔ 남가좌동4~740구 205번 변경


3. 2. 지선버스

2023년 11월 25일 기준이다.

노선 번호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2112번면목동 ↔ 성북동10~1414구 402번 연장
2211번면목동 ↔ 회기역5~718구 427번 연장
2230번면목동 ↔ 경동시장5~1019구 2111번 단축
2233번면목동 ↔ 옥수동12~1717구 54번 단축 및 변경
2311번중랑공영차고지 ↔ 문정동11~1322구 522-1번 변경 및 3215번 변경
2312번강동공영차고지 ↔ 중랑공영차고지8~309대원여객과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3. 3. 순환버스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01A번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6~9142022년 5월 2일 신설, 02번·04번 통합 노선, 녹색순환버스 노선
01B번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 ↔ 남산예장버스환승주차장9~4052023년 4월 8일 신설, 녹색순환버스 노선


3. 4. 심야버스

보광교통, 유성운수와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3. 5. 맞춤버스

8221번: 장안동 - 동경호텔 - 답십리 - 전농동 - 동답초등학교 - 답십리역 (2018년 3월 26일 신설 노선, 이 노선은 태릉교통, 한성운수, 상진운수 공동 배차)[1]

4. 폐선된 노선

영어 01번: 2003년부터 동대문 - 광화문광장, 서울역 간을 운행하다 2005년 청계천로 순환버스로 다시 개통되었으나, 2006년 4월 21일 폐선되었다.[1]

영어 01번: 탄천주차장 - 대치동 쌍용아파트 - 삼성역 - COEX 구간을 운행하였다. 2006년 4월 21일 개통, 2008년 9월 1일 순환버스 41번 신설과 동시에 폐선되었다.

영어 01B번: 서울역 - 서울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며,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하였다. 2022년 6월 27일 폐선되었다.

영어 02번: N서울타워충무로역동대입구역 → 국립극장 → N서울타워

영어 03번: N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서울역 - 남산3호터널 - 녹사평역 - 한강진역 - 약수역 - 동대입구역 - 국립중앙극장 - N서울타워 (2020년 1월 29일 폐선, 같은 날 신설된 03번과는 무관)

영어 03번: 서울특별시청 → 경복궁 → 탑골공원 → 서울 중부 경찰서 → 명동역 → 북창동 → 서울특별시청 (2021년 7월 1일 폐선)

영어 04번: N서울타워 → 시청앞 → 경복궁 → 안국역 → 탑골공원 → 종로5가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입구역N서울타워

4. 1. 순환버스

4. 2. 지선버스

4. 3. 맞춤버스

5. 본사 및 영업소

6. 보유 차량

北京慶星旅客自動車運輸|베이징 칭싱 뤼커 쯔둥처 윈수중국어는 북부운수의 이전 명칭이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북부운수 보유 차량
제조사차종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우진산전
하이거 버스
中國中車|중궈중처중국어 (CRRC)



북부운수는 친환경 자동차 도입에도 힘을 쏟고 있다.

7. 갤러리

서울시내버스 272번


서울시내버스 구 8002번


서울시내버스 05번


서울시내버스 2312번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bus.or.k[...]
[2] 웹사이트 http://www.sbus.or.k[...]
[3] 웹사이트 http://www.sbus.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