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엄은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군사상의 필요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법률에 따라 선포되는 조치이다. 대한민국 헌법은 계엄을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구분하며, 비상계엄 선포 시 영장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등에 대한 특별한 조치가 가능하다. 계엄은 쿠데타, 반정부 세력 억제, 대규모 자연재해 등에 대응하기 위해 선포될 수 있으며, 국제법상 정복국의 계엄 통치도 인정된다. 계엄령은 역사적으로 군사독재와 연관되어 악용되기도 했으며, 한국에서는 여순사건, 6.25 전쟁, 5.16 군사 정변, 광주 민주화 운동 등 여러 차례 선포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엄 - 타이완성 계엄령
    국공내전으로 천청에 의해 선포된 타이완성 계엄령은 1949년부터 1987년까지 38년간 지속되며 타이완의 정치,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국민의 자유를 억압했으나 장징궈 총통에 의해 해제된 후 과거사 청산 및 피해자 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 계엄 - 우크라이나의 계엄
    우크라이나의 계엄은 헌법에 따른 비상 조치로 특정 권리와 자유를 제한하며, 러시아의 침공에 대응하여 전국에 발효되어 선거 연기, 언론 및 정당 활동 제한, 징집 및 통행 금지 등의 조치가 시행된다.
  • 군법 - 교전규칙
    교전규칙은 군사 작전 시 특정 상황에서 군대의 행동 지침을 규정하며, 자위권 행사, 인명 보호, 오해 방지 등을 목적으로 각국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국제 매뉴얼을 참고하여 무기 사용의 시점, 장소, 상대 등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 군법 - 반란죄
    반란죄는 전시를 포함한 군사적 반역 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으로, 대한민국에서는 군사반란 관련자에게 선고된 사례가 있으며, 일본 형법에서는 당을 결성하여 무기를 들고 반란을 일으키는 행위 등 다양한 군사적 반역 행위를 규정하고, 특히 국군에게 적용되는 특별법적 성격을 가진다.
  • 전시 체제 -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자(납세의무자)를 대신하여 소득세를 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로, 소득세법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적용되며 세금 납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시행된다.
  • 전시 체제 - 민방위
    민방위는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 및 체계로, 과거 핵전쟁 대비에서 현재는 다양한 재난에 대응하는 광범위한 임무를 수행하며 국가별 특성에 따라 운영 방식이 다르다.
계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국가 권력에 의한 직접적인 군사 통제 또는 민법 정지
적용 대상군사 법규
정의정부에 의한 직접적인 군사 통제 또는 민법의 정지
역사 및 배경
선포 이유비상 상황, 전쟁, 폭동, 자연 재해 등
목적질서 유지, 공공 안전 확보, 정부 기능 유지
배경역사적으로 다양한 이유로 선포됨.
전쟁 또는 반란 기간 중 선포되는 경우가 많음.
법적 측면
권한군사 당국이 민간 사법 시스템을 대체함.
헌법 및 민법에 따른 권리 제약 가능.
법적 근거국가마다 관련 법규 및 헌법 조항 존재.
대한민국에서는 계엄법에 근거함.
영향 및 제한
시민 자유 제한집회, 시위, 언론, 통행의 자유 제한 가능.
군사 검열 및 통신 감시 강화 가능.
사법권군사 재판소에서 민간인 재판 관할 가능.
경제 활동경제 활동 및 재산권에 대한 제약 가능.
공공 서비스군사 당국에 의해 공공 서비스 및 기반 시설 통제 가능.
식량 배급 및 통신망 통제 가능.
국제법
국제법 기준국제 인권법에 따른 제한 및 기준 준수 필요.
비상 사태 시에도 인권 존중 의무.
무력 사용 제한불필요한 무력 사용 및 과도한 탄압 금지.
현대적 사례
예시폴란드 계엄령(1981년)
미국 남북 전쟁 중 선포
필리핀의 계엄령 선포
논란계엄령의 정당성 및 남용 가능성에 대한 논쟁 존재.
인권 침해 및 민주주의 위협 가능성에 대한 우려.
추가 정보
관련 용어계엄령, 계엄 사령관
참고 자료계엄법
헌법
사진
폴란드 계엄령 당시 탱크
폴란드 계엄령 당시 탱크 (1981년 12월)
던모어의 선언
1775년 11월 7일 버지니아 식민지에서 선포된 던모어의 선언

2. 계엄령의 정의 및 법적 근거

계엄령은 국가 비상사태 시 군사적 필요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발동되는 조치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뉜다.[5] 비상계엄 시에는 영장 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정부나 법원의 권한에 대해 특별한 조치가 가능하다. 대통령은 계엄 선포 시 국회에 통고해야 하며, 국회는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으로 계엄 해제를 요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계엄령은 그 법적 실체가 모호하게 묘사되기도 했다.[5] 1628년 매슈 헤일 경은 계엄령을 "법이 아닌, 법으로 허용되기보다는 관용되는 것"으로 묘사했다.[5] 이는 현대에도 마찬가지로, 계엄령 시행은 법적 권리보다는 필요성에 기반하며, 명시적 허용 조항이 없는 국가도 많다.[5] 이런 경우 필요성의 원리가 법적 정당성의 근거가 된다.

계엄령은 정부가 국민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쿠데타(태국, 이집트), 대중 시위(1989년 천안문 사건), 정치적 반대 세력 억압(폴란드) 등에서 나타난다. 대규모 자연재해 시에도 선포될 수 있지만, 비상사태와 같은 다른 법적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계엄령은 분쟁이나 점령 시기 민정부 부재 상황에서도 부과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과 일본 재건,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 등이 그 예다.

계엄령 하에서는 통행금지가 실시되고, 민법, 시민권, 체포영장이 정지되며, 민간인에게 군법 또는 군사 사법이 적용될 수 있다. 계엄령에 저항하는 민간인은 군사 재판소에 회부될 수 있다.

계엄은 테러 등에 의한 치안 악화나 과격한 폭동 진압을 위해 발령되며, 국가의 입법·사법·행정 일부 또는 전부를 군에 이관하는 것이다.[83] 일반적인 민사법·형사법 적용은 정지되고 군법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지며, 재판은 군사법정 관할이 될 수 있다. 쿠데타로 인한 임시정부에 의해 발령되기도 한다.

2. 1. 정의

계엄은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 비상사태 시 군사적 필요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법률에 따라 대통령이 선포할 수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에 따르면,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뉜다.[5] 비상계엄이 선포되면 영장 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정부나 법원의 권한에 대해 특별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계엄령은 법적 실체가 모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5] 1628년 영국의 매슈 헤일 경은 계엄령을 "법이 아니고, 법으로 허용되기보다는 오히려 관용되는 어떤 것"이라고 묘사했다.[5] 이는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다. 계엄령 시행은 법적 권리보다는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지며, 일부 국가에는 명시적 허용 조항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국가도 많다.[5] 계엄령 선포를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일반법상의 필요성의 원리가 법적 정당성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계엄령은 정부가 국민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쿠데타(2006년 태국, 2013년 이집트), 대중 시위(1989년 천안문 사건), 정치적 반대 세력 억압(1981년 폴란드) 등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규모 자연재해 발생 시에도 선포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비상사태와 같은 다른 법적 구조를 사용한다.

계엄령은 분쟁 중이나 점령 시기에 민정부 부재로 인한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부과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과 일본의 재건, 미국 남북 전쟁 이후 미국의 재건 시대 등이 그 예다.

일반적으로 계엄령은 통행금지를 수반하며, 민법, 시민권, 체포영장을 정지시키고 민간인에게 군법 또는 군사 사법을 적용한다. 계엄령에 저항하는 민간인은 군사 재판소에 회부될 수 있다.

본래 테러 등에 의한 치안 악화나 과격한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발령된다. 계엄령과 비상사태 선언의 차이는, 계엄은 국가의 입법·사법·행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군에 이관하는 것이다.[83] 일반적인 민사법·형사법의 적용은 일부 또는 전부 정지되고 군법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재판은 군사법정의 관할이 되는 경우가 있다. 쿠데타에 따라 일으킨 임시정부에 의해 발령되는 경우도 있다.

2. 2. 법적 근거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병력을 동원하여 군사적 필요에 응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법률에 따라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5]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뉜다. 비상계엄 선포 시에는 법률에 따라 영장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정부나 법원의 권한에 대해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다. 대통령은 계엄 선포 시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해야 하며,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가 찬성하면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계엄령은 여러 차례 선포되었지만, 그 법적 실체는 모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5] 1628년 영국의 매슈 헤일 경은 계엄령을 "법이 아니고, 법으로 허용되기보다는 오히려 관용되는 어떤 것"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다. 계엄령 시행은 법적 권리보다는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지며, 일부 국가는 계엄령 사용을 명시적으로 허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국가도 많다.[5] 계엄령 선포를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일반법상의 필요성의 원리 또는 그 변형이 법적 정당성으로 작용한다.

계엄령과 관련된 주요 법 이론 중 하나는 필요성에 관한 영미법의 교리이다.[5] 미국처럼 계엄령 선포에 대한 명시적인 헌법적 권리가 없는 많은 국가에서 학자들은 필요한 경우 계엄령 시행을 허용하는 것으로 미국 법을 해석한다.[6] 파키스탄 등도 이러한 논리를 적용했다.[7]

2. 3. 계엄령의 종류

대한민국 헌법 제77조 2항에 따르면,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뉜다.[1]

계엄의 종류
종류내용
비상계엄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영장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정부나 법원의 권한에 관하여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다.[1]
경비계엄(별도 내용 없음)


3. 역사

국제법상 한 국가를 정복한 타 국가의 장군은 기존 국가의 헌법과 법률을 정지시키고 계엄 통치를 시행한다. 이는 국내에서 쿠데타를 일으킨 장군에게도 해당되며, 정복자는 단독으로 계엄 통치를 한다.[150]

대한민국 헌법에서는 대통령이 계엄 선포권을 가지며, 여수·순천 사건 당시인 1948년 10월 21일 처음 발효되었다. 그러나 이후 독재 정권에 의해 정권 유지 수단으로 악용되었으며, 특히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은 신군부의 내란 행위를 통한 정권 탈취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악용되었다.[150]

많은 경우 계엄령 선포는 군사독재로 이어졌다. 1973년 칠레 쿠데타, 미얀마 내전, 더러운 전쟁 등이 그 예시이며, 과거 튀르키예의 케난 에브렌과 현재 태국쁘라윳 짠오차도 계엄령을 통해 군사 독재를 유지했다.[150]

계엄령은 프랑스 혁명 중 1791년 제정된 「1791년 포위법」을 기원으로 한다. 이 법은 전시 상황에서 군 지휘관에게 권한을 이양하는 것을 규정했으나, 실제로는 정치적 반대파 탄압에 악용되었다. 나폴레옹은 이 법을 더욱 강화하여 내전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독일에서는 1848년 혁명 이후 프로이센에서 계엄령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고, 이는 독일 제국 헌법에도 반영되었다.

영국미국은 헌법에 계엄령 조항이 없지만, 불문법인 'martial law' 개념이 존재한다. 이는 국가 비상시 군사 통치를 의미하며, 필요성에 따라 발동되지만 권력 분립 원칙에 의해 제한된다.

일본에서는 1882년 제정된 '''계엄령'''이 일본제국헌법에 명문화되었으나, 실제 계엄 선포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때뿐이었다. 히비야 방화 사건, 관동 대지진, 2.26사건 때는 긴급칙령을 통해 계엄령 일부 규정을 적용했다.

현대에는 여러 국가에서 계엄령이 선포되었으며, 그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오스트레일리아1804년 케슬힐 죄수 반란사건
캐나다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시조치법 시행
이집트1967년 제2차 중동전쟁 이후 지속적 시행, 이집트 혁명으로 해제
프랑스프랑스 헌법 제16조에 근거한 국가비상사태법
인도1962년 중인국경분쟁, 1965년,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미국제2차 세계 대전하와이주 (1941~1945년)
일본히비야 방화 사건, 간토 대지진, 2.26사건
중화민국타이완 성 계엄령 (1949~1987년, 세계 최장)
중화인민공화국1964년 연안 지역, 1989년 티베트 독립운동 및 1989년 톈안먼 사건 관련 일부 지역
필리핀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1972~1981년)
말레이시아1969년 5·13 사건 이후 (1971년 해제)
우크라이나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현재 진행 중


3. 1. 한국의 계엄령

1973년 칠레 쿠데타, 미얀마 내전, 더러운 전쟁 등과 같이, 많은 경우 계엄령 선포는 군사독재로 이어졌다. 과거 튀르키예의 케난 에브렌, 오늘날 태국쁘라윳 짠오차 등이 그러한 예이다.[150]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당시 육군 소장은 5.16 군사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대한민국 전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 헌법을 정지시켰다. 그는 군정장관이 되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단독으로 행사했으며, 자신이 단독으로 헌법개정안을 작성해 국민투표에 회부하여 통과시켰다.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 대통령은 대한민국 전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켰다. 자신이 군정장관이 되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단독으로 행사했다. 10.17 비상조치라고 한다. 단독으로 헌법개정안을 작성해 국민투표에 회부하여 통과시켰다. 유신헌법이라고 한다.

1979년 12·12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전두환1980년 5월 17일 전국 비상계엄을 선포해 헌법을 일방적으로 정지시키고, 군정장관으로서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단독으로 행사했다. (5·17 쿠데타 참조) 역시 단독으로 헌법개정안을 작성해 국민투표에 회부하여 통과시켰다.

1946년 10월, 미군정은 대구 폭동으로 인해 계엄령을 선포했다.[46] 1948년 11월 17일, 이승만 대통령 정권은 제주 4·3 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47]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정권은 4·19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다시 계엄령을 선포했다.[48]

1979년 12월 12일 12·12 사태 이후, 전두환 장군은 1980년 5·17 쿠데타를 일으켜 내각에 전국적인 계엄령 연장을 강요했고, 이는 1980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을 촉발시켰다.[49]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자유 대한민국을 북한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반국가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2024년 대한민국 비상계엄을 선포했다.[50][51] 그러나 2024년 12월 4일 01시 01분 한국 표준시(KST), 국회에 출석한 190명의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계엄령 해제에 투표했다.[52][53][54] 윤 대통령은 오전 4시 50분경 공식적으로 계엄령을 해제했으며, 계엄령은 약 6시간 동안 시행되었다.[55]

3. 1. 1. 해방 직후

일제가 패망하고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 원수(5성 장군)는 남한 전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일본의 헌법, 법률을 모조리 정지시켰다.[95] 미 육군 소장이 군정장관(military governor, 군인인 총독을 의미한다.)이 되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단독으로 행사하였다.[95] 군정장관이 단독으로 입법한 선거법으로 5·10 총선을 치러 제헌 국회를 구성했다.[95]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참조.

3. 1.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계엄선포권을 가지며, 계엄법을 통해 계엄 선포의 주체, 권한, 방법, 계엄사령관의 임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150]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계엄령이 발효된 것은 1948년 10월 21일 여수·순천 사건 때였다. 하지만 이후 독재 정권은 계엄령을 정권 장악 및 유지 수단으로 악용하였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 기간에 내려진 계엄령은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내란 행위를 통해 정권을 탈취하고, 이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하는 데 악용되었다.[150]

대한민국에서 내려진 주요 계엄령 기간은 다음과 같다.[150]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당시 육군 소장은 5.16 군사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고 대한민국 전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 헌법을 정지시켰다. 그는 군정장관이 되어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모두 단독으로 행사했으며, 자신이 단독으로 헌법개정안을 작성해 국민투표에 회부하여 통과시켰다.

1979년 12·12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전두환1980년 5월 17일 전국 비상계엄을 선포해 헌법을 일방적으로 정지시키고, 군정장관으로서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단독으로 행사했다. (5·17 쿠데타 참조) 역시 단독으로 헌법개정안을 작성해 국민투표에 회부하여 통과시켰다.

1946년 10월, 미군정은 대구 폭동으로 인해 계엄령을 선포했다.[46] 1948년 11월 17일, 이승만 대통령 정권은 제주 4·3 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47]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정권은 4·19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다시 계엄령을 선포했다.[48]

1979년 12월 12일 12·12 사태 이후, 전두환 장군은 1980년 5·17 쿠데타를 일으켜 내각에 전국적인 계엄령 연장을 강요했고, 이는 1980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을 촉발시켰다.[49]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자유 대한민국을 북한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반국가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2024년 대한민국 비상계엄을 선포했다.[50][51] 그러나 2024년 12월 4일 01시 01분 한국 표준시(KST), 국회에 출석한 190명의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계엄령 해제에 투표했다.[52][53][54] 윤 대통령은 오전 4시 50분경 공식적으로 계엄령을 해제했으며, 계엄령은 약 6시간 동안 시행되었다.[55]

3. 1. 3. 군사독재와의 연관성

많은 경우 계엄령 선포는 군사독재로 이어졌다. 1973년 칠레 쿠데타, 미얀마 내전, 더러운 전쟁, 과거 튀르키예의 케난 에브렌, 오늘날 태국쁘라윳 짠오차 등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사 독재를 유지했다.[150]

대한민국에서는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계엄 선포권을 가지며, 계엄법을 통해 계엄 선포의 주체, 권한, 방법, 계엄사령관의 임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1948년 10월 21일 여수·순천 사건으로 발효된 계엄령이 최초이며, 이후 독재 정권에 의해 정권 장악 및 유지의 수단으로 악용되었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 기간에 내려진 계엄령은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내란 행위를 통해 정권을 탈취하고, 이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악용되었다.[150]

대한민국에서 내려진 주요 계엄령 기간은 다음과 같다.[150]


3. 2. 외국의 계엄령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이유로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class="wikitable"

|-

! 국가 !! 내용

|-

| 오스트레일리아 || 1804년 3월 4일 케슬힐 죄수 반란사건 때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 캐나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에 전시조치법이 시행되었다. 1988년 국가비상사태법으로 대체되었다.

|-

| 이집트 || 1967년 제2차 중동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계엄령이 시행되었으며, 1980년의 18개월을 제외하고는 계속되었다. 이집트 혁명으로 해제되었다.

|-

| 프랑스 || 프랑스 헌법 제16조에 근거한 국가비상사태법을 두고 있다.

|-

| 인도 || 1962년 중인국경분쟁과 1965년,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 미국 ||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부터 1945년까지 하와이주에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 일본 || 1905년 히비야 방화 사건(포츠머스 조약 반대 폭동), 1923년 간토 대지진, 1936년 2·26 사건 당시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사건선포일해제일
히비야 방화 사건1905년 9월 6일1905년 11월 29일
간토 대지진1923년 9월 2일1923년 11월 15일
2·26 사건1936년 2월 27일1936년 7월 16일



|-

| 중화민국 || 1947년 2.28 사태의 영향으로 장제스가 이끄는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1949년 5월 20일에 타이완 성 계엄령(臺灣省戒嚴令중국어)을 발포, 1987년 7월 15일 장징궈 총통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38년간 지속되었다. 이는 세계 역사상 가장 긴 전국계엄령이었다.

지역선포일해제일
타이완 성1949년 5월 20일1987년 7월 15일
진마 지구1948년 12월 10일1992년 11월 7일 (44년간 지속)



|-

| 중화인민공화국 ||


|-

| 필리핀 || 1972년 9월 21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 1981년 1월에 해제하였다. 이는 정치인 탄압, 표현의 자유 통제, 필리핀 헌법 시행 정지 목적이었다.

|-

| 말레이시아 || 1969년 5·13 사건 후 사회안정을 목적으로 선포되었으며 1971년에 해제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의회는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

| 우크라이나 ||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가비상사태로 인해 선포되었으며 현재 진행 중이다.

|}

계엄령은 법적 실체로서 모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5] 1628년 영국에서 매슈 헤일 경은 계엄령을 "법이 아니고, 법으로 허용되기보다는 오히려 관용되는 어떤 것"이라고 묘사했다.[5] 많은 국가에서 계엄령 시행은 법적 권리라기보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되며, 법적 정당성은 일반법상의 필요성의 원리 또는 그 변형이 된다.[5]

계엄령은 정부가 국민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쿠데타 이후(2006년과 2014년 태국, 2013년 이집트), 대중 시위 위협(중국, 1989년 천안문 사건), 정치적 반대 세력 억압(1981년 폴란드 계엄령), 반란 진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대규모 자연재해 발생 시에도 선포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비상사태와 같은 다른 법적 구조를 사용한다.

계엄령은 분쟁 중, 점령 중에 부과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일본의 재건, 미국 남북 전쟁 이후 미국의 재건 시대, 1871년부터 1873년까지 독일의 프랑스 북부 점령 등이 그 예이다.

일반적으로 계엄령은 통행금지, 민법, 시민권, 체포영장의 정지, 민간인에 대한 군법 또는 군사 사법의 적용 또는 확대를 수반한다. 계엄령에 저항하는 민간인은 군사 재판소에 회부될 수 있다.

4. 계엄령의 효과 및 논란

계엄령은 본래 테러 등에 의한 치안 악화나 과격한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발령된다. 계엄은 국가의 입법·사법·행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군에 이관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민사법·형사법의 적용이 일부 또는 전부 정지되고 군법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진다.[83] 또한 재판은 군사법정의 관할이 되는 경우가 있다. 쿠데타에 따라 일으킨 임시정부에 의해 발령되는 경우도 있으며, 민중의 항의·데모 등에 의해 정부가 위기에 처했을 때 반정부 세력을 억제할 목적으로 계엄이 선포되는 경우가 있다. 대규모 자연재해 시에도 계엄이 선포되는 경우가 있다. 전시 중이거나 민정 정부가 기능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엄이 선포될 수 있다. 전형적인 계엄 하에서는 야간 외출 금지령을 수반한다.

많은 경우 계엄령 선포는 군사독재로 이어졌다. 1973년 칠레 쿠데타, 미얀마 내전, 더러운 전쟁, 과거 튀르키예의 케난 에브렌, 오늘날 태국쁘라윳 짠오차 등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사 독재를 유지한 적이 있다.[150]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엄령은 여전히 법적 실체로서 상당히 모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5] 1628년 영국에서 매슈 헤일 경(Sir Matthew Hale)은 계엄령을 "법이 아니고, 법으로 허용되기보다는 오히려 관용되는 어떤 것"이라고 묘사했는데,[5] 이는 수세기 전의 인용구임에도 오늘날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사실이다. 계엄령의 시행은 대부분 법적 권리라기보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되며, 일부 국가에는 계엄령의 사용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조항이 있지만, 많은 국가에는 그렇지 않다.[5] 명시적으로 계엄령 선포를 허용하지 않는 국가에서 계엄령이 선포된 경우, 그에 대한 법적 정당성은 종종 일반법상의 필요성의 원리, 또는 그 변형에 기반한다.

4. 1. 계엄령의 효과

타 국가의 장군이 한 국가를 국제법상 정복한 경우, 정복한 장군이 기존 국가의 모든 헌법, 법률을 정지시키고 계엄 통치를 한다. 외국의 장군뿐만 아니라 국내의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복한 경우에도, 기존의 모든 헌법, 법률을 정지시키고, 정복자 자신이 단독으로 계엄 통치를 한다.[83]

대한민국 헌법하에서는 대통령이 계엄선포권을 가지고 있으며 계엄법을 두어 계엄 선포의 주체, 권한, 방법, 계엄사령관의 임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1948년 10월 21일, 여수·순천 사건으로 발효된 계엄령이 최초이며 독재 정권에 의해 정권 장악 및 유지의 수단으로 악용되었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 기간에 내려진 계엄령은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내란 행위를 통한 정권 탈취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악용되었다.[150]

일반적으로 계엄령은 통행금지를 수반하며, 민법, 시민권, 체포 영장의 효력 정지, 민간인에 대한 군법 또는 군사 사법의 적용 확대를 수반한다. 계엄령에 저항하는 민간인은 군사 재판소(군사 재판)에 회부될 수 있다.

계엄은 국가의 입법·사법·행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군에 이관하는 것이다.[83] 일반적인 민사법·형사법의 적용은 일부 또는 전부 정지되고 군법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재판은 군사법정의 관할이 되는 경우가 있다.

4. 2. 계엄령의 논란

많은 경우 계엄령 선포는 군사독재로 이어졌다. 1973년 칠레 쿠데타, 미얀마 내전, 더러운 전쟁, 과거 튀르키예의 케난 에브렌, 오늘날 태국쁘라윳 짠오차 등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사 독재를 유지한 적이 있다.[150]

대한민국 헌법하에서는 대통령이 계엄선포권을 가지고 있으며, 계엄법을 두어 계엄 선포의 주체, 권한, 방법, 계엄사령관의 임무 등을 규정하고 있다. 1948년 10월 21일, 여수·순천 사건으로 발효된 계엄령이 최초이며, 독재 정권에 의해 정권 장악 및 유지의 수단으로 악용되었다. 특히 광주민주화운동 기간에 내려진 계엄령은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내란 행위를 통한 정권 탈취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하기 위해 악용되었다.[150]

대한민국에서 내려진 주요 계엄령 기간은 아래와 같다.[150]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엄령은 여전히 법적 실체로서 상당히 모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5] 계엄령에 대한 언급은 1628년 영국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매슈 헤일 경(Sir Matthew Hale)은 계엄령을 "법이 아니고, 법으로 허용되기보다는 오히려 관용되는 어떤 것"이라고 묘사했다.[5] 수세기 전의 이 인용구는 오늘날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사실이다. 계엄령의 시행은 대부분 법적 권리라기보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되며, 일부 국가에는 계엄령의 사용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조항이 있지만, 많은 국가에는 그렇지 않다.[5] 계엄령의 선포를 명시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국가이지만 계엄령이 선포된 경우, 그에 대한 법적 정당성은 종종 일반법상의 필요성의 원리, 또는 그 변형이 된다.

4. 3. 계엄 하의 권한

계엄령이 선포되면 시민권, 체포영장 등 민법이 정지되고, 민간인에게도 군법 또는 군사 사법이 적용된다.[5] 계엄령에 저항하는 민간인은 군사 재판을 받을 수 있다.[5]

일반적으로 계엄령은 통행금지를 동반하며, 국가의 입법·사법·행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군에 이관한다.[83] 민사법·형사법의 적용은 일부 또는 전부 정지되고 군법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진다. 재판은 군사법정의 관할이 되는 경우가 있다.[83]

5. 현대 사회에서의 계엄령


  • 청일전쟁

지역선포일해제일사령관근거 칙령
히로시마시 전역 및 우지나 지역1894년 10월 6일1895년 6월 20일제5사단 류수사단장·야마자와 시즈고 육군소장칙령 제174호[97]


  • 러일전쟁

지역선포일해제일사령관근거 칙령
나가사키 요새 지대 및 요새지대법 제7조 제2항에 이르는 요새지대1904년 2월 14일1905년 10월 16일나가사키 요새 사령관 겸 나가사키 전시 지휘관칙령 제36호[99]
사세보 요새 지대 및 요새지대법 제7조 제2항에 이르는 요새지대1904년 2월 14일1905년 10월 16일사세보 진수부 사령장관 겸 사세보 전시 지휘관·사메지마 이즈노리 해군중장칙령 제37호[99]
쓰시마 및 그 연해1904년 2월 14일1905년 10월 16일타케시키 요항부 사령관 겸 쓰시마 전시 지휘관·쓰누카타 히데마쓰 해군중장칙령 제38호[99]
하코다테 요새 및 요새지대법 제7조 제2항에 이르는 요새지대1904년 2월 14일1905년 10월 16일하코다테 요새 사령관 겸 하코다테 전시 지휘관칙령 제39호[99]
펑후다오·마공요항 경역 내 및 그 연해1905년 4월 13일1905년 7월 7일마공요항부 사령관 겸 펑후다오 전시 지휘관·오모토 시즈토 해군소장칙령 제133호[101]
펑후 열도를 제외한 타이완 전섬 및 그 연해1905년 5월 12일1905년 7월 7일타이완 총독·코다마 겐타로 육군대장, 다만 계엄 구역에 부재인 경우[104] 타이완 수비군 사령관·우에다 아리사와 육군중장칙령 제160호[103]


  • 대진사건 - 쓰다 산조의 사형에 반대하는 고지마 이에히데 대심원 원장의 의견을 배제하고 쓰다를 사형에 처하기 위해 이토 히로부미 귀족원 의장·야마다 아키요시 사법대신 등이 “계엄령(원문 그대로)”을 발할 것을 주장했다.[68][69][70] 포위지 계엄의 경우, 군의 재판소에서 재판을 할 수 있지만, 애초에 전시가 아니므로 요건을 갖추지 못했고 무리수였으며, 계엄 선포에는 이르지 않았다.[68][69][70]
  • 제1차 세계 대전 중 - 테라이 내각의 “대중 정책의 성공”을 위해 “적국 독일을 이롭게 하는 스파이(독탐) 단속 명목 하에 계엄령의 일부를 시행”할 것을 고토 신페이 내무대신이 테라이 마사타케 수상에게 의견서를 내어 제안했다.[70]
  • 텐진 사건 - 1931년 11월, 텐진의 일본 조계에서 폭동을 계기로 지나 주둔군중국군이 충돌, 병력에서 열세였던 지나 주둔군 사령관 카시이 코헤이 중장은 27일에 포위지 경계엄을 선포하고 미나미 지로 육군대신에게 그 뜻을 보고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계엄령의 시행 지역은 일본 국외에서는 관동주와 만철 부속지 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조계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지나 주둔군 참모장 무나이 슌지로는 육군차관 스기야마 겐에게 보낸 전보에서 군사 행동으로서의 필요성에서 영토 외에서도 계엄령의 적용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육군 중앙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계엄 선포는 무효가 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Martial law https://www.britanni[...] 2023-03-30
[2] 웹사이트 What Is Martial Law? Meaning, History In the U.S., and Example https://www.investop[...] 2023-03-30
[3] 웹사이트 martial law https://www.law.corn[...] 2023-03-30
[4] 서적 To Save the Country: A Lost Treatise on Martial Law Yale University Press 2023-03-30
[5] 서적 Crown and Sword: Executive power and the use of force by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ANU Press 2017-11-09
[6] 웹사이트 Guide to Declarations of Martial Law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brennanc[...] 2023-04-03
[7] 논문 The Doctrine of Necessity in Pakistan https://scholarship.[...]
[8] 뉴스 Armenia imposes martial law after clashes with Azerbaij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9-27
[9] 서적 Van Diemen's Land https://books.google[...] Black Inc. 2010
[10] 뉴스 Armenia, Azerbaijan Declare Martial Law After Clashes In Disputed Nagorno-Karabakh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020-09-27
[11] 뉴스 Bahrain declares martial law as protesters clash with troop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3-15
[12] 뉴스 Bahrain Ends Martial Law but Renews Crackdown on Protes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6-02
[13] 뉴스 What the verdict was https://www.thedaily[...] The Daily Star (Bangladesh) 2009-05-04
[14] 뉴스 March 26, 1982, Forty Years Ago: Bangla martial law https://indianexpres[...] The Indian Express 2022-03-26
[15] 뉴스 General Hussain Muhammad Ershad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7-14
[16] 웹사이트 La Loi martiale telle qu'imposée au Québec en 1837 et en 1838 https://web.archive.[...] 2009-05-10
[17] 웹사이트 Middle East Online http://www.middle-ea[...] 2006-04-16
[18] 웹사이트 Egypt renews state of emergency for two years http://www.middle-ea[...] 2015-02-18
[19] 웹사이트 EGYPT: Despair over Two More Years of Martial Law http://ipsnews.net/n[...] 2009-06-20
[20] 웹사이트 Egypt's Sisi begins new term with law expanding military's power to arrest civilians https://www.middleea[...] 2024-06-25
[21] 웹사이트 The Changing Role of the Egyptian Military Under el-Sisi https://www.ispionli[...]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olitical Studies 2024-06-25
[22] 웹사이트 Martial Law in India https://www.aironlin[...] 2023-05-17
[23] 뉴스 Supreme Court rights old judicial wrongs in landmark Right to Privacy verdict, shows State its rightful place https://www.firstpos[...] Firstpost 2017-08-29
[24] 웹사이트 3. British India (1907-1947) https://uca.edu/poli[...] 2023-05-17
[25] 학술지 Nigel Collett, The Butcher of Amritsar: General Reginald Dyer. London and New York: Hambledon Continuum, 2005. viii + 575 pp. ISBN: 1-85285-575-4. http://dx.doi.org/10[...] 2008-03
[26] 웹사이트 Martial Law In India https://indianlawpor[...] 2023-05-17
[27] 웹사이트 The Iranian Revolution http://www.fsmitha.c[...] MacroHistory: World History 2010-12-23
[28] 웹사이트 Emad Baghi :: English http://www.emadbaghi[...]
[2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www.constitu[...] 2017-09-17
[30] 웹사이트 Iranian Constitution https://www.wipo.int[...] 2018-11-25
[31] 학술지 Martial Law: Legal and Administrative Problems of Civil Emergency in Britain and the Empire, 1800-1940 http://www.jstor.org[...] 1982
[32] 서적 Palestine(s): Les déchirures Paris, Editions du Felin 2001
[33] 서적 La Diaspora Palestinienne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97
[34] 서적 The birth of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1947–194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35] 웹사이트 Join Akevot Research Institute in revealing the story of the Military Rule over Palestinian citizens in Israel 1948-1966 https://www.zooniver[...]
[36] 뉴스 How Israel Tormented Arabs in Its First Decades – and Tried to Cover It Up https://www.haaretz.[...] Haaretz 2021-01-09
[37] 서적 Israel's National Security Law: Political Dynamics and Historical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38] 뉴스 Martial Law Declared in the North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06-07-15
[39] 웹사이트 Raouf Gulbul: 'Arrest first and enquire afterwards is not consonant with the principles of Human Rights and Justice' http://www.defimedia[...] Defi null
[40] 논문 Interrogating Myanmar's 'Transition' from a Post-coup Vantage Point https://www.jstor.or[...] 2023
[41] 웹사이트 Myanmar Junta Extends Martial Law https://www.hrw.org/[...] 2023-02-27
[42] 웹사이트 Arroyo declares martial law in Maguindanao province http://www.gmanews.t[...] 2009-12-05
[43] 웹사이트 Martial law declared in Maguindanao - INQUIRER.net, Philippine News for Filipinos http://newsinfo.inqu[...] 2009-12-05
[44] 웹사이트 Duterte declares Martial Law in Mindanao http://news.abs-cbn.[...] 2017-05-23
[45] 뉴스 ФЕДЕРАЛЬНЫЙ КОНСТИТУЦИОННЫЙ ЗАКОН О военном положении https://docs.cntd.ru[...]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2002-01-30
[46] 웹사이트 Special Project – Hav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Korea's Modern History http://www.champyung[...] Pyungkangcheil Church null
[47] 뉴스 Islanders still mourn April 3 massacre http://www.jejuweekl[...] Jeju weekly 2010-03-31
[48] 웹사이트 4·19때 경찰이 계엄사령관에 총탄 10만발 빌려달라 요청 http://www.hani.co.k[...] Hankyoreh 2011-04-18
[49] 서적 The Triumph of Democracy May 18 Memorial Foundation 2004
[50] 뉴스 South Korea's president declares emergency martial law https://www.aljazeer[...] 2024-12-03
[51] 뉴스 South Korea President Yoon declares martial law https://www.reuters.[...] 2024-12-03
[52] 웹사이트 [속보]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국회의장 "계엄령 선포 무효" https://imnews.imbc.[...] 2024-12-04
[53] 웹사이트 Nat'l Assembly votes to demand lifting of martial law https://en.yna.co.kr[...] 2024-12-04
[54] 웹사이트 South Korea latest: Soldiers clash with protesters as martial law declared; parliament votes to overturn president's shock order https://news.sky.com[...] null
[55] 웹사이트 South Korea lifts martial law order, president urged to resign https://www.cbsnews.[...] 2024-12-04
[56] 웹사이트 SR 510.10 Bundesgesetz vom 3. Februar 1995 über die Armee und die Militärverwaltung (Militärgesetz, MG) http://www.admin.ch/[...] null
[57] 웹사이트 Historischer Abriss zum Thema Ordnungsdienst http://www.admin.ch/[...] 2018-11-27
[58] 뉴스 Syria's Assad ends state of emergency https://www.reuters.[...] 2011-04-21
[59] 간행물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
[60] 웹사이트 No Room to Breathe: State Repression of Human Rights Activism in Syria: IV. Syria's Legal Framework https://www.hrw.org/[...] null
[61] 법률 Legislative Decree 51 1962-12-22
[6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https://www.ohchr.or[...] null
[63] 보고서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40 of the Covenant and of country situations in the absence of a report resulting in public concluding observations http://dx.doi.org/10[...] UN 2009-12-31
[64] 서적 Syria's President Bashar al-Assad: State Sponsor of Terrorism? http://dx.doi.org/10[...] Routledge 2016-01-08
[65] 논문 Democratization in Taiwan: Implications for China http://dx.doi.org/10[...] 2000
[66] 서적 A Poverty of riches: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PLA research Rand Corporation 2003
[67] 웹사이트 Martial Law, B.E. 2457 (1914) unofficial translation http://www.thailawfo[...] Office of the Council of State (Thailand) 2012-04-02
[68] 뉴스 Thailand Crisis: Army Declares Martial Law https://www.bbc.com/[...] 2014-05-20
[69] 뉴스 Turkish President Returns to Istanbul in Sign Military Coup Is Faltering https://www.nytimes.[...] 2016-07-15
[70] 뉴스 What martial law in Ukraine could mean for nation https://www.kyivpost[...] 2018-11-26
[71] 뉴스 Verkhovna Rada adopts Law 'On legal regime of martial law' http://iportal.rada.[...] Verkhovna Rada of Ukraine 2015-05-12
[72] 웹사이트 Martial Law in Ukraine https://www.american[...] 2023-04-03
[73] 뉴스 Kiev declares martial law after Russian seizure of Ukrainian ships in Black Sea https://www.independ[...] 2018-11-26
[74] 뉴스 Russia-Ukraine crisis live news: Putin has launched 'full-scale invasion', says Ukrainian foreign minister – latest updates https://www.theguard[...] 2022-02-24
[75] 뉴스 Ukraine's Parliament Extends Martial Law, Military Mobilization By 90 Days https://www.rferl.or[...] 2024-02-29
[76] 웹사이트 Church History in the Fulness of Times Student Manual http://www.churchofj[...] 2020-03-30
[77] 서적 Law in American History: Volume 1: From the Colonial Years Through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8] 판례 Ex parte Milligan 1866
[79] 학술지 The Law of Martial Rule http://dx.doi.org/10[...] 1928-08
[80] 서적 To Save the Country http://dx.doi.org/10[...] 2019-07-23
[81] 웹사이트 The Effects of War: Martial Law in Hawaii https://pearlharbor.[...] 2017-08-18
[82] 판례 Duncan v. Kahanamoku 1946
[83] 뉴스 コトバ解説 「非常事態宣言」と「戒厳令」の違い https://mainichi.jp/[...] 2015-12-08
[84] 학술지 第二共和国憲法(訳) 同志社法學會 1959
[85] 웹사이트 Königlicher Entwurf eines Verfassungs-Gesetzes für den preußischen Staat. Vom 20. Mai 1848. http://www.documenta[...]
[86] 웹사이트 Entwurf der Verfassungs-Urkunde für den preußischen Staat durch die Verfassungs-Kommission der preußischen verfassunggebenden Nationalversammlung. ("Charte Waldeck") Vom 26. Juli 1848. http://www.documenta[...]
[87] 웹사이트 (oktroyierte) Verfassungsurkunde für den preußischen Staat vom 5. Dezember 1848 http://www.documenta[...]
[88] 웹사이트 (revidierte) Verfassungsurkunde für den Preußischen Staat 31. Januar 1850 http://www.documenta[...]
[89] 서적 旧ドイツ国憲法(ワイマール憲法)・旧プロイセン国憲法・旧フランス国憲法(フランス第三共和国憲法)
[90] 위키소스 Verfassung des Deutschen Reichs (1871) wikisource:de:Verfas[...]
[91] 서적 独逸国法論 有斐閣
[92] 위키소스 미국 헌법 wikisource: 미국 합중국 헌[...]
[93] 웹사이트 戒厳令(カイゲンレ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2-03
[94] 웹사이트 戒厳令(カイゲンレ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2-03
[95] 웹사이트 戒厳宣告之議併引用書抄録 https://www.digital.[...] 국립공문서관 디지털 아카이브
[96] 기타
[97] 웹사이트 官報 1894年10月06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98] 웹사이트 官報 1895年06月19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99] 웹사이트 官報 1904年02月14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00] 웹사이트 官報 1905年10月16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01] 웹사이트 官報 1905年04月14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02] 웹사이트 官報 1905年07月07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03] 웹사이트 官報 1905年05月13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04] 기타
[105] 기타
[106]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05年09月0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05-09-06
[107]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05年11月2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05-11-29
[108]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23年09月02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9-02
[109] 텍스트
[110]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23年09月03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9-03
[111]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23年09月0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9-04
[112]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23年10月24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10-24
[113]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23年11月15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11-15
[114]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36年02月27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6-02-27
[115] デジタルアーカイブ 官報 1936年07月17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6-07-17
[116]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4-12-31
[11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4-12-31
[118] 서적 China's new rulers: the secret file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119] 서적 九龍及荃灣暴動報告書 政府印務局 1956
[120] 뉴스 警方調查大騷動事件起因 認是黑社會鼓動 已捕策動者多人 九龍昨日寧靜戒嚴可能放寬 工商日報 1956-10-13
[121] 서적 九龍及荃灣暴動報告書 政府印務局 1956
[122] 서적 現代の香港を知るKEYWORD888 2007-07
[123] 뉴스 香港の警察官グループ、夜間外出禁止令の発動を政府に要請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9-10-03
[124] 논문 攻心為上:香港政府應對「六七暴動」的文宣策略 http://www.cuhk.edu.[...] 香港中文大学 2015-02
[125] 뉴스 香港政府に「緊急条例」発動計画ない-行政長官諮問機関の陳智思氏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9-09-09
[126] 뉴스 香港、半世紀ぶり「緊急条例」発動 デモでの覆面禁止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0-04
[127] 웹사이트 1973年外交青書 朝鮮半島の情勢 https://www.mofa.go.[...] 2017-05-19
[128] 뉴스 【速報】尹錫悦大統領が非常戒厳令を宣布 https://www.chosunon[...] チョソン・ドットコム/朝鮮日報日本語版 2024-12-03
[129] 뉴스 機務司文書「戒厳令の宣布、米国に認めてもらうべき」…80年非常戒厳と酷似 http://japan.hani.co[...] 2018-07-25
[130] 뉴스 朴槿恵弾劾デモ、韓国陸軍が戒厳令で鎮圧検討 https://www.nikkei.c[...] 2018-07-10
[131] 뉴스 ソウル中心部に戦車投入、報道検閲も検討 韓国朴政権の戒厳令計画が明らかに https://www.sankei.c[...] 2018-07-20
[132] 뉴스 タイ軍、全土に戒厳令を発令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14-05-20
[133] 뉴스 タイ、戒厳令を解除 軍の強権は維持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15-04-02
[134] 뉴스 政府軍とIS勢力と交戦 比南部に戒厳令 https://www.iza.ne.j[...] 産経新聞社 2017-05-24
[135] 뉴스 フィリピン・ミンダナオ島の戒厳令を来年末まで延長 対過激派で議会承認 https://web.archive.[...] 産経新聞社 2017-12-13
[136] 서적 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137] 뉴스 トルコ、60人死亡 軍人754人を拘束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16-07-16
[138] 웹사이트 ポーランドという国 https://www.mofa.go.[...] 外務省 2017-05-19
[139] 뉴스 ヤルゼルスキ元大統領を正式起訴、戒厳令発令などで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07-04-17
[140] 웹사이트 1986年外交青書 第4節 中南米地域 https://www.mofa.go.[...] 外務省 2017-05-19
[141] 웹사이트 1987年外交青書 第4節 中南米地域 https://www.mofa.go.[...] 外務省 2017-05-19
[142] 뉴스 チュニジア暴動拡大、大統領が次期選挙への不出馬を約束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11-01-14
[143] 뉴스 議会、戒厳令の延長を拒否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07-02-24
[144] 뉴스 <ソマリア紛争>議会、戒厳令を承認 https://www.afpbb.co[...] AFP BB ニュース 2007-01-13
[145] 텍스트
[146] 뉴스 ウクライナ大統領、全土に戒厳令 ロシアの侵攻受け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2-24
[147] 뉴스 Ukraine: Mariupol school sheltering civilians hit by bomb — live updates https://m.dw.com/en/[...] DW 2022-03-20
[148] 뉴스 Ukraine Suspends Political Parties With Russian Links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022-03-20
[149] 웹인용 대한민국 계엄법 https://www.law.go.k[...]
[150] 텍스트
[151] 뉴스 中共,南部沿岸에 계엄령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4-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