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나라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나라 천황은 1526년 31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1557년 사망한 일본의 천황이다. 그는 고카시와바라 천황의 아들로, 재위 기간 동안 교토 황실의 재정난을 겪었으며, 즉위식을 10년 후에야 치를 수 있었다. 그는 서예 작품을 팔아 생활을 유지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포르투갈 선박의 표류로 총기가 일본에 처음 소개되기도 했다. 또한, 전쟁으로 황폐해진 교토를 떠나 야마구치로 천황을 옮기려던 계획이 다이네이지 사건으로 좌절되기도 했다. 고나라 천황은 자비심이 깊었으며, 학문에도 조예가 깊어 많은 어제와 와카집, 일기를 남겼다. 능묘는 후카쿠사키타노미사사기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나라 천황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 16세기 일본의 군주 - 오기마치 천황
오기마치 천황은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재위하며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비호 아래 쇠퇴했던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들의 영향력 아래 양위를 요구받기도 했던 일본의 제106대 천황이다. - 16세기 일본의 군주 - 고카시와바라 천황
고카시와바라 천황은 일본의 104대 천황으로, 오닌의 난 이후 재정난 속에서 즉위하여 22년 만에 즉위식을 올렸으며, 재정 부족에도 조선과의 관계 개선과 백성을 위한 마음을 проявлял. - 1497년 출생 - 아타우알파
아타우알파는 잉카 제국의 마지막 황제로, 내전에서 승리했으나 스페인 군대에 포로로 잡혀 처형당하며 잉카 제국의 멸망을 가져왔고, 오늘날 안데스 지역에서는 저항의 상징 또는 왕위를 찬탈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1497년 출생 - 한스 홀바인
한스 홀바인은 독일 르네상스 시대 화가로, 바젤과 런던에서 활동하며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헨리 8세 등 유명 인사들의 초상화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튜더 시대 역사적 기록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고나라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도모히토 (知仁) |
추호 | 고나라 천황 (後奈良天皇) 또는 고나라인 (後奈良院) |
출생일 | 1495년 1월 26일 |
사망일 | 1557년 9월 27일 |
묘소 | 후카쿠사노키타 능 (深草北陵) 교토 |
재위 정보 | |
왕조 | 일본 황실 |
즉위 | 1526년 6월 9일 |
즉위례 | 1535년 3월 29일 |
선대 천황 | 고카시와바라 천황 |
후대 천황 | 오기마치 천황 |
섭정 | 아시카가 요시하루 아시카가 요시테루 |
시대 | 센고쿠 시대 |
연호 | 다이에이 교로쿠 덴분 고지 |
거주지 | 교토 |
궁궐 | 교토 어소 |
![]() | |
가계 | |
아버지 | 고카시와바라 천황 |
어머니 | (간슈지 후지코) |
자녀 | 오기마치 천황 (가타히토 친왕) 에이주 여왕 후코 여왕 세이슈 여왕 가쿠조 |
여어 | 마데노코지 에이코 (万里小路栄子) |
2. 가계
고나라 천황의 부왕은 고카시와바라 천황이며, 모후는 간슈지 후지코이다.
고나라 천황의 배우자 및 자녀는 다음과 같다.
- 뇨인: ja(1499–1522), 마데노코지 카타후사의 딸
- 첫째 딸: (1514–1515)
- 첫째 아들: 황자 미치히토
- 둘째 딸: 공주 ja(1519–1535)
- 둘째 아들: (1521–1530)
- 시녀: ja(?), ja의 딸
- 다섯째 딸: 공주 ja(? - 1579)
- 시녀: ja(?), ja의 딸
- 일곱째 딸: 공주 ja(1552–1623)
- 나이시: ja, ja ja의 딸
- 궁녀: ja, ja의 딸
- 셋째 아들: ja(1521–1574)
- 궁녀: ja의 딸
- 공주 (쌍둥이, 1520)
- 공주 (쌍둥이, 1520)
- 궁녀: ja의 딸
고나라 천황의 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12]
1 | 고나라 천황 |
---|---|
2 | 고카시와바라 천황 (1462–1526) |
3 | 카주지 후지코 (1464–1535) |
4 | 고쓰치미카도 천황 (1442–1500) |
5 | 니와타 아사코 (1437–1492) |
6 | 카주지 노리히데 (1426–1496) |
7 | 아스카이 마사나가의 딸 |
8 | 고하나조노 천황 (1419–1471) |
9 | 오이노미카도 노부코 (1411–1488) |
10 | 니와타 나가카타 (사망 1487) |
12 | 간슈지 쓰네오키 (1396–1437) |
14 | 아스카이 마사나가 |
2. 1. 배우자 및 자녀
万里小路栄子|마데노코지 에이코일본어(1499–1522), 마데노코지 카타후사의 딸- 첫째 딸: (1514–1515)
- 첫째 아들: 황자 미치히토(方仁親王)
- 둘째 딸: 공주 ja(1519–1535)
- 둘째 아들: (1521–1530)
万里小路栄子|마데노코지 에이코일본어 사후, 아래의 후궁들이 들어왔다.
- 시녀: ja(?), ja의 딸
- * 다섯째 딸: 공주 ja(? - 1579)
- 시녀: ja(?), ja의 딸
- * 일곱째 딸: 공주 ja(1552–1623)
- 궁녀: ja, ja의 딸
- * 셋째 아들: ja(1521–1574)
- 궁녀: ja의 딸
- * 공주 (쌍둥이, 1520)
- * 공주 (쌍둥이, 1520)
3. 생애
메이오 5년 12월 23일 (1497년 1월 26일) 권중납언 간수지 마사아키의 저택에서 고카시와바라 천황의 아들로 태어났다. 다이에이 6년(1526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31세의 나이로 천황 자리에 올랐다.[3]
하지만 당시 조정의 재정은 매우 궁핍하여, 전국 각지에 기부를 요청한 끝에 10년 뒤인 덴분 4년(1535년)에야 정식으로 즉위식을 거행할 수 있었다.[5] 고호조씨, 오우치씨, 이마가와씨 등이 기부에 참여했다.
고나라 천황은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쓴 글씨를 팔기도 했다.[13] 그는 청렴한 성품을 지녀, 덴분 4년(1535년) 이치조 후사후유가 좌근위대장에 임명될 때 몰래 바친 헌금을 돌려보내고, 오우치 요시타카의 다자이대이 임관 요청을 거절하기도 했다.
고지 3년 (1557년) 9월 5일에 62세를 일기로 사망했다.[7]
3. 1. 재위 기간
- 다이에이 6년(1526년) 4월, 고카시와바라 천황이 사망함에 따라 고나라 천황이 31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3]
- 다이에이 6년(1526년) 7월, 아와국의 군대가 미야코로 진격하였다. 호소카와 다카쿠니가 가쓰라강에서 이들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호소카와 다카카게의 도움을 받아 진격을 막는 데 성공하였다.[4]
- 다이에이 6년(1526년) 12월,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가 인근 지방의 궁수들을 수도로 초청하여 궁술 대회를 열었다.[4]
- 교로쿠 원년(1528년), 전 간파쿠 고노에 다네에가 사다이진이 되었다. 전 나다이진 미나모토노 미치코토는 우다이진이, 전 다이나곤 기우쇼원 네미치는 나다이진이 되었다.[4]
- 덴분 5년(1536년) 2월 26일, 고나라 천황이 정식으로 즉위하였다. 당시 황궁은 매우 가난하여 전국적으로 기부를 요청했고, 호조 씨, 오우치 씨, 이마가와 씨 등 센고쿠 시대 다이묘들의 기부 덕분에 10년 후에 공식적인 즉위식을 거행할 수 있었다. 황실의 빈곤은 극심하여 천황은 자신의 서예를 팔아야 할 정도였다.[5]
- 덴분 4년 (1535년), 이치조 후사후유를 좌근위대장에 임명할 때 몰래 조정에 1만 필의 헌금을 약속한 것을 알고 헌금을 돌려 보냈다. 같은 해에 즉위식 헌금을 한 오우치 요시타카가 다자이대이로의 임관을 신청했지만 이를 거절했다. 오우치 요시타카의 다자이대이 임명은 주변의 설득으로 이듬해에 겨우 인정했다.
- 덴분 11년(1543년) 8월 25일, 포르투갈 선박이 다네가섬에 표류하여 유럽의 총기가 일본에 소개되었다.
- 덴분 20년(1551년) 8월에서 9월, 전쟁으로 황폐해진 교토에서 오우치 씨의 영지인 야마구치로 천황을 옮기려던 조정 신하들이 다이네이지 사건에 휘말렸다. 이 사건으로 궁중 기록, 의식, 황실 달력 제작 지식이 크게 손실되었다.[6]
- 고지 3년(1557년) 9월 5일, 고나라 천황이 6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7]
4. 인물 및 평가
고나라 천황은 자비심이 깊어 질병 종식을 발원하며 직접 『반야심경』을 베껴 썼다. 간기에는 "지금 천하에 큰 질병이 돌아 많은 백성들이 죽음에 놓여있다. 짐은 백성의 부모로서 덕이 미치지 못함을 몹시 자책한다."라는 비통한 심정을 담았다.[14] 이 사경은 다이카쿠지와 다이고지 외에 24개국의 이치노미야에 봉납되었다고 전해진다.[14] 이세 신궁에 보낸 선명에는 황실과 백성의 부흥을 기원하며 대상제를 거행할 수 없는 것에 대해 "국력의 쇠퇴" 때문이라고 사과하는 등,[15] 천황으로서의 책임감도 강했다.[16]
산조니시 사네타카·요시다 가네미치 등에게 고전을, 기요하라 노리타카에게 한적을 배우는 등 학문에 대한 조예도 깊었다. 『고나라 인 어집』, 『고나라 인 어백수』 등의 와카집, 일기 『덴초슈』를 남겼으며, 수수께끼 모음집 『고나라 인 어선 하증』(고나라 인 교센 나조, 고나라 인 고센 나조)[17]는 귀중한 문학 자료이기도 하다.
황태자 나루히토 친왕은 2017년 생일 전 기자 회견에서 고나라 천황의 반야심경 오서를 니시오시 이와세 문고에서 본 것을 언급하며, 역병으로 고통받는 백성을 생각하여 반야심경을 사경한 사가 천황 등 7명의 천황과 함께 국민에게 다가가는 모범으로 꼽았다.[19]
5. 연호
6. 능묘
능(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 후카쿠사보초에 있는 '''후카쿠사키타노미사사기'''(후카쿠사키타노미사사기)로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 상의 형식은 방형당이다.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 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제사지내지고 있다.
재총은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 이즈미야마초의 센뉴지 내에 있는 '''겟린릉'''(츠키노와노미사사기)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mperor Go-Nara
https://kotobank.jp/[...]
2023-09-26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3]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4]
서적
[5]
서적
[6]
논문
The Failed Attempt to Move the Emperor to Yamaguchi and the Fall of the Ōuchi
https://zenodo.org/r[...]
2016-03-06
[7]
서적
[8]
서적
[9]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10]
웹사이트
近衛前久
2007-07-14
[11]
서적
[12]
웹사이트
Genealogy
2018-01-25
[13]
서적
母なる天皇―女性的君主制の過去・現在・未来
辺境社
1974
[14]
웹사이트
後奈良天皇宸翰般若心経
http://iwasebunko.co[...]
[15]
서적
歴代天皇事典
[16]
서적
大嘗祭と古代の祭祀
[17]
웹사이트
後奈良院御撰何曾
http://dbrec.nijl.ac[...]
2019-01-01
[18]
웹사이트
https://biz-journal.jp/journalism/post_27062.html
https://biz-journal.[...]
サイゾー
2019-06-02
[19]
뉴스
皇太子殿下お誕生日に際し(平成29年)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7-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