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쓰라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쓰라강은 교토부 사쿄구 사사리 고개에서 발원하여 교토 분지를 관통, 오사카부와의 경계에서 가모가와와 합류하여 요도가와로 흘러드는 강이다. 역사적으로 가쓰라강, 오이가와, 호즈강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아라시야마의 도게츠교 하류를 가쓰라강, 상류를 오이가와, 가메오카 분지에서 호즈 협곡을 흐르는 구간을 호즈강으로 칭한다. 유역에는 교토시, 난탄시, 가메오카시 등 자치체가 위치하며, 은어가 서식한다. 호즈강 뱃놀이와 같은 관광 명소와 교토부도 801호 교토 야와타키즈 자전거 도로선이 있으며, 세키 댐, 히요시 댐 등의 댐과 수력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쓰라강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가쓰라 강 |
원어 이름 | 桂川 (가쓰라가와) |
위치 | 일본 |
지리 정보 | |
수원 | 사사리 고개 (교토부) |
하구 | 요도 강 (교토부) |
유역 | 교토부 |
수계 | 요도 강 |
종류 | 1급 하천 |
길이 | 107 km |
유역 면적 | 1,159 km² |
시각 자료 | |
![]() | |
![]() | |
![]() |
2. 지리
가쓰라강은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히로가와라와 난탄시 미야마초 사사리의 경계에 있는 사사리 고개에서 발원한다. 사쿄구 히로가와라, 사쿄구 하나세기를 남쪽으로 흐르다가 하나세기 남부에서 서쪽으로 크게 물길을 바꾼다. 교토시 우쿄구 교호쿠 지구를 동서로 가로질러 난탄시 히요시정 아마카와의 세키 댐, 히요시정 나카의 히요시 댐을 거쳐 가메오카 분지로 남쪽으로 흐른다. 가메오카시 중앙부를 따라 호즈 협곡을 남동쪽으로 흘러 아라시야마에서 교토 분지로 나와 남쪽으로 흐른 뒤, 후시미구에서 가모가와와 합류하고, 오사카부와의 경계에서 기즈강, 우지강과 합류하여 요도가와가 된다.
2. 1. 명칭
역사적으로는 '''가쓰라강''' 또는 '''오이가와''' 등으로 불렸지만, 메이지 이전에는 유역 전체를 나타내는 통일된 명칭이 없었다[2]。1896년(메이지 29년) 4월에 구하천법이 공포되었고, 같은 해 6월 시행 이후, 행정상의 표기는 "가쓰라강"으로 통일되었다. 국토지리원의 측량 성과에서도, 전 유역에서 "가쓰라강"의 표기로 통일되어 있으며, 다른 호칭이 사용되는 일은 없다.
하지만, 교토부나 교토시는 그 발행하는 문서류에서 '''오이가와''', '''호즈강''', '''가쓰라강'''을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2]。이는 각 유역의 사람들이 지역을 흐르는 강을 각자의 명칭으로 불러온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류 지역에서는 아직도 그 유역에 따라 호칭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3]。
즉, 아라시야마의 도게츠교에서 하류는 '''가쓰라강'''으로 칭하고, 도게츠교에서 상류는 '''오이강''', 이 오이가와 중, 가메오카에서 호즈 협곡을 흐르는 구간을 '''호즈강'''이라고 부른다[2]。오이가와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소노베 부근에서 '''가쓰라강''', 교호쿠 지역에서 원류까지는 '''가미가쓰라강'''이라고도 한다.



3. 유역 자치체
4. 자연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히로가와라와 난탄시 미야마초 사사리의 경계에 위치한 사사리 고개에서 발원한다. 사쿄구 히로가와라, 사쿄구 하나세기를 남쪽으로 흐르지만, 하나세기 남부에서 흐름을 서쪽으로 크게 바꾼다. 교토시 우쿄구 교호쿠 지구를 동서로 횡단하여, 난탄시 히요시정 아마카와의 세키 댐, 히요시정 나카의 히요시 댐을 경유, 이후 가메오카 분지로 남쪽으로 흐른다. 가메오카시의 중앙부를 종단하여, 호즈 협곡을 남동쪽으로 흘러, 아라시야마에서 교토 분지로 나와 남쪽으로 흐르고, 후시미구에서 가모가와를 합쳐, 오사카부와의 경계에서 기즈강, 우지강과 합류하여 요도가와가 된다.
; 은어
: 호즈강의 은어는 맛있다는 내용이 미식 만화인 "맛의 달인"에도 등장한다.[4][5]
; 아유모도키
: 과거에는 난탄시야기정과 가메오카시 주변의 논과 지류가 서식지였으나, 야기정의 아유모도키는 1980년까지 멸종되었고, 간신히 가메오카역-우마호리역 주변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주변의 택지 개발, 교토부의 교토 스타디움 건설 계획[6], 태풍 18호에 의한 대규모 침수 피해, 외래어종의 침입[7] 등으로 인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5. 명소
- 호즈강 뱃놀이
: 교토의 관광 루트 중 하나이다. 한큐 가쓰라역에서 [http://www.keihankyotokotsu.jp/info/2011/hankyukotsuaccess/ 게이한 교토 교통 버스]로 40분, 토롯코 가메오카 역에서 연락 버스로 승선장까지 약 15분, JR 가메오카 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멀리서 보면 잔잔한 강도, 막상 작은 배로 내려가면 급류로 보인다고 한다.[8]
- 교토부도 801호 교토 야와타 키즈 자전거 도로선
: 아라시야마의 도게쓰교에서 기즈가와시의 이즈미오 교까지 총 길이 약 45km를 잇는 사이클링 로드이다. 미야마에바시에서 남쪽으로 가면 가쓰라강에서 멀어져 기즈강을 따라가는 루트가 된다. 가쓰라강 루트는 교토시가, 기즈강 루트는 교토부가 관할하고 있다.
6. 역사
역사적으로는 '''가쓰라강''' 또는 '''오이가와''' 등으로 불렸지만, 메이지 이전에는 유역 전체를 나타내는 통일된 명칭이 없었다.[2]
1896년(메이지 29년) 4월에 구 하천법이 공포되었고, 같은 해 6월 시행 이후, 행정상의 표기는 "가쓰라강"으로 통일되었다. 국토지리원의 측량 성과에서도, 전 유역에서 "가쓰라강"의 표기로 통일되어 있으며, 다른 호칭이 사용되는 일은 없다.
하지만, 교토부나 교토시는 그 발행하는 문서류에서 '''오이가와''', '''호즈강''', '''가쓰라강'''을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2] 이는 각 유역의 사람들이 지역을 흐르는 강을 각자의 명칭으로 불러온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류 지역에서는 아직도 그 유역에 따라 호칭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3]
즉, 아라시야마의 도게츠교에서 하류는 '''가쓰라강'''으로 칭하고, 도게츠교에서 상류는 '''오이가와''' , 이 오이가와 중, 가메오카에서 호즈 협곡을 흐르는 구간을 '''호즈강'''이라고 부른다.[2] 오이가와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소노베 부근에서 '''가쓰라강''', 교호쿠 지역에서 원류까지는 '''가미가쓰라강'''이라고도 한다.
야마시로국 풍토기(일문)과 일본후기에 따르면, 교토 분지로 유입된 이후의 가쓰라강은 옛날에는 "'''가도노강'''(葛野川, 가도노가와, 葛野河)"라고 불렸다.[9] 고대에는 범람이 잦았으며, 5세기 이후 사가(嵯峨)와 마쓰오(松尾) 등의 가쓰라강 유역에 이주한 진씨(秦氏)에 의해 치수가 이루어졌다.[9] 「진씨 본계장(秦氏本系帳)」에 따르면, 진씨는 가쓰라강에 "'''가도노 오이'''(葛野大堰, 가도노 오이)"를 축조하여 유역을 개발했다고 하며, "오이가와(大堰川, 큰 둑 강)"라는 강 이름도 이 둑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9] 『잡령(雑令)』 집해고기(集解古記)에도 "가도노강 둑(葛野川堰)"이라고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 큰 둑은 실존했던 것으로 생각된다.[9][10] 또한 시모사가(下嵯峨)에서 마쓰오에 걸쳐 가쓰라강 동쪽 둑인 후시하라 둑(罧原堤, 후시하라즈쓰미)도 그 당시에 축조되었다고 한다.[11] 이러한 진씨에 의한 이 지방의 개발은 유역의 고분 분포로 볼 때 5세기 후반경으로 보이며,[12] 현재도 일대에는 진씨와 관련된 많은 사찰이 남아 있다.
그 후, 아라시야마(嵐山) 주변 및 상류 유역에서는 "오이가와(大堰川, 큰 둑 강)" 또는 "오이가와(大井川)", 아라시야마 하류 유역 이남에서는 "가쓰라강" 또는 "가쓰라가와(葛河)"라고 불리게 되었다. 토사일기에서는 "가쓰라강", 일본기략에서는 "오이가와", 쓰레즈레구사에서는 "오이가와"의 기재가 보인다. 그 중 『쓰레즈레구사』 제51단에서는 사가노의 가메야마 전(亀山殿)에 오이가와에서 물을 끌어오는 모습을 전하고 있다. 『옹주부지(雍州府志)』에서는 강의 서쪽에 "가쓰라 마을(桂の里)"이 있는 것으로부터 사가보다 남쪽의 하류 유역을 "가쓰라강"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그보다 상류에 해당하는 아라시야마 유역을 "오이가와"라고 하고 있다.
헤이안쿄 조영 시, 현재의 우쿄구(右京区) 쿄호쿠초(京北町)의 목재를 교토로 운반하는 등, 가쓰라강의 흐름은 단바(丹波)와 야마시로(山城), 셋쓰(摂津)의 목재 수송에 자주 사용되었다. 17세기에 들어서 아라시야마의 호상(豪商)이자 정상(政商)인 가쿠라 료이(角倉了以)가 가쓰라강을 개착하여, 현재의 단바초(丹波町) 요기무라(与木村)에서 하류의 요도(淀)나 오사카까지 통하게 됨에 따라 선운이 발달했다. 소노베(園部)·호즈(保津)·야마모토(山本)·아라시야마·우메즈(梅津)·가쓰라즈(桂津) 등은 항구 마을로 번성했다.
가쓰라강은 아라시야마보다 하류 지역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 1885년(메이지 18년) 7월 태풍, 1889년(메이지 22년) 8월 태풍, 1896년(메이지 29년) 7·8·9월 태풍, 1907년(메이지 40년) 8월 태풍, 1917년(다이쇼 6년) 10월 태풍 "다이쇼 대수해", 1950년(쇼와 25년) 9월 제인 태풍, 1953년(쇼와 28년) 9월 태풍 13호, 1967년 7월 7~12일에 걸친 장마 등으로 가쓰라강 둑 붕괴, 오바타 강 등 지류 붕괴, 가쓰라강에서의 역류에 의한 수해가 다수 발생했다.[13] 이 외에도 1935년(쇼와 10년) 6월 카모가와 수해 때에도 텐진 강, 오무로 강이 범람하여 수해 후 하천의 물길을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14]
2013년 9월 태풍 18호에서는 습한 북풍이 가쓰라강 발원지인 탄바 산지에 부딪혀 막대한 호우가 쏟아져,[15] 난탄시소노베정 요코타에서 소노베 강이 붕괴, 호즈 협곡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가메오카역 주변이 침수되어 연못처럼 되는 등, 가메오카시·난탄시·교토탄바정의 2시 1정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 주택 131채와 400채가 침수되고 가메오카시 정수장 취수구에 탁류가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가메오카 시내 단수가 발생했다. 아라시야마 지구에서는 도게츠교 부근에서 물이 넘쳐 주변이 침수되었고, 주변 여관에서는 숙박객을 보트에 태워 대피시켰으며, 나카노시마에 고립된 음식점 직원 12명은 소방대에 의해 오전 6시 30분까지 구조되었다. 지류인 아리스 강이 범람하여 우쿄구 우메즈 지구, 그리고 카모 강과 합류하는 후시미구 하즈카시 부근에서도 주택 침수가 발생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사이쿄구·무코시의 수해 대책 비장의 카드인 "이로하 톤류 터널(저수 능력 10m3)"도 특별 경보가 발표되기 전인 16일 오전 4시 30분경에 만수되어 무코시 테라도에서 주택 4채와 102채가 침수되었다.[16]
이 수해를 받아 국토교통성 긴키 지방 정비국 요도가와 하천 사무소는 아라시야마 지구의 하천 범람 대책을 위해 도게츠교 하류 200m에 있는 가쓰라강 6호 우물 철거를 결정했다.[17] 가쓰라강 6호 우물은 도게츠교 주변 경관 유지를 위해 1963년에 설치되었다. 이 댐의 완성으로 도게츠교 부근 하상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지만, 홍수 시 수면을 30cm 상승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철거하게 되었다. 댐 철거로 하상이 최대 1.7m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현재 호안 기초보다 깊이 파이게 되며 콘크리트 블록 하상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자연석풍으로 한 호안 개축을 포함한 가쓰라강 6호 우물 철거 공사가 2016년부터 2017년에 걸쳐 실시되었다. 또한, 2018년 12월 10일에 도게츠교 상류 좌안에 전국 최초 가동식 지수벽을 2019년도 중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18]
7. 주요 지류
가쓰라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8. 주요 교량
다리 이름 | 위치 | 도로/철도 |
---|---|---|
도게츠교 | 우쿄구 사가·니시쿄구 아라시야마 | 부도 29호선 |
마쓰오 다리 | 우쿄구 우메즈·니시쿄구 아라시야마 | 시조도리·시도 186호선 |
가미노 다리 | 우쿄구 우메즈·니시쿄구 가쓰라 | 우메즈 가이도·부도 132호선 |
니시오하시 | 우쿄구 니시쿄고쿠·니시쿄구 가쓰라 | 고조도리·국도 9호선 |
가쓰라 대교 | 우쿄구 니시쿄고쿠·니시쿄구 가쓰라 | 부도 142호선·시치조도리·하치조도리·산인 가이도 |
구제 다리 | 미나미구 깃쇼인·미나미구 구제 | 국도 171호선·부도 14호선·부도 201호선·구제바시도리 |
쇼큐 다리 | 미나미구 기치조인·미나미구 구제 | 해당 없음 |
구가 다리 | 미나미구 가미토바·후시미구 구가 | 부도 202호선 |
하즈카시 다리 | 후시미구 요코오지·후시미구 하즈카시 | 부도 79호선·교토 외환상선 |
미야마에 다리 | 후시미구 요도 | 부도 204호선 |
가쓰라가와 대교 | 미나미구 가미토바·후시미구 구가 | 메이신 고속도로 |
덴노잔대교 | 야와타시·오야마자키정 | 게이지 바이패스・국도 제478호선 |
호즈강 철교 | 교토시 우쿄구 | 사가노 관광 철도 사가노 관광선 (원래 교토 철도(현 산인 본선) 철도 교량, 1899년 건설) |
가쓰라강 철교 | 교토시 우쿄구·니시쿄구 | 한큐 전철 교토 본선 |
가쓰라강 철교 | 교토시 미나미구·니시쿄구 | * 도카이도 본선 (화물선, 상행 내/외선, 하행 내/외선) |
도카이도 신칸센 (곡률 반경 550m 급곡선, 교량 자체 커브) |
9. 유역 상하수도 시설
가쓰라강 유역의 상하수도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명 | 위치 | 비고 |
---|---|---|
교호쿠 정화 센터 | 교토시 우쿄구 교호쿠 지구 | 교토시 하수 처리장 |
고마 정화 센터 | 난탄시 히요시정 고마 | 고마 강으로 배수 |
톤다 정화 센터 | 난탄시 히요시정 톤다 | |
니시본메 정화 센터 | 난탄시 소노베정 하니우 | 니시혼메 강으로 배수 |
세이부 정화 센터 | 난탄시 소노베정 구로다 | 지류인 소노베 강으로 배수 |
가와히가시 정화 센터 | 난탄시 야기정 모로하타 | 지류인 간야마 강으로 배수 |
난탄 정화 센터 | 난탄시 야기정 야마무로 | 질소, 인 제거 고도 처리 |
지요카와 정수장 | 가메오카시와 난탄시 경계, JR사가노선 지요카와역 근처 | 가메오카시 정수장 |
토시타니 정화 센터 | 가메오카시 미야케정 | 지류인 토시타니 강으로 배수 |
호즈 정화 센터 | 가메오카시 호즈정 | |
오토쿠니 정수장 | 교토시 니시쿄구 교토 대학 가쓰라 캠퍼스 쪽 | 교토부영 수도 정수장, NEDO 보조 30kW 태양광 발전 패널, 무코시, 나가오카쿄시, 오야마자키정에 공급 |
도바 수환경 보전 센터 | 가쓰라 강과 메이신 고속도로 교차부 북동쪽 | 교토시 상하수도국 소유 최대 규모 하수 처리장, BOD 3mg/L 이하 정화, 질소 및 인 제거 고도 처리, 가쓰라 강과 니시타카세 강으로 배수[20], 2013년 8월 1000kW 태양광 발전 패널 설치 |
락사이 정화 센터 | 나가오카쿄시 쇼류지, 교토시 후시미구 요도, 오야마자키정 | 가쓰라 강 우안 교토시 니시쿄구, 오토쿠니 지구 하수 고도 처리, 상부 운동 공원 |
이로하 톤류 터널 | 한큐 락사이구치역 - 국도 171호선 사이 | 우수 저류용 터널, 저수량 10만 8천㎥, 오토쿠니 펌프장에서 니시하바키시 강으로 방류[21], 2014년 남 간선 착공, 완성 후 저수량 약 24만㎥[22] |
10. 댐 및 가동堰
(m)
용량
(천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