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의 건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이집트 건축은 흙벽돌과 돌을 주요 재료로 사용하여 신전, 피라미드, 무덤, 주택 등을 건설했으며, 상형 문자와 그림, 조각으로 장식되었다. 주요 건축물로는 카르나크 신전, 룩소르 신전, 라메세움, 조세르의 피라미드, 기자 피라미드 등이 있으며, 오벨리스크와 스핑크스도 중요한 조형물로 꼽힌다. 그레코-로만 시대에는 그리스 건축의 영향을 받아 건축 양식이 변화하였고, 요새는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고대 이집트 건축 양식은 현대 건축에도 영향을 미쳐 이집트 부흥 건축을 탄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의 건축 - 맘미시
맘미시는 고대 이집트 신전 단지 내에 신성한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건축물로, 탄생 관련 신들의 부조와 벽화로 장식되었으며 타와레트, 라에타위, 일곱 하토르 등이 숭배된 "탄생의 장소"를 의미한다. - 고대 이집트의 건축 - 마스타바
마스타바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흙벽돌 직사각형 무덤으로, 고위 관리나 왕족의 매장에 사용되었으며, 피라미드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고대 이집트의 건축 | |
---|---|
개요 | |
![]() | |
![]() | |
![]() | |
일반 정보 | |
활동 기간 | 기원전 3100년경 - 서기 300년경 |
국가 | 이집트 수단 |
2. 재료 및 건축 방식
건축용 기둥에는 목재도 사용하였으나 현존하는 것은 모두 석재이다. 거의 모두가 식물을 모형으로 했는데, 야자수형 기둥은 연 줄기 묶음의 기둥에 꽃봉오리나 활짝 핀 꽃의 기둥머리를 붙인 것이며 파피루스형 기둥도 그와 같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이르면 이러한 복합형도 열 종류가 있다. 주두에 하트홀 여신 얼굴의 주두를 붙인 것도 있다. 화강암·석회암·사암이 주로 사용되었고, 한 개만으로 된 돌 기둥이나 드럼형(型)의 돌을 쌓아 올린 기둥도 있고 비문(碑文)을 파서 채색한 경우도 있다.
고대 이집트의 주요 건축물로는 신전, 분묘, 오벨리스크, 스핑크스, 주택 등이 있다.
나무가 부족했기 때문에,[4] 고대 이집트에서는 햇볕에 구운 흙벽돌과 돌을 주요 건축 자재로 사용했다. 주로 석회암이었지만 상당한 양의 사암과 화강암도 사용되었다.[5] 고왕국 시대부터 돌은 일반적으로 무덤과 사원에 사용되었으며, 벽돌은 왕궁, 요새, 사원 구역의 벽, 그리고 사원 단지 내의 부속 건물에도 사용되었다.[6] 피라미드의 핵심은 지역에서 채석한 돌, 흙벽돌, 모래 또는 자갈로 구성되었다. 외장재로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운반해야 하는 돌이 사용되었으며, 주로 투라에서 가져온 백색 석회암과 상 이집트에서 가져온 붉은 화강암이었다.
고대 이집트의 집들은 나일강의 습한 제방에서 수집한 진흙으로 만들어졌다.[7] 그것은 틀에 넣어 뜨거운 햇볕에 말려 건축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굳혔다. 벽돌이 피라미드와 같은 왕실 무덤에 사용될 경우, 외부 벽돌도 정교하게 조각하고 연마했다.
많은 이집트 도시들이 사라졌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나일 계곡의 경작지 근처에 위치해 있었고, 수천 년 동안 강바닥이 서서히 높아지면서 침수되었거나, 그들이 지었던 흙벽돌과 햇볕에 말린 벽돌이 농부들에 의해 비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도시들은 접근할 수 없는데, 고대 건물 위에 새로운 건물들이 세워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집트의 건조하고 더운 기후는 일부 흙벽돌 구조물을 보존했다. 예로는 데르 엘 메디나 마을, 카훈의 중왕국 도시,[8] 그리고 부헨[9]과 미르기사의 요새가 있다. 또한, 많은 사원과 무덤이 나일강 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은 지대에 건설되었고 돌로 지어졌기 때문에 보존되었다.
고대 이집트 건축에 대한 이해는 주로 종교적 기념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10] 두껍고 경사진 벽과 개구부가 거의 없는 대규모 구조물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흙벽에서 안정성을 얻기 위해 사용된 건축 방식의 반영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돌 건물 표면의 조각된 평면적인 장식은 흙벽 장식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아치의 사용은 이집트 제4왕조 시대에 개발되었지만, 모든 기념비적인 건물은 포스트 앤 린텔 구조로, 외부 벽과 밀접하게 배치된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거대한 돌 블록으로 만들어진 평평한 지붕을 가지고 있다.
건물 내부는 기둥과 마찬가지로, 외벽 또는 내벽은 상형 문자와 그림으로 묘사된 다채로운 프레스코화와 조각으로 가득했다. 이집트 장식의 모티프 중 많은 부분이 스카라베, 신성한 딱정벌레, 광구, 대머리 독수리와 같이 심볼화된 것이다. 기타 일반적인 모티프의 예로는 야자 잎과 파피루스, 수련 봉오리와 꽃이 있다. 상형 문자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주문을 기록하거나, 장식적인 목적으로 조각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프레스코화와 조각 덕분에 고대 이집트인의 생활, 신분, 전쟁, 신앙에 대해 알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최근 고대 이집트 귀족의 묘소를 발굴할 때 현저하게 실감된다.
고대 이집트 신전은 지점이나 분점과 같은 각 사건의 순간에 정확한 측정을 필요로 하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사건에 기초하여 정연하게 배치되었다. 가장 중요한 신전에서의 측정은 의식으로서 파라오 자신이 수행했다.[44]
3. 주요 건축물
신전은 신을 모시는 곳으로, 카르나크 신전과 룩소르 신전 등이 대표적이다. 분묘는 죽은 자를 매장하는 곳으로, 마스타바에서 시작하여 피라미드, 암굴분 등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기자에는 쿠푸왕의 피라미드(기자의 대피라미드), 카프레왕의 피라미드, 멘카우레왕의 피라미드 등 3대 피라미드가 있다. 오벨리스크는 신전 앞에 세워진 기념비적인 석조 기둥이며, 스핑크스는 왕권의 상징으로,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유명하다. 주택은 흙벽돌로 지어졌으며, 아마르나 유적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각 건축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3. 1. 신전
선(先)왕조시대에 각 지방의 신전은 간단한 오두막 형태였으나, 왕조시대 초기부터 본격적인 건축이 시작되었다. 이후 석재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형식이 복잡해지면서 '신의 전당'으로서 손색이 없게 되었다. 카르나크의 아멘 신전과 같은 거대한 건축도 기본적으로 정면 입구의 탑문(塔門)과 중정(中庭), 전실(前室) 및 지성소(至聖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성지(聖地)와 나일강 수량계(水量計) 및 후기 왕조에는 특히 탄생전(誕生殿)[49]이 부설되고 경내(境內)를 연와(煉瓦)벽으로 둘러쌌다. 탑문 앞에는 왕조의 거상(巨像)과 오벨리스크가 각각 한 쌍씩 세워졌고, 벽면 전체에는 신에 대한 숭배와 왕의 업적을 표시하는 채색부조(彩色浮彫)가 되어 있으며, 앞칸은 다주실(多柱室)로 되어 있다.
장제전(葬祭殿)은 특정한 왕의 장례와 제사를 위한 것으로 신(新)왕국 시대에 성행하였으나, 구조적으로는 일반 신전과 큰 차이가 없다. 하트솁수트(제18왕조) 여왕의 장제전(葬祭殿)[50]은 테라스식(式)인데 특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암굴 신전은 절벽을 이용하여 파서 만든 것으로 누비아의 아부심벨 신전[51]이 대표적이다.
룩소르 신전은 오늘날 룩소르(고대 테베)로 알려진 도시에 있는 나일강 동쪽에 위치한 거대한 고대 이집트 신전 단지이다. 신전 건설은 기원전 14세기에 아멘호테프 3세 치세 동안 신왕국 시대에 시작되었다. 호렘헤브와 투탕카멘은 기둥, 조각상, 프리즈를 추가했으며, 아크나톤은 이전에 아버지의 카르투슈를 지우고 아텐의 신전을 설치했다. 하지만 유일한 주요 확장 노력은 최초의 돌이 놓인 지 약 100년 후인 람세스 2세 때 이루어졌다. 따라서 룩소르는 두 명의 파라오만이 건축 구조에 흔적을 남긴 주요 이집트 신전 단지 중 독특하다.
신전은 람세스 2세가 건설한 높이 24m의 첫 번째 탑문으로 시작된다. 탑문은 람세스의 군사적 승리 장면(특히 카데시 전투)으로 장식되었으며, 이후 파라오, 특히 쿠시 왕조의 파라오들도 그곳에서 그들의 승리를 기록했다. 신전 단지로 들어가는 이 주요 입구는 원래 람세스의 거대한 조각상 6개(4개는 앉아 있고 2개는 서 있음)로 양쪽에 배치되었지만, 두 개(둘 다 앉아 있음)만 남아 있다. 현대 방문객들은 또한 높이 25m의 분홍색 화강암 오벨리스크를 볼 수 있는데, 이 오벨리스크는 1835년까지 짝을 이루는 한 쌍이었으며, 그때 다른 오벨리스크는 파리로 옮겨져 현재 콩코르드 광장 중앙에 서 있다.
탑문 입구를 지나면 주랑 현관 안뜰로 이어지며, 이 역시 람세스 2세가 건설했다. 이 지역과 탑문은 신전의 나머지 부분과 비스듬한 각도로 건설되었는데, 이는 북서쪽 모서리에 있는 세 개의 기존 바르크 신전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주랑 현관 안뜰 뒤에는 아멘호테프 3세가 건설한 행렬 열주가 있는데 100m 14개의 파피루스-주두 기둥이 늘어선 복도이다. 벽의 프리즈는 카르나크에서 희생으로 시작하여 아문이 룩소르에 도착하고 그 벽 끝에서 그의 귀환으로 끝나는 오페트 축제의 단계를 묘사한다. 이 장식은 투탕카멘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소년 파라오가 묘사되어 있지만 그의 이름은 호렘헤브의 이름으로 대체되었다.
열주 너머에는 주랑 현관 안뜰이 있는데, 이 안뜰 역시 아멘호테프의 원래 건설로 거슬러 올라간다. 가장 잘 보존된 기둥은 동쪽에 있으며, 이곳에서 원래 색상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이 안뜰의 남쪽은 36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홀(즉, 기둥으로 지지되는 지붕이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전의 어두운 내부 방으로 이어진다.
카르나크 사원 단지는 룩소르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나일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이 단지는 아문-레 구역, 몬투 구역, 무트 구역, 그리고 아멘호테프 4세의 사원(해체됨) 등 네 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 개의 주요 부분을 둘러싼 벽 외부에 위치한 몇 개의 작은 사원과 성소, 그리고 무트 구역, 아문-레 구역, 룩소르 사원을 연결하는 여러 개의 숫양 머리 스핑크스 길이 있다. 이 사원 단지는 특히 중요한데, 많은 통치자들(특히 신왕국의 모든 통치자들)이 이 단지에 건물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부지 면적은 80ha 이상이며, 일련의 탑문, 안뜰, 홀, 예배당, 오벨리스크, 작은 사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르나크와 이집트의 다른 대부분의 사원 및 유적지 간의 주요 차이점은 이 사원이 개발되고 사용된 기간이다. 건축 공사는 기원전 16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원래 규모는 매우 작았지만, 결국 주요 구역에서만 20개나 되는 사원과 예배당이 건설되었다.[25] 약 30명의 파라오가 건물 건설에 기여하여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규모, 복잡성 및 다양성을 갖추게 되었다. 카르나크의 개별 특징 중 고유한 것은 거의 없지만, 그 특징의 규모와 수는 압도적이다.
이집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원 중 하나는 카르나크의 아문-레 사원이다. 이집트의 다른 많은 사원과 마찬가지로 이 사원도 신들을 기리고 과거의 업적을 자세히 묘사한다(부지에서 발견된 많은 벽과 기둥의 비문으로 묘사된 수천 년의 역사 포함, 종종 후임 통치자에 의해 수정되거나 완전히 지워지고 다시 만들어짐). 아문-레 사원은 세 부분으로 건설되었으며, 세 번째 부분은 신왕국 말기에 파라오들이 건설했다. 이집트 건축의 전통적인 스타일과 마찬가지로, 단지의 내부 성소와 같은 많은 건축적 특징들이 하지의 일몰에 맞춰 정렬되었다.
이 유적지에 있는 건축적 특징 중 하나는 람세스 시대에 건설된 5,000제곱미터(50,000제곱피트)의 열주 홀이다. 이 홀은 약 139개의 사암과 진흙 벽돌 기둥으로 지지되며, 12개의 중앙 기둥(높이 25m)은 모두 밝게 칠해졌을 것이다.
람세스 2세는 제19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1279년부터 1213년경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이집트의 국경 확장과 같은 그의 많은 업적 중 하나로, 그는 당시 테베 근처에 거대한 사원인 라메세움을 건설했는데, 이곳은 신왕국의 수도였다. 라메세움은 웅장한 사원이었으며 입구를 지키는 기념비적인 조각상으로 완비되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람세스 자신의 조각상으로, 원래 19m 높이에 약 1,000톤에 달했다. 옥좌에 앉은 파라오의 이 인상적인 조각상의 기단과 몸통만 남아있다. 사원에는 인상적인 부조가 새겨져 있으며, 그 중 많은 부분이 카데시 전투(기원전 1274년경) 및 "샬렘" 도시의 약탈과 같은 람세스의 여러 군사적 승리를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라메세움은 람세스 2세를 숭배하는 장소로 지어졌다.[26] 이전 구조의 흔적만 남아 있지만, 라메세움은 사원일 뿐만 아니라 궁전도 포함하고 있었다.[27] 그러나 라메세움은 그 이상이었다. 예배 장소일 뿐만 아니라 제빵소, 주방, 공급실과 같이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된 다른 방들도 있었는데, 이는 발굴 과정에서 사원의 남쪽 부분에서 발견되었다.[28] 또한 주방과 궁전 사이 지역에는 소년들이 서기가 되도록 가르치는 학교도 있었다.[28] 라메세움이 파괴된 후 다른 매장들이 건설되기도 했다.[26] 라메세움은 원래 람세스 2세를 위해 지어졌지만, 파괴된 후에는 제22왕조의 특정 가문에 주어져서 그들이 두 번째 매장을 방에 배치하고 일종의 묘지로 사용했다.[26] 라메세움에는 많은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그 중 하나는 람세스 2세의 거상 머리를 받침대에 설치하고 땅에 누워 있던 것을 지지하는 것이었다.[28] 또 다른 복원은 진흙 벽돌로 만들어진 지역이었다. 이 지역들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졌지만 진흙 벽돌보다 강하여 폭우와 같은 자연적 요소에 견딜 수 있는 현대적인 벽돌로 덮어 복원되었다.[28]
아멘호테프 3세의 재위 기간 동안 노동자들은 250개가 넘는 건물과 기념물을 건설했다. 가장 인상적인 건축 프로젝트 중 하나는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환희의 집"으로 알려진 말카타 사원 단지로, 테베의 서쪽 기슭, 테베의 네크로폴리스 바로 남쪽에 위치한 그의 왕실 거주지를 위해 건설되었다. 부지의 면적은 약 226,000제곱미터(또는 2,432,643제곱피트)이다.[29] 이 부지의 엄청난 크기와 수많은 건물, 안뜰, 행진 구역, 주택 등을 고려할 때, 그것은 단순히 파라오의 사원과 거주지가 아니라 도시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단지의 중앙 지역은 여러 개의 방과 안뜰로 구성된 파라오의 아파트였으며, 이들은 모두 기둥이 있는 연회장을 중심으로 배치되었다. 왕족 및 외국 손님을 수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파트에는 저장, 대기, 소규모 접견을 위한 작은 방과 연결된 대규모 옥좌실이 있었다. 이 단지의 더 큰 요소는 서쪽 별장(왕궁 바로 서쪽), 북쪽 궁전과 마을, 사원이라고 불리는 것들이다.
사원의 외부 치수는 약 183.5 x 110.5m이며, 대형 앞마당과 본당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29] 대형 앞마당은 131.5 x 105.5m이며 동서 축을 따라 배치되어 사원 단지의 동쪽 부분을 차지한다.[29] 안뜰의 서쪽 부분은 더 높은 수준에 있으며 낮은 옹벽으로 나머지 안뜰과 구분된다. 하단 안뜰은 거의 사각형인 반면, 상단 테라스는 직사각형 모양이었다. 안뜰의 상단 부분은 진흙 벽돌로 포장되었고, 앞마당의 하단 부분에서 폭 4m의 입구가 있어, 기단을 상단으로 연결하는 경사로가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29] 이 경사로와 입구는 모두 사원의 중앙에 있었으며, 앞마당 입구와 본당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본당은 중앙, 북쪽, 남쪽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중앙 부분은 작은 직사각형 전실(6.5 x 3.5m)로 표시되며, 전실을 포함한 많은 문설주에는 '영원히 라와 같이 생명을 주다'와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29] 12.5x 크기의 홀이 전실에 이어지며, 홀 정면 중앙에 있는 폭 3.5m의 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다. 이 방의 천장은 파란색 배경에 노란색 별로 장식되었고, 벽은 현재 진흙 석고 위에 흰색 스투코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29]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의 퇴적물에서 발견된 수많은 장식용 석고 조각을 볼 때, 이것들 역시 다양한 이미지와 패턴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천장을 지지하는 것은 동서 축을 따라 두 줄로 배열된 6개의 기둥이다. 기둥 받침대의 작은 조각들만 남아 있지만, 이 기둥의 직경은 약 2.25m였을 것으로 보인다.[29] 기둥은 벽에서 2.5m 떨어진 곳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 줄에서 기둥은 다음 기둥에서 약 1.4m 떨어져 있으며, 두 줄 사이의 간격은 3m이다.[29]
두 번째 홀(12.5x[29])은 첫 번째 홀의 뒷벽 중앙에 있는 3m 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두 번째 홀은 첫 번째 홀과 유사하며, 천장은 첫 번째 홀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패턴과 이미지로 장식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천장은 기둥으로 지지되며, 첫 번째 홀과 동일한 축을 따라 두 줄로 정렬된 정확히 4개의 기둥이 있으며, 그 사이의 간격은 3m이다. 홀 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방이 마아트 숭배에 헌정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 지역의 다른 세 방도 마찬가지로 종교적 목적을 수행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29]
사원의 남쪽 부분은 서쪽과 남쪽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서쪽 부분은 6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쪽 지역은 크기(19.5x)를 고려할 때 또 다른 열린 안뜰 역할을 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방들 중 많은 곳에서 가장자리에 금으로 장식된 파란색 세라믹 타일이 발견되었다.[29] 본당의 북쪽 부분은 남쪽과 유사한 스타일의 10개의 방으로 구성된다.
사원 자체는 이집트 신 아문에게 헌정된 것으로 보이며, "환희의 집 아문의 사원" 또는 "환희의 집 아문의 사원 네브마르타"와 같은 다양한 비문이 새겨진 벽돌의 수가 이를 뒷받침한다. 전반적으로 말라카타 사원은 웅장한 홀과 종교적으로 지향된 방을 갖춘 신왕국 시대의 다른 숭배 사원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며, 다른 많은 사원은 창고와 더 밀접하게 유사하다.[31]
로마 통치 이후 일부 신전들은 새로운 용도로 재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룩소르 신전은 로마 군사 기지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신전의 일부는 로마 황제 숭배에 헌납되었다. 신전의 남쪽 부분은 나중에 기독교 교회로 바뀌었고, 아부 알-하지아지 모스크는 이슬람 시대에 신전의 동쪽에 부착되었다.
고대 이집트 기념물의 석재와 건축 요소들은 후대 건축을 위한 전리품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많은 중세 모스크들은 여전히 상형문자가 새겨진 고대 석재 블록을 통합하고 있다.[40] 로마 시대 초부터 19세기까지, 많은 고대 이집트 오벨리스크들도 다른 나라로 전용되어 운반되었고, 그곳에서 귀중한 기념물로 재건립되는 경우가 많았다.[41]
3. 2. 분묘
영혼 불멸을 믿었던 고대 이집트인들은 영원한 집, 즉 묘의 건축에 큰 관심을 가졌다. 선(先)왕조시대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수혈(竪穴)이었으나 제1왕조경부터 마스타바분(mastaba墳)이 나타났다. 마스타바는 직사각형 평면의 피라미드를 단두(斷頭)한 모양으로, 기와나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다. 현실(玄室)은 지하에 두고 사당(祠堂)은 지상에 설치하였는데, 초기 왕조의 묘도 이 형식을 따랐다. 사당의 방 벽면은 각종 광경을 부조로 새겼으며, 맨 안쪽에는 영혼이 출입하는 위문(僞門)을 만들었다.
제3왕조부터는 거대한 피라미드가 왕묘(王墓)가 되어 제17왕조까지 이어졌다. 제18왕조부터 왕묘는 인적이 드문 산중의 암굴분(岩窟墳)이 되고, 신전은 분리하여 장제전(葬祭殿)이 되었다. 귀족의 묘도 단애(斷崖)나 경사진 사면을 이용한 암굴분이 되었고, 입구 위쪽에 피라미드를 구축한 예도 있다. 벽면은 회화 또는 부조로 장식되어 회화사(繪畵史) 연구의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왕묘의 경우에는 긴 종교문서 비문(碑文)을 새겨 두었다. 정중한 장례가 당시의 풍속이었기 때문에 부장품은 다량에 이르렀고, 이는 이집트 미술의 공급원이 되었다.[4]
마스타바는 왕족의 위상을 나타내는 묘지였다. 이집트 통치자들의 선택에 따라, 역사를 통틀어 발견된 많은 묘지들이 나일강을 따라 위치해 있었다.[16] 마스타바의 구조적 외관은 역사에 따라 다양하지만, 이집트 왕조가 이어지면서 뚜렷한 진화를 보였다. 제1 이집트 왕조의 마스타바는 계단식 벽돌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17] 이 디자인은 진화하여 제4 왕조 시대에는 구조적 외관이 벽돌에서 돌로 바뀌었다.[17] 마스타바의 계단식 디자인의 이유는 "즉위"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17] 묘지를 건설할 때 측면 관통이 문제가 되었는데, 구조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벽돌 층이 구조물 기저부에 배치되었다.[17] 고왕국의 마스타바는 피라미드형 디자인 구조를 갖게 되었다.[16] 이 디자인은 매장을 위한 수단으로 왕과 그의 가족과 같은 통치자들을 위해 주로 사용되었다.[16] 고왕국 시대의 마스타바와 관련된 다른 디자인 특징으로는 직사각형 윤곽선, 기울어진 벽, 돌과 벽돌 재료 사용, 그리고 구조물의 축이 남북으로 뻗어 있다는 점 등이 있다.[16] 마스타바 내부에는 제물실, 죽은 자를 위한 조각상, 그리고 석관이 보관된 지하 묘실 등 여러 요소들이 있다.[16] 고왕국 말기에는 이러한 묘지의 사용이 중단되었다.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기념비적인 석조 구조물은 조세르의 피라미드이며, 사카라에 위치해 있다.[18] 건축가 이모텝의 작품으로 알려진 이 장례 기념물은 피라미드 무덤의 기원을 나타내며 역사상 가장 초기의 기념비적인 건축 형태이다. 이는 단순한 평평한 마스타바 무덤을 아래보다 작은 층을 위에 쌓아올린 방식으로 복제하여 계단식 프로파일을 만들어 높은 구조물로 변형시킨 것이다. 이 성과는 또한 가공된 석재가 건축 자재로서 새롭게 중요해졌음을 보여준다.
피라미드 건설의 주요 시기는 기원전 2640년경, 새로운 설계를 실험한 여러 피라미드 건설을 시작한 스네프루의 치세에 시작되었다. 그의 첫 번째 두 피라미드는 메이둠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는 초기 이집트 제3왕조 시대와 사카라에서 그 기원을 둔 계단식 형태였다. 이어서 주요 혁신이 이루어졌다. 계단식 수준이 아닌, 순수한 기하학적 형태를 형성하는 직선 표면을 가진 최초의 진정한 피라미드를 만든 것이다. 첫 번째 시도는 건설 과정 중 구조물의 무게로 인해 붕괴 위험이 생기자 측면의 각도가 줄어들어 나중에 굴절 피라미드로 알려지게 되었다. 두 번째 성공적인 시도는 적색 피라미드로 알려지게 되었다. 두 피라미드 모두 다흐슈르에 위치해 있다. 피라미드 형태 외에도 이 시기에는 묘실의 레이아웃과 장식 기술의 개선에 대한 혁신이 있었다.
기자 묘지는 이집트 카이로 외곽의 기자 고원에 위치해 있다. 이 고대 기념물 단지는 나일 강변의 구시가지 기자에서 사막으로 8km 떨어진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이로 시내 중심가에서 남서쪽으로 약 20km 떨어져 있다. 이 고대 이집트의 묘지는 쿠푸왕의 피라미드(대피라미드 또는 카이오스 피라미드로도 알려짐), 이보다 약간 작은 카프레왕의 피라미드 (또는 케프렌/셰프렌), 비교적 작은 멘카우레왕의 피라미드 (또는 미케리누스/미케리누스)와 "여왕" 피라미드로 알려진 여러 개의 작은 위성 건물, 스핑크스와 수백 개의 마스타바와 예배당으로 구성되어 있다.[19]
제4왕조에 건설된 피라미드는 파라오 종교와 국가의 권력을 증명한다. 피라미드는 무덤이자 그들의 이름을 영원히 남기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20] 크기와 단순한 디자인은 대규모 이집트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의 높은 기술 수준을 보여준다.[20] 기자의 대피라미드는 기자 피라미드 중 가장 오래되었고 세계에서 가장 큰 피라미드이며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기념물이다.[21]
카프레왕의 피라미드는 카프레의 통치가 끝나는 기원전 2532년경에 완공된 것으로 여겨진다.[22] 카프레는 야심 차게 아버지의 피라미드 옆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아버지의 피라미드만큼 높지는 않지만, 아버지의 피라미드보다 약 10.06m 더 높은 기초 위에 지어서 더 높아 보이게 만들 수 있었다.[22] 카프레는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것과 함께 그의 무덤의 수호자로서 거대한 스핑크스 조각을 의뢰했다. 사자의 몸에 파라오의 모습을 담은 인간의 얼굴은 1500년 후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신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20] 스핑크스는 석회암 기반암에서 조각되었으며 높이가 약 약 19.81m이다.[20]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는 기원전 249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높이가 약 64.92m로 세 개의 대피라미드 중 가장 작다.[23]
대중들은 피라미드가 무덤 강도를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 피라미드 내에 많은 터널이 있어서 매우 혼란스럽다고 믿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피라미드의 샤프트는 매우 단순하며 대부분 무덤으로 직접 연결된다. 피라미드의 엄청난 크기는 내부에 있는 부를 훔치려는 도굴꾼을 끌어들였고, 이로 인해 무덤은 봉인된 후 비교적 빨리 약탈당했다.[20]
신왕국 시대는 사망한 파라오를 위한 장례 신앙을 전용 기념 사원에서 세우는 전통을 이어갔지만, 파라오들은 더 이상 고대 피라미드와 같은 크고 눈에 잘 띄는 기념물에 묻히지 않았다. 구왕국과 중왕국의 장례 기념물은 모두 약탈당했고, 그 결과 사후 세계에서 파라오의 시신을 보호하는 데 실패했다. 이집트 제18왕조부터 파라오들은 대신 테베 인근 왕들의 계곡 내부에 숨겨진 지하 무덤에 묻혔다.[32]
이 무덤들은 계곡 경사면의 암반에 직접 굴착되었다. 정확한 배치는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무덤 방으로 이어지는 여러 구획으로 구성된 복도가 포함되었다. 처음에는 매장실만 장식되었지만, 결국 무덤 전체 벽이 삽화와 텍스트로 풍성하게 장식되었다.
3. 3. 오벨리스크
오벨리스크는 신전 탑문[52] 앞에 좌우 한 기(基)마다 설치된, 끝이 약간 가는 사각형의 거대한 석주이다. 끝은 사각뿔 모양이며, 기둥 표면에는 상형문자 비석이 있다. 헬리오폴리스 태양신 숭배에서 기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아스완의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하트솁수트 여왕의 오벨리스크는 높이가 30m, 무게가 300t 이상에 달한다. 지금까지 50기 이상이 침입자의 기념품으로 해외에 반출되었고, 원래 위치에 서 있는 것은 5기에 불과하다.[41]
룩소르 신전 정문에는 원래 람세스 2세의 거상 6개가 있었지만, 현재는 2개만 남아있다. 또한, 25m 높이의 분홍색 화강암 오벨리스크 한 쌍 중 하나는 1835년 프랑스 파리로 옮겨져 현재 콩코드 광장에 있다.
3. 4. 스핑크스
스핑크스(sphinx)는 사자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동물로 왕권의 상징이자 선한 자를 보호하는 신의 역할을 하였다. 가장 오래되고 큰 스핑크스는 제3왕조 카프라왕의 피라미드에 부속되어 있으며, 길이는 80m에 달한다. 이 스핑크스는 신왕국시대에 하르마키스 신[53]으로 숭배되었다. 카르나크 신전 등의 참배길 양쪽에 있는 스핑크스는 아몬 신의 신수인 양의 머리를 하고 있으며 '두 개의 지평선(영토)'의 수호신 역할을 했다. 그리스 신화의 스핑크스와는 전혀 다르다.
스핑크스는 카프레왕의 피라미드를 건설하면서 무덤의 수호자로 만들어졌다. 사자의 몸에 파라오의 모습을 한 인간의 얼굴은 1500년 후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신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20] 스핑크스는 석회암 기반암에서 조각되었으며 높이는 약 65m이다.[20]
3. 5. 주택
이집트에서는 신전이나 묘는 석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유적이 많이 남아 있지만, 주택은 볕에 말린 벽돌, 나무, 갈대 등 소멸되기 쉬운 재료를 사용했고, 택지도 현대와 다르지 않아 남아 있는 예가 적다. 그러나 아마르나 유적, 묘의 벽화, 부장품인 가옥 모형 등을 통해 대략적인 모습은 알 수 있다.[54]
부유층의 대저택은 연와로 담을 쌓고 정원에 연못을 파고 나무를 심었다.[55] 건물은 2층으로, 방이 10개 이상인 경우도 있었으며, 원주가 있는 넓은 방을 중심으로 시중들의 방, 부엌, 욕실, 변소 등이 부속되어 있었다. 가구로는 침대, 의자, 작은 탁자, 장궤 등이 있었고, 벽걸이와 양탄자 같은 것도 사용되었다. 창문은 천장 가까이에 설치하여 외부의 열을 차단했다. 부지 내에는 성당을 세우고, 담벼락에 가축 우리나 사일로를 설치했다.
일반 가옥은 훨씬 간단하여 현대 농가와 유사했는데, 2층집의 경우 아래층은 창고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북쪽에 시원한 바람을 쐴 수 있는 테라스를 설치했다. 묘를 파는 인부들은 방이 이어달린 긴 집에 집단적으로 거주했다.
나무가 부족했기 때문에,[4] 고대 이집트에서는 햇볕에 구운 흙벽돌과 돌이 주요 건축 자재로 사용되었다. 주로 석회암이 사용되었지만, 사암과 화강암도 상당량 사용되었다.[5] 이집트 고왕국 시대부터 돌은 무덤과 사원에, 벽돌은 왕궁, 요새, 사원 구역의 벽, 사원 단지 내 부속 건물에 사용되었다.[6]
고대 이집트의 집들은 나일강의 습한 제방에서 채취한 진흙으로 만들어졌다.[7] 진흙을 틀에 넣어 햇볕에 말려 건축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굳혔다. 피라미드와 같은 왕실 무덤에 사용될 경우, 외부 벽돌은 정교하게 조각하고 연마했다.
많은 이집트 도시들이 사라졌는데, 나일 계곡의 경작지 근처에 위치하여 수천 년 동안 강바닥이 서서히 높아지면서 침수되었거나, 흙벽돌과 햇볕에 말린 벽돌이 농부들에 의해 비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도시들은 고대 건물 위에 새로운 건물들이 세워져 접근할 수 없다. 그러나 이집트의 건조하고 더운 기후는 데르 엘 메디나 마을, 카훈의 이집트 중왕국 도시,[8] 부헨[9]과 미르기사의 요새 등 일부 흙벽돌 구조물을 보존했다.[10]
4. 장식 및 상징
외벽과 내벽, 그리고 기둥과 교각은 선명한 색상으로 칠해진 상형 문자와 그림 벽화, 조각으로 덮여 있었다.[11] 이집트 장식의 많은 모티프는 상징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스카라베 또는 신성한 쇠똥구리, 태양 원반, 독수리 등이 있다. 그 외 흔한 모티프로는 야자나무 잎, 파피루스 식물, 그리고 연꽃의 꽃봉오리와 꽃이 있다.[12] 상형 문자는 역사적인 사건이나 주문을 기록하는 것 외에도 장식 목적으로 새겨졌다. 또한, 이러한 그림 벽화와 조각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지위, 벌어졌던 전쟁, 그리고 그들의 믿음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기원전 2600년경부터 건축가 임호텝은 파피루스, 수련, 야자나무와 같이 묶인 갈대의 유기적인 형태를 반영하도록 표면을 조각한 석주를 사용했다. 이후 이집트 건축에서는 면을 깎은 원통형 기둥도 흔히 사용되었다. 석재로 조각된 기둥은 조각하고 채색한 이집트 상형 문자, 텍스트, 의례적 이미지, 자연 모티프로 장식되었다. 이집트 기둥은 카르나크의 대열주 홀에 유명하게 존재하며, 16열로 정렬된 134개의 기둥이 있으며, 일부 기둥은 높이가 24미터에 달한다.
가장 중요한 유형 중 하나는 파피루스 형태의 기둥이다. 이 기둥의 기원은 제5왕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기둥은 띠로 장식된 묶음으로 함께 묶인 연꽃(파피루스) 줄기로 구성되어 있다. 룩소르 신전의 기둥은 파피루스 묶음을 연상시키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세상의 창조가 펼쳐졌다고 믿었던 늪지를 상징하는 것일 수 있다.
5. 그레코-로만 시대의 건축
그레코-로만 시대 (기원전 332년~서기 395년)의 이집트는[33] 그리스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 이집트 건축은 그리스 건축의 영향을 받아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34] 지배 세력은 바뀌었지만, 이들은 이집트 고유의 종교를 존중하여 새로운 사원을 짓거나 오래된 사원을 확장했다.
국가 수도는 지중해 연안에 새로 건설된 알렉산드리아로 옮겨졌다. 도시 계획은 그리스 도시와 거의 동일했지만, 지역 요소가 혼합되었다. 오늘날 도시 대부분은 물속이나 현대 도시 아래에 잠겨 사라졌지만, 왕궁, 무세이온,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파로스 등대 등 훌륭한 건물들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35]
상 이집트에는 이 시대에 지어진 에드푸 신전, 콤옴보 신전, 필레 신전 등 잘 보존된 사원들이 많이 있다.[34] 사원 건축은 전통적인 이집트 양식을 유지했지만, 복합식 양식의 주두가 나타나는 등 새로운 그레코-로만 시대의 영향이 나타났다.[34] 이집트의 모티프는 그리스 및 로마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33]
이 시대의 장례 건축물은 대부분 남아 있지 않지만,[34] 알렉산드리아 주민들이 시신 매장에 사용했던 지하 묘지 중 일부는 보존되어 있다. 이 묘지들은 고전 양식과 이집트 장식이 혼합된 건축 양식을 특징으로 한다. 서기 1세기에 시작되어 3세기까지 확장된 콤 엘 쇼카파 지하묘지는 주목할 만한 예시이며, 오늘날 방문할 수 있다.
6. 요새
고대 이집트의 요새는 경쟁 세력 간의 갈등 시대에 건설되었다.[36] 이 기간 동안 분석된 대부분의 요새는 부헨 요새처럼 벽을 만들 때 돌을 사용한 구왕국의 일부 요새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재료로 지어졌다. 주요 벽은 주로 진흙 벽돌로 지어졌지만 목재와 같은 다른 재료로 보강되었다. 바위는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고 포장하는 데 사용되었다.[36]
보조 벽은 요새의 주요 벽 바깥쪽에 지어졌으며 서로 비교적 가까이 있었다. 그 결과, 침략자들은 요새의 주요 벽에 도달하기 전에 이 요새를 파괴해야 했다.[37] 적이 첫 번째 장벽을 돌파하는 데 성공하면, 주요 벽에 도달했을 때 보조 벽과 첫 번째 벽 사이에 도랑이 건설되는 또 다른 전략이 사용되었다. 이것은 적을 노출된 위치에 놓이게 하여 침략자들이 화살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었다.[37] 이러한 도랑 벽의 위치는 통일 시대에는 비무장화되어 철거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요새는 여러 기능을 수행했다. 중왕국 시대에 이집트 제12왕조는 요새화된 기지를 만들어 누비아 강 유역 전역에 통제 수단을 확립했다. 이집트 요새의 위치는 강 유역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이집트와 누비아의 유적지는 바위 또는 모래 지형에 배치되었다.[37] 이 방법의 목적은 해당 지역 전체에 영향력을 확산시키고 경쟁 집단이 유적을 약탈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36] 누비아에서 이러한 요새를 검사한 결과 구리 제련 재료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 지역의 광부와의 관계를 시사한다.[36] 이러한 누비아 요새의 점령은 양자 간의 무역 관계를 시사한다. 광부들은 재료를 수집하여 식량과 물을 대가로 이러한 요새로 옮겼다. 제13왕조까지 이집트는 이러한 요새를 사용하여 누비아를 통제했다.[36]
펠루시움 요새는 침략자로부터 나일강 삼각주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38] 이 지역은 1000년 이상 이 역할을 수행했지만, 펠루시움은 육상 및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었다. 무역은 주로 이집트와 레반트 사이에서 이루어졌다.[38] 요새의 설립에 대한 정보는 구체적이지 않지만, 펠루시움은 중왕국 시대 또는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의 사이스 시대와 페르시아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38] 펠루시움은 나일강과 매우 가까운 곳에 건설되었으며, 주로 모래 언덕과 해안선으로 둘러싸여 있었다.[38]
펠루시움 요새가 쇠퇴한 데에는 흑사병과 같은 사건, 요새 내 화재, 페르시아의 정복, 무역 감소, 지각 운동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38] 공식적인 폐기는 십자군 시대와 관련이 있다.[38]
야파 요새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지중해 연안의 요새이자 항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후기 청동기 시대 동안, 이 지역은 제18왕조 파라오들의 군사 작전 기지로 사용되었다.[39] 야파의 주요 기능은 이집트 군대의 곡창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후기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라메세스 문은 요새로 연결된다. 요새에서는 성벽도 발견되었다. 발굴 결과 그릇, 수입된 항아리, 냄비 받침대, 맥주와 빵 등 여러 물품이 발견되었다.[39]
7. 현대의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Pyramids of Giza ! National Geographic'
https://web.archive.[...]
2017-01-21
[2]
서적
Pharaoh's Workers: The Villagers of Deir el Medina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02-22
[3]
웹사이트
Ancient Alignments
https://www.scientif[...]
2024-06-07
[4]
서적
'History of Interior Design and Furniture: From Ancient Egypt to Nineteenth-Century Europe'
John Wiley and Sons
[5]
문서
[6]
웹사이트
'Architecture of ancient Egyp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07
[7]
간행물
Ancient Egyptian Mud Bricks
https://www.glasgowl[...]
[8]
서적
'Kahun, Gurob, and Hawara'
Kegan Paul, Trench, Trübner, and Co.
[9]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Routledge
[10]
서적
Temples of Ancient Egypt
I.B.Tauris
[11]
문서
[12]
문서
[13]
간행물
Ancient Egyptian temples aligned with astronomical events
2009-09
[14]
간행물
"Keeping Ma'at: An astronomical approach to the orientation of the temples in ancient Egypt"
2010-08
[15]
웹사이트
Gardens in Ancient Egypt
https://www.liverpoo[...]
2022-03-27
[16]
간행물
Two Mastaba Chambers
1910
[17]
간행물
The Ideology of the Superstructure of the Mastaba-Tomb in Egypt
1956
[18]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enguin Books
[19]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Giza Plateau in Egypt
http://www.touregypt[...]
2011-07-26
[20]
서적
culture and values : a survey of the humanities
Wadsworth Cengage Learning
[21]
웹사이트
The 7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s://web.archive.[...]
2011-07-26
[22]
웹사이트
The Pyramid of Khafre
http://puffin.creigh[...]
2011-07-26
[23]
웹사이트
Pyramid of Mankaure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1-07-26
[24]
서적
Architecture, Astronomy and Sacred Landscape in Ancient Egyp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Complete Temple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New York, Thames & Hudson'
[26]
서적
The Ramesseum
https://books.google[...]
B. Quaritch
1898
[27]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architecture ! Tombs, Temples, & Significan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19
[28]
웹사이트
Research,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Heritage on the Left Bank of the Nile: Ramesseum and its environs
https://unesdoc.unes[...]
2023-11-16
[29]
간행물
A Dark Spot in Ancient Egyptian Architecture: The Temple of Malkata
2007
[30]
웹사이트
Reconstruction of Geometric Decoration
https://www.metmuseu[...]
2018-05-03
[31]
간행물
Excavations at the Palace of Amenhotep III at Thebes
1918
[32]
서적
Architecture, Astronomy and Sacred Landscape in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architecture ! Types, Histo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0-21
[35]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enguin Books
[36]
논문
Ancient Egyptian Fortifications
1965
[37]
논문
Ancient Egyptian Frontier Fortresses
https://zenodo.org/r[...]
2022-06-15
[38]
논문
Pelusium, an Ancient Port Fortress on Egypt's Nile Delta Coast: Its Evolving Environmental Setting from Foundation to Demise
2008
[39]
논문
Excavations of the New Kingdom Fortress in Jaffa, 2011–2014: Traces of Resistance to Egyptian Rule in Canaan
https://research.rug[...]
2022-06-15
[40]
서적
Dalmatia and the Mediterranean: Portable Archaeology and the Poetics of Influence
Brill
[41]
서적
Cleopatra's Needles: The Lost Obelisks of Egyp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42]
서적
Kahun, Gurob, and Hawara
Kegan Paul, Trench, Trübner, and Co.
1890
[43]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Routledge
2003
[44]
간행물
Temples aligned with the stars
New Scientist
2009-09-05
[45]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Giza Plateau in Egypt
http://www.touregypt[...]
2011-07-26
[46]
웹사이트
The 7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library.think[...]
2011-07-26
[47]
웹사이트
The Pyramid of Khafre
http://puffin.creigh[...]
2011-07-26
[48]
웹사이트
Pyramid of Mankaure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1-07-26
[49]
문서
만미시
[50]
문서
데르 엘 바하리
[51]
문서
라메스 2세
[52]
문서
퓌론
[53]
문서
지평선상(地平線上)의 [[호루스]]
[54]
문서
벽돌
[55]
문서
야자수나 시카모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