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엔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엔지역은 일본 철도성 역으로 1922년 7월 15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1945년 도쿄 대공습으로 역 건물이 파괴되었으나 1952년에 현재의 역 건물이 완공되었다. 2면 4선의 고가역으로, 주오 쾌속선과 주오·소부 완행선이 운행되며, 1, 2번 승강장에서는 아와오도리를 편곡한 발차 멜로디가 사용된다. 2023년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46,069명이다. 역 주변에는 상점가가 발달해 있으며, 버스 노선도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기나미구의 철도역 - 시모이구사역
시모이구사역은 일본 도쿄도 스기나미구에 위치한 세이부 철도 신주쿠선의 역으로, 1927년 개업하여 2007년 신 역사 완공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 도입, 2012년 역 번호 "SS10" 부여 등의 변화를 거쳤다. - 스기나미구의 철도역 - 니시오기쿠보역
니시오기쿠보역은 도쿄도 스기나미구에 위치한 JR 주오 선과 주오·소부 완행선이 지나는 고가역으로, 1922년에 개업하여 2면 4선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2024년 10월 13일부터 12량 편성 운전을 시작했다. - 주오선 쾌속 - 신주쿠역
신주쿠역은 1885년 개업하여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등 5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되는 도쿄도 신주쿠구의 주요 철도역으로, 하루 평균 347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터미널역이다. - 주오선 쾌속 - 히노역 (도쿄도)
히노역은 1890년 개업한 도쿄도 히노시 소재의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철도역으로, 2014년부터 무사시노호도 정차하며, 역 주변에는 히노 시청과 신선조 관련 유적지가 있다. - 주오·소부 완행선 - 지바역
지바역은 일본 지바현 지바시에 있는 JR 동일본과 지바 도시 모노레일의 환승역으로, 여러 JR 노선과 모노레일 노선이 지나고, 게이세이 전철 지바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규모 상업 시설을 갖춘 지바시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다. - 주오·소부 완행선 - 신주쿠역
신주쿠역은 1885년 개업하여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등 5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되는 도쿄도 신주쿠구의 주요 철도역으로, 하루 평균 347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터미널역이다.
고엔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공식 역 이름 | 고엔지 역 |
로마자 표기 | Koenji |
간자키 표기 | 高円寺駅 |
히라가나 표기 | こうえんじえき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스기나미구고엔지미나미 4초메 48-2 |
좌표 | 35°42′19.4″N 139°38′59.5″E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노선 | 주오선(쾌속) 주오・소부선(각역 정차) |
승강장 | 2면 4선 섬식 승강장 |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1922년 (다이쇼 11년) 7월 15일 |
역 번호 | |
전보 약호 | カエ←カヱ |
역 코드 | 알 수 없음 |
승차 인원 (2023년) | 46,069명 |
비고 | 직영역 고객 지원 콜 시스템 도입역 [[파일:JR area KU.svg|15px|구]] 도쿄도 구내 역 |
노선 정보 | |
중앙선 쾌속 | 왼쪽: 오기쿠보 오른쪽: 나카노 비고: 평일에만 정차 |
주오·소부 완행선 | 왼쪽: 아사가야 오른쪽: 나카노 |
주오·소부 완행선 (도쿄 지하철 도자이선 경유) | 왼쪽: 아사가야 중간: 도쿄 지하철도자이선 경유 오른쪽: 나카노 , 행선지: 쓰다누마 |
거리 정보 | |
역간 거리 (주오선 쾌속) | 나카노: 1.4km 아사가야: 1.2km |
역간 거리 (주오·소부 완행선) | 나카노: 1.4km 아사가야: 1.2km |
기타 정보 | |
버스 정보 | 1 버스 터미널 |
2. 역사
고엔지 역은 1922년 7월 15일 철도성의 역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2] 1945년 도쿄 대공습으로 역 건물이 소실되었다가 임시 복구를 거쳐 1952년 현재의 역 건물이 완공되었다. 주오 본선 선로는 원래 지상으로 다녔으나, 1966년 4월 소부 본선 및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의 직통 운행이 시작되면서 고가화되었다.
연도 | 날짜 | 주요 내용 |
---|---|---|
1922년 (다이쇼 11년) | 7월 15일 | 철도성의 여객역으로 개업.[2] |
1945년 (쇼와 20년) | 5월 25일 | 도쿄 대공습으로 역사 소실, 이후 임시 복구. |
1949년 (쇼와 24년) | 6월 1일 | 일본국유철도(국철) 발족으로 국철 소속 역이 됨.[4] |
1952년 (쇼와 27년) | 임시 복구되었던 역사를 현재의 건물로 개축. | |
1962년 (쇼와 37년) | 4월 16일 | 수하물 취급 폐지. |
1964년 (쇼와 39년) | 9월 22일 | 복선 선로 고가화. |
1966년 (쇼와 41년) | 4월 3일 | 고가 복복선화 공사 완료. |
4월 28일 | 주오·소부 완행선이 나카노역 ~ 오기쿠보역 구간으로 연장 운행 시작.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행 개시. | |
1975년 (쇼와 50년) | 9월 29일 | 쾌속선 승강장에 에스컬레이터 설치.[5] |
1987년 (쇼와 62년) |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소속 역이 됨.[6] |
1992년 (헤이세이 4년) | 1월 21일 | 자동 개찰기 설치 및 사용 시작.[7] |
1994년 (헤이세이 6년) | 12월 3일 | 토요일에도 쾌속 열차 통과 (기존 일요일, 공휴일만 통과). |
1995년 (헤이세이 7년) | 6월 20일경 | 완행선 승강장에 에스컬레이터 설치.[8]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11월 18일 | IC 카드 "Suica" 이용 가능.[9]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8월 1일 | 완행선 승강장에서 아와오도리를 편곡한 발차 멜로디 사용 시작 (8월 한정). |
2016년 (헤이세이 28년) | 8월 1일 | 완행선 승강장의 아와오도리 발차 멜로디 연중 사용으로 변경.[19] |
2022년 (레이와 4년) | 3월 18일 | 미도리노마도구치 영업 종료.[10][11] |
급행선과 완행선 각각에 섬식 승강장 1면 2선, 총 2면 4선을 갖춘 고가역이다. 직영역[11]이며 지정석 자동 발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지상부에 1곳의 개찰구를 갖추고 있으며, 개찰구는 역의 북쪽과 남쪽 양쪽으로 통하는 통로에 면해 있다. 또한, 고객 지원 콜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어, 이른 아침에는 인터폰으로 안내한다[12].
3. 역 구조
승강장과 개찰층(1층)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다기능 화장실을 병설한 화장실은 개찰구 안에 있으며, 그 입구에는 아와오도리의 실루엣이 그려져 있다.
승강장 아래 개찰구 밖에는 Dila 고엔지를 중심으로 한 음식·물품 판매점 등이 설치되어 있다[13][14]. 역 북쪽 출구는 호텔 메츠 고엔지 등이 입주해 있는 빌딩과 일체화되어 있다.
3. 1. 승강장
※ 평일만 정차하행 미타카・다치카와・다카오 방면 4 상행 나카노・신주쿠・도쿄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