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호흡메기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기호흡메기과는 인도, 시리아, 터키 남부,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과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메기과이다. 몸은 길쭉하고, 네 개의 수염과 긴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를 가지며, 특히 상아가미 기관이 있어 육지에서도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등지느러미 기저가 매우 길고, 몸 형태는 방추형에서 뱀장어형까지 다양하다. 하위 분류로 여러 속이 있으며, 헤테로프네우스티과를 별도의 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메기목에 속하며 공기주머니메기과와 함께 공기호흡메기상과를 이룬다. 일부 종은 수공업 어업과 양식에 이용되며, 공기 호흡 능력 때문에 침입종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기호흡메기과 - 걷는메기
걷는메기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메기과 어류로, 공기 호흡을 통해 육상 이동이 가능하며, 외래종으로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최악의 침입외래종 100종에 포함된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시클리드
시클리드는 농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독특한 번식 전략과 종 분화 연구 모델로서 식용, 관상용, 낚시 대상 어종으로 가치가 있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공기호흡메기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공기호흡메기과 | |
![]() | |
하위 분류 | |
속 | |
관련 정보 | |
참고 문헌 | Fishes of the World (Nelson, Joseph S., 2006) FishBase (2011년 12월) |
2. 분포
공기호흡메기과 어류는 인도, 시리아, 터키 남부, 그리고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그 다양성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크다.[7][2]
공기호흡메기과(메기)는 길쭉한 몸, 네 개의 수염,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가진다. 특히 두 번째와 네 번째 아가미궁(gill arch영어)에서 나무 모양 구조로 형성된 상아가미 기관(suprabranchial organ영어)이라는 독자적인 형질(autapomorphic영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1][2] 이 상아가미 기관 또는 미로기관(labyrinth organ영어)은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며, 일부 종은 이를 이용해 짧은 거리를 육지에서 이동할 수 있다(걷는 메기).[1]
3. 특징
등지느러미의 기저(base영어)는 매우 길고 앞부분에 지느러미 가시가 없다. 등지느러미는 둥근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일부 종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땅속 생활에 적응한 일부 종은 작은 눈을 가지고 있거나,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퇴화되었거나 아예 없다. 몇몇 종은 눈이 멀었다.[1]
공기호흡메기과 내에서 몸 형태는 어뢰와 비슷한 방추형(torpedo-like영어)부터 뱀장어와 비슷한 뱀장어형(eel-like영어)까지 다양하다. 몸 형태가 뱀장어 모양에 가까워질수록 다음과 같은 일련의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된다.[2]
4. 하위 분류
- ''Bathyclarias''
- ''Channallabes''
- ''Clariallabes''
- ''Clarias''
- ''Dinotopterus''
- ''Dolichallabes''
- ''Encheloclarias''
- ''Gymnallabes''
- ''Heterobranchus''
- ''Horaglanis''
- ''Platyallabes''
- ''Platyclarias''
- ''Tanganikallabes''
- ''Uegitglanis''
- ''Xenoclarias''
헤테로프네우스티과는 속 ''헤테로프네우스테스''를 포함하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독립된 과로 분류하고 다른 학자들은 공기호흡메기과의 아과로 분류한다. 헤테로프네우스티과와 공기호흡메기과를 별개의 과로 분류하는 최근 연구에서는 이들을 클라리오이데아(Clarioidea)라는 상과로 묶는다. 클라리오이데아 상과 내에서 다른 과들과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
5. 계통 분류
설리반(Sullivan) 등[8]과 디오고(Diogo) 및 펭(Peng)의 연구[9]에 따르면, 공기호흡메기과(Clariidae)는 메기목 메기아목(Siluroidei)에 속하며, 헤테로프네우스티과(Heteropneustidae)와 함께 공기호흡메기상과(Clarioidea)를 형성한다.
헤테로프네우스티과는 ''헤테로프네우스테스'' 속만을 포함하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공기호흡메기과의 아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헤테로프네우스티과와 공기호흡메기과를 별개의 과로 보고 이 둘을 공기호흡메기상과로 묶는다.[3] 공기호흡메기상과 내 다른 과들과의 관계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3]
6. 인간과의 관계
많은 공기호흡메기과 어류는 소규모 어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클라리아스 가리에피누스'''(Clarias gariepinuslat)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유망한 양식 어종 중 하나로 여겨진다.[4]
한편, 공기 호흡 능력 때문에 '''클라리아스 바트라쿠스'''(Clarias batrachuslat)와 같은 일부 종은 미국 플로리다 등지에서 침입종으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1]
참조
[1]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2]
저널
Morphology of the cranial system of ''Platyclarias machadoi'': interdependencies of skull flattening and suspensorial structure in Clariidae
[3]
저널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4]
저널
A review of the clariid catfishes (Siluroidei, Clariidae) occurring in southern Africa
[5]
간행물
Clariidae
[6]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7]
저널
Morphology of the cranial system of ''Platyclarias machadoi'': interdependencies of skull flattening and suspensorial structure in Clariidae
[8]
저널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9]
서적
State of the Art of Siluriform Higher-level Phylogeny
Science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