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국 전투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화국 전투찬가"는 미국의 애국가로, 줄리아 워드 하우가 1861년 남북 전쟁 당시 작사했다. 이 곡은 원래 윌리엄 스테프가 작곡했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한 작곡가는 불분명하다. 가사는 요한 묵시록의 영향을 받았으며, "영광, 영광, 할렐루야"라는 후렴구를 포함한다.
곡조는 1800년대 초부터 구전되던 찬송가에서 유래되었으며, "존 브라운의 시체"라는 노래에도 사용되었다. "공화국 전투찬가"는 남북 전쟁 이후 미국의 애국가로 널리 불렸으며,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설교와 연설에도 인용되었다. 또한 다양한 영화, 소설, 음악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일본,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불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3년 노래 - 켄터키 옛집
스티븐 포스터가 1853년에 발표한 "켄터키 옛집"은 켄터키주를 상징하는 대표곡으로, 인종차별 논란으로 가사가 수정되기도 했지만 한국어와 일본어로도 번역되어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었으며, 켄터키 더비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 미국 남북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남과 북 (텔레비전 드라마)
남과 북 (텔레비전 드라마)은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제작된 3부작 텔레비전 미니시리즈로, 미국 남북 전쟁 전후 시대를 배경으로 두 가문의 갈등과 사랑, 전쟁의 참혹함과 가족 간의 관계를 그린다. - 미국 남북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오! 수재나
스티븐 포스터가 1848년에 발표한 미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오! 수재나는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당시 금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비공식 주제가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가사에 인종차별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현대 사회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다뤄지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변형되어 교육 자료 및 대중문화 속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공화국 전투찬가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원어 제목 |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영어) |
다른 이름 | 리퍼블릭 찬가 |
분류 | 찬송가 |
제작 정보 | |
작사가 | 줄리아 워드 하우 |
작사 년도 | 1861년 |
작곡가 | 윌리엄 스테프 (1856년) |
편곡가 | 제임스 그린리프 C. 홀 C. 마시 |
작곡 년도 | 1861년 |
음원 정보 | |
기타 정보 | |
참조 구절 | 이사야 63:1-6 (미국 표준 성경) 요한계시록 14:14-19 (미국 표준 성경) |
2. 역사
"공화국 전투찬가"의 역사는 19세기 초 미국 남부의 기독교 천막 집회에서 구전되던 민속 찬송가에서 시작된다. 이 초기 찬송가는 "Glory, Hallelujah|영광, 할렐루야영어"라는 후렴구를 특징으로 하며, 흔히 "오 형제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117][118][3] 이 곡조는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19]
미국 남북 전쟁이 시작된 1861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인근의 워런 요새에 주둔하던 북군 병사들은 이 "오 형제여" 곡조에 새로운 가사를 붙여 부르기 시작했다. 이것이 "John Brown's Body|존 브라운의 시체영어"이다.[120] 처음에는 부대 내 동명이인 병사를 놀리는 내용이었지만, 곧 노예제 폐지운동을 위해 싸우다 처형된 존 브라운을 기리는 노래로 의미가 바뀌면서 북군 병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63][65]
같은 해 11월, 시인이자 노예제 폐지론자인 줄리아 워드 하우는 워싱턴 D.C.를 방문했다가 병사들이 "존 브라운의 시체"를 부르는 것을 듣게 되었다.[124][6][67][68] 그녀는 이 곡조에 더욱 고양되고 애국적인 가사를 붙여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날 밤 영감을 받아 시를 썼다.[125][7][8][69] 이 시는 1862년 2월 잡지 《디 애틀랜틱》에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공화국 전투찬가영어"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으며,[67][68] 곧 남북전쟁 기간 동안 북군의 가장 중요한 노래 중 하나이자 미국의 대표적인 애국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61][68]
2. 1. 오 형제여
"오 형제여"는 "공화국 전투찬가"의 원곡으로 알려진 초기 찬송가의 핵심 구절이다. 이 곡의 유명한 후렴구 "Glory, Hallelujah|영광, 할렐루야영어"는 1800년대 초 미국 남부 기독교의 천막 집회에서 구전되던 곡조에서 유래했다.[117][118]알려진 가장 오래된 형태는 "Canaan's Happy Shore|가나안의 행복한 강변영어"이라는 노래로, 선창자가 "O, brother will you meet me?|오, 형제여 나를 만나려는가?영어"를 세 번 반복하고 "On Canaan's happy shore|가나안의 행복한 강변에서영어"라고 노래하면, 합창단이 "We'll shout and give him glory|우리는 함성으로 주께 영광 드리리영어"를 세 번 부르고 "For glory is his own|주님께 영광을영어"이라고 화답하는 방식으로 불렸다.[118] 이 노래의 합창 부분은 1850년대에 들어 오늘날 잘 알려진 "Glory, glory, hallelujah|영광, 영광, 할렐루야영어" 후렴구로 발전했으며, 이 후렴구는 미국 남부와 북부 전역에 걸쳐 널리 퍼져나갔다.[119]
이 곡조와 가사의 일부는 1700년대 후반 부흥 집회에서 구전된 찬송가 전통을 통해 발전했으며, 1800년대 초에 처음 출판된 민속 찬송가인 "Say, Brothers, Will You Meet Us|얘기해 주시겠습니까, 형제님영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3] 이 찬송가의 가사는 1858년에 출판된 『유니온 하프와 부흥 찬송가대원』이라는 찬송가집에서 처음 문헌으로 확인되며[60], 내용은 다음과 같다.
Say, brothers, will you meet us영어 (×3)
On Canaan's happy shore.영어
'''(후렴)'''
Glory, glory, hallelujah영어 (×3)
For ever, evermore!영어
야, 형제들이여, 우리를 만나지 않겠는가(×3)
가나안의 행복한 언덕에서
'''(후렴)'''
영광 있으라, 영광 있으라, 할렐루야(×3)
영원히, 영원히!
곡조의 작곡가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윌리엄 스테프가 1856년에 작곡했다는 설이 1880년대에 등장했으며[55], 영문학자 Brander Matthews|브랜더 매튜스영어가 1887년 잡지 『The Century Magazine|센추리 매거진영어』에 소개하면서 널리 퍼졌다.[55] 매튜스에 따르면 스테프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소방대로부터 "Say, bummers, will you meet us|곤란한 일이 있다면, 우리를 만나지 않겠는가영어"라는 가사에 맞는 곡을 의뢰받아 작곡했다고 한다.[55] 다른 기록에서는 스테프 자신이 1855년 또는 1856년경 필라델피아의 굿윌 소방대가 볼티모어의 리버티 소방대를 환영하기 위한 노래를 의뢰받아 작곡했다고 말했다는 내용도 있다.[54]
하지만 스테프가 생전에 작곡가로 활동했다는 다른 기록이나 물적 증거가 부족하고, 본인 스스로 작곡가임을 내세우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의 작곡설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54][53] 일부 연구자들은 스테프 이전에 이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전통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고 주장하며[56], 조지아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혼례 노래[57] 또는 스웨덴의 술자리 노래가 영국 뱃노래를 거쳐 전래되었다는 설도 제기된다.[58] 곡의 정확한 기원을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당시 부흥 운동의 영향 아래 여러 사람들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되고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9]
2. 2. 존 브라운의 시체
"존 브라운의 시체"(John Brown's Bodyeng)는 원래 1850년대 미국의 부흥 집회에서 불리던 찬송가 "오 형제여, 우리를 만나주시겠습니까?"(Say, brothers, will you meet useng)의 곡조에 가사를 붙인 노래이다. 이 찬송가는 "가나안의 행복한 해변에서 만납시다"라는 가사와 "영광, 영광, 할렐루야"라는 후렴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1850년대에는 이 후렴구가 널리 알려졌다.[3]미국 남북 전쟁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861년 5월 12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인근 워런 요새에서 열린 게양식에서 군인들이 이 곡조에 새로운 가사를 붙여 부른 것이 "존 브라운의 시체"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120]
노래의 탄생 배경에 대해서는 1890년 조지 킴볼(George Kimball)의 기록이 전해진다. 그가 속했던 매사추세츠 민병대 제2 보병 대대(일명 "타이거" 대대)에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존 브라운이라는 병사가 있었다. 그의 이름이 1859년 하퍼스 페리 습격 사건으로 유명한 노예제 폐지운동의 영웅 존 브라운과 같다는 이유로 동료 병사들 사이에서 농담과 놀림의 대상이 되었다.[63] 병사들은 "이 친구는 존 브라운이 아니야. 존 브라운은 죽었으니까"라거나, "존 브라운의 시체는 무덤에서 썩어가고 있어" 같은 말을 장난삼아 했고, 이것이 점차 유행처럼 번졌다.[63]
킴볼에 따르면, 이러한 말들은 군인들 사이에서 격언이 되었고, 야영 집회 노래의 즉흥적인 작곡과 유사한 집단적 노력으로 점차 "오 형제여" 곡조에 맞춰졌다.
:마침내 존 브라운이 죽었고 그의 시신이 부패하는 과정에 있다는 사실을 묘사하는 가장 터무니없는 엉터리 운율로 구성된 노래가 위 찬송가에 맞춰 불려지기 시작했다. 이 노래는 다양한 변형을 거쳐 마침내 다음과 같은 구절에 도달했다.
::"존 브라운의 시신은 무덤에서 썩어가네,
::그의 영혼은 행진하고 있네."
:그리고—
::"그는 주님의 군대에서 병사가 되러 갔네,
::그의 영혼은 행진하고 있네."
:이러한 구절들은 일반적인 만족감을 주는 것처럼 보였고, 브라운의 영혼이 "행진하고 있다"는 아이디어는 즉시 영감의 씨앗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들은 큰 열정으로 반복해서 불려졌고, "영광, 할렐루야" 후렴구가 항상 추가되었다.[64]
일부 지휘관들은 이 노래 가사가 다소 거칠고 불경스럽다고 생각하여 금지하기도 했지만, 병사들 사이에서 노래가 퍼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노래는 타이거 대대를 넘어 다른 부대로 빠르게 전파되었고, 지역 시인들이 새로운 가사를 덧붙이기도 했다.[121] 제1 포병대와 제55 포병대의 공식 기록에서도 타이거 대대가 이 노래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4][5][122][123]
시간이 지나면서 노래의 주인공은 타이거 대대의 존 브라운 병사가 아니라, 노예 해방을 위해 싸우다 처형된 노예제 폐지운동가 존 브라운으로 여겨지게 되었다.[65] 그의 투쟁과 죽음을 기리는 의미가 강해지면서 여러 버전의 가사가 등장했다. 그중 목사이자 후에 워싱턴 D.C.의 하워드 대학교 총장이 되는 윌리엄 웨스턴 패튼(William Weston Patton)이 쓴 가사는 1861년 10월 시카고 트리뷴에 발표되어 널리 알려졌다.[66]
:존 브라운 영감의 몸은 무덤 속에서 썩어가네,
:그가 구하고자 온 힘을 다했던 속박된 이들은 슬피 우네;
:그는 노예들을 위해 투쟁하다가 생명을 잃었지만,
:그의 영혼은 전진하네.
:
:(후렴)
:영광, 영광, 할렐루야!(×3)
:그의 영혼은 전진하네![66]
2. 3. 전투찬가
남북전쟁 초기인 1861년 5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인근 워런 요세의 국기 게양식에서 군인들은 〈John Brown's Body영어〉(존 브라운의 시체)라는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이 노래는 기존의 〈오 형제여〉 곡조에 "영광, 영광, 할렐루야" 후렴구를 덧붙인 것이었다. 이 노래가 유명해진 계기는 매사추세츠 민병대 제2 보병 대대(일명 "타이거" 대대)에 노예제 폐지 운동가 존 브라운과 이름이 같은 스코틀랜드 출신 병사 존 브라운이 있었기 때문이다. 동료들은 그를 놀리며 "존 브라운의 시체는 무덤에서 썩고 있지만 그의 혼은 행군 중이지"라는 가사를 만들어 불렀고, 이것이 퍼져나가게 되었다.[120] 일부 장교들은 가사가 부적절하다며 금지했지만, 노래는 부대를 넘어 확산되었고 다양한 가사가 덧붙여졌다.[121][122][123]
1861년 11월, 시인이자 노예제 폐지론자였던 줄리아 워드 하우는 남편 새뮤얼 그리들리 하우와 함께 워싱턴 D.C.를 방문했다. 부부는 북군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남편 새뮤얼은 존 브라운의 하퍼스 페리 습격을 지원했던 비밀 조직 6인 결사의 일원이기도 했다.[127] 하우 부부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초대로 포토맥강 인근 북군 훈련을 참관했다.[67][68] 훈련 참관 중 또는 참관 후 돌아오는 길에, 하우는 러퍼스 다우즈가 이끄는 위스콘신 제6 의용 보병대 병사들이 〈John Brown's Body영어〉를 부르는 것을 들었다. 당시 중대의 존 틱너 병장이 노래를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124][6] 함께 있던 제임스 프리먼 클라크 목사는 하우에게 북군 병사들을 위한 새로운 가사를 써볼 것을 제안했다.[124][6][67][68]

그날 밤(1861년 11월 18일), 워싱턴 D.C.의 윌러드 호텔에 묵던 하우는 새벽녘에 잠에서 깨어 영감을 받아 시를 써 내려갔다.[125][7] 하우는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나는 평소처럼 그날 밤 잠자리에 들었고, 내가 늘 하던 대로 아주 깊이 잠들었다. 아침 어스름한 새벽에 깨어났고, 동이 트기를 기다리면서 내가 바라던 시의 긴 줄들이 내 마음속에서 꼬이기 시작했다. 모든 연을 다 생각해 낸 후, 나는 스스로에게 '다시 잠들어 잊어버릴까 봐 일어나서 이 구절들을 적어내야 해.'라고 말했다. 그래서 갑자기 노력하여 침대에서 뛰쳐나와 희미한 빛 속에서 전날 사용했던 기억이 나는 낡은 연필 꽁초를 찾았다. 나는 종이를 거의 보지 않고 구절들을 휘갈겨 썼다."[8][69]
하우는 11월 19일에 적은 초고를 다듬어[67] 보스턴에서 발행되던 잡지 《디 애틀랜틱》에 보냈다.[67] 잡지 편집자 제임스 토머스 필즈는 이 시에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영어"(공화국 전투찬가)라는 제목을 붙여[68] 1862년 2월호 첫 페이지에 익명으로 발표했다.[67][68] 하우가 이 가사로 받은 보수는 5USD였다고 전해진다.[68] 《디 애틀랜틱》에 실린 가사는 1절부터 5절까지였고 코러스 부분은 없었으나,[67] 같은 해 4월 올리버 디트슨 사에서 악보와 함께 출판될 때 코러스 부분이 추가되었다.[67] 초기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1863년 필라델피아의 유색인 연대 모병 감독위원회가 이 노래를 인쇄하여 배포하면서 점차 전파되었다.[126] "공화국 전투찬가"는 발표 직후 북군 병사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노래 중 하나가 되었고,[61][68] 남북전쟁 이후에도 미국의 대표적인 애국가로 널리 불리게 되었다.[61][68]
3. 가사
하우가 1862년 《디 애틀랜틱》에 투고한 가사는 아래와 같다.[128][129] 합창 부분은 훗날 조금씩 바뀌어 불리기도 하였다.[130] 가사에는 신약성경의 '요한 묵시록'의 영향이 있으며[62], 하느님의 정의를 기대하는 감정과, "Glory, glory, hallelujah!"라는 하느님의 최종적인 승리를 찬미하는 표현이 기록되어 있다[62]。
원문 | 번역 |
---|---|
다른 버전에선 아래와 같은 구절이 가사에 추가되어 있다.
원문 | 번역 |
---|---|
4. 악보
〈공화국 전투찬가〉의 멜로디는 〈가나안의 행복한 강변〉 및 〈존 브라운의 시신〉과 같다. 〈가나안의 행복한 강변〉은 운문과 후렴이 같은 길이이며 동일한 멜로디와 리듬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 브라운의 시신〉은 여기에 더 분절되고 율동적인 변화가 있는 가사를 추가했다. 줄리아 워드 하우의 가사는 이보다 더 짧게 끊어지는 멜로디를 가지지만, 여전히 〈존 브라운의 시신〉과 같은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다. 다만 당김음을 많이 사용하여 더욱 경쾌한 느낌을 준다.
아래는 다장조로 표기된 멜로디의 예시이다.
5. 영향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수년 동안 "공화국 전투찬가"는 미국의 애국가처럼 자주 사용되었다.[113][20]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 공수부대원들은 이 노래를 개사한 군가인 〈낙하산 줄에 묻은 피〉(Blood on the Riserseng)를 불렀다.[136][71] 영국의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 역시 이 노래를 즐겨 불렀으며[135][109], 1965년 그의 국장에서 연주되기도 했다.[109]
"공화국 전투찬가"의 가사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설교와 연설에 여러 차례 등장한다. 특히 1965년 셀마-몽고메리 행진 성공 후의 연설 "얼마나 오래, 오래 가지 않아"와 암살 전날 밤인 1968년 4월 3일의 마지막 설교 "나는 산꼭대기에 올라갔습니다"가 유명하다. 이 마지막 연설은 노래의 첫 구절인 "내 눈은 주님의 오시는 영광을 보았네(Mine eyes have seen the glory of the coming of the Lordeng)"로 마무리된다.[78]
이 곡은 다양한 문화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존 스타인벡은 이 노래의 가사 "그는 분노의 포도가 저장된 포도 압착기를 짓밟고 계신다(He is trampling out the vintage where the grapes of wrath are storedeng)"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의 대표작 제목을 《분노의 포도》로 정했다.[22][62][76] 존 업다이크의 소설 《백합의 아름다움 속에서(In the Beauty of the Lilieseng)》와 브루스 카튼의 남북 전쟁 역사서 두 권의 제목(《끔찍하고 빠른 검(Terrible Swift Swordeng)》, 《결코 퇴각을 부르지 말라(Never Call Retreateng)》) 역시 이 노래 가사에서 따온 것이다.[23]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코미디 영화 《켈리의 영웅들》(1970)[79]과 SF 서부극 《와일드 와일드 웨스트》(1999) 등 여러 영화에서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5. 1. 한국에서의 영향
대한민국의 프로야구 팀인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팀 응원가로 불리고 있다.[89]5. 2. 기타 국가에서의 영향
"공화국 전투찬가"의 곡조는 미국 외 여러 나라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영국'''
"영광 영광 할렐루야!(Glory Glory Hallelujah!eng)"라는 후렴구는 여러 스포츠 팀 팬들에게 채택되었으며, 특히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프리미어 리그 축구팀 응원가로 널리 사용된다. 토트넘 홋스퍼는 1961–62 유러피언컵에서 폴란드 팀 고르니크 자브제와의 경기 이후 팬들이 "Glory, Glory, Hallelujah"를 부르기 시작하면서 팀의 응원가로 자리 잡았다.[26] 이 곡은 1981년 컵 결승전을 위해 발매된 싱글 "오시의 꿈"의 B면에 수록되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의 히버니언은 1963년 엑토르 니콜(Hector Nicol)이 발표한 "Glory, Glory to the Hibees"를 통해 이 곡을 응원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27][28] 리즈 유나이티드 팬들은 1969-70 FA컵 시즌 동안 "Glory, Glory Leeds United"를 즐겨 불렀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팬들은 1983 FA컵 결승전에서 "Glory, Glory Man United"를 불렀다. 브라이튼 팬들은 1970년대 팀의 전설적인 선수 피터 워드를 기리며 "내 눈은 주님의 강림의 영광을 보았네, 그는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을 위해 뛰었고 그의 이름은 피터 워드라네(Mine eyes have seen the glory of the coming of the Lord, He played for Brighton and Hove Albion and his name is Peter Wardeng)"라고 개사하여 부르기도 한다. 또한, 영국의 전 총리 윈스턴 처칠이 생전에 가장 좋아했던 곡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1965년 그의 국장에서는 유족의 요청에 따라 연주되었다.[109]
'''일본'''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인 1890년에 오쿠노 마사쓰나와 토가와 야스사다가 작사한 어린이 찬송가 "우타에이하에(うたえいはえ)"로 처음 소개되었다.[80] 이후 미타니 슈키치가 편찬한 찬송가집에 "악마와 싸우라(悪魔と戦え)"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고[81], 1902년에는 토가와 야스사다 작사의 육군 군가 "나아가라 나아가라(進め進め)"로 군가집에 실렸다.[80] 1905년에는 와세다 대학교에 응원단이 결성되면서 야구 응원가로 만들어졌고[82][83], 육군유년학교에서는 딱딱한 교과 과정을 풍자한 "학과 싫어(学科いや)"라는 노래가 학생들 사이에서 불리기도 했다.[84] 다이쇼 시대에는 칸나가 료게쓰(神長瞭月) 작사의 엔카 "장미의 노래(バラの唄)"나 아사쿠사 오페라의 곡으로도 불렸다.[85]
쇼와 시대에 들어서는 1940년 나가타 테츠오(永田哲夫)·아즈마 신조(東辰三) 작사, 하이다 유키히코(灰田有紀彦) 편곡의 동요 "올챙이는 개구리 새끼(お玉杓子は蛙の子)"가 발표되어 인기를 얻었다.[87][89] 또한, 미국의 동요 "존 브라운의 아기(John Brown's Babyeng)"를 번안한 "권병위 씨의 아기(権兵衛さんの赤ちゃん)"나 "타로 씨의 아기(太郎さんの赤ちゃん)", "오하기가 시집가네(おはぎが嫁に行く)" 등의 놀이 노래로도 널리 불렸다.[90][91] 1965년에는 시인 사카타 히로오가 NHK의 프로그램 『노래의 메리 고 라운드』의 의뢰로 작사한 "친구 찬가(ともだち讃歌)"가 만들어져[92] 음악 교과서에도 실렸다.[86][92] 울트라 시리즈의 캐릭터를 가사에 넣은 "1번가의 울트라맨(一丁目のウルトラマン)"[93][94], 특촬물 오성전대 다이렌저의 이미지송 "맹세(誓い)"[98] 등 대중문화 속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특히 전자제품 판매점 요도바시 카메라의 CM송 "요도바시 카메라의 노래(ヨドバシカメラの歌)"[99]는 1975년부터 사용되어 매우 유명하며[61][86], 다이코쿠 드럭(ダイコクドラッグ)[100], 안경 플라자(メガネプラザ)[101], 오리엔탈(オリエンタル), 사쿠라즈케(さくら漬)[102], 사가비요리(佐賀米)[103] 등 여러 기업의 CM송으로도 사용되었다.
스포츠 응원가로도 널리 쓰이는데, 축구 일본 대표팀 서포터들은 1994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당시 "미국으로 가자(アメリカへ行こう)"는 내용의 챈트로 불렀으며[104], J리그의 요코하마 F・마리노스[89]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105] 서포터들도 응원가로 사용한다. 프로야구에서는 지바 롯데 마린스가 외국인 선수 호세 페르난데스와 호세 오티즈의 응원가로 사용했다. 대한민국의 프로야구 팀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팀 응원가로 사용하고 있다.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을 지지하는 노래 "벨파스트 여단(Belfast Brigade)"의 멜로디로 사용되었다. 또한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서포터들은 "우리는 브라질이 아니다, 우리는 북아일랜드다(We're not Brazil, we're Northern Irelandeng)"라는 응원가를 이 곡조에 맞춰 부른다.
'''호주'''
럭비 리그 팀 사우스 시드니 래비토스("Glory Glory to South Sydney")[32], A-리그 팀 퍼스 글로리 등 여러 스포츠 팀의 응원가로 사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리그(AFL)에서도 수비아코 축구 클럽, 케이시 데몬스, 우드빌-웨스트 토렌스 축구 클럽, 브로드비치 캣츠, 클라렌스 캥거루스, 방랑자 이글스 등 다수 클럽의 팀 노래로 쓰인다.
'''캐나다'''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크리스마스 캐롤 "Glory, Alleluia"[41], 퀸스 대학교의 응원가 "오일 허벅지(Oil Thigh)"[46], 북미 엔지니어들의 음주가 "고디바의 찬가(Godiva's Hymn)" 등에 멜로디가 사용되었다.
'''케냐'''
1963년 독립 당시 조모 케냐타 대통령이 내세운 스와힐리어 슬로건 "할람베(Harambeeswa, 함께 일하다)"를 주제로 한 "할람베 송(Harambee Song)"이 이 곡조로 불렸다.[86]
'''베트남'''
1979년 중월 전쟁 당시 "베트남과의 단결을 계속하자(Hãy tiếp tục đoàn kết với Việt Namvie)"라는 노래가 이 멜로디로 만들어졌다.[50]
'''기타 국가'''
- '''핀란드''': 군대 행진곡[38] 및 아이스하키 응원가[39]로 사용된다.
- '''에스토니아''': "칼레 쿠스타(Kalle Kusta)"라는 노래에 사용된다.
- '''스웨덴''': 술집 노래 "절름발이 로타(Halta Lottaswe)"[40]에 사용된다.
- '''헝가리'''/'''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 등지의 헝가리어권 공동체 민속 춤곡 "골랴(Gólyahun, 황새)"에 사용된다.
- '''인도''': 인도 육군 아삼 연대의 행진곡 "바드라람 카 바단(Badluram ka Badanhin, 바드라람의 시체)"에 사용되며, 후렴구는 "샤바시 할렐루야(Shabash Hallelujahhin)"이다.
- '''아르헨티나''': 세인트 앨번스 전 학생 협회(Old Philomathian Club)의 노래 "Glory Glory Philomathians"에 사용되었다.
- '''필리핀''':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전 대통령을 비판하는 시위 노래 "글로리아, 글로리아 라반데라(Gloria, Gloria Labanderatgl, 글로리아 세탁부)"에 사용되었다.[35][36]
- '''네덜란드''': 동요 "Lief klein konijntje(귀여운 작은 토끼)"[44]에 사용된다.
- '''인도네시아''': 여러 언어로 번역된 크리스마스 캐롤("Nunga Jumpang Muse Ari Pesta I", "Sendah Jumpa Kita Wari Raya E", "Sudah Tiba Hari Raya Yang Kudus")[47][48][49]에 사용된다.
- '''러시아''': 작곡가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가 1893년 시카고 만국 박람회를 위해 작곡한 관현악곡 "승리의 행진곡 작품 40(Triumphal March op. 40eng)"에 모티브로 사용되었다.[86]
'''패러디 및 기타'''
해시 하우스 해리어스의 "예수는 해싱을 할 수 없다(Jesus Can't Do Hashingeng)"[33], 럭비 버전 "예수는 럭비를 할 수 없다(Jesus Can't Play Rugbyeng)"[34], 디스코드주의의 "전투 에리스토크라시 찬가(Battle Hymn of the Eristocracyeng)"[42][43] 등 다양한 패러디 곡에도 멜로디가 사용되었다. 1994 FIFA 월드컵 공식 노래 중 하나인 대릴 홀 앤 더 사운즈 오브 블랙니스(Daryl Hall and the Sounds of Blackness)의 "Gloryland"도 이 곡조를 사용했다.[31]
참조
[1]
문서
Ken Burns' "Civil War" miniseries, episode 2
[2]
서적
John Brown Abolitionist: The Man Who Killed Slavery, Sparked the Civil War, and Seeded Civil Rights.
Vintage Books
[3]
서적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A Biography of the Song That Marches 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
서적
The old First Massachusetts coast artillery in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Pilgrim Press
[5]
서적
The 55th artillery (CAC) in the American expeditionary forces, France, 1918
https://books.google[...]
Commonwealth Press
[6]
서적
Hungry Heart: The Literary Emergence of Julia Ward How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99
[7]
간행물
Julia Ward Howe, 1819–1910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0-07-02
[8]
서적
Reminiscences: 1819–1899.
Houghton, Mifflin
1899
[9]
서적
New England Songster.
PineTree Press
1997
[10]
논문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s://www.theatlan[...]
2015-04-26
[11]
논문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s://www.theatlan[...]
2015-04-26
[12]
웹사이트
Battle hymn of the Republic. By Mrs. Julia Ward Howe. Published by the Supervisory Committee for Recruiting Colored Regiment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0-06-30
[13]
웹사이트
LDS Hymns #60
https://www.churchof[...]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 Day Saints
2020-07-23
[14]
서적
The Methodist hymn-book with tunes
Methodist Conference Office
1933
[15]
문서
1862 sheet music
https://www.loc.gov/[...]
[16]
웹사이트
Battle Hymn of the Republic (original version)
http://www.americanm[...]
American music preservation
2010-07-02
[17]
서적
Rainbow's End: The Judy Garland Show
Zebra Books
[18]
chart positions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musicvf.c[...]
Music VF
2013-06-16
[19]
뉴스
LBJ Buried in Beloved Texas Hills
1973-01-26
[20]
웹사이트
Civil War Music: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civilwar.[...]
Civilwar.org
2012-08-05
[21]
웹사이트
Video: Presiding Bishop-elect Michael Curry preaches at General Convention Closing Eucharist
https://www.episcopa[...]
2015-07-03
[22]
서적
Robert DeMott's Introduction to ''The Grapes of Wrath''
https://archive.org/[...]
Viking Penguin
[23]
웹사이트
Terrible Swift Sword: The Battle of Gettysburg – Board Game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2-08-05
[24]
문서
You Want It Darker
Columbia Records
2016-10-21
[25]
간행물
Steer Your Way
https://www.newyorke[...]
[26]
웹사이트
The Glory Glory Nights: The Official Story of Tottenham Hotspur in Europe
http://www.newstates[...]
2012-12-12
[27]
웹사이트
Hector Nicol with the Kelvin Country Dance Band – Glory Glory To The Hi-Bees (Hibernian Supporters Song) (Vinyl, 7", 45 RPM, Single) – Discogs
https://www.discogs.[...]
2019-03-22
[28]
웹사이트
Hector Nicol – Discography & Songs – Discogs
https://www.discogs.[...]
2019-03-22
[29]
문서
Marching Song
2007-01
[30]
뉴스
Where the Sidewalk Begins
https://www.washingt[...]
1988-11-06
[31]
Youtube
Gloryland 1994 World Cup Song
https://www.youtube.[...]
YouTube
2010-09-28
[32]
웹사이트
Rabbitohs Club Song
http://membership.ra[...]
South Sydney Rabbitohs
[33]
웹사이트
Jesus Can't Go Hashing {{!}} Hash Song
https://chicagohash.[...]
Hash House Harriers
[34]
웹사이트
Informationen zum Thema Shamrocks Rugby Will County Rugby Chicago Rugby Manhattan Rugby
http://www.shamrockr[...]
2018-03-30
[35]
뉴스
Gloria doesn't mind 'labandera' tag
https://www.philstar[...]
Philstar Global Corp.
2020-09-18
[36]
웹사이트
PHNE: Business and Economy
http://www.newsflash[...]
www.newsflash.org
2020-07-04
[37]
웹사이트
Solidarity Forever: Melody –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musicanet[...]
Musica net
2010-07-02
[38]
웹사이트
ELONET - Uppo-Nalle - Muut tiedot
http://79.141.150.54[...]
2014-09-14
[39]
Youtube
Varski Varjola – Suomi tekee kohta maalin (2011)
https://www.youtube.[...]
2011-03-14
[40]
웹사이트
Dagens visa; 1999 juli 7
https://minata.tripo[...]
2023-05-11
[41]
웹사이트
Céline Dion chante noël
https://www.celinedi[...]
www.celinedion.com
2020-11-24
[42]
웹사이트
Principia Discordia – Page 11
https://principiadis[...]
[43]
Youtube
Aarni – The Battle Hymn Of Eristocracy
https://www.youtube.[...]
2011-10-23
[44]
간행물
Little Peter rabbit song
http://fileserver.bo[...]
Book trust
[45]
웹사이트
ごんべさんの赤ちゃん - (Gonbei-san no aka-chan)
https://www.mamalisa[...]
2024-06-11
[46]
웹사이트
Oil Thigh
https://www.queensu.[...]
Queen's Webmaster
2020-10-16
[47]
웹사이트
KEE 114 Sendah Jumpa Kita Wari Raya E
https://www.gbkpkm8.[...]
2022-04-12
[48]
웹사이트
NUNGA JUMPANG MUSE ARI PESTA (BE 57)
https://alkitab.app/[...]
2022-04-12
[49]
웹사이트
SUDAH TIBA HARI RAYA YANG KUDUS (BN 57)
https://alkitab.app/[...]
2022-04-12
[50]
Citation
"Hãy tiếp tục đoàn kết với Việt Nam" - Vietnamese War Song
https://www.youtube.[...]
2022-10-22
[51]
웹사이트
Works with Orchestra
http://www.inaboyle.[...]
2016-12-14
[52]
서적
The Methodist hymn-book with tunes
Methodist Conference Office
1933
[53]
서적
世界軍歌全集--歌詞で読むナショナリズムとイデオロギーの時代
社会評論社
[54]
문서
櫻井 2006、11頁
[55]
문서
櫻井 2006、10頁
[56]
문서
C. A. Browne, The Story of Our National Ballads
Thomas Y. Crowell
1960
[57]
문서
Music of the Civil War Era
Greenwood Publishing Group
[58]
문서
John Brown's Body
1958
[59]
문서
A Censorship of Forgetting: Origins and Origin Myths of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60]
문서
櫻井 2006、9頁
[61]
서적
世界の愛唱歌 ― 1000字でわかる名曲ものがたり
ヤマハミュージックメディア
[62]
서적
講義 アメリカ文学史 第 II 巻 ― 東京大学文学部英文科講義録
研究社
[63]
Citation
Origin of the John Brown Song
http://cdl.library.c[...]
Cornell University
[64]
문서
櫻井 2006、12頁
[65]
문서
櫻井 2006、13頁
[66]
웹사이트
Various Versions of the John Brown Song Spanning More Than a Century
http://www.trans-vid[...]
John Brown's Ghost Haunts the Internet!!!
2013-09-08
[67]
문서
櫻井 2006、14頁
[68]
웹사이트
Civil War Music: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civilwar.[...]
Civil War Trust
2013-09-08
[69]
문서
Reminiscences: 1819-1899
Houghton, Mifflin
1899
[70]
웹사이트
ジョン・ブラウンの赤ちゃん「BODY」から「BABY」へ
https://www.worldfol[...]
ドナドナ研究室
2013-09-07
[71]
웹사이트
空挺部隊の歌
http://gunka.sakura.[...]
西洋軍歌蒐集館
2013-09-07
[72]
웹사이트
Marching Song of the First Arkansas Colored Regiment: A Contested Attribution
http://www.sonoma.ed[...]
David Walls - Sonoma State University
2007-07-12
[73]
웹사이트
Joan Baez in Concert, Pt. 2 - Joan Baez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10-05
[74]
웹사이트
Past Winners Search
http://www.grammy.co[...]
GRAMMY.com
2013-10-05
[75]
웹사이트
An American Trilogy
http://www.texasmont[...]
Texas Monthly
2013-10-05
[76]
웹사이트
リパブリック讃歌(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s://web.archive.[...]
世界のうた
2013-09-08
[77]
문서
櫻井 2006
[78]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I've Been to the Mountaintop"
http://americanradio[...]
American RadioWorks
2013-09-07
[79]
웹사이트
Kelly's Heroes (1970)
http://www.filmscore[...]
Film Score
2013-09-08
[80]
문서
石原 1988
[81]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82]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83]
문서
石原 1988
[84]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85]
문서
石原 1988
[86]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87]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88]
문서
「お玉杓子は蛙の子」はハワイアン音楽です。(世田谷第2回「ハワイアン・カフェ」)
http://www.himajin.n[...]
[89]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90]
문서
石原 1988
[91]
서적
お玉じゃくしと権兵衛さんのすべて
キングレコード
[92]
문서
石原 1988
[93]
서적
あそびうた大全集200 手あそび・体あそび・わらべうたがいっぱい 遊び方・アレンジがよくわかる!
永岡書店
[94]
서적
保育で役立つ! 0〜5歳児の手あそび・うたあそび
ナツメ社
[95]
간행물
5月の乳児の遊び
小学館
1998-05
[96]
논문
子ども向けの歌の歌詞についての検討 : 数学的要素に着目して
羽陽学園短期大学
2008-02
[97]
웹사이트
「一丁目のウルトラマン」うた:ボイジャー feat.アマガイ・コノミ
https://web.archive.[...]
ウルトラマン列伝オフィシャルブログ『ウルトラマン“ブログ”列伝』
2013-04-10
[98]
Youtube
誓い
https://www.youtube.[...]
[99]
Youtube
Yodobashi CM Song
[100]
블로그
ダイコクドラッグ×ヨドバシカメラ
https://ameblo.jp/fu[...]
2017-10-17
[101]
Youtube 채널
[102]
Youtube
やまじょう さくら漬
https://www.youtube.[...]
[103]
Youtube
お弁当 特A評価篇 / おにぎり 特A評価篇 / 家族の笑顔 特A評価篇 / 2017 正面編 / 2017 上空編
https://www.youtube.[...]
[104]
서적
アジア最終予選 ― サッカー日本代表 2006ワールドカップへの戦い
双葉社
[105]
웹사이트
勝利後の楽曲 <すすきのへ行こう> &U-18
http://www.consadole[...]
コンサドーレ札幌オフィシャルブログ
2012-05-12
[106]
Youtube
くろぐろクローバーZ ブラックパンダラーメンCM
https://www.youtube.[...]
[107]
웹사이트
Political Football: Neil Lennon
http://www.channel4.[...]
Channel 4 News
2007-10-05
[108]
웹사이트
Football family bids farewell to‘Big Mac’
http://www.newslette[...]
Belfast Newsletter
2012-06-29
[109]
웹사이트
His Truth Is Marching On - Churchill and the Great Republic
http://www.loc.gov/e[...]
Library of Congress
[110]
웹사이트
'"Frank Renshaw Discography
http://www.discogs.c[...]
Discogs
[111]
서적
サッカー人間学--マンウォッチング 2
小学館
[112]
웹사이트
"Glory, Glory, Leeds United"
http://www.45cat.com[...]
Trad. Arr. Ronnie Hilton
[113]
웹사이트
Civil War Music: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civilwar.[...]
[114]
웹사이트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Its Origin and Meaning
https://thejesusques[...]
[115]
웹사이트
마귀들과 싸울지라
http://kcm.kr/dic_vi[...]
한국컴퓨터선교회
[116]
웹인용
Traditional Christian Hymn Lyrics
http://www.tradition[...]
2017-01-26
[117]
간행물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A Biography of the Song That Marches 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6-06
[118]
문서
Stauffer and Soskis, p. 18
[119]
문서
Stauffer and Soskis, pp. 26–27.
[120]
문서
Kimball 1890, p. 372.
[121]
문서
Kimball 1890, pp. 373–4.
[122]
서적
The old First Massachusetts coast artillery in war and peace
Pilgrim Press
[123]
서적
The 55th artillery (CAC) in the American expeditionary forces, France, 1918
Commonwealth Press
[124]
서적
Hungry Heart: The Literary Emergence of Julia Ward How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25]
웹사이트
Julia Ward Howe
http://digital.libra[...]
1912-06-01
[126]
서적
New England Songster
PineTree Press
[127]
웹인용
The Trial of John Brown: The Secret Six
http://law2.umkc.edu[...]
2017-01-26
[128]
뉴스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Monthly
1862-02
[129]
뉴스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The Atlantic Monthly
2001-09
[130]
웹사이트
1862 sheet music
http://loc.gov/resou[...]
[131]
성경
구약성경, 이사야서, 63장 1 - 6절
[132]
성경
신약성경, 요한의 묵시록, 19장 15절
[133]
성경
구약성경, 창세기, 3장 15절
[134]
웹사이트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ttp://www.loc.gov/i[...]
Supervisory Committee for Recruiting Colored Regiments
[135]
뉴스
"Winston Churchill's Funeral, 50 Years Ago"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5-01-30
[136]
웹인용
Watch: Legendary WWII vet leads jump school graduates in singing paratrooper song
http://popularmilita[...]
2017-01-26
[137]
Youtube
ヨドバシカメラの歌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