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원군은 고려 태조 왕건의 아들로, 어머니는 광주 출신의 호족 왕규의 딸 소광주원부인이다. 945년 외조부 왕규가 혜종을 시해하고 그를 왕위에 올리려 했으나 실패했고, 왕규는 왕요와 왕식렴에게 진압되어 참수되었다. 광주원군의 최후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며, 사학자들은 왕규의 난 당시 정종과 광종에 의해 처형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2016년 SBS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서 백현이 왕은 역으로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혜종 - 최응
    최응은 고려 초 문신으로, 궁예 휘하에서 문한을 담당하고 고려 건국 후 왕건의 참모로 활동하며 내봉경에 이르렀으나 요절하여 태조의 사당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희개이다.
  • 고려 혜종 - 혜종 (고려)
    혜종은 고려 태조 왕건의 장남이자 제2대 왕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박술희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측근 세력과 이복동생들의 왕위 위협 속에서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10세기 사망 - 최치원
    최치원은 857년에 태어나 당나라 유학 후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라 개혁 실패 후 해인사에서 은거하다가 고려 시대에 문창후로 추증된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10세기 사망 -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은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의 사절단 서기관으로서 볼가 불가르로 파견되어 이슬람 율법을 전파하고 다양한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바이킹 장례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한 그의 기록은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 10세기 출생 - 다키키
    다키키는 10세기 사만 왕조 궁정 시인으로, 이란 역사 서사시 《샤나메》 집필을 시작했으나 미완성으로 사망했고, 그의 작품 일부는 페르도시의 《샤나메》에 보존되었다.
  • 10세기 출생 - 바츨라프 1세 (보헤미아 공작)
    바츨라프 1세는 10세기 보헤미아 공작으로, 기독교를 장려하고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동생 볼레슬라프 1세에게 암살당한 후 성인으로 추앙받아 체코 민족의 영웅으로 숭배받는다.
광주원군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광주원군
한글 이름광주원군
한자 이름廣州院君
로마자 표기Gwangjuwon-gun
작위고려 태조의 왕자
가족 관계
부친태조
모친소광주원부인 왕씨
생애
출생900년 (추정)
출생지송악, 고려
사망945년 이후 (추정)
종교불교

2. 생애

광주원군은 태조의 아들로, 어머니는 경기도 광주 출신의 호족 왕규의 딸인 소광주원부인이다. 은 왕, 본관개성이며, 이름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1]

945년(혜종 2년), 왕규는 혜종을 죽이고 광주원군을 왕위에 올리려고 했으나 실패하였다(왕규의 난).[1]고려사》〈열전〉에는 광주원군의 최후에 대해 "어떻게 죽었는지 알 수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생몰년이나 무덤에 관한 기록도 없다.[10] 는 '''광주원군'''이다.

2. 1. 출생과 가계

태조의 아들로, 어머니는 경기도 광주 출신의 호족 왕규의 딸인 소광주원부인이다. 은 왕, 본관개성이며, 이름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1] 광주원의 외할아버지인 왕규는 영향력 있는 지역 가문의 수장이었다.[2] 광주원의 이름과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2]

2. 2. 왕규의 난

945년(혜종 2년), 왕규는 혜종을 죽이고 광주원군을 왕위에 올리려고 혜종의 침소에 자객을 보냈으나, 혜종이 자객들을 직접 때려 죽이는 바람에 실패하였으며, 혜종은 이 일을 불문에 붙였다.[1] 이후에도 왕규는 혜종의 침소에 자객을 또 보냈으나, 혜종은 최지몽의 예언을 듣고 자리를 피해 목숨을 보전할 수 있었다. 또 왕규는 혜종이 죽더라도 왕요(훗날 정종)와 왕소(훗날 광종)가 있어 광주원군이 보위에 오르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고 혜종에게 두 사람을 참소하였으나[8], 혜종이 들어주지 않았다. 결국 이 해 음력 9월 왕규는 왕요와 왕식렴의 군대에 의해 진압당한 후 참수되었다(왕규의 난).[9][10][11]

다만 이 왕규의 난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그 해석이 엇갈리기도 하며[12][13], 왕요와 왕식렴이 정권을 차지하기 위해 벌인 반란을 왕규에게 뒤집어 씌웠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는 왕규가 광주원군을 보위에 올린다는 것 자체가 비현실적이라는 시각에 기인한 것으로, 광주원군이 적통도 아닐 뿐더러, 이는 태조의 유훈인 훈요십조와도 어긋난다. 또한 광주원군이 보위에 오를 경우 반발할 수많은 호족들 등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왕규가 광주원군을 보위에 올리고자 했다는 것은 왕요 일파가 왕규를 죽이기 위해 억지로 붙인 구실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14]

2. 3. 최후

고려사》〈열전〉에는 광주원군의 최후에 대해 "어떻게 죽었는지 알 수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생몰년이나 무덤에 관한 기록도 없다.[10] 는 '''광주원군'''이다.

한편 사학자 김창현은 자신의 저서 《광종의 제국》에서, 왕규의 난 당시 왕규를 역적으로 규정한 정종, 광종 형제에 의해 광주원군도 함께 처형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왕규 뿐 아니라 광주원군도 반역자로 규정해야 정변의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15]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태조 (877~943, 재위: 918~943)
어머니소광주원부인
조부추존 세조 (?~897)
조모추존 위숙왕후
외조부왕규 (?~945)
이모광주원부인
이모이자 형수혜종의 제2비 후광주원부인


4. 대중문화 속 광주원군

2016년 SBS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서 백현이 연기했다.[7]

4. 1.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왕규의 난 https://terms.naver.[...] 2022-03-13
[2] 서적 고려사로 고려를 읽다
[3] 문서 《고려사》권127〈열전〉권40 - 반역 - 왕규
[4] 문서 《고려사》권2〈세가〉권2 - 왕규가 역모죄로 처형당하다
[5]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태조 왕자 광주원군
[6] 서적 네이버 책 - 김창현, 《광종의 제국》 https://book.naver.c[...] Pureun History 2003-01-03
[7] 웹사이트 '달의연인 보보경심려' 왕은 대신해 죽음 맞이하는 박순덕, 실제 역사 속 그녀는 누구? https://m.kr.ajunews[...] 2016-10-12
[8] 서적 고려사로 고려를 읽다 21세기북스 2012-08-30
[9] 문서 《고려사》권2〈세가〉권2 - 왕규가 역모죄로 처형당하다
[10]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태조 왕자 광주원군
[11] 문서 《고려사》권127〈열전〉권40 - 반역 - 왕규
[12]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왕규〉항목 https://terms.naver.[...]
[13]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왕규의 난〉항목 https://terms.naver.[...]
[14] 서적 (증보판)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2000-03-25
[15] 서적 광종의 제국 http://book.naver.co[...] 푸른역사 2003-01-03
[16] 웹사이트 SBS《달의 연인-보보경심 려》 홈페이지 등장인물 소개 - 10황자 왕은 http://program.sb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