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라마데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라마데라는 여러 불교 종파를 거쳐, 1947년 신라 고운 주지가 구라마 홍교를 창시하여 천태종에서 독립한 일본의 사찰이다. 8세기에 창건되었으며, 창건 설화에 따르면 중국 승려 간진의 제자가 구라마 산의 영적인 힘을 감지하여 밀교 사찰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구라마데라는 산악 신앙과 텐구 신앙으로도 유명하며, 비사문천, 천수관음, 호법마왕존을 모시는 존천 신앙을 특징으로 한다. 경내에는 국보와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많은 문화재와 다양한 건물이 있으며, 연중 여러 행사가 열린다. 교토에서 에이잔 전철이나 교토 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으며, 케이블카를 통해 편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국보 (조각) - 도지
    도지는 헤이안 시대 초기에 창건된 일본의 사찰로, 헤이안쿄에 세워진 세 곳의 사찰 중 유일하게 현존하며 국가 수호 역할을 했고, 고보대사와 관련이 깊으며, 일본에서 가장 높은 목조탑인 오중탑을 국보로 소장하고, 매달 홍법 시장이 열린다.
  • 일본의 국보 (조각) - 닌나지
    닌나지는 헤이안 시대에 창건되어 천황의 아들이 주지를 맡았으며, 오닌의 난 이후 재건되었고, 5층탑과 곤도 등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며, 오무로 벚꽃으로 유명한 사찰이다.
  • 교토시의 절 - 로쿠온지
    금각사로 알려진 로쿠온지는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별장이었으나 그의 유언에 따라 사찰로 개조되었고, 금박으로 덮인 금각이 특징이며, 아름다운 정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교토의 린자이종 선불교 사찰이다.
  • 교토시의 절 - 도지
    도지는 헤이안 시대 초기에 창건된 일본의 사찰로, 헤이안쿄에 세워진 세 곳의 사찰 중 유일하게 현존하며 국가 수호 역할을 했고, 고보대사와 관련이 깊으며, 일본에서 가장 높은 목조탑인 오중탑을 국보로 소장하고, 매달 홍법 시장이 열린다.
  • 일본의 국보 (고고·역사자료) - 고후쿠지
    고후쿠지는 669년 후지와라 가마타리가 창건한 나라의 불교 사찰로, 후지와라 씨의 후원을 받아 번성했으나 화재와 전란으로 피해를 입고 재건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여러 문화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일본의 국보 (고고·역사자료) - 야쿠시지
    야쿠시지는 아스카 시대에 덴무 천황이 창건을 시작하여 헤이조쿄로 이전된 후 재건된 사찰로, 국보인 약사여래삼존상 등을 보유하며 다양한 문화재와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봉납 콘서트가 열리는 문화 공간으로 활용된다.
구라마데라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된 입구
주된 입구
이름구라마데라
원어 이름鞍馬寺 (안마사)
산호구라마산
종파구라마홍교
사격총본산
본존존천(비샤몬텐왕・센주칸논보살・고호마오존)
창건 연도전승에 따르면 호키 원년 (770년)
개산전승에 따르면 감정
정식 명칭구라마산 구라마데라
별칭구라마산
순례지신사이고쿠 33개소 제19번
신불영장 순배의 길 제103번 (교토 제23번)
국가일본
위치교토부교토시사쿄구구라마 혼마치 1074
웹사이트총본산 구라마데라
종교적 제휴
종교독립 (구라마쿄쿄)
숭배 대상손텐 (비사문천, 관음, 디펜더 로드)
역사
창건자간진
완공 연도770년?
문화재
국보목조 비샤몬텐 입상
목조 기치죠텐 입상
목조 제니시도지 입상
구라마데라 경총 유물 일괄
중요 문화재목조 쇼칸논 입상
목조 도바쓰비샤몬텐 입상
흑칠검
검 (무명)
동등롱
구라마데라 문서

2. 역사

구라마데라는 8세기, 간진의 제자인 감정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창건 설화에 따르면 감정은 꿈에서 영적인 힘을 가진 구라마 산을 발견하고 사찰을 세웠다고 한다.

9세기 말 간페이 연간(889년~897년)에 동사의 승려 봉연(峰延)이 입사하면서 진언종 사찰이 되었다.[2] 덴교 3년(940년)에는 구라마 산 기슭에 유기 신사가 건립되어 구라마데라의 진수사가 되었다.[2] 12세기 호엔 연간(1135년~1140년)에 엔랴쿠지 승려 중이(重怡)가 입사하면서 천태종으로 개종, 쇼렌인의 지배를 받았다.[2]

구라마데라는 여러 차례 화재로 소실되었지만, 그때마다 다시 지어졌다. 1814년 대화재로 크게 쇠퇴하기도 했다.[2]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폐불훼석 속에서도 부흥을 시도했으나, 1945년 또다시 본전 등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4]

2. 1. 창건 설화

간진의 제자가 772년 구라마 산에 영적인 힘이 있다는 꿈을 꾸고 밀교 사찰을 세웠다고 전해진다.[1] 중세 시대에 여러 차례 소실되었지만, 불상과 보물들은 국보로 지정되었다.[1] 오늘날에도 이 지역에는 텐구 등이 살고 있다고 믿어진다.[1]

『구라마 개사 연기(鞍馬蓋寺縁起)』에 따르면, 간진의 제자 감정이 770년 초암(草庵)을 짓고 비사문천을 안치한 것이 구라마데라의 시작이다.[2] 감정은 당나라에서 온 제자 8명 중 가장 어렸다.[2] 772년 어느 날 밤, 감정은 산성국 북쪽에 영산(霊山)이 있다는 꿈을 꾼다.[2] 영산을 찾아 나선 감정은 보배 안장을 얹은 백마를 보고 구라마 산에 들어가 여자 귀신에게 습격당하지만, 말라 비틀어진 나무 덕분에 목숨을 건지고 다음 날 아침 비사문천 상을 발견하여 절을 건립한다.[2]

고사기』, 『부상략기』 등에는 다른 전승이 있다.[3] 796년 후지와라 출신 후지와라 이세토는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절을 짓고 싶어 꿈의 계시에 따라 백마를 쫓아 구라마 산에서 비사문천을 모시는 작은 당을 발견한다.[3] 동자가 "관음과 비사문천은 이름만 다를 뿐, 원래 하나"라고 말해 천수관음 상을 만들어 비사문천과 함께 안치하고 구라마데라를 창건했다고 한다.[3] 이 전승은 『일본후기796년 기록과 일치하여 거의 사실로 여겨진다.[3]

2. 2. 중세~근세

간진의 제자가 772년에 구라마 산이 영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꿈을 꾸고, 이 힘을 집중하고 제어하기 위해 밀교 사찰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중세 시대에 여러 차례 소실되었지만, 그 안의 불상과 보물들은 항상 구출되어 오늘날 국보로 지정되었다. 오늘날에도 이 지역에는 텐구와 다른 산신령들이 살고 있다고 믿어진다.[1]

구라마데라에 전해지는 『구라마개사연기(鞍馬蓋寺縁起)』에 따르면, 감진의 제자인 감정이 770년에 초암(草庵)을 짓고 비사문천을 안치한 것이 절의 시작이라고 한다. 감정은 772년 어느 날 밤, 영몽(霊夢)을 꾸고 산성국 북방에 영산(霊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영산을 찾아 나선 감정은 백마를 발견하고 구라마 산에 들어가게 되는데, 여자 귀신에게 습격을 당할 뻔했지만 비사문천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하고 절을 건립했다고 한다.

고사기』, 『부상략기』 등에는 또 다른 전승이 전해진다. 796년, 후지와라 난가 출신의 후지와라 이세토는 자신이 숭배하는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절을 짓고 싶어했다. 이세토는 꿈의 계시에 따라 백마를 쫓아 구라마 산에 도착하여 비사문천을 모시는 작은 당을 발견했다. 이세토는 관음과 비사문천이 원래 하나라는 동자의 말을 듣고, 천수관음 상을 만들어 비사문천과 함께 안치하고 구라마데라를 창건했다고 한다. 이 전승은 『일본후기』의 기록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사실로 여겨진다.

9세기 말, 구라마데라는 진언종 사찰이 되었다. 940년에는 구라마 산 기슭에 유기 신사가 건립되어 구라마데라의 진수사가 되었다. 12세기에는 천태종으로 개종하였으며, 쇼렌인의 지배하에 있었다.

1091년에는 시라카와 상황이, 1099년에는 관백후지와라 모로미치가 참배하는 등, 헤이안 시대 후기에는 널리 신앙을 모았다. 『마쿠라노소시』는 "가까우면서 먼 것"의 예로 구라마데라의 굽이굽이 이어진 참도를 들고 있다.

구라마데라는 1126년의 화재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소실되었지만, 그때마다 부흥되었다. 가마쿠라 시대1229년, 쇼렌인 몬제키 자리주가 구라마데라 검교 직을 겸임하면서 정식으로 쇼렌인의 말사가 되었다. 그러나 에도 시대1730년에는 쇼렌인 외에도 닛코린노지의 말사가 되었다.

이 무렵, 구라마데라에는 탑두와 구방(九坊)이 존재하며 번성했다. 그러나 1814년에는 일산(一山)이 전소되는 대화재가 일어나 쇠퇴했다. 1855년에는 닛코 린노지만의 말사가 되었다.

1868년에는 다시 쇼렌인의 말사가 되었고, 폐불훼석 이후에도 부흥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1945년에 본전 등이 소실되었다. 현재의 당우는 모두 새 것이지만, 불상 등의 문화재는 풍부하게 전해지고 있다.

1947년, 주지 신라 고운(信楽香雲)은 구라마 홍교를 개종하고, 1949년에는 천태종에서 독립하여 구라마 홍교의 총본산이 되었다. 교토 구라마 산은 산악 신앙, 산복에 의한 밀교가 성행했다. 구라마에 사는 대천구는 승정방이라 불리는 최고위의 것으로, 구라마 산은 텐구에게 있어 최고위의 산 중 하나로 여겨진다.

2. 3. 근대~현대

1868년(메이지 원년) 쇼렌인의 말사가 되었고, 폐불훼석 이후에도 부흥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1945년(쇼와 20년) 본전 등이 소실되었다. 현재의 당우는 모두 새로운 것이지만, 불상 등의 문화재는 풍부하게 전해지고 있다.[4]

1947년(쇼와 22년) 주지 신라 고운(信楽香雲)은 구라마 홍교를 개종했고, 1949년(쇼와 24년) 천태종에서 독립하여 구라마 홍교의 총본산이 되었다.[4]

교토 깊숙한 곳에 있는 구라마 산은 산악 신앙, 산복에 의한 밀교도 성행했다. 그 때문에 산의 정령인 텐구 또한 구라마에 산다고 한다. 구라마에 사는 대천구는 승정방이라 불리는 최고위의 것으로, 구라마 산은 텐구에게 있어 최고위의 산 중 하나로 여겨진다.[4]

3. 신앙

교토의 깊숙한 곳에 있는 구라마 산은 산악 신앙, 산복 수행에 의한 밀교도 성행했다. 그 때문에 산의 정령인 텐구 또한 구라마에 산다고 한다. 구라마에 사는 대천구는 승정방이라 불리는 최고위의 것으로, 구라마 산은 텐구에게 있어 최고위의 산 중 하나로 여겨진다.

실제 숭배 대상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지만, 방문객들은 본관에서 세 조각상의 복제품을 볼 수 있다. 호법마왕존의 복제품은 긴 수염, 큰 코, 날개, 잎사귀로 만들어진 후광을 가진 ''선인''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지역의 텐구는 이 호법마왕존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3. 1. 존천(尊天)

원래 천태종의 숭배 대상은 북쪽의 수호신인 비사문천과 천수관음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지도부는 이 두 신에 더하여 또 다른 조각상을 예배당에 추가하여 "존천"이라고 불리는 삼위일체를 이루었다고 말한다. 비사문천은 해를, 관음은 사랑을, 세 번째 조각상인 호법마왕존은 힘을 나타내며, 이들을 합쳐 "세계의 영적 왕"이라고 부른다. 호법마왕존은 650만 년 전에 금성에서 왔으며, 두 행성의 대기 화학적 차이로 인해 영원히 16세의 모습을 유지한다고 한다. 일부 뉴에이지 작가들은 호법마왕존을 사나트 쿠마라와 동일시한다.[4]

교토 북쪽에 위치한 구라마데라는 원래 비사문천(사천왕 중 북방을 수호하는)을 본존으로 하고, 더불어 천수관세음보살을 모신 사찰이었다.[3] 그러나 구라마 홍교 입교 후의 현재 구라마데라의 신앙 형태는 독특하며, 본존에 대해서도 약간의 설명이 필요하다.

구라마 홍교 입교 후의 사찰 설명에 따르면, 구라마데라 본전 금당(본당)의 본존은 "존천"이라고 한다. 당내에는 중앙에 비사문천, 오른쪽에 천수관세음보살, 왼쪽에 호법마왕존이 안치되어 있으며, 이 세 몸을 하나로 묶어 "존천"이라고 칭한다. "존천"은 "모든 생명을 살리고 존재하게 하는 우주 에너지"라고 한다. 또한, 비사문천을 "빛"의 상징으로 하여 "태양의 정령", 천수관세음보살을 "사랑"의 상징으로 하여 "의 정령", 마왕존을 "힘"의 상징으로 하여 "대지(지구)의 영왕"으로 삼고 있다. 구라마데라는 어디에나 존재하는 "존천"의 힘이 특히 많은 장소이며, 그 힘에 감싸이기 위한 도장이라고 한다.

본전 금당의 비사문천, 천수관세음보살, 호법마왕존은 모두 비불이며 60년에 한 번 병인년에만 개장되지만, 비불 궤짝 앞에 "오마에다치"라고 불리는 대용상이 항상 안치되어 있다. 오마에다치의 마왕존상은 등에 날개를 가지고, 긴 수염을 기른 선인과 같은 모습으로, 코가 높다. 광배는 나뭇잎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보탑에 안치된 호법마왕존상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구라마 텐구"는 원래 호법마왕존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16세라고 하지만 나이가 든 모습이다.

3. 2. 숭배 대상

원래 천태종의 숭배 대상은 북쪽의 수호신인 비사문천과 천수관세음보살이었다.[3] 그러나 현재 구라마데라의 신앙 형태는 독특하며, 본존에 대해서도 약간의 설명이 필요하다.

구라마 홍교 입교 후의 사찰 설명에 따르면, 구라마데라 본전 금당(본당)의 본존은 "존천"이라고 한다. 당내에는 중앙에 비사문천, 오른쪽에 천수관세음보살, 왼쪽에 호법마왕존이 안치되어 있으며, 이 세 몸을 하나로 묶어 "존천"이라고 칭한다. "존천"은 "모든 생명을 살리고 존재하게 하는 우주 에너지"라고 한다. 또한, 비사문천을 "빛"의 상징으로 하여 "태양의 정령", 천수관세음보살을 "사랑"의 상징으로 하여 "의 정령", 마왕존을 "힘"의 상징으로 하여 "대지(지구)의 영왕"으로 삼고 있다. 구라마데라는 어디에나 존재하는 "존천"의 힘이 특히 많은 장소이며, 그 힘에 감싸이기 위한 도장이라고 한다.[4]

"존천" 중 한 명인 호법마왕존(사나트 쿠마라)은 650만 년 전("650년"의 오류가 아님) 금성에서 지구로 내려왔으며, 그 몸은 일반적인 인간과는 다른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이는 16세로 늙지 않는 영원한 존재라고 한다.[4]

본전 금당의 비사문천, 천수관세음보살, 호법마왕존은 모두 비불이며 60년에 한 번 병인년에만 개장되지만, 비불 궤짝 앞에 "오마에다치"라고 불리는 대용상이 항상 안치되어 있다. 오마에다치의 마왕존상은 등에 날개를 가지고, 긴 수염을 기른 선인과 같은 모습으로, 코가 높다. 광배는 나뭇잎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보탑에 안치된 호법마왕존상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구라마 텐구"는 원래 호법마왕존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16세라고 하지만 나이가 든 모습이다.

4. 경내

유키 신사


구라마데라 경내에는 940년에 창건된 유키 신사가 있다. 이 신사는 구라마데라의 진수사(鎭守社, 사찰을 수호하는 신사)였으나, 현재는 독립되어 있다.

경내에는 우시와카마루와 관련된 장소가 많이 남아있다. 우시와카마루가 7세부터 약 10년간 살았던 도코보, 오슈로 내려가기 전 키를 비교했다고 전해지는 키 재기 돌, 목마름을 축였다고 전해지는 숨쉬기의 물 등이 있다. 우시와카마루에게 병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귀일법안을 모시는 귀일법안사(현재 재건 준비 중)와 그 옆으로 흐르는 마왕의 폭포(2024년 재건)도 있다.

세이 쇼나곤은 『마쿠라노소시』에서 구십구절 참도를 "가까우면서 먼 것"으로 언급하며 험난한 비탈길이라 묘사했다.

4. 1. 주요 건물


  • 본전 금당 - 1971년 재건. 삼존존천을 모시고 있다. 존천 중 천수관세음보살은 신서국 33개소 제19번찰소의 본존이다. 해발 410m에 위치한다.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지하층은 "보전"이라고 칭하며, 어두운 실내 벽에는 "청정발 봉납" (살아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을 수납)이 늘어서 있다. 가장 안쪽에는 "존천" 3상 분신상이 모셔져 있다. 당은 6시경부터 16시 15분경까지, 지하 "보전"은 6시경부터 15시 45분경까지 개방한다.
  • 광명심전 - 호법마왕존을 모시고 있다.
  • 아가이 호법선 신사
  • 본방(금강수명원)
  • 전법륜당 - 1969년 재건. 무대식 콘크리트 건축물로, 6시경부터 15시 45분경까지 개방한다. 1층은 "세심정"으로, 현재 토요일과 일요일에 여는 매점과 무료 휴게소가 있다.
  • 요사노 뎃칸·요사노 아키코가비
  • 영보전(구라마산 박물관) - 본전 뒤에 위치. 1층은 구라마산 자연 박물원, 2층은 사찰 보물 전시실(현재 기획 전시 중), 3층은 불상 봉안실이다. 3층에는 국보인 목조 비사문천 입상, 목조 길상천 입상, 목조 선니사동자(젠니시도지) 입상 삼존상 등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다. 과거 요사노 기념실은 오랫동안 폐쇄 중이다. 헤이안 시대 후기 중요 문화재 두발비사문천과 경총 유적 출토 유물도 볼 수 있다.
  • 동백정 - 도쿄에서 이전한 요사노 아키코 서재.
  • 안쪽의 院문 - 2018년 태풍으로 붕괴되어 현재 초석 등만 남아 있으며, 재건 여부는 미정이다.
  • 숨쉬기의 물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가 목마름을 축였다고 전해지는 청수.
  • 병풍 언덕의 지장당 (가와도 지장존)
  • 키 재기 돌 - 오슈로 내려가는 우시와카마루가 키를 비교했다고 전해지는 돌 (해발 485m).
  • 차나오당 - 요시쓰네 공을 차나오존으로 모시는 작은 당 (안내 및 표시 없음).
  • 큰 삼나무 권현 - 호법마왕존 영향(삼나무)으로 신앙을 모았으나, 2018년 태풍으로 붕괴되어 재건 준비 중이다.
  • 요시쓰네당 - 요시쓰네 공을 차나오존으로 모신다.
  • 승정가니 고동당 - 구라마 텐구가 우시와카마루와 만났다고 전해지는 곳. 사이초가 새겼다고 전해지는 부동명왕이 안치되어 있다.
  • 안쪽의 院 마왕전 - 기부네 신사로 가는 산길 도중 기암 위에 있는 작은 당 (해발 435m). 650만 년 전 금성에서 지구로 내려왔다는 마왕존(사나트 쿠마라)을 모시고 있다. 현재 건물은 1945년 소실 후 재건.
  • 서문
  • 침전 - 1924년 건립.
  • 손의 변재천
  • 미륵
  • 다보탑 - 에도 시대 후기 소실되었다가 1960년 케이블카 개통 후 장소를 옮겨 재건 (해발 370m). 매월 1일·7일, 정월 삼가일, 첫 호랑이 대제의 날 오전 8시 30분경부터 16시경까지 개방. 탑 내에는 사리 보탑, "존천" 삼상, 기진자명을 수납한 찬장이 있다.
  • 케이블 다보탑역 (산상역)
  • 중문 - 원래 칙사문.
  • 구십구절 참도 - 세이 쇼나곤이 『베개 머리』에서 언급한 비탈길.
  • 가와카미 지장당 - 우시와카마루의 수호 본존인 지장보살이 모셔져 있다.
  • 도코보 - 헤이안 시대 말기 우시와카마루가 약 10년간 살았던 곳.
  • 요시쓰네 공양탑 - 1940년 도코보 터에 건립된 석조 공양탑.
  • 유키 신사 - 원래 구라마데라의 진수사였으나 현재는 독립.
  • 귀일법안사 (키이치호겐샤) - 우시와카마루에게 병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귀일법안을 모시고 있다. 2018년 태풍으로 손상되어 해체 후 재건 준비 중.
  • 마왕의 폭포 - 귀일법안사 옆 폭포. 2018년 태풍으로 붕괴되었다가 2024년 재건.
  • 길鞍이나리 신사
  • 케이블 보명전 (산문역) - 1957년 부설된 구라마산 케이블 (구라마산 강삭철도) 역 (해발 250m).
  • 환희원·수양 도장 - 1964년 건립.
  • 인왕문 - 주에이 연간 (1182년 - 1184년) 창건 추정. 1891년 소실, 1911년 재건. 왼쪽 문 한 장은 주에이 연간의 것으로 추정. 담경 (운케이의 적남) 작품으로 전해지는 인왕상은 단바국에서 옮겨졌다.

4. 2. 기타 시설


  • 본전 금당 - 1971년 재건. 삼존존천을 모시고 있다. 존천 중 천수관세음보살은 신서국 33개소 제19번찰소의 본존이다. 세워진 장소는 해발 410m이다.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지하층 "보전"에는 "존천" 3상 분신상이 모셔져 있다. 6시경부터 16시 15분경까지 개방하며, 지하 "보전"은 6시경부터 15시 45분경까지 입실 가능하다.[3]
  • 광명심전 - 호법마왕존을 모시고 있다.
  • 아가이 호법선 신사
  • 본방(금강수명원)
  • 전법륜당 - 1969년 재건. 무대식 콘크리트 건축물로 1층은 "세심정"으로 불리며, 현재는 토요일, 일요일에 여는 매점과 무료 휴게소이다. 6시경부터 15시 45분경까지 입당 가능하다.
  • 요사노 뎃칸·요사노 아키코가비
  • 영보전(구라마산 박물관) - 본전 뒤에 있으며, 1층은 구라마산 자연 박물원, 2층은 사찰 보물 전시실, 3층은 불상 봉안실이다. 국보인 목조 비사문천 입상, 목조 길상천 입상, 목조 선니사동자(젠니시도지) 입상 삼존상 등이 전시되어 있다.[4]
  • 동백정 - 요사노 아키코 서재를 도쿄에서 이전한 것이다.
  • 안쪽의 院문 - 2018년 태풍으로 붕괴되어 현재는 초석 등이 남아 있다. 재건 여부는 미정이다.
  • 숨쉬기의 물 - 우시와카마루가 목마름을 축였다고 전해지는 청수이다.[5]
  • 병풍 언덕의 지장당 (가와도 지장존)
  • 키 재기 돌 - 오슈로 내려가는 우시와카마루가 키를 비교했다고 전해지는 돌 (해발 485m).
  • 차나오당 - 키 재기 돌 바로 오른쪽에 있는 작은 당으로, 요시쓰네 공을 차나오존으로 모신다.
  • 큰 삼나무 권현 - 호법마왕존 영향(삼나무)으로 신앙을 모았으나, 2018년 태풍으로 붕괴되어 재건 준비 중이다.
  • 요시쓰네당 - 요시쓰네 공을 차나오존으로 모신다.
  • 승정가니 고동당 - 구라마 텐구가 우시와카마루와 만났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전교대사가 새겼다고 전해지는 부동명왕이 안치되어 있다.
  • 안쪽의 院 마왕전 - 650만 년 전 금성에서 지구로 내려왔다는 마왕존(사나트 쿠마라)을 모신 작은 당 (해발 435m). 현재 건물은 1945년 소실 후 재건되었다.
  • 서문
  • 침전 - 1924년 건립.
  • 손의 변재천
  • 미륵
  • 다보탑 - 1960년 재건 (해발 370m). 매월 1일·7일 등에 개방되며, 사리 보탑, "존천" 삼상 등이 모셔져 있다.
  • 케이블 다보탑역 (산상역)
  • 중문 - 원래 칙사문.
  • 구십구절 참도 - 세이 쇼나곤이 『베개 머리』에서 언급한 비탈길.
  • 가와카미 지장당 - 우시와카마루의 수호 본존인 지장보살이 모셔져 있다.
  • 도코보 - 우시와카마루가 7세부터 약 10년간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 요시쓰네 공양탑 - 1940년 건립된 석조 공양탑.
  • 유키 신사 - 원래 구라마데라의 진수사였으나 현재는 독립.
  • 귀일법안사 - 우시와카마루에게 병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귀일법안을 모시고 있다. 2018년 태풍으로 손상되어 해체되었으며, 현재 재건 준비 중이다.
  • 마왕의 폭포 - 귀일법안사 옆으로 흐르는 폭포. 2018년 태풍으로 붕괴되었다가 2024년에 재건되었다.
  • 길鞍이나리 신사
  • 케이블 보명전 (산문역) - 1957년 부설된 케이블 (구라마산 강삭철도) 역 (해발 250m).
  • 환희원·수양 도장 - 1964년 건립.
  • 인왕문 - 1182년 ~ 1184년 창건 추정. 1891년 소실, 1911년 재건. 운케이의 맏아들 담경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인왕상이 안치되어 있다.

4. 3. 참배로

九十九折일본어라고 불리는 굽이굽이 이어진 참배길은 마쿠라노소시에서 "가까우면서 먼 것"으로 언급될 정도로 험난하다.[4]

5. 문화재

구라마데라에는 국보와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목조 비사문천 입상, 목조 길상천 입상, 목조 선니사동자 입상, 구라마데라 경총 유물 일괄, 목조 관음보살 입상, 목조 도바츠 비샤몬텐 입상, 흑칠검, 검 (무명) 꽂이 삼고병 흑칠 초검, 동등롱, 구라마데라 문서 등이 있다.

5. 1. 국보


  • 목조 비사문천 입상, 목조 길상천 입상, 목조 선니사동자(ぜんにしどうじ) 입상
  • 구라마데라 경총 유물 일괄

품목수량
석보탑(구 묘소 소재)1기
동 보탑1기
철 보탑1기
동 경통, 경권 잔괴 함께, 호안 원년(1120년) 명문1합
동 경통 잔결, 지승 3년(1179년) 명문1합
동 경통 뚜껑, 법교원상 명문1개
금동 경통1합
동 보당형 경통1합
동 경통 잔결일괄
토제 경통2합
금동 삼존상3구
금동 판 압출 보살상 잔결1면
현불, 잔결 함께일괄
경상3면
동경, 잔결 함께6면분
금동 독고저1자루
동 수병1구
청백자 합자류일괄
석연2면
동판 문응 원년(1260년) 명문1매
동전일괄
그 외 반출물일체


  • 목조 관음보살 입상 - 비고벳토 조케이 작.
  • 목조 도바츠 비샤몬텐 입상
  • 흑칠검 (사찰 전래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 패도)
  • 검 (무명) 꽂이 삼고병 흑칠 초검
  • 동등롱 쇼카 명 (1258년경)
  • 구라마데라 문서 1권


5. 2. 중요문화재


  • 목조 비사문천 입상, 목조 길상천 입상, 목조 선니사동자(ぜんにしどうじ) 입상
  • 구라마데라 경총 유물 일괄

종류상세
석보탑(구 묘소 소재) 1기
동 보탑1기
철 보탑1기
동 경통, 경권 잔괴호안 원년(1120년) 명문 1합
동 경통 잔결지승 3년(1179년) 명문 1합
동 경통 뚜껑법교원상 명문 1개
금동 경통1합
동 보당형 경통1합
동 경통 잔결일괄
토제 경통2합
금동 삼존상3구
금동 판 압출 보살상 잔결1면
현불, 잔결함께, 일괄
경상3면
동경, 잔결함께, 6면분
금동 독고저1자루
동 수병1구
청백자 합자류일괄
석연2면
동판 문응 원년(1260년) 명문1매
동전일괄
그 외 반출물일체


  • 목조 관음보살 입상 - 비고벳토 조케이 작.
  • 목조 도바츠 비샤몬텐 입상
  • 흑칠검 (사찰 전래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 패도)
  • 검 (무명) 꽂이 삼고병 흑칠 초검
  • 동등롱 쇼카(1258년) 명 (1258년경)
  • 구라마데라 문서 1권


6. 행사


  • 시메노우치 모임(정초 - 1월 15일): 연일, 신년 개운의 기도가 봉행된다.
  • 첫 호랑이 대제(1월 첫 호랑이날): 본존의 하나인 비사문천이 호랑이 달, 호랑이 날, 호랑이 시에 구라마 산에 나타났기 때문에 1월 첫 호랑이 날에 열린다.
  • 세쓰분 츠이나 식(세쓰분 날): 옛날 궁중에서 그믐날에 행해졌던 츠이나를 본뜬 행사로, 다가올 봄에 행운이 많기를 바라며,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귀신을 쫓아낸다. 음양사 역의 출사자에 의한 콩 뿌린 후, 제랑 역의 출사자로부터 상경 전상인에게 복숭아 활과 갈대의 화살이 주어지고, 방상씨 역의 출사자가 창과 방패를 쳐 "오-"라고 세 번 외치고, 본전의 사방에서 다시 "오-"라고 외치고 상경 전상인 제랑 역이 화살을 쏜다.
  • 봄의 슈토쿠회(춘계 피안 입일): 전법륜당의 아미타불에게 신도가 등불을 바치고, 선조의 은덕에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 청정 머리 기원제(4월 상순): 마음속의 불성을 머리카락에 담아 납발한 신도가 존천 신앙에 살 것을 맹세하고, 육엽 연통이라고 불리는 도자기 항아리를 본전 지하의 보전에 봉안한다. 신도가 아닌 일반인은 참가할 수 없다.
  • 존천 무스비 전법식(4월 상순): 존천의 활력을 얻기 위한 "신심 무병 신념 확립법"을 관주로부터 신도가 직접 전수받는 행사. 신도가 아닌 일반인은 참가할 수 없다.
  • 꽃 공양(4월 중순): 자연에 감사하고, 자연을 소중히 할 것을 맹세하며, 자연의 오묘한 존천의 작용을 생각하며 감사를 드리는 행사. 본전 옆의 무대에서 거문고 연주와 광대의 봉납이 행해진다. 또한 산문 아래의 수양 도장에서는 화전, 서도전, 수묵화전, 사진전, 다회가 열린다.
  • 5월 만월제(우에사쿠사이 - 5월의 만월 초하루): 5월 만월에 성수를 바치고 등불을 켜서 기원하는 의식이 "5월 만월제"라고 불리며 구라마 산에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왔다(이 제사에 사용되는 청동 그릇에 보덕 2년이라고 새겨져 있어 1450년에는 이미 행해졌다고 생각된다). 1947년에 히말라야 산중이나 동남아시아에서 행해지는 우에사쿠사이와 같은 것임이 밝혀져, 일반에게도 공개되었다. 이 행사는 자신과 모든 사람들의 깨달음을 기원하며, 참집자가 가진 "마음의 등불"이라고 불리는 연꽃을 본뜬 붉은 촛불에 불이 켜지고, 만월에 바쳐진 청수를 함께 나눈다.
  • 대나무 베기 회식(타케키리에시키)(6월 20일 오후 2시): 파사 현정의 마음을 담아, 물에 대한 감사를 드리고 오곡 풍요를 기원하는 행사. 봉연상인이 습격해 온 큰 뱀(수컷)을 법력으로 퇴치하고, 조정에서 파견된 인부가 그 큰 뱀의 시체를 잘게 썰어 용악에 버렸다는 고사에 기인한 행사로, 승병 모습의 구라마 법사가 오미 좌와 단바 좌로 나뉘어 큰 뱀으로 간주한 푸른 대나무를 베고, 그 속도를 겨룬다. 또한, 큰 뱀(암컷)은 구라마 산의 물을 끊임없이 보호할 것을 맹세했으므로 본전 옆의 갈정호법 선신으로 모셔져 있으며, 이 행사에서도 암컷으로 간주한 푸른 대나무는 베이지 않고 산내에 심어진다.
  • 여법 사경회(8월 1일 - 8월 3일): 800년 동안 행해지고 있는 고전적인 행사로, 새의 소리를 들으며, 서늘한 바람 속에서 자기 내증의 진아를 찾는다.
  • 요시츠네 제(9월 15일):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의 어혼이 소년기를 보낸 구라마 산으로 돌아와, 호법 마왕존의 협시 차나왕존으로서 잠든다고 믿어지고 있으며, 그 어혼을 위로하고 업적을 후세에 전하는 행사.
  • 가을의 슈토쿠회(추계 피안 입일): 전법륜당의 아미타불에게 신도가 등불을 바치고, 선조의 은덕에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 가을의 대제(10월 14일): 1947년 10월에 구라마 홍교가 선언 봉고된 것을 기념하는 행사.
  • 평화의 기도(11월 23일): 지구상의 모든 존재의 공생과 조화를 기원한다.
  • 오사메의 호랑이(12월 마지막 호랑이 날): 올해 1년 동안 받은 부적을 납부하고, 1년간의 수호에 감사하며 광명심전 정원에서 불을 지피는 행사.
  • 매월의 어연일(매월 1·7·14일·호랑이 날)
  • 구라마 불꽃 축제 (10월 22일): 니오몬 근처에 있는 유키 신사의 제례. 구라마데라 주최는 아니지만, 과거에는 구라마데라의 축제이기도 했다.

7. 교통

에이잔 전철 데마치야나기 역에서 구라마선을 타면 약 30분 만에 구라마 역에 도착한다. 역에서 나와 도보 2분 거리에 니오몬(산문)이 있다.[7]

게이한 전기 철도에서는 구라마데라와 공동 기획한 승차권 '구라마・키부네 1일 티켓'을 데마치야나기 역을 제외한 게이한선 계통 모든 역에서 판매하고 있다. 참배 시 이 승차권을 접수처에 제시하면, 경내 입장료인 '애산비'를 어른 기준 500JPY에서 우대 요금 400JPY으로 낼 수 있다.[7]

교토 시 지하철 가라스마선 국제회관역에서 교토 버스 52번을 타면 약 30분 만에 구라마 정류장에 도착하며, 정류장에서 도보 1분 거리에 니오몬이 있다. 지하철・버스 1일권으로는 운임 균일 구역 경계인 이치하라부터 차액 운임인 편도 200JPY을 추가로 내야 한다. 버스는 오전 7시까지의 이른 아침이나 야간에는 이치하라에서 종착하며, 구라마・키부네까지 운행하지 않는다. 이른 아침에 국제회관역에 도착한 경우에는 이치하라역 앞 버스 정류장까지 버스로 이동하여 이치하라역에서 에이잔 전철로 환승하거나, 국제회관역에서 10분 정도 걸어서 에이잔 전철 이와쿠라역까지 갈 필요가 있다. 지하철 가라스마선에는 구라마구치역이 있으며, 여기서 잘못 내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국제회관역까지 승차할 것을 알리는 자동 안내 방송이 나온다.

니오몬에서 본전 금당까지 가는 방법은 도보와 케이블카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도보:

:: 니오몬(0m) - 287m - 유키 신사(50m) - 791m - 본전 금당(160m)

::: 괄호 안의 숫자는 니오몬을 기준으로 한 표고차다.

:: 산문에서 유키 신사를 거쳐 도중에 있는 중문까지는 비포장 급경사 산길이며, 문부터는 돌계단과 돌길이 이어진다. 전부 걸어서 가면 성인 남성이 30분 정도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케이블카 이용:

:: 니오몬 (산몬 역)(0m) - 200m - 다호토 역(120m) - 456m - 본당 금당(160m)

::: 괄호 안의 숫자는 니오몬을 기준으로 한 표고차다.

:: 도보 참배는 고령자 등에게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니오몬에서 다호토 사이에 케이블카 (구라마산 강삭 철도)를 운행하고 있다. 승차 시간은 2분 정도지만, 89m의 표고차가 있다. 다호토에서 본전 금당까지는 10분 정도 돌길을 걷는다. 다만, 케이블카를 이용하면 유키 신사를 지나지 않는다. 절에서는 걸을 수 있는 사람은 케이블카를 타지 않고 도보로 참배할 것을 권하고 있다.

키부네 쪽에서도 구라마데라로 접근할 수 있다.

  • 키부네 쪽에서 접근:

:: 키부네구치 역 - 2000m - 키부네(35m) - 573m - 마왕전(185m) - 460m - 키쿠라베이시(235m) - 404m - 본전 금당(160m)

::: 괄호 안의 숫자는 니오몬을 기준으로 한 표고차다.

:: 키부네에서 들어가는 입구는 서문이라고 불린다. 이 길은 과거 우시와카마루가 텐구와 수행했던 길로 알려져 있다. 본전 금당까지 가려면 산을 하나 넘어야 하기 때문에 구라마 쪽에서 오르는 것보다 힘들다. 성인 남성도 50분 정도 걸린다. 구라마에서 키부네까지 케이블카를 타지 않고 걸어가는 경우, 키부네에서 구라마로 가는 경우와 표고차는 같지만, 가장 경사가 급한 서문에서 마왕전까지 구간이 키부네 쪽에서 보면 오르막길이 된다.

구라마 역에서 키부네로 이어지는 길은 론리 플래닛에 소개된 이후, 서양인들에게 인기 있는 하이킹 코스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urama-dera https://www.discover[...]
[2] 서적 Lonely Planet Japan 14th edition
[3] 서적 鞍馬寺史 https://books.google[...] 1921-01-01
[4] 간행물 くらま山の信仰と歴史 淡交社 1978-01-01
[5] 서적 水の環境史「京の名水」はなぜ失われたか PHP研究所 2001-01-01
[6] 문서 黒漆剣
[7] PDF 鞍馬・貴船1dayチケット 優待特典一覧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