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라마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라마텐구는 일본 민속 및 신화에 등장하는 텐구 중 하나로, 구라마 산의 족장으로 여겨진다. 텐구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존재로, 인간의 형태를 하고 깃털 날개, 긴 코, 붉은 얼굴, 흰 수염을 특징으로 한다. 소조보는 텐구의 왕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무술가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연관된 전설로 유명하다. 노 연극과 문학 작품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하며, 일본 축제나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텐구 - 스토쿠 천황
    스토쿠 천황은 도바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일본 75대 천황으로 즉위했으나, 호겐의 난으로 유배되어 사망 후 원령으로 숭배받는 인물이다.
  • 텐구 - 가라스텐구
    가라스텐구는 일본의 민간 신앙에 등장하는 요괴로, 날카로운 부리와 붉은 얼굴,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산악 신앙과 관련되어 있으며, 산의 수호신, 검술의 달인, 신통력을 가진 존재, 또는 인간에게 해를 입히는 존재로 묘사된다.
  • 교토부의 요괴 - 다마모노마에
    다마모노마에는 일본의 전설에 등장하는 구미호 요괴로, 미모와 지혜로 총애를 받았으나 정체가 드러나 도망친 후 토벌되어 살생석으로 변했으며, 일본 3대 요괴 중 하나로 꼽힌다.
  • 교토부의 요괴 - 슈텐도지
    슈텐도지는 일본 오니 전설에 등장하는 요괴로, 오에 산이나 이부키 산을 거점으로 교토를 위협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와 사천왕에게 토벌되는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일본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일본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구라마텐구

2. 어원

대부분의 텐구는 비인칭적으로 언급되지만, 소조보는 예외적으로 개인적인 이름과 인격을 부여받은 텐구 중 하나이다.[1] '소조보'라는 이름은 에도 시대 중반에 쓰여진 ''텐구 명의고(天狗名義考)''에서 유래되었다.[2]

'소조보'는 슈겐도 수행자들과 연관된 기부네 신사 근처 구라마 산의 계곡인 '소조가타니'에서 유래되었다. '소조가타니'는 '주교의 계곡' 또는 '주교의 골짜기'를 의미하며,[3][4] 수행자 소조 이치엔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4] 전설에 따르면, 우시와카마루가 이 계곡에서 소조보와 함께 수련을 했다고 한다.

일본어에서 '소조보'는 僧,正,坊일본어 세 개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두 글자 僧正|sōjō일본어는 불교 고승을 의미한다. 마지막 한자 坊|bō일본어는 '불교 승려'를 의미하지만, 흔히 야마부시를 뜻하기도 한다.[5]

山伏|야마부시|4="산에서 수행하는 자들"일본어는 슈겐도 수행자이다.[6] 修驗道|슈겐도|4="초자연적인 힘을 기르는 길"일본어불교를 포함한 여러 종교 전통의 요소를 통합한다.[7] 텐구와 야마부시는 모두 산에 산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브 본느푸아는 이것이 야마부시와 텐구가 동일하거나 적어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민간 신앙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8]

2. 1. 다른 이름

소조보는 다른 이름과 칭호로도 불린다. 소조보는 때때로 구라마 텐구라고 불리며,[1][9] 이 이름은 소조보가 있는 산인 구라마 산을 가리킨다. 로널드 너슨은 소조보를 텐구 산(Tengu-san)이라는 칭호로 언급한다.[3] 소조보는 또한 '텐구의 왕'이라는 칭호를 통해 이름이 지어지기도 한다.[3][10][11] 예를 들어, 제임스 드 베네빌은 소조보를 고블린 왕(goblin-king)이라는 용어로 언급한다.[4] 마찬가지로, 캐서리나 블롬베르크는 "다이 텐구(Dai Tengu, 대텐구) 또는 텐구 사마(Tengu Sama, 텐구 님)"라는 칭호가 소조보의 이름으로 사용된다고 말한다.[12] 때로는 소조보가 칭호와 구라마 산을 함께 사용하여 이름이 지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노 연극 ''구라마 텐구''에는 구라마 산의 대텐구(Great Tengu of Mount Kurama)라는 등장인물이 나온다.[13]

3. 신화

구라마 불교에서는 구라마사에 모셔져 있는 존천(尊天)의 일존(一尊)인 다이텐구, 호법마왕존(護法魔王尊), 별칭 구라마산마왕대승정(鞍馬山魔王大僧正)이 구라마산승정방을 밑에 두고 있다고 여기거나 구라마산승정방과 동일시한다. 이 교의가 현재의 형태가 된 것은 구라마 불교천태종으로부터 독립한 1949년 이후이다.

이제 때가 왔다, 세상에 보여주리라
수많은 달과 해 동안
구라마산에서
익혀온 병법을|이제 때가 왔다, 세상에 보여주리라
수많은 달과 해 동안
구라마산에서
익혀온 병법을일본어[3]

— 미야마스, ''에보시-오리''

소조보(Sōjōbō)는 전설 속에서 일본의 무사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의 관계로 알려져 있다.[14] 요시츠네의 아버지가 타이라 씨와의 전투에서 사망한 후, 어린 요시츠네는 구라마산의 사찰로 보내졌고,[10][15] 그곳에서 소조보를 만나 무술을 배웠다.[15] 요시츠네는 소조보의 훈련 덕분에 매우 숙련된 전사가 되었는데,[16] 예를 들어 전쟁 서사시인 ''헤이지 이야기''에서는 어린 요시츠네가 받은 훈련이 "그가 인간의 능력을 넘어 달리고 점프할 수 있었던 이유"라고 설명한다.[17]

3. 1. 묘사

무시무시한 모습과 말썽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텐구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소조보는 자비로운 인물로 묘사된다.


10세기와 11세기에, 텐구는 인간 세상에 문제를 일으키는 "산악 악마"로 여겨졌다.[18] 이 시대의 이야기에서 텐구는 불교의 적으로 묘사되었다.[18] 이후 텐구는 더 이상 불교의 적이라기보다는 "온 세상을 혼란에 빠뜨리려는" 존재로 묘사되었다.[19] 데 비서에 따르면, 소조보(Sōjōbō)가 요시츠네에게 무술을 가르치는 이유는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서이다.[20]

요시츠네의 일생에 관한 텍스트인 기케이키(義経記)에서, 소조가타니(Sōjōgatani) 또는 주교의 계곡은 한때 번성했던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텐구 외에는 아무도 없는 버려진 장소로 묘사된다.[20] 이 텍스트에 따르면, 저녁이 다가오면 "영혼들의 큰 울음소리가 들리고" 계곡을 방문하는 사람은 텐구에게 붙잡혀 고문을 당한다.[20] 이와 유사한 현상을 가미카쿠시(神隠し)라고 한다. 가미카쿠시는 텐구와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인간이 유괴되는 것을 포함한다.[21] 여기에는 보통 소년인 아이의 실종, 새로운 이상한 장소에서의 귀환, 그리고 외형적으로 변화된 상태가 포함된다.[21] 가미카쿠시의 사례는 모든 요괴(yōkai)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텐구가 관련된 경우가 많다고 한다.[22] 마이클 포스터는 어린 요시츠네와 텐구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전설이 "가미카쿠시" 유괴의 "패턴에 부합한다"고 말한다.[22]

14세기에 데 비서는 모든 텐구가 악한 존재로 묘사되는 것에서 "선한 텐구와 악한 텐구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지는 변화가 있었다고 말한다.[23] 포스터는 소조보와 어린 요시츠네에 대한 전설의 변형에서, 텐구가 어린 요시츠네가 아버지를 죽인 씨족을 물리치도록 돕는 과정에서 자비롭고 도움이 되는 존재로 묘사된다고 말한다.[21]

포스터는 텐구가 더 자비로운 방식으로 묘사되는 아이디어를 보여주기 위해 《미라이키(미래 연대기)》라는 작품의 대사를 인용한다. 부하 텐구가 구라마 산의 사찰 근처에서 수련하는 어린 요시츠네를 본 후, 그들은 자만심 때문에 부처가 되는 것을 방해받았고 대신 텐구가 되었다고 설명한다.[24] 그런 다음 그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텐구, 특히 소조보가 어린 요시츠네와 그의 아버지를 복수하려는 욕구에 공감하는 묘사는 연극인 《구라마텐구(鞍馬天狗)》에서도 나타난다.[13] 이 연극에서 대텐구는 소조보의 모습을 나타낸다. 대텐구는 어린 요시츠네인 우시와카마루(Ushiwakamaru)가 그의 존경심과 칭찬할 만한 의도에 감명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는 우시와카마루를 훌륭한 전사로 훈련시켜 적을 물리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그를 보호하고 미래의 전투에서 지원할 것을 약속한다.

4. 분류

더 인간에 가까운 형태의 대텐구와 새와 같은 형태의 코텐구의 신체적 차이를 보여준다.


소조보는 요괴의 일종인 텐구의 한 종류이다.[1][25] 텐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새와 같은 모습을 한 코텐구(카라스텐구, 쇼텐구)와 인간의 모습을 한 대텐구이다.[27][21][28]

구라마 홍교와 구라마 불교에서는 구라마데라에 모셔진 존천의 일존(一尊)인 호법마왕존(구라마산 마왕대승정)이 구라마산 승정방을 부하로 두거나, 구라마산 승정방과 동일시된다고 한다. 이 교의는 1949년 구라마 홍교가 천태종에서 독립한 이후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4. 1. 대텐구

소조보는 일본 민속과 신화에 등장하는 초자연적인 특성과 능력을 가진 비인간적 존재인 ''텐구''이다.[1] ''텐구''는 ''요괴''의 잘 알려진 예로도 여겨진다.[25]

''텐구''에는 두 가지 주요 하위 범주 또는 유형이 있다.[27] 첫째, 새의 형태를 가진 ''텐구''가 있고, 둘째, 인간의 형태를 가진 ''텐구''가 있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코텐구''라고 불리지만 ''카라스 텐구'' 또는 ''쇼텐구''라고도 불릴 수 있다.[27][21][28] 후자는 ''다이텐구'' 또는 "코가 긴 텐구"라고 불린다.[28] 소조보는 주로 인간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이텐구'' 하위 범주에 속한다.

''다이텐구''는 일본에서 ''텐구'' 개념이 발전하는 후기 단계를 나타낸다. 데 비서(de Visser)에 따르면, ''텐구''는 처음에는 새의 형태였고, 그 다음에는 새의 머리를 가진 인간의 형태였으며, 마지막으로 새의 부리가 긴 코가 되었다.[29] 14세기 후반까지 일본 설화에서 ''텐구''가 긴 코를 가졌다는 언급은 없다.[29] ''고텐구'' 또는 새 유형의 텐구가 먼저 등장했지만, 긴 인간 코를 가진 ''다이텐구''는 현대 일본 문화에서 더 흔하다.[27] 소조보는 "8대 다이텐구" 중 하나이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3명 중 한 명이다.[2]

5. 특징

야마부시 복장을 한 소조보. ''토킨'' 머리 장식, 긴 코, 깃털 부채가 특징이다.


소조보는 대텐구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야마부시처럼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민간 신앙에서 야마부시는 비행과 투시 능력을 가졌다고 전해진다.[41] 텐구는 여우처럼 인간에게 영적으로 씌일 수 있고, 투명화, 변신, 비행, 미래 예지 능력을 지녔다고 여겨졌다.[37][38] 소조보는 다른 텐구보다 강력하여 "천 명과 맞먹는" 존재로 묘사된다.[39]

5. 1. 외형

소조보는 대천구로, 주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다. 프레데릭 해들랜드 데이비스는 소조보를 "새와 같은 발톱과 깃털 날개"를 가졌으며, "길고 붉은 코와 거대한 번뜩이는 눈"을 가진 존재로 묘사한다.[10] 데 비서 역시 소조보가 "반짝이는 눈과 큰 코"를 가졌다고 말한다.[31] 또한 소조보는 길고 흰 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묘사된다.[1][9] 대천구는 소천구보다 전반적으로 크기가 큰데, 예를 들어 한 전설에서는 소조보가 인간의 시점에서 거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0]

5. 2. 초자연적 능력

소조보는 야마부시처럼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민간 신앙에서 야마부시는 비행과 투시 능력을 가졌다고 전해진다.[41] 텐구는 여우처럼 인간에게 영적으로 씌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37] 텐구는 투명화, 변신, 비행, 미래 예지 능력을 지녔다고 여겨졌다.[37][38] 소조보는 다른 텐구보다 강력하여 "천 명과 맞먹는" 존재로 묘사된다.[39]

6. 역할

단편 애니메이션 "혹부리" (혹을 떼다)'. 다양한 등장인물의 행동과 묘사를 통해 텐구 집단의 계층 구조를 엿볼 수 있다. 수많은 작은 텐구들이 텐구 족장의 부하로 활동한다.


소조보와 그의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커다란 깃털 부채


소조보는 구라마 텐구[1][9] 또는 텐구 산(Tengu-san)[3]이라는 칭호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텐구''의 왕[3][10][11]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제임스 드 베네빌은 소조보를 고블린 왕(goblin-king)[4]이라고 표현했고, 캐서리나 블롬베르크는 "다이 텐구(Dai Tengu, 대 텐구) 또는 텐구 사마(Tengu Sama, 텐구 님)"[12]이라는 칭호가 소조보의 이름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대텐구''(daitengu)는 ''소텐구''(kotengu)보다 계급이 높다.[28] ''대텐구''는 ''소텐구''의 "무리를 거느리고", ''소텐구''는 "대텐구의 부관"으로 묘사된다.[40]

소조보는 특히 구라마 산의 '소조가타니' 또는 '주교 계곡'(Bishop's valley)이라고 불리는 장소와 관련이 있다.[3][4] 드 베네빌(de Benneville)에 따르면, 이 지역은 "텐구의 서식지, 심지어... 그들의 고블린 왕의 궁정 자리"로 여겨졌다.[4] 데 비서(de Visser)는 일부 텐구들이 "화려한 궁전"에 살고 있으며 소조보 또는 "대텐구"가 "그러한 궁전의 주인"이라고 말한다.[31]

6. 1. 구라마 산의 족장

구라마 불교에서는 구라마사(구라마데라)에 모셔져있는 존천(尊天)의 일존(一尊)인 다이텐구, 호법마왕존(護法魔王尊), 별칭 구라마산마왕대승정(鞍馬山魔王大僧正)이 구라마산승정방을 밑에 두고 있다고 여기거나 구라마산승정방과 동일시한다. 이 교의가 현재의 형태가 된 것은 구라마 불교천태종으로부터 독립한 1949년 이후이다.[1]

소조보는 구라마 텐구라고 불리기도 한다.[1][9] 이 이름은 소조보가 살고 있는 산, 구라마 산을 가리킨다.[3] 소조보는 ''텐구''의 왕이라는 칭호를 통해 이름이 지어지기도 한다.[3][10][11] 예를 들어, 제임스 드 베네빌은 소조보를 고블린 왕(goblin-k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언급하며,[4] 캐서리나 블롬베르크는 "다이 텐구(Dai Tengu, 대 텐구) 또는 텐구 사마(Tengu Sama, 텐구 님)"라는 칭호가 소조보의 이름으로 사용된다고 말한다.[12]

''대텐구''(daitengu)는 ''소텐구''(kotengu)보다 계급이 높다.[28] ''대텐구''는 ''소텐구''의 "무리를 거느리고", ''소텐구''는 "대텐구의 부관"으로 묘사된다.[40]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텐구''는 일본의 산악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2] 몇몇 개별 ''대텐구''는 일본의 특정 산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산에 있는 다른 ''텐구''들의 족장으로 여겨진다.[12][2] 소조보가 서식한다고 알려진 산은 구라마 산이다.[41] 교토시 북쪽에 위치한 구라마 산에는 서기 770년에 세워진 ''구라마데라''라는 유명한 신사와 사찰이 있다.[42]

소조보는 구라마 산의 족장으로 여겨진다.[12] 블롬베르그는 소조보가 "가라스 텐구의 형태를 한" "부하"를 거느리고 있다고 묘사한다.[12] 노 연극 ''구라마텐구''에는 하인으로 묘사되고 소조보 또는 대텐구 캐릭터의 명령을 받는 ''텐구'' 캐릭터가 등장한다.[13] 구라마 홍교에서는 구라마데라에 모셔진 존천의 한 존인 대천구, 호법마왕존, 또는 구라마산 마왕대승정이 구라마산 승정방을 부하로 둔다고 한다. 혹은 구라마산 승정방과 동일시한다.

6. 2. 텐구의 왕

소조보는 구라마 산을 언급하는 구라마 텐구[1][9] 또는 텐구 산(Tengu-san)[3]이라는 칭호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텐구''의 왕[3][10][11]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제임스 드 베네빌은 소조보를 고블린 왕(goblin-king)[4]이라고 표현했고, 캐서리나 블롬베르크는 "다이 텐구(Dai Tengu, 대 텐구) 또는 텐구 사마(Tengu Sama, 텐구 님)"[12]이라는 칭호가 소조보의 이름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노 연극 ''구라마 텐구''에는 구라마 산의 대 텐구(Great Tengu of Mount Kurama)라는 등장인물이 나오기도 한다.[13]

소조보는 구라마 산의 족장일 뿐만 아니라 일본의 다른 모든 텐구 산의 족장 또는 왕으로 여겨진다.[12] 노 연극 《구라마텐구(鞍馬天狗)》에서 대텐구는 구라마 산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텐구들을 포함한 자신의 많은 텐구 하인들을 열거한다.[13] 《텐구의 궁전(The Palace of the Tengu)》이라는 이야기에서 소조보는 대텐구라고 불리는데, 그는 자신의 텐구 하인 중 한 명에게 다른 산의 텐구 족장들을 소환하는 메시지를 대신 전달하도록 명령한다.[43] 이 텐구 족장들에는 아타고 산의 타로보, 히라 산의 지로보, 고야 산의 사부로보, 나치 산의 시로보, 그리고 칸노쿠라 산의 부젠보가 포함된다.[43]

소조보는 특히 구라마 산의 '소조가타니' 또는 '주교 계곡'(Bishop's valley)이라고 불리는 장소와 관련이 있다.[3][4] 드 베네빌(de Benneville)에 따르면, 이 지역은 "텐구의 서식지, 심지어... 그들의 고블린 왕의 궁정 자리"로 여겨졌다.[4] 데 비서(de Visser)는 일부 텐구들이 "화려한 궁전"에 살고 있으며 소조보 또는 "대텐구"가 "그러한 궁전의 주인"이라고 말한다.[31] 《텐구의 궁전》 이야기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는 구라마 산의 사찰 경사면 아래에서 시작하여 산길을 따라 올라가 화려한 벽에 도달한 후, 그 벽을 따라 궁전의 문으로 들어서면서 텐구 궁전에 도착한다. 궁전은 매우 크고 정교하며 다양한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고, "수백 명의 텐구"가 있다고 한다.[43]

7. 등장

대천구 캐릭터의 정교한 의상을 보여주는 ''구라마텐구''의 한 장면 묘사.


쓰키오카 요시토시, 멜버른.">


<a href=우타가와 히로시게, ''2번: 우시와카마루가 구라마산 소조가타니에서 텐구로부터 검술을 배운다''. 1832/34. x . 컬러 목판화. 클래런스 버킹엄 컬렉션, 시카고 미술관.">

  • 구라마텐구 (노) - 구라마텐구를 소재로 한 연극. 고방메모노(五番目物)의 텐구물이다.
  • 구라마텐구 (소설) - 오사라기 지로의 시대 소설. 단, 무대와 이야기는 텐구와 무관하며, 주인공이 구라마텐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7. 1. 공연 예술

《구라마텐구》는 소조보와 요시쓰네에 대한 전설을 다룬다. 能|nō일본어는 "기술 또는 예술성"을 의미하며, 일본 전통 극의 한 장르이다.[44][45] 춤과 음악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오페라와 비교되기도 한다.[44]

《구라마텐구》에서 소조보는 처음에는 산의 승려로 변장하여 구라마산에서 벚꽃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어린 요시쓰네(이 시절에는 우시와카마루라고 불림)와 친구가 된다. 이후 두 등장인물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대화가 오간다.

자신의 정체가 드러난 후, 대텐구는 우시와카마루에게 "병법의 비법을 전수"하겠다고 말한다.[13] 대텐구는 하급 텐구들에게 우시와카마루와 함께 훈련하라고 지시한다. 이후 우시와카마루는 매우 뛰어난 기술을 연마하게 되는데, "하늘의 괴물과 지하세계의 악마조차 그의 용감함과 우아함에 당해낼 수 없을 것"이라는 낭독자들의 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13] 극은 대텐구가 우시와카마루가 그의 적들을 물리치고 그의 아버지를 복수할 것이라고 예언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그런 다음 그는 우시와카마루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한 후 구라마 산의 나무 속으로 사라진다.

요시쓰네가 텐구에게 무술을 배우는 전설은 일본 드라마의 또 다른 장르인 고와카마이에도 등장한다. 《고와카마이》의 주요 요소는 공연이지만, 공연과 관련된 텍스트 역시 이 장르에 중요하다.[46] 이 전설을 다룬 《고와카마이》 작품은 《미라이키 (미래 연대기)》라고 불린다. 이 작품은 문학 작품 《텐구노 다이리 (텐구의 궁전)》와 유사한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47]

7. 2. 문학

오토기조시인 《텐구노 다이리(텐구의 궁전)》는 소조보와 요시쓰네 전설을 다룬 문학 작품이다.[43] 오토기조시는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행했던 일본 소설의 한 장르이다.[43] 소조보는 《수레 사제의 이야기》라는 오토기조시에도 등장한다.

《텐구노 다이리》에서 젊은 요시쓰네는 텐구의 궁전을 찾아간다. 그는 대텐구와 그의 아내를 만나는데, 그들은 그의 아버지가 "아미타의 정토에서 대일여래로 환생했다"고 말한다.[48] 이야기는 대텐구와 젊은 요시쓰네가 정토에서 요시쓰네의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업보 윤회의 여섯 영역"을 통과하는 초자연적인 여정을 다룬다.[48]

《수레 사제의 이야기》에서 소조보는 주인공은 아니지만, 한 무리의 텐구들이 그가 그들의 모임에 불참한 것을 알아차리면서 언급된다. 그들은 수레 사제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미기 위해 모였고 소조보의 도움이 필요했다. 소조보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자가 보내지고, 그는 수레 사제에게 거의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으며 "살아남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고 사자에게 말한다.[49] 다른 텐구들은 소조보의 도움 없이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며, 수레 사제가 "우리 소조보 같은 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었다면 놀라운 존재일 것이라고 말한다.[49]

  • 구라마텐구 (노) - 구라마텐구를 소재로 한 연극. 5번째 부류에 속하는 텐구물.
  • 구라마텐구 (소설) - 오사라기 지로의 시대 소설. 단, 무대와 이야기는 텐구와 무관하며, 주인공이 구라마텐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7. 3. 시각 예술



소조보가 스승이고 어린 요시쓰네가 제자로서 맺는 전설적인 관계는 많은 일본 목판화의 기반이 된다. 이 작품들 중 다수는 우키요에 장르의 작품으로 알려진 예술가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러한 예술가들 중에는 쓰키오카 요시토시, 우타가와 히로시게, 가와나베 쿄사이, 우타가와 쿠니요시, 우타가와 쿠니사다, 케이사이 에이센 등이 있다.

8. 관련 인물

소조보와 관련된 인물로는 중국의 제가이보와 아타고 산의 타로보가 있다.[50] 이 텐구들은 소조보처럼 텐구 산의 우두머리인 ''대텐구''이며, 일본 예술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킴브로는 ''헤이케 모노가타리''의 한 버전에서 ''텐구'' 타로보가 일본 최고의 ''텐구''로 묘사된다고 말한다.[51] ''겐페이 세이스이키''에서는 타로보가 위대한 ''텐구'' 중 ''첫 번째''로 묘사된다.[52]

소조보는 다른 유형의 초자연적 존재와 유사하게 묘사되기도 한다. 오스만 에드워즈는 긴 코를 가진 ''텐구''와 요시츠네의 그림을 본 후, ''텐구''가 스칸디나비아의 ''트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মন্তব্য했다.[53]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 트롤은 ''텐구''와 마찬가지로 산과 숲에 사는 전설적인 괴물이다.[54] 또한, 소조보와 ''대텐구''는 가미 또는 사루타히코라고 불리는 신토 신과 유사하게 묘사된다.[14] 아슈케나지는 사루타히코가 키가 매우 크고, 매우 긴 코를 가지고 있으며, "내면의 불꽃에서 벚꽃처럼 빛나는" "거울 같은 눈"을 가졌다고 묘사한다고 말한다.[55]

9. 현대 유산

소조보는 일본 축제에서 묘사되는데, F. 브링크리에 따르면 신들과 함께 "알레고리의 영역"에 속하는 존재들이 존경받는다고 한다.[56] 일부 축제에서는 특정 신이나 주제에 헌정된 장식된 신사가 ''다시''라고 불리는 나무 수레에 실려 거리 행진을 한다.[56] 도쿄의 산노 축제에는 우시와카와 소조보를 위한 ''다시''가 있다.[57] 브링크리는 축제에 참석한 사람들이 각 ''다시''와 그 주제에 대한 역사를 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58]

소조보의 영향력은 대중문화에서도 나타난다. ''텐구''는 영화, 비디오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일본 미디어에서 흔한 주제가 되었다.[51] 초기 사례 중 하나는 오사라기 지로가 저술한 소설 시리즈 ''구라마텐구''인데, 이 시리즈는 제목을 자신의 자경단 인물로 사용하는 비밀 전사에 대한 이야기이다.

참조

[1] 서적 Ashkenazi
[2] 서적 Knutsen
[3] 서적 Knutsen
[4] 서적 de Benneville
[5] 서적 de Visser
[6] 서적 Buswell et al.
[7] 서적 Buswell et al.
[8] 서적 Bonnefoy
[9] 서적 Ashkenazi
[10] 서적 Davis
[11] 문서 Tengu no Dairi 1560-1600
[12] 서적 Blomberg
[13] 웹사이트 Kuramatengu
[14] 서적 Cali and Dougill
[15] 서적 Ashkenazi
[16] 서적 Davis
[17] 서적 de Visser
[18] 서적 de Visser
[19] 서적 de Visser
[20] 서적 de Visser
[21] 서적 Foster
[22] 서적 Foster
[23] 서적 de Visser
[24] 서적 Foster
[25] 서적 Foster
[26] 서적 Foster
[27] 서적 Foster
[28] 서적 Knutsen
[29] 서적 de Visser
[30] 서적 Chamberlain
[31] 서적 de Visser
[32] 서적 Knutsen
[33] 서적 Knutsen
[34] 서적 Absolon
[35] 서적 Griffis
[36] 서적 Davis
[37] 서적 Bonnefoy
[38] 서적 Bonnefoy
[39] 서적 Kimbrough (2012)
[40] 서적 Foster
[41] 서적 Knutsen
[42] 서적 Cali and Dougill
[43] 서적 Kimbrough and Shirane (2018)
[44] 서적 Kagaya and Miura
[45] 서적 Salz
[46] 서적 Kimbrough (Cambridge, 2016)
[47] 서적 Kimbrough (Cambridge, 2016)
[48] 서적 Kimbrough (Cambridge, 2016)
[49] 서적 Kimbrough (2012)
[50] 서적 Kimbrough (Routledge, 2016)
[51] 서적 Kimbrough (Routledge, 2016)
[52] 서적 de Visser
[53] 서적 Edwards
[54] 서적 Bann
[55] 서적 Ashkenazi
[56] 서적 Brinkley
[57] 서적 Brinkley
[58] 서적 Brinkley
[59] 웹인용 大槻能樂堂=くらまてんぐ鞍馬天狗 http://www.noh-kyoge[...] 2018-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