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안흥항에서 시작하여 서산시, 홍성군, 청양군, 공주시를 거쳐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1994년 국도 제40호선 연장 계획에 따라 국가지원지방도 제40호선으로 지정되었으나, 2001년 기존 노선을 폐지하고 홍성~청양~공주 구간으로 변경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으로 신설되었다. 이후 기점과 종점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주요 경유지로는 태안군, 서산시, 홍성군, 청양군,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안군의 교통 - 국도 제32호선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해수욕장에서 공주시까지 이어지는 국도 제32호선은 1971년 서산 ~ 대전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의 태안 ~ 대전선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다른 도로와 중복되거나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기도 했다. - 태안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세종로 (세종 천안)
세종로(세종 천안)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으며 일부 구간은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연청로
연청로는 세종특별자치시와 충청북도를 연결하는 도로로, 세종특별자치시 갈운 교차로에서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과 흥덕구 오송읍을 잇는 일부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에 포함된다. - 청양군의 교통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경기도 의정부시를 잇는 일반국도로,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주요 도시 및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일부 구간은 교통 혼잡 개선이 필요하고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청양군의 교통 - 지방도 제609호선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제609호선은 총연장 59.0km이며, 2003년 노선 재지정 및 구간 공사를 거쳐 현재 보령시,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서산시를 경유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국가지원지방도 |
노선명 | 태안 ~ 청주선 |
노선 번호명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
총 연장 | 207.1km |
기점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주시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511호선 지방도 제540호선 지방도 제603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지방도 제609호선 지방도 제619호선 지방도 제625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지방도 제691호선 지방도 제697호선 |
폐지된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국가지원지방도 |
노선명 | 태안 ~ 청원선 |
노선 번호명 | 국가지원지방도 제40호선 |
기점 | 충청남도 태안군 |
종점 | 충청북도 청원군 |
비고 | (폐지됨) |
2. 역사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은 1994년 국도 제40호선의 종점을 공주에서 청원으로 연장하는 계획에 포함되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지정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2001년 노선이 변경되어 새로운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이 신설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구간 개통, 확장 및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2. 1. 노선 지정 및 변경
1994년 국도 제40호선의 종점을 공주에서 청원으로 연장하는 계획에 따라 국도 제40호선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지정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2001년 기존 국도 제40호선과 중첩되던 구간(홍성~보령~공주)을 폐지하고, 국도 제40호선과 별개의 노선 구간(홍성~청양~공주)으로 변경하여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이 신설되었다.[3]- 1996년 7월 19일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40호 태안 ~ 청원선'''으로 지정[3]
- 2001년 8월 25일 : 기존 국가지원지방도 제40호선을 폐지하고 중간 경유지를 변경해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태안 ~ 청원선'''으로 노선 신설[4]
- 2001년 11월 10일 : 태안군 남면 원청리 ~ 서산시 부석면 창리 6.27km 구간 개통[5]
- 2002년 7월 10일 : 서산시 부석면 창리 ~ 홍성군 서부면 광리 13.38km 구간 확장 개통[6]
- 2002년 11월 11일 : 청룡교(공주시 신풍면 용수리) 250m 구간 재가설 개통[7], 공주시 신풍면 청흥리 ~ 용수리 450m 구간 개통[8]
- 2003년 10월 10일 : 청양군 대치면 농소리 ~ 상갑리 2.75km 구간 신설 개통[9]
- 2004년 9월 10일 :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 ~ 탄천면 대학리 5.7km 구간 확장 개통[10]
- 2004년 12월 20일 : 공주시 장기면 장암리 ~ 금암리 3.43km 구간 개통[11]
- 2007년 10월 22일 : 홍성군 은하면 장척리 ~ 광천읍 신진리 2.4km 구간 확장 개통[12]
- 2007년 12월 10일 : 연기군 남면 양화리 ~ 동면 응암리 6.72km 구간 확장 개통[13]
- 2008년 11월 17일 : 종점이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에서 오창읍으로 변경.[14]
-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15]
- 2009년 4월 28일 : 청원군 부용면 갈산리 ~ 외천리 구간 개통[16]
- 2012년 3월 30일 : 공주시 장기면 금암리 ~ 연기군 남면 송원리 2.1km 구간, 청양군 운곡면 위라리 ~ 대치면 농소리 1.46km 구간 개통.[17]
- 2012년 10월 22일 : 세종특별자치시 남면 나성리 ~ 송원리 1.242km 구간, 나성4교 ~ 남면 종촌리 466m 구간 개통[18]
- 2013년 6월 20일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539m 구간 개통[19]
- 2016년 7월 13일 : 기점을 태안군 남면 원청리 원청사거리에서 신진도리 안흥항으로 변경. 이에 따라 총 연장이 176.1km에서 209.2km로 연장.[20]
- 2016년 12월 30일 : 원청 ~ 태안간 도로 1공구(태안군 남면 원청리 ~ 신장리) 7.1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남면 달산리 ~ 신장리 2km 구간 폐지[21]
- 2017년 6월 30일 : 원청 ~ 태안간 도로 2공구(태안군 남면 신장리 ~ 태안읍 장산리) 7.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태안읍 남산리 500m 구간 폐지[22]
- 2021년 6월 22일 : 종점을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농소리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쌍이리로 연장[23]
2. 2. 구간 개통 및 확장
일자 | 구간 |
---|---|
2001년 11월 10일 | 태안군 남면 원청리 ~ 서산시 부석면 창리 6.27km 구간 개통[5] |
2002년 7월 10일 | 서산시 부석면 창리 ~ 홍성군 서부면 광리 13.38km 구간 확장 개통[6] |
2002년 11월 11일 | 청룡교(공주시 신풍면 용수리) 250m 구간 재가설 개통[7], 공주시 신풍면 청흥리 ~ 용수리 450m 구간 개통[8] |
2003년 10월 10일 | 청양군 대치면 농소리 ~ 상갑리 2.75km 구간 신설 개통[9] |
2004년 9월 10일 |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 ~ 탄천면 대학리 5.7km 구간 확장 개통[10] |
2004년 12월 20일 | 공주시 장기면 장암리 ~ 금암리 3.43km 구간 개통[11] |
2007년 10월 22일 | 홍성군 은하면 장척리 ~ 광천읍 신진리 2.4km 구간 확장 개통[12] |
2007년 12월 10일 | 연기군 남면 양화리 ~ 동면 응암리 6.72km 구간 확장 개통[13] |
2009년 4월 28일 | 청원군 부용면 갈산리 ~ 외천리 구간 개통[16] |
2012년 3월 30일 | 공주시 장기면 금암리 ~ 연기군 남면 송원리 2.1km 구간, 청양군 운곡면 위라리 ~ 대치면 농소리 1.46km 구간 개통.[17] |
2012년 10월 22일 | 세종특별자치시 남면 나성리 ~ 송원리 1.242km 구간, 나성4교 ~ 남면 종촌리 466m 구간 개통[18] |
2013년 6월 20일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539m 구간 개통[19] |
2016년 12월 30일 | 원청 ~ 태안간 도로 1공구(태안군 남면 원청리 ~ 신장리) 7.1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남면 달산리 ~ 신장리 2km 구간 폐지[21] |
2017년 6월 30일 | 원청 ~ 태안간 도로 2공구(태안군 남면 신장리 ~ 태안읍 장산리) 7.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읍 남산리 500m 구간 폐지[22]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시작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까지 이어진다.
3.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태안읍, 남면), 서산시 부석면, 홍성군 (서부면, 결성면, 은하면, 광천읍, 장곡면), 청양군 (비봉면, 운곡면, 대치면, 목면), 공주시 (신풍면, 우성면, 탄천면, 이인면, 금학동, 웅진동, 신관동, 월송동)을 지난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시작하여 한솔동을 지나 나성동, 어진동, 반곡동, 연동면, 부강면을 지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미평동, 분평동, 수곡동, 모충동), 상당구 (석교동, 서운동, 문화동, 수동, 북문로2가, 영동, 사직동, 사창동), 흥덕구 (복대동, 송정동, 봉명동, 화계동, 송절동, 원평동, 옥산면, 원평동), 청원구 (오창읍, 내수읍), 상당구 미원면을 지난다.
3. 1. 충청남도
태안군한국어에서는 근흥면, 태안읍, 남면을 지난다. 서산시에서는 부석면, 홍성군에서는 서부면, 결성면, 은하면, 광천읍, 장곡면을 지난다. 청양군에서는 비봉면, 운곡면, 대치면, 목면을 지난다. 공주시에서는 신풍면, 우성면, 탄천면, 이인면, 금학동, 웅진동, 신관동, 월송동을 지난다.3. 2.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시작하여 한솔동에 이르러 라온로와 교차한다. 국도 제1호선 (세종로)과 만나는 가람 교차로를 지나 나성동으로 진입, 첫마을 교차로(사름지하차도)에서 한누리대로와 교차하고, 갈매로와 만난다. 나성4교를 지나 어진동에서 가름로와 교차한 후, 다시 나성동으로 돌아와 세종 교차로(절재로), 양화1 교차로(양화1길), 새터 교차로(월산황골길), 월산 교차로(월산공단로)와 차례로 만난다. 반곡동에서는 합강IC교를 지나 합강 교차로에서 한누리대로와 다시 교차한다. 연동면 구간에서는 명학 교차로(명학IC교)에서 원합강1길 및 삼성길과, 산수 교차로에서 응암2길과 각각 만난다. 부강면에 들어서면 갈산 교차로(갈산교)에서 갈산산수로와, 부강 교차로(부강교)에서 부강행산로와 교차하며, 마지막으로 문곡 교차로에서 부강외천로 및 문곡구절골길과 만난다.[24]
3. 3.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외천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부강외천로, 시목외천길과 접속한다. 이후 남청주 나들목에서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외천삼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청남로)과 중복된다. 남이외천삼거리에서 남석로, 척산삼거리에서 척산회당로, 대련삼거리에서 대림로, 가좌삼거리에서 가좌신송로와 접속하고, 양촌 분기점에서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5호선(3순환로)과 교차한다. 가마 교차로에서는 2순환로와 접속한다.
서원구 구간에서는 이마트 청주점, 미평사거리(궁뜰로, 청남로1887번길), 참사랑병원, 충청북도교육청, 분평사거리(1순환로), 남성초등학교, 충북고등학교, 남성중학교, 월평로, 청남로2005번길, 청주남중학교, 남중삼거리(수영로), 청주교육대학교,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 구룡산로, 모충사거리(무심서로)를 경유한다.
상당구 구간에서는 청남교, 청남교사거리(무심동로), 석교육거리(단재로, 영운로, 상당로1번길, 상당로3번길, 상당로5번길), 구남궁병원사거리(남사로, 용담로), 도청사거리(충청북도청, 상당로69번길, 상당로70번길), 상당사거리(교동로, 상당로), 청주대교사거리(사직대로), 제1운천교 동단(사북로)을 지난다.
청원구 구간에서는 흥덕대교 동단(직지대로), 제2운천교 동단(1순환로), 내사교, 송천교 동단(2순환로)을 거쳐 3순환로와 접속하는 미개통 구간을 지난다. 이후 청원구 오창읍에서 오창 나들목을 통해 중부고속도로와 지방도 제540호선(오창대로)과 접속하며 끝난다.[24]
4. 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안흥항에서 시작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까지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안흥항에서 시작하여 지방도 제603호선과 중복되며, 신진대교를 건넌다. 태안읍에서는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 남면에서는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다가 원청 교차로에서 분기한다.
서산시 부석면을 지나 홍성군 서부면에서는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 은하면에서는 광천 나들목을 통해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광천읍에서는 국도 제21호선과 교차한다. 장곡면에서는 지방도 제619호선과 중복된다.
청양군 비봉면에서는 국도 제29호선과 중복된다. 운곡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과 중복된다. 대치면에서는 일부 비포장 구간이 있다.
공주시 신풍면에서는 국도 제39호선과 중복되며, 지방도 제604호선과도 중복된다. 우성면에서는 국도 제36호선과 접속하고, 지방도 제625호선과 중복된다. 탄천면에서는 지방도 제651호선과 접속하고, 이인면에서는 국도 제40호선, 지방도 제697호선과 교차한다. 금학동에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남공주 나들목과 연결된다. 웅진동에서는 금강교를 건너 신관동으로 이어진다. 신관동에서는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되며, 월송동에서는 국도 제23호선과 교차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는 국도 제32호선과 중복으로 시작하여 장암 교차로에서 분기한다. 한솔동에서는 국도 제1호선과 교차하고, 나성동과 어진동을 지난다. 반곡동에서는 한누리대로와 다시 만나고, 연동면과 부강면을 지난다.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에서 상당구 미원면까지의 구간은 다음과 같다.
구간 | 내용 |
---|---|
외천 교차로 ~ 외천삼거리 | 부강외천로, 시목외천길과 접속하며 남청주 나들목에서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한다. 국도 제17호선과 중복된다. |
외천삼거리 ~ 양촌 분기점 | 남이외천삼거리에서 남석로, 척산삼거리에서 척산회당로, 대련삼거리에서 대림로, 가좌삼거리에서 가좌신송로와 접속한다. |
양촌 분기점 ~ 가마 교차로 |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5호선, 3순환로와 교차하며, 2순환로와 접속한다. |
가마 교차로 ~ 미평사거리 | 이마트 청주점, 참사랑병원, 충청북도교육청을 지나며, 궁뜰로, 청남로1887번길과 접속한다. |
미평사거리 ~ 분평사거리 | 1순환로와 접속한다. |
분평사거리 ~ 모충사거리 | 남성초등학교, 충북고등학교, 남성중학교, 청주남중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를 지나며, 월평로, 청남로2005번길, 수영로, 구룡산로, 무심서로와 접속한다. |
모충사거리 ~ 청남교사거리 | 청남교를 지나 무심동로와 접속한다. |
청남교사거리 ~ 청주대교사거리 | 석교육거리에서 단재로, 영운로, 상당로1번길, 상당로3번길, 상당로5번길과 접속하고, 구남궁병원사거리에서 남사로, 용담로와 접속한다. 충청북도청을 지나 도청사거리에서 상당로69번길, 상당로70번길과 접속하며, 상당사거리에서 교동로, 상당로와 접속하고, 청주대교사거리에서 사직대로와 접속한다. |
청주대교사거리 ~ 흥덕대교 동단 | 제1운천교 동단에서 사북로와 접속하고, 흥덕대교 동단에서 직지대로와 접속한다. |
흥덕대교 동단 ~ (교량 명칭 미상) | 제2운천교 동단에서 1순환로와 접속하고, 내사교를 지난다. 송천교 동단에서 2순환로와 접속하며, 3순환로와 교차하는 미개통 구간을 지난다. |
4. 1. 충청남도
태안군한국어 근흥면 안흥항에서 시작하여 마도길, 신진부두길과 접속하며, 지방도 제603호선과 중복된다. 신진대교 서단에서 신진대교길과 만나고, 신진대교를 건넌다. 안흥항입구 교차로에서 안흥성길, 안흥1길과 접속하고, 정죽리에서 정산포로와 만난다. 연포삼거리에서 용도로, 근흥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신대삼거리에서 용도로와 다시 접속한다. 근흥초등학교, 근흥중학교를 지나 안기삼거리에서 마금로와 만난다. 용신교를 건너 두야교회 교차로에서 근흥로와 접속하고, 추동 교차로와 두야 교차로에서 근흥로와 다시 만난다.태안읍으로 진입하여 두야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 지방도 제603호선 (태흥로)과 접속하며, 지방도 제603호선,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된다. 장산 교차로에서 근흥로, 동백로와 접속하고, 장산지하통로6에서 탑골길과 만난다. 남문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77호선 (서해로), 환동로와 접속하며,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 이후 남산1길, 속햇말길과 차례로 접속하며, 송남 교차로에서 송암로와 만난다. 남산 교차로를 지나 진산2 교차로에서 진산1길과 접속한다.
남면으로 들어서서 진산 교차로에서 진산1길과 다시 만나고, 남진 교차로에서 연꽃길, 진산2길과 접속한다. 서초휴양소(구 남진초등학교)를 지나 몽산 교차로에서 몽대로와 만난다. 신장 교차로에서 연꽃길, 우운길과 접속하고, 삼거리 교차로와 몽산포 교차로에서 남면로와 만난다. 쪽다리 교차로에서는 남면로와 접속하며,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되고 상행 진출이 불가능하고 하행 진입이 불가능하다. 양잠1 교차로와 양잠 교차로에서 적돌길과 만나고, 달산포 교차로에서 달산포로, 청포대 교차로에서 청포대길과 접속한다. 원청 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안면대로), 별주부길과 만나고, 당암포구에서 한바위길과 접속한다.
서산B지구방조제를 건너 서산시 부석면으로 들어선다. 창리교를 지나 창리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649호선 (무학로), 창리2길과 접속한다. 버드랜드 교차로, 간월영농 교차로에서 간월도1길, 간월 교차로에서 간월도2길과 각각 만난다.
서산A지구방조제를 지나 홍성군 서부면으로 진입하여 궁리교를 건너 궁리 교차로에서 서부서길과 접속한다. 광리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천수만로), 서부서길과 만나고,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 이호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서부로), 와룡로, 이호길과 접속하며, 중리 교차로에서 와룡로72번길, 판교마을 교차로에서 홍남서로375번길, 판교 교차로에서 홍남서로와 만난다. 먹물고개를 지나 결성면에 들어서 읍내사거리에서 구성남로, 홍남서로738번길과 접속하고, 해창고개와 해창교를 지난다.
은하면으로 들어서 목현 교차로에서 은하로, 임해로와 접속하고, 화봉삼거리에서 은하로184번길과 만난다. 광천 나들목 (광천IC 교차로)에서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은하 교차로에서 천광로, 홍남로515번길과 접속한다.
광천읍으로 진입하여 상정교를 지나 단아래사거리에서 국도 제21호선 (충서로)과 만나고, 광천오거리에서 광천로, 광천로329번길과 접속한다. 광천제일고등학교, 광천생활체육공원을 지나 소암삼거리에서 광금남로와 만난다. 대평초등학교와 대평교를 지나 대평삼거리에서 홍남동로183번길과 접속한다.
장곡면으로 들어서 장곡면 행정복지센터, 장곡보건지소를 지나 상송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09호선 (홍장남로)과 만난다. 숯고개를 지나 산성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19호선 (무한로)과 접속하고, 지방도 제619호선과 중복된다. 산성교를 지나 옥계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19호선 (무한로)과 다시 만난다.
반계교를 지나 청양군 비봉면으로 들어선다. 용천리사거리에서 록평용당로와 접속하고, 신원삼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충절로)과 만나 국도 제29호선과 중복된다. 중묵삼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충절로)과 다시 만나고 중묵교를 건넌다.
운곡면으로 들어서 운곡농공단지와 후덕교를 지나 후덕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청신로)과 접속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과 중복된다.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폐교)를 지나 효제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645호선 (청신로)과 다시 만난다.
대치면으로 들어서 농소리에서 가파로와 접속하고, 농소1교, 농소2교, 상강교를 지난다. 가파마을을 지나 줄바위고개까지는 '''비포장 구간'''이다.
공주시 신풍면으로 들어서 봉암에서 용수봉갑길과 접속하고, 청룡교를 지난다. 청흥삼거리에서 국도 제39호선 (충의로)과 만나 국도 제39호선과 중복된다. 공주치즈스쿨(구 대룡초등학교)을 지나 입동에서 지방도 제604호선 (용봉입동로)과 접속하고,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과 중복된다. 입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지방도 제604호선 (충의로)과 다시 만난다. 굴티고개를 지나 우성면으로 들어서 안양교를 건넌다.
청양군 목면으로 들어서 모덕교를 건넌다. 다시 공주시 우성면으로 들어와 용봉 교차로에서 국도 제36호선 (공수원로)과 접속한다. 어천리에서 지방도 제625호선 (용봉어천길)과 만나 지방도 제625호선과 중복된다.
임장교를 지나 다시 청양군 목면으로 들어서 신흥리에서 지방도 제625호선 (금강변로)과 다시 만난다. 이후 ''(교량 명칭 미상)'' 구간은 ''미개통 구간''이다.
공주시 탄천면으로 들어서 대학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51호선 (백제큰길)과 접속하고, 장수마을삼거리에서 임천고개로와 만난다. 대학교를 지나 달산리에서 검바위로와 접속한다.
이인면으로 들어서 달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40호선 (백제문화로)과 만나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된다. 달산1교를 지나 이인 교차로(이인교)에서 지방도 제697호선 (금광로), 물방아길과 접속한다. 이인1교, 이인2교, 용성1교, 용성2교, 주봉1교를 지나 주봉 교차로(주봉2교)에서 검바위로와 만난다. 주봉3교, 주봉육교, 밤갓육교를 지나 태봉 교차로(태봉교)에서 우금티로, 모새골길과 접속한다.
금학동으로 들어서 봉정 교차로에서 우금티로와 접속하며, 국도 제40호선과 중복되고 상행 진출입만 가능하다. 봉정2교를 지나 남공주 나들목에서 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봉정3교를 지나 검상 교차로(검상육교)에서 검상안길과 접속하고, 새재 교차로(새재육교)에서 승방길과 만난다.
웅진동으로 들어서 경찰서앞 교차로에서 무령로, 문예회관 교차로에서 고마나루길과 접속한다. 공주중학교, 공주교육지원청, 왕릉교를 지나 공산성 회전교차로에서 웅진로와 만난다. 공산성을 지나 금강교를 건넌다.
신관동으로 들어서 전막 교차로에서 국도 제32호선 (금벽로)과 접속하며,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된다. 중앙로삼거리에서 번영1로와 만나고, 국도 제32호선과 중복된다. 금강둔치 교차로에서 신관로, 대학로 교차로에서 공주대학로, 강북 교차로에서 무령로와 각각 접속한다.
월송동으로 들어서 월송 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 (차령로)과 만나고, 무릉동길, 석장리길과 차례로 접속한다.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서 중리, 판교리, 판교보건진료소를 잇는 구간은 2023년 완공 예정이다.
4. 2.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국도 제32호선과 중복으로 시작하여 장암 교차로에서 분기한다. 금암교, 금암삼거리, 도남삼거리를 지나 송침삼거리에서 사덕골길과 교차한다. 송암교를 지나 한솔동에 진입하여 열병합발전소에서 라온로와 교차하고, 가람 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세종로)과 만난다. 첫마을 교차로(사름지하차도)에서 한누리대로와 교차하고 나성동으로 진입한다. 나성초등학교와 나성중학교를 지나 나성4교를 건너 어진동에 있는 롯데하이마트 세종점에서 가름로와 교차한다. 세종예술고등학교를 지나 다시 나성동으로 돌아와 세종 교차로에서 절재로와 교차하고, 양화1 교차로, 새터 교차로, 월산 교차로를 거쳐 월산교를 건넌다. 반곡동에서 합강IC교와 합강 교차로에서 한누리대로와 다시 만난다. 연동면 명학 교차로(명학IC교)에서 원합강1길, 삼성길과 교차하고 명학교를 지난다. 산수 교차로에서 응암2길과 교차하며, 응암교와 응암1교를 지나 백천교를 건넌다. 부강면에 진입하여 갈산 교차로(갈산교)에서 갈산산수로와 교차하고, 부강 교차로(부강교)에서 부강행산로와 교차한다. 부강터널(연장 450m)을 지나 문곡 교차로에서 부강외천로, 문곡구절골길과 교차한다.[24]4. 3. 충청북도
청주시한국어 서원구 남이면에서 상당구 미원면까지 구간별 경유지와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구간 | 내용 |
---|---|
외천 교차로 ~ 외천삼거리 | 부강외천로, 시목외천길과 접속하며 남청주 나들목에서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한다. 국도 제17호선과 중복된다. |
외천삼거리 ~ 양촌 분기점 | 남이외천삼거리에서 남석로, 척산삼거리에서 척산회당로, 대련삼거리에서 대림로, 가좌삼거리에서 가좌신송로와 접속한다. |
양촌 분기점 ~ 가마 교차로 |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5호선, 3순환로와 교차하며, 2순환로와 접속한다. |
가마 교차로 ~ 미평사거리 | 이마트 청주점, 참사랑병원, 충청북도교육청을 지나며, 궁뜰로, 청남로1887번길과 접속한다. |
미평사거리 ~ 분평사거리 | 1순환로와 접속한다. |
분평사거리 ~ 모충사거리 | 남성초등학교, 충북고등학교, 남성중학교, 청주남중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청주교대부설초등학교를 지나며, 월평로, 청남로2005번길, 수영로, 구룡산로, 무심서로와 접속한다. |
모충사거리 ~ 청남교사거리 | 청남교를 지나 무심동로와 접속한다. |
청남교사거리 ~ 청주대교사거리 | 석교육거리에서 단재로, 영운로, 상당로1번길, 상당로3번길, 상당로5번길과 접속하고, 구남궁병원사거리에서 남사로, 용담로와 접속한다. 충청북도청을 지나 도청사거리에서 상당로69번길, 상당로70번길과 접속하며, 상당사거리에서 교동로, 상당로와 접속하고, 청주대교사거리에서 사직대로와 접속한다. |
청주대교사거리 ~ 흥덕대교 동단 | 제1운천교 동단에서 사북로와 접속하고, 흥덕대교 동단에서 직지대로와 접속한다. |
흥덕대교 동단 ~ (교량 명칭 미상) | 제2운천교 동단에서 1순환로와 접속하고, 내사교를 지난다. 송천교 동단에서 2순환로와 접속하며, 3순환로와 교차하는 미개통 구간을 지난다. |
5. 도로명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서 장암 교차로까지는 금벽로, 장암 교차로에서 보람동 송원 교차로까지는 금송로, 송원 교차로에서 대평 교차로까지는 세종로를 지난다. 대평 교차로에서 새롬동 다솜동까지는 행복대로, 다솜동에서 부강면 문곡리까지는 연청로를 이용한다.[1]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부용외천리에서 외천삼거리까지는 연청로, 외천삼거리에서 상당구 석교육거리까지는 청남로, 석교육거리에서 상당사거리까지는 상당로를 거친다. 상당사거리에서 청주대교사거리까지는 사직대로, 청주대교사거리에서 청원구 송천교 동단까지는 무심동로를 이용한다.[1]
5. 1.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안흥항에서 두야교회 교차로까지는 근흥로를 지난다. 태안군 근흥면 두야교회 교차로에서 태안읍 두야 교차로까지는 태흥로를, 태안군 태안읍 두야 교차로에서 남문 교차로까지는 서해로를 거친다. 태안군 태안읍 남문 교차로에서 남면 원청사거리까지는 안면대로를, 태안군 남면 원청사거리에서 홍성군 서부면 광리 교차로까지는 천수만로를 이용한다.[1]홍성군 서부면 광리 교차로에서 이호 교차로까지는 서부로를, 이호 교차로에서 판교 교차로까지는 충의로를 지난다. 판교 교차로에서 은하면 목현 교차로까지는 홍남서로를, 목현 교차로에서 광천읍 소암삼거리까지는 홍남로를 거친다. 소암삼거리에서 장곡면 산성삼거리까지는 홍남동로를, 산성삼거리에서 옥계삼거리까지는 무한로를, 옥계삼거리에서 청양군 비봉면 신원삼거리까지는 용천신원로를 이용한다.[1]
청양군 비봉면 신원삼거리에서 중묵삼거리까지는 충절로를, 중묵삼거리에서 운곡면 후덕삼거리까지는 중묵운곡로를 지난다. 후덕삼거리에서 효제리까지는 청신로를, 효제리에서 대치면 농소리까지는 방축길을, 농소리에서 가파마을까지는 가파로를 거친다.[1]
공주시 신풍면 줄바위고개에서 봉암까지는 줄바위길을, 봉암에서 입동 교차로까지는 용수봉갑길을 지난다. 입동 교차로에서 우성면 공수원사거리까지는 용봉입동로를, 공수원사거리에서 어천리까지는 용봉어천길을 거친다. 어천리에서 청양군 목면 신흥리까지는 금강변로를, 탄천면 대학삼거리에서 이인면 달천리까지는 효심로를, 달천리에서 달산 교차로까지는 검바위로를 이용한다. 달산 교차로에서 웅진동 경찰서앞 교차로까지는 백제문화로를, 경찰서앞 교차로에서 공산성 회전교차로까지는 왕릉로를 지난다. 공산성 회전교차로에서 신관동 전막 교차로까지는 웅진로를, 전막 교차로에서 월송동 석장리동까지는 금벽로를 거친다.[1]
참조
[1]
뉴스
변재일 의원 “ 증평IC~대율삼거리국지도 지정 전망”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5-02-26
[2]
뉴스
지방도 603호 태안읍∼신진도, 국가지원지방도 승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4-28
[3]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4]
간행물
대통령령 제17349호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null
[5]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1-286호
2001-11-10
[6]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2-148호
2002-07-10
[7]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2-257호
2002-11-11
[8]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2-258호
2002-11-11
[9]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3-310호
2003-10-10
[10]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4-303호
2004-09-10
[11]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4-467호
2004-12-20
[12]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7-535호
2007-10-22
[13]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7-622호
2007-12-10
[14]
간행물
대통령령 제21125호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null
[15]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08-293호
http://cblib.cb21.ne[...]
2008-12-26
[16]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9-273호
http://cblib.cb21.ne[...]
2009-04-24
[17]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12-311호
http://www.chungnam.[...]
2012-03-30
[18]
간행물
세종특별자치시공고 제2012-269호
http://www.sejong.go[...]
2012-10-22
[19]
간행물
세종특별자치시공고 제2013-491호
http://www.sejong.go[...]
2013-06-20
[2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453호
http://gwanbo.mois.g[...]
2016-07-13
[2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6호
http://gwanbo.mois.g[...]
2017-01-02
[2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76호
http://gwanbo.mois.g[...]
2017-07-12
[2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24]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