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61호선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61호선(US 61)은 미국 남부와 중서부를 가로지르는 주요 간선 도로이다.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시작하여 미시시피주, 테네시주, 아칸소주,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위스콘신주를 거쳐 미네소타주 덜루스에서 끝난다. 이 도로는 여러 주간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며, 특히 미시시피주에서는 블루스 음악의 발상지로 알려져 '블루스 하이웨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또한, 각 주에 특별 노선(Business Route)이 존재하며, 미주리주 구간은 과거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엘 카미노 레알'의 일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 - I-35W 미시시피강 다리
    미니애폴리스 I-35W 미시시피강 다리는 1967년 개통되었으나 2007년 붕괴 사고로 13명이 사망하고 설계 결함이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이후 재해 선포와 추모 정원 개장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 주간고속도로 제55호선 - 카루더스빌브리지
    카루더스빌브리지는 1976년 개통된 미시시피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서, 미주리주와 테네시주를 연결하며 412번 국도의 일부를 담당하고, 1949년 위원회 구성과 육군 공병대의 승인을 거쳐 건설되었다.
  • 주간고속도로 제10호선 - 국도 제70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70호선은 애리조나주 글로브에서 노스캐롤라이나주 애틀랜틱까지 8개 주를 횡단하는 총 길이 약 3,382km의 주요 동서 도로로, 초기 도로망 계획 시기에 "리 하이웨이"로 불렸으며, 1964년 캘리포니아 구간은 폐지되었고 테네시주에는 두 개의 추가 분기 노선이 존재한다.
  • 주간고속도로 제10호선 - 국도 제80호선 (미국)
    20세기 초에 등장한 미국의 옛 국도 제80호선은 한때 "미국의 브로드웨이"로 불리며 주요 고속도로였으나,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건설로 점차 쇠퇴하여 폐지되었고 현재는 일부 구간이 역사적인 도로로 보존되고 있다.
국도 제61호선 (미국)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미국 국도 제61호선 노선도
미국 국도 제61호선 노선도
국가미국
도로 종류일반국도
노선 번호61
개통 년도1926년
총 연장2,264.33 km
남쪽 기점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북쪽 종점미네소타주
주요 경유지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테네시주
아칸소주
미주리주
아이오와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주요 교차 도로
루이지애나주in New Orleans, LA
in New Orleans, LA
미시시피주in 빅스버그, MS
테네시주in 멤피스, TN
아칸소주in 웨스트멤피스, AR
미주리주in 세인트루이스, MO
from 프런테넉, MO to 웬츠빌, MO
in 웬츠빌, MO
아이오와주in 데번포트, IA
미네소타주in 라크레센트, MN
in 세인트폴, MN
in 와이오밍, MN
기타 정보
별칭블루스 하이웨이
이전 노선 번호60
다음 노선 번호62

2. 노선 설명

2. 1. 루이지애나 주

루이지애나주 그라머시 근처 남쪽으로 향하는 US 61(에어라인 하이웨이)


루이지애나주의 US 61은 뉴올리언스의 남쪽 종점에서 미시시피주 경계선까지 4차선 도로이며, 그곳에서 내치즈로 4차선 고속도로로 이어진다.[3]

뉴올리언스에서 배턴루지까지의 US 61 구간은 에어라인 하이웨이로 알려져 있다.[3] 이 도로는 루이 암스트롱 뉴올리언스 국제공항의 구 터미널 앞에 있으며 배턴루지 메트로폴리탄 공항 근처를 지나가지만, 원래 이 이름은 굽이진 미시시피 강과 나란히 놓인 제퍼슨 하이웨이와 대조되는 도로의 직선 경로를 지칭했다.[3] 전설에 따르면 전 루이지애나 주지사 휴이 롱은 배턴루지 주청사에서 뉴올리언스의 술집과 유흥시설까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에어라인" 고속도로 건설을 주장했다.[3] 1987년 제퍼슨 교구의 에어라인 하이웨이에서 배턴루지의 텔레비전 전도사 지미 스와거트는 매춘부를 만난 후 트래블 인에서 나오던 중 경쟁 설교자 마빈 고먼과 대면했다.[4] 이 사건으로 인해 이 지역은 "지저분한 모텔"이 있는 곳으로 평판이 높아졌다.[4] 그러한 평판 때문에 제퍼슨 교구의 해당 구간은 나중에 에어라인 드라이브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 2. 미시시피 주

미시시피 델타 지역을 통과하는 이 도로는 블루스 음악의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장소들을 지난다. 클락스데일 근처의 교차로는 로버트 존슨이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는 전설로 유명하다.

전설적인 클락스데일의 "크로스로드"는 노래 Cross Road Blues에 영감을 주었다.


US 61과 US 49 및 US 278


US 61은 테네시 주 경계에서 US 82가 있는 리랜드까지 구간이 분리되어 있다. 빅스버그 남쪽에서 내치즈까지의 도로는 대부분 분리된 4차선 도로이며, 포트 깁슨을 지나는 짧은 구간만 2차선이다. 내치즈에서 루이지애나 주 경계까지 US 61은 현재 분리된 4차선 도로이다. 미시시피 교통부는 워렌 카운티의 레드우드에 있는 야주강 교량 교체를 시작으로, 빅스버그와 리랜드 사이의 고속도로를 4차선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 도로는 미시시피 델타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블루스 하이웨이(Blues Highway)라고도 불리며, 이곳은 블루스 음악의 중요한 발상지였다. 61번 국도는 이 지역에 뿌리를 둔 다양한 예술가들의 음악에서 언급되어 왔다.

클락스데일의 US 61과 US 49의 이전 교차로(노스 스테이트 스트리트와 데소토 애비뉴)는 전설에 따르면 로버트 존슨이 블루스 음악의 달인이 되기 위해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고 하는 유명한 교차로로 지정되어 있다. US 49와 US 61은 현재 도시를 우회하는 고속도로 우회로를 따라 운행된다. 블루스 가수 베시 스미스는 1937년 9월 26일 이 고속도로 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미국 서부의 66번 국도와 마찬가지로 상징적인 US 61 표지판은 클락스데일 지역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는 데 사용된다. US 61은 미시시피 법전 주석 § 65-3-3에 정의되어 있다.

2. 3. 테네시 주

국도 제61호선은 미시시피주 월스에서 멤피스로 진입하여 멤피스 남부의 사우스 3번가로 시작하여 북쪽으로 계속 진행하여 E.H. 크럼프 대로까지 이어진다.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국도 64호선, 국도 70호선, 국도 79호선과 합류한 다음 I-55와 합류하여 미시시피강을 건너 웨스트멤피스까지 약 19km의 거리를 운행한다.

2. 4. 아칸소 주

웨스트멤피스에서 I-55, US 64, US 70, US 79와 함께 병행하여 아칸소주에 진입한다. 이 도로는 도시의 북서쪽 가장자리를 지나가며, I-55, US 63 및 US 64와 함께 북쪽으로 계속 가기 전에 잠시 I-40와 만난다. US 61은 터렐 근처 지역까지 I-55와 중첩되며, US 61은 동쪽으로 갈라지지만 I-55와 평행하게 계속 이어진다. 웨스트 멤피스와 터렐 사이의 US 61의 옛 노선은 현재 아칸소 주도 77로 표시되어 있다.

미시시피 카운티의 많은 작은 마을을 통과하며, 오세올라에서는 도시의 거리가 된다. 북쪽으로 계속 가면 블라이스빌 남쪽에서 I-55를 건너게 된다. 블라이스빌 시내에서 US 61은 메인 스트리트(AR 18)를 건널 때까지 사우스 디비전 스트리트가 된다. 이 도로는 블라이스빌의 나머지 지역과 그 너머를 거쳐 야브로 근처에서 AR 150과의 교차로까지 북쪽으로 이어진 후, 미주리로 곧장 북쪽으로 이어진다.

2. 5. 미주리 주

미국 61번 국도는 미주리 주 남쪽의 스틸에서 아칸소 주 미시시피 카운티 고속도로 관리국이 1924년에 건설한 콘크리트 아치 아래를 통과하며 시작된다. 이 도로는 I-55와 주 남부 및 세인트루이스 지역 사이에서 선형이 거의 일치하며, 일부 구간은 두 고속도로가 겹쳐진다. 하워드빌과 시스톤 사이에서는 미국 62번 국도와 겹쳐진다. 시스톤에서는 미국 60번 국도와도 만난다.

"미시시피 강 서쪽에서 가장 오래된 프랑스 식민지 정착지(1735)" 중 하나인 세인트 제네비브에서는 32번 국도와 교차하며 세인트 제네비브 카운티를 통과한다. 이후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페스투스에서 미국 67번 국도와 만나고, 두 도로는 라듀의 세인트루이스 지역에서 분리될 때까지 겹쳐진다. 라듀에서 미국 61번 국도는 I-64 및 미국 40번 국도와 만난다. 세인트루이스 지역에서 미국 61번 국도는 린드버그 대로에 있으며, 이 시에서는 커크우드 로드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I-64 및 미국 40번 국도와 만난 후, 미국 61번 국도는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세인트 애비뉴와 겹쳐진다. 웬츠빌에서 I-64 및 미국 40번 국도와의 중첩은 I-70을 만나면서 끝나고, I-64는 I-70에서 끝난다. 이 도로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어져 볼링 그린에서 미국 54번 국도와, 한니발에서 미국 36번 국도 및 I-72와 만나며, 이곳은 I-72의 서쪽 종점이다. 한니발 북서쪽에서 미국 61번 국도는 미국 24번 국도와 만나 테일러에서 분리될 때까지 겹쳐진다.

미국 61번 국도는 웨이랜드 근처까지 북쪽으로 계속 이어지다가, 27번 국도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세인트 애비뉴와의 중첩이 끝난다. 미주리를 떠나기 직전, 미국 61번 국도는 미국 136번 국도를 만나 아이오와주에 진입할 때까지 겹쳐진다. 미주리 주의 미국 61번 국도는 이전에는 '''9번 국도'''로 알려져 있었다.

미국 61번 국도는 테네시주 멤피스와 아이오와주 듀뷰크 사이의 미시시피 강 서쪽을 따라 지나가기 때문에, 일리노이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2. 6. 아이오와 주

미시시피강 위에 있는 더뷰크-위스콘신 다리.


61번 국도는 키오쿠크 근처에서 136번 국도와 중첩되어 아이오와주에 진입한다. 키오쿠크에서 두 노선은 분리되고, 61번 국도는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키오쿠크 북서쪽에서 218번 국도와 만난다. 이 구간은 6 마일 (9.7 km) 구간 동안 중첩된 후, 218번 국도는 북서쪽으로 방향을 튼다. 61번 국도는 아이오와 2번 고속도로를 건널 때까지 북쪽으로 향하며, 포트 매디슨 주변을 지나는 4차선 고속도로 우회로가 된다. 61번 국도는 그 후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벌링턴에서 34번 국도와 만난다. 이 고속도로는 북쪽으로 향하며 그랜드뷰에서 머스커틴까지 아이오와 92번 고속도로와 중첩된다. 머스커틴에서 이 고속도로는 쿼드 시티스 방향으로 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데번포트에서 61번 국도는 I-280 및 I-80을 따라 데번포트를 우회하며, 비즈니스 61번 국도와 만난다.

I-80 이후, 이 고속도로는 드윗까지 고속도로로 북쪽으로 방향을 틀고, 여기서 30번 국도와 만난다. 이곳에서 마퀘타 지역의 고속도로 구간을 제외하고, 간선 도로로 더뷰크까지 북쪽으로 이어진다. 이 고속도로는 더뷰크에서 남쪽으로 약 6 마일 (9.7 km) 떨어진 곳에서 151번 국도와 합류한다. 61번 국도와 151번 국도는 더뷰크의 사우스웨스트 동맥에서 52번 국도와 합류하며, 52번 국도는 키 웨스트에서 분리된다. 또한 더뷰크에서는 짧은 연결 고속도로가 61번 국도와 151번 국도를 20번 국도와 연결한다. 61번 국도와 151번 국도는 함께 더뷰크를 통과하며, 여기서 미시시피강을 건너 더뷰크-위스콘신 다리를 통해 위스콘신주로 진입한다.

포트 매디슨의 4차선 고속도로 우회로는 2011년 11월에 완공되어 개통되었다. 렛츠 근처 루이사-머스커틴 카운티 경계선과 그랜드뷰 근처 아이오와 92번 국도의 남쪽 분기점 사이의 5 마일 (8.0 km) 구간을 4차선 간선 도로로 확장하는 프로젝트는 2017년 12월에 완료되었다. 벌링턴과 메디아폴리스 사이에서 61번 국도를 분리된 고속도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아이오와 92번 국도와 메디아폴리스 사이 및 키오쿠크 우회로 북쪽 끝과 미주리 주 경계선 사이의 나머지 구간은 아이오와 교통부에서 아직 계획되지 않았다.

2. 7. 위스콘신 주

미시시피 강 반대편에서, US 61과 US 151은 그랜트군으로 진입하며, US 61은 위스콘신 주를 북쪽으로 약 193km 떨어진 라 크로스까지 이어진다. US 151은 디키빌에서 US 61과 갈라지며, US 61은 랭커스터, 페니모어, 보스코벨을 통과한다. 리드스타운에서 US 61과 US 14가 합류하여 라 크로스까지 함께 진행한다.

미네소타주 라 크레센트와 위스콘신주 라 크로스 사이의 미시시피 강을 가로지르는 US 14, US 61 및 주 고속도로 16을 운반하는 라 크로스 서부 채널 다리. 이 다리는 강의 서부 채널이다.


2004년, 새로운 2차선 미시시피 강 다리가 라 크로스에 개통되어 라 크로스 시내에서 미네소타주 경계까지 4차선 고속도로가 생겼다. 이 새로운 다리는 교통을 라 크로스로 유입시키며, 기존의 카스 스트리트 다리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 다리는 미네소타주로 향하는 교통에 계속 사용된다.

2. 8. 미네소타 주

미네소타주의 61번 국도는 남동부에서 시작하여 라 크레센트까지 4차선 고속도로로 이어진다. 위노나, 레이크 시티, 레드 윙 등의 도시를 지나며 미시시피 강을 따라간다. 해스팅스에서는 해스팅스 다리를 통해 강을 건너 10번 국도와 합류하여 세인트 폴로 진입한다. 세인트 폴 내에서는 94번 고속도로와 잠시 겹쳐진 후, Mounds Boulevard, East 7th Street, Arcade Street를 따라 세인트 폴 동쪽을 지난다.

미네소타의 존 A. 라치 주립공원에서 바라본 미시시피 강을 따라가는 61번 국도


라 크레센트에서 코티지 그로브까지 약 193km 구간은 '''미국 장애인 참전용사 고속도로'''로 공식 지정되어 있다.

덜루스 북쪽 구간은 1991년부터 MN 61로 지정되어 미네소타 주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가 되었다. 와이오밍에서 덜루스 사이 구간은 35번 고속도로로 대체되거나 지역 관할로 이관되었다.

3. 역사

US 61이 지나는 미주리주 구간은 스페인 식민지배 하에 건설되었던 "엘 카미노 레알"의 일부였다.[5] 1776년, 스페인 부지사는 세인트루이스와 세인트 제네비브 간 육상 연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사를 시작했다. 이 도로는 1779년까지 건설되었으며, 케이프 지라두, 뉴 매드리드, 세인트 찰스까지 연장되었다.[5] 엘 카미노 레알은 방어 및 행정 목적으로 여러 지역 전초 기지를 연결하는 군사 도로였으며, 초기에는 말과 도보 여행자를 위한 길이었다.[6]

엘 카미노 레알은 당시 스페인 국왕인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를 기리기 위해 조지 모건 대령에 의해 명명되었다.[7] 이 도로는 프랑스어 사용 인구에게는 le Chemin du Roi프랑스어 또는 Rue Royale프랑스어로, 초기 미국 정착민에게는 ''킹스 하이웨이'' 또는 옛 ''킹스 트레이스''로 알려졌다.[7] 또한, 이 도로는 프랑스 식민지 "일리노이 컨트리"로 이어졌기 때문에 ''일리노이 로드''라고도 불렸다.[7] ''킹스 하이웨이'' 또는 ''킹스하이웨이''는 현재의 세인트 찰스, 세인트루이스, 페리빌, 케이프 지라두, 시케스턴, 뉴 매드리드에서 거리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9][10]

1926년, US 61호선으로 지정될 당시, 1922년에 건설된 9번 국도의 대부분을 대체했다.[5] 잭슨과 페스투스 사이의 더 짧은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25번 국도의 많은 부분을 대체했다. 이전 노선은 현재 72번 국도와 US 67호선이다.

3. 1. 미주리 주의 역사적 배경

US 61이 지나는 미주리주 구간은 스페인 식민지배 하에 건설되었던 "엘 카미노 레알"의 일부였다.[5] 1776년, 스페인 부지사는 세인트루이스와 세인트 제네비브 간 육상 연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사를 시작했다. 이 도로는 1779년까지 건설되었으며, 케이프 지라두, 뉴 매드리드, 세인트 찰스까지 연장되었다.[5] 엘 카미노 레알은 방어 및 행정 목적으로 여러 지역 전초 기지를 연결하는 군사 도로였으며, 초기에는 말과 도보 여행자를 위한 길이었다.[6]

엘 카미노 레알은 당시 스페인 국왕인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를 기리기 위해 조지 모건 대령에 의해 명명되었다.[7] 이 도로는 프랑스어 사용 인구에게는 ''르 슈망 뒤 루아'' 또는 ''뤼 로얄''로, 초기 미국 정착민에게는 ''킹스 하이웨이'' 또는 옛 ''킹스 트레이스''로 알려졌다.[7] 또한, 이 도로는 프랑스 식민지 "일리노이 컨트리"로 이어졌기 때문에 ''일리노이 로드''라고도 불렸다.[7] ''킹스 하이웨이'' 또는 ''킹스하이웨이''는 현재의 세인트 찰스, 세인트루이스, 페리빌, 케이프 지라두, 시케스턴, 뉴 매드리드에서 거리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9][10]

1926년, US 61호선으로 지정될 당시, 1922년에 건설된 9번 국도의 대부분을 대체했다.[5] 잭슨과 페스투스 사이의 더 짧은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25번 국도의 많은 부분을 대체했다. 이전 노선은 현재 72번 국도와 US 67호선이다.

4. 주요 교차 도로

국도 제61호선은 여러 주를 거치면서 다양한 주간고속도로, 국도와 교차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이들 노선과 겹친다.

=== 주간고속도로 ===

국도 제61호선은 여러 주간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겹치기도 한다.



=== 국도 ===

국도 제61호선은 여러 주를 경유하며, 다양한 국도 및 주간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구간은 다른 노선과 겹치기도 한다.

4. 1. 주간고속도로

국도 제61호선은 여러 주간고속도로와 교차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겹치기도 한다.

4. 2. 국도

국도 제61호선(US 61)은 여러 주를 경유하며, 다양한 국도 및 주간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구간은 다른 노선과 겹치기도 한다.

루이지애나 주에서는 뉴올리언스에서 국도 제90호선(US 90)과 교차하고, 배턴루지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12호선(I-12)과 만난다. 미시시피 주에서는 빅스버그에서 주간고속도로 제20호선(I-20) 및 국도 제80호선(US 80)과, 클락스데일에서는 국도 제49호선(US 49)과 교차한다.

테네시 주 멤피스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55호선(I-55) 및 국도 제64호선(US 64), 국도 제70호선(US 70), 국도 제79호선(US 79)과 만난다. 아칸소 주에서는 웨스트멤피스에서 주간고속도로 제40호선(I-40)과 교차하며, 블라이스빌에서는 다시 주간고속도로 제55호선(I-55)과 만난다.

미주리 주에서는 스틸 동쪽에서 주간고속도로 제55호선(I-55)과, 시크스톤에서는 미래의 주간고속도로 제57호선(Future I-57) 및 국도 제60호선(US 60)과 교차한다. 세인트루이스 근처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64호선(I-64) 및 국도 제40호선(US 40)과, 웬츠빌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70호선(I-70)과 만난다.

아이오와 주에서는 코쿠크에서 국도 제136호선(US 136)과, 데번포트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80호선(I-80) 및 국도 제6호선(US 6)과 교차한다. 위스콘신 주에서는 페니모어에서 국도 제18호선(US 18)과 만난다.

미네소타 주에서는 라크레센트 북쪽에서 주간고속도로 제90호선(I-90)과, 세인트폴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94호선(I-94) 및 국도 제12호선(US 12)과 교차한다. 와이오밍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I-35)과 만난다.

5. 특별 노선

미국 국도 제61호선에는 여러 개의 특별 노선(Business Route)이 존재한다. 이 노선들은 주요 도시를 우회하는 일반 국도와 달리,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며 사업체 및 지역 주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아이오와주에서는 키오쿡, 머스틴, 데번포트에서 특별 노선을 찾아볼 수 있다. 루이지애나주 세인트프란시스빌과 미시시피주 빅스버그, 내체즈에도 각각 특별 노선이 지정되어 있다.

6. 관련 노선


  • 국도 제161호선 (폐지)

7.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Mississippi Blues Trail: Experience The Blues Where They Were Born https://tunicatravel[...] 2018-01-10
[2] 웹사이트 61 Highway http://msbluestrail.[...]
[3] 뉴스 Huey Long just one chapter of storied history of New Orleans' Roosevelt Hotel, which reopens Wednesday http://www.nola.com/[...] 2015-05-03
[4] 서적 Swaggart: The Unauthorized Biography of an American Evangelist https://books.google[...] Continuum
[5] 서적 History of Southeast Missouri: A Narrative Account of Its Historical Progress, Its People and Its Principal Interests, Volume 1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A History of Missouri from the Earliest Explorations and Settlements Until the Admission of the... https://archive.org/[...] 2021-06-09
[7] 웹사이트 The State Historical Society of Missouri, New Madrid County Place Names, 1928-1945 http://shs.umsystem.[...] 2021-06-09
[8] 웹사이트 St. Charles County Place Names, 1928-1945 http://shs.umsystem.[...] 2021-06-09
[9] 서적 Opening the Ozarks: A Historical Geography of Missouri's Ste. Genevieve District, 1760-183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0] 서적 Our Storehouse of Missouri Place Nam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1] 서적 The Road Atlas Rand McNal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