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공원공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공원공단은 자연 생태계와 자연·문화 경관을 조사·연구하고 보전하며, 야생 동·식물 복원 및 증식, 자연 자원 생태 변화 관찰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탐방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안전 관리, 공원 시설 설치 및 유지 관리, 불법 행위 단속 등도 담당한다. 1987년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설립되어 환경부로 이관되었고, 201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승격 및 IUCN 카테고리 변경 등록, 소속기관 운영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자연보전 단체 - 대한민국 환경부
    대한민국 환경부는 자연 및 생활 환경 보전과 환경 오염 방지를 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환경청을 거쳐 환경처로 승격된 후 현재의 환경부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환경 영향 평가, 대기 및 수질 환경 관리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자연보전 단체 - 대한민국 산림청
    대한민국 산림청은 산림 행정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산림 보호 및 육성, 산림 자원 이용, 산림 재해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설립을 주도하는 등 국제 협력에도 참여하고 있다.
  • 특수법인 (환경부 소관)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수도권 매립지의 기반 시설 설치 및 관리, 폐기물 적정 처리, 폐기물 자원화 시설 운영 등을 주요 기능으로 수행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 유지에 기여하는 공기업이다.
  • 특수법인 (환경부 소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환경기술 개발 및 평가, 환경산업 육성 및 해외 진출 지원, 친환경 제품 인증, 환경피해 구제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진흥 기관이다.
  • 공공기관 (환경부 소관)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공공기관 (환경부 소관) - 국립생태원
    국립생태원은 대한민국의 생태 연구 및 전시 기관으로, 생태계 조사, 연구, 평가와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생태계 정보망 구축에 기여한다.
국립공원공단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립공원공단
설립일1987년 7월 1일
전신국립공원관리공단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혁신로 22
상급 기관환경부
기관장 직책이사장
기관장 성명송형근
웹사이트국립공원공단
산하 기관
영어 명칭
영어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2. 주요 기능 및 역할


  • 자연 생태계와 자연·문화 경관을 조사·연구하고 보전한다.
  • 생물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야생 동·식물을 복원하고 증식한다.
  • 자연 자원의 생태 변화를 관찰한다.
  • 탐방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건전한 탐방 문화를 만든다.
  • 탐방객 안전 관리 및 공원 시설을 설치·유지 관리한다.
  • 공원 자원 훼손을 예방하고 불법 행위를 단속한다.
  • 공원 사업을 시행하고, 행위 허가 및 협의 업무를 진행한다.
  • 공원 시설 사용료를 징수한다.
  • 공원 이용에 관한 계도·홍보 기능을 수행한다.

3. 연혁

3. 1. 설립 초기 (1987년 ~ 1998년)

3. 2. 환경부 이관 및 기능 확대 (1998년 ~ 현재)

1998년 2월 28일, 내무부에서 환경부로 이관되었다.[1] 이후 국립공원 관리 기능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2005년 10월 1일, 국립공원연구원이 설립되었고,[1] 같은 해 12월 5일, 설악산이 국제 자연 보호 연맹(IUCN) 카테고리 Ⅴ에서 Ⅱ로 변경 등록되었다.[1] 2007년에는 1월 1일 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되었고,[1] 5월 22일 지리, 오대, 월악, 소백산이 IUCN 카테고리 Ⅴ에서 Ⅱ로 변경 등록되었으며,[1] 8월 20일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설립되었다.[1]

2008년 1월 16일, 경주국립공원 관리를 인수하였고,[1] 2009년 11월 15일 다도해, 주왕산, 속리산, 월출산이 IUCN 카테고리 Ⅴ에서 Ⅱ로 변경 등록되었다.[1] 2010년 2월 2일 산악안전교육센터가 개소되었으며,[1] 같은 해 11월 1일, 치악산, 가야산, 내장산, 변산반도 국립공원이 IUCN 카테고리 Ⅴ에서 Ⅱ로 변경 등록되었다.[1]

2013년 1월 16일,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 지정되었고,[1] 2016년 8월 22일 태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 지정되었다.[1] 2019년 1월 17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국립공원공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1] 같은 해 7월 5일 국립공원공단 산악안전교육원이 개원하였다.[1]

3. 3. IUCN 카테고리 변경 등록

3. 4. 국립공원 승격

2013년 1월 16일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 지정되었다.[1]

2016년 8월 22일 태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 지정되었다.[1]

4. 조직

국립공원공단의 감사는 감사실, 감사부, 청렴감찰부를 산하에 두고 있다.

4. 1. 이사장 및 감사

감사는 감사실, 감사부, 청렴감찰부를 산하에 두고 있다.

4. 2. 이사

국립공원공단에는 별도의 이사 직책이 존재하지 않는다.

5. 소속기관

국립공원공단은 전국 각지의 국립공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산하에 여러 기관을 두고 있다. 이들 기관은 직속기관과 비직속기관으로 나뉜다.

5. 1. 직속기관

사무소주소
지리산국립공원전북사무소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정령치로 255 (호경리)
↳ 뱀사골분소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와운길 10 (부운리)
↳ 운봉분소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바래봉길 139 (용산리)
지리산국립공원전남사무소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356 (황전리)
↳ 성삼재분소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노고단로 1068 (좌사리)
↳ 피아골분소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720 (내동리)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376 (사리)
↳ 하동분소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화개로 541-6 (용강리)
↳ 산청분소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대로 345 (중산리)
↳ 삼장분소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평촌유평로 252 (평촌리)
↳ 함양분소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백무동로 22 (강청리)
경주국립공원사무소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남로 12 (신평동)
↳ 건천분소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작원3길 51 (천포리)
↳ 남산분소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 3504-24 (동방동)
↳ 토함산분소경상북도 경주시 진티길 6-14 (진현동)
계룡산국립공원사무소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327-6 (학봉리)
↳ 갑사분소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19 (중장리)
↳ 수통골분소대전광역시 유성구 수통골로 47 (덕명동)
한려해상국립공원사무소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대밭담로 5-9 (송지리)
↳ 금산분소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보리암로 288 (신전리)
↳ 노량분소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노량로 206 (노량리)
한려해상국립공원동부사무소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로 117 (봉평동)
↳ 산양분소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산양일주로 1111 (연화리)
↳ 한산분소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진두길 6 (하소리)
↳ 거제분소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 거제대로 981 (학동리)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산로 833 (설악동)
↳ 백담분소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백담로 150 (용대리)
↳ 장수대분소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설악로 4193 (한계리)
↳ 점봉산분소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곰배골길 203 (귀둔리)
↳ 오색분소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대청봉길 95 (오색리)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84 (사내리)
↳ 쌍곡분소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쌍곡로 209 (쌍곡리)
↳ 화양동분소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길 119 (화양리)
↳ 화북분소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문장대2길 232 (장암리)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호반로 328 (내장동)
↳ 입암분소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백학2길 153-14 (신정동)
내장산국립공원백암사무소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116 (약수리)
↳ 남창분소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남창로 399 (신성리)
가야산국립공원사무소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200 (야천리)
↳ 백운분소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17 (백운리)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1로 159 (삼공리)
↳ 적상분소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산성로 330 (북창리)
↳ 남덕유분소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송계사길 204 (소정리)
오대산국립공원사무소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2 (간평리)
↳ 소금강분소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소금강길 500 (삼산리)
↳ 계방산분소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지옆골길 1 (노동리)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169-7 (상의리)
↳ 절골분소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길 121-170 (주산지리)
↳ 영덕분소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군청1길 14 (덕곡리)
태안해안국립공원사무소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 귀실길 9 (장산리)
↳ 남면분소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몽산포길 54 (신장리)
↳ 소근분소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소근로 52 (신덕리)
↳ 안면도분소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삼봉길 195 (창기리)
↳ 원북분소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옥파로 1152-37 (방갈리)
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62번길 17-12 (군내리)
↳ 거문도분소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등대길 62 (덕촌리)
↳ 여수분소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향일암길 545 (율림리)
↳ 고흥분소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능가사로 292 (성기리)
↳ 보길도분소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청별길 10 (부황리)
↳ 청산도분소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청산로 76 (당락리)
다도해해상국립공원서부사무소전라남도 목포시 통일대로 102-1 (옥암동)
↳ 진도분소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서망향길 28 (남동리)
↳ 비금·도초분소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서남문로 1524 (수항리)
↳ 흑산도분소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흑산일주로 265-1 (진리)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국길 262 (정릉동)
↳ 구기분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2길 80 (구기동)
↳ 수유분소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28길 4 (수유동)
↳ 우이분소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112 (우이동)
↳ 북한산성분소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서문길 64 (진관동)
북한산국립공원도봉사무소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51-97 (호원동)
↳ 도봉분소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86 (도봉동)
↳ 송추분소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호국로550번길 102-187 (울대리)
치악산국립공원사무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무쇠점2길 26 (학곡리)
↳ 금대분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영원산성길 372 (금대리)
월악산국립공원사무소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미륵송계로 1647 (송계리)
↳ 덕산분소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산로4길 18 (월악리)
↳ 단양분소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상선암길 10-9 (가산리)
↳ 문경분소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온천강변2길 3 (하리)
소백산국립공원사무소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소백로 1794 (오현리)
↳ 부석분소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죽계로315번길 4 (배점리)
↳ 희방분소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로 509 (삼가리)
소백산국립공원북부사무소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남한강로 494 (사평리)
↳ 죽령분소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소백산길 17 (용부원리)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방파제길 11 (격포리)
↳ 내변산분소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실상길 12 (중계리)
↳ 내소분소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166 (석포리)
↳ 상서분소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197 (감교리)
월출산국립공원사무소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천황사로 280-43 (개신리)
↳ 도갑분소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286 (도갑리)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광주광역시 동구 동산길7번길 5 (운림동)
↳ 원효분소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백운촌길 3-3 (유천리)
↳ 담양분소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1307 (정곡리)
태백산국립공원사무소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산로 4778 (소도동)
↳ 검룡소분소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검룡소길 475-2 (창죽동)
↳ 백천분소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청옥로 1893 (대현리)
팔공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185길 68 (용수동)
↳ 경산영천분소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10길 5-1 (대한리)
팔공산국립공원서부사무소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팔공산로 175 (기성리)
↳ 군위분소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치산효령로 1398-4 (창평리)
국립공원연구원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단구로 171 (명륜동)


5. 2. 비직속기관


6. 역대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대수성명재임 기간비고
초대박운영1987년 7월 1일 ~ 1990년 6월 30일
2대이석윤1990년 7월 1일 ~ 1993년 3월 28일
3·4대김남1993년 3월 29일 ~ 1998년 3월 1일
5대엄대우1998년 5월 4일 ~ 1999년 10월 20일
6대김세옥1999년 10월 21일 ~ 2002년 10월 20일대통령 경호처장
7대정영식2002년 10월 21일 ~ 2003년 6월 13일서남권발전포럼 이사장, 성균관대학교 정책대학원 초빙교수
8대김재규2003년 7월 23일 ~ 2006년 7월 22일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이사장
9대박화강2006년 7월 23일 ~ 2008년 5월 7일
10대엄홍우2008년 7월 28일 ~ 2011년 8월 29일희망세상농업포럼 상임대표
11대어청수2011년 8월 30일 ~ 2011년 10월 28일대통령 경호처장, 직접판매공제조합 이사장
12대정광수2011년 12월 30일 ~ 2013년 7월 2일
13대박보환2013년 9월 24일 ~ 2017년 8월 28일18대 국회의원
직무대행최운규2017년 8월 29일 ~ 2017년 11월 3일
14대권경업2017년 11월 6일 ~ 2021년 1월 22일
15대송형근2021년 1월 25일 ~


참조

[1] 웹인용 찾아오시는 길 http://www.knps.or.k[...] 2020-11-25
[2] 웹인용 이사장 소개 http://www.knps.or.k[...] 2020-11-25
[3] 문서 한라산국립공원은 제주특별자치도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