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규슈 유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슈 유센은 1920년 쓰시마 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규슈 지역의 해상 운송을 담당하는 기업이다. 하카타와 이키, 쓰시마를 잇는 항로를 중심으로 페리와 고속선(제트포일)을 운항하며, 가라쓰와 이키, 하카타와 히타카쓰를 잇는 페리 노선도 운영한다. 또한, 우편 운송 사업도 수행하며, 규슈 본섬과 이키섬, 쓰시마섬 간의 우편물 수송을 담당한다. 7종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에는 2021년부터 페리 우미테라시가 운항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해운회사 - 일본우선
    일본우선은 1885년 미쓰비시와 미쓰이 계열 해운 회사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일본 상선대의 주축을 이루며 성장했고, 2차 대전 후 해운업 재건과 사업 다각화를 거쳐 2018년 컨테이너 운송 사업 부문을 통합하여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를 설립한 일본의 해운 기업이다.
  • 일본의 해운회사 - 규슈 쇼센
    규슈 쇼센은 1911년 규슈 기선으로 설립되어 1928년 사명을 변경한 일본 해운 회사로, 나가사키현과 고토 열도를 중심으로 구마모토와 시마바라를 잇는 항로를 운영하며 과거 쇼와 천황의 어전선으로도 사용된 다양한 선박을 운영한다.
  • 나가사키현의 교통 - 마쓰우라 철도
    마쓰우라 철도는 1987년에 설립되어 JR 큐슈 마쓰우라 선을 인수하여 니시큐슈 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철도 회사이며, 한때 흑자를 기록했으나 이용객 감소로 적자 경영을 겪다가 연선 자치체의 지원을 받아 적자 축소를 시도하고 있다.
  • 나가사키현의 교통 - 나가사키 전기 궤도
    나가사키 전기 궤도는 1914년 설립되어 5개 노선, 11.5km 구간을 운행하며, 원자 폭탄 피해를 극복하고 일본 최초의 차체 광고 전차 도입 및 세계 최초의 논스텝 단차 운행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현재 성인 140엔의 요금으로 이용 가능하다.
  • 후쿠오카시의 기업 - 후쿠오카 증권거래소
    후쿠오카 증권거래소는 1949년 설립되어 규슈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큐보드 시장과 후쿠오카 프로 마켓을 통해 시장 다변화를 추구하는 일본의 증권거래소이지만, 거래량 감소와 해외 인지도 부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후쿠오카시의 기업 - 이치란
    이치란은 1960년 후쿠오카에서 시작된 일본 라멘 체인점으로, 돈코츠 라멘을 중심으로 맛, 기름진 정도, 면의 굳기 등을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주문 시스템과 칸막이 좌석인 "맛 집중 카운터"를 통해 혼자서도 편안하게 라멘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규슈 유센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명九州郵船株式会社 (규슈 유센 주식회사)
영문 사명Kyusyu Yusen Co.,Ltd.
종류주식회사
우편 번호812-0022
본사 위치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하카타구 가미야마치 1-27
설립일1920년8월 15일
업종해운업
사업 내용정기 항로 사업
우편 운송 사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다케나가 겐지로
자본금2억 엔
순이익1억 1,166만 2,000엔 (2024년 3월기)
순자산12억 8,984만 2,000엔 (2024년 3월기)
총자산48억 5,507만 8,000엔 (2024년 3월기)
직원 수육상: 49명
해상: 156명
합계: 205명 (2015년 4월 기준)
결산기3월
외부 링크규슈 유센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1920년 (다이쇼 9년) 8월 15일 - '''쓰시마 상선 주식회사'''를 설립.[2]


  • 자본금 4,000엔.
  • 항로는 7개 노선 (1 하카타・이키・쓰시마 노선, 2 나가사키・이키・쓰시마 노선, 3 하카타・부산 노선, 4 하카타・이키・쓰시마 동해안 노선, 5 하카타・이키・쓰시마 서해안 노선, 6 하카타・이키 노선, 7 부정기 노선)

1923년 (다이쇼 12년) 4월 25일 - 화객선 "무쓰마루"가 준공. 원량식 스태빌라이저(오늘날의 핀 스태빌라이저의 전신)를 장착한 최초의 배.

1929년 (쇼와 4년) - '''기타큐슈 상선 주식회사'''로 개칭.

  • 쓰시마 연안 상선 주식회사의 설립으로 쓰시마 동서 연안 항로를 이관.

1935년 (쇼와 10년) - '''규슈 유센 주식회사'''로 개칭.

1945년 (쇼와 20년) 10월 14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의 화객선 "주마루"(800톤)가 기뢰에 접촉하여 침몰.

  • 사망・행방불명자는 공식적으로 541명, 비공식적으로 800명 이상의 참사.
    ''※자세한 내용은 주마루#주마루 사고를 참조.''

1947년 (쇼와 22년)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화객선 "다이슈마루"(848톤) (구 일본 육군의 SS정〈수송정〉에서 개조) 및, 여객선 "아타다마루" (구 일본 해군의 항공기 구난선에서 개조)가 취항.
  • 나가사키~이키・쓰시마 항로에 화객선 "(공(이사오)마루"가 취항.

1951년 (쇼와 26년) 4월 - 쓰시마 연안 상선을 흡수 합병하여 쓰시마 동서 연안 항로가 다시 규슈 유센의 경영이 됨.

1953년 (쇼와 28년)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오시마마루"(349톤)가 취항.

1957년 (쇼와 32년) 2월 24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잇슈(이키슈)[3]마루"(586톤)가 취항.

1959년 (쇼와 34년) 11월 - 가라쓰・요부코~인통사・고노우라 항로에 화객선 "아즈사마루"가 취항.

1963년 (쇼와 38년) 11월 3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타이슈(쓰이슈)[4]마루"(642톤)가 취항.

1967년 (쇼와 42년) 시모노세키~히타카쓰 항로에 "세키슈마루"(500톤)가 취항.

  • 위의 "잇슈(이키슈)마루", "타이슈(쓰이슈)마루", "세키슈마루"와 동시에 "하쿠슈마루"라는 여객선도 취항했다. 또한, 당시의 동 항로는 이키 북부의 가쓰모토항에도 기항했다.

1969년 (쇼와 44년) 7월 2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아소마루"(1,000톤)가 취항.

  • 소규모지만 차량 수송 능력을 갖추고 있어 세미 페리라고 불렸다.

1970년 (쇼와 45년) 7월 - 인통사-요부코 간에 "페리 이키"(400톤)가 취항.

1971년 (쇼와 46년) 6월 - 인통사-요부코 간에 "페리 요부코"(532톤)가 취항.

1972년 (쇼와 47년) 10월 30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최초의 본격적인 페리 "페리 쓰시마"(1,560톤)가 취항.

1974년 (쇼와 49년) 4월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서 사용되는 선박의 대형화의 영향으로, 이에 대응할 수 없는 가쓰모토항으로의 기항을 종료.

1975년 (쇼와 50년) 4월 28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페리 "페리 하카타"(약 1,800톤)가 취항. 동 항로는 페리 2척에 의한 1일 2왕복 체제가 됨.

1979년 (쇼와 54년) - 고쿠라~히타카쓰 항로에 페리 "페리 아가타"가 취항.

1980년 (쇼와 55년) 7월 - 하카타~이키 항로에 단동형 고속선 "시 에이스"가 취항. 내항성 등의 문제로 인해, 동계에는 운휴했다.

1983년 (쇼와 58년) - 페리 이키를 대신하여 "페리 겐카이"(675톤)가 인통사-요부코 항로를 취항.

1987년 (쇼와 62년) - 페리 요부코를 대신하여 "페리 아즈사"(682톤)가 인통사-요부코 항로를 취항.

1989년 (헤이세이 원년)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페리 "뉴 쓰시마"가 취항하여 "페리 쓰시마"의 운항을 종료.

1990년 (헤이세이 2년) - 고속선 "시 에이스"의 운항을 종료.

1991년 (헤이세이 3년) 3월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최초의 제트포일 "비너스"가 취항.

1994년 (헤이세이 6년) 4월 1일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페리 "페리 지쿠시"가 취항하여 "페리 하카타"의 운항을 종료.

1998년 (헤이세이 10년) - 고쿠라~히타카쓰 항로의 운항 경로를 하카타~히타카쓰로 변경.

2000년 (헤이세이 12년)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제트포일 "비너스 2"가 취항.

2001년 (헤이세이 13년) 11월 6일 - 제트포일 항로를 히타카쓰항까지 연장.

2003년 (헤이세이 15년) -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 중, 페리의 심야 운항을 시작.

2006년 (헤이세이 18년) 12월 1일 - 인통사항 터미널 개축 공사로 인해, 이키 측의 발착항을 인통사항에서 고노우라항으로 일시 변경 (다음 해 2월 말까지).

2007년 (헤이세이 19년)

  • 4월 1일 - 인통사~요부코 항로의 운항 경로를, 인통사~가라쓰(가라쓰 동항)로 변경. 동 항로에 페리 "에메랄드 가라쓰"가 취항.
  • 4월 3일 -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의 취항 선박을 "페리 아가타"에서 "페리 겐카이"로 변경.

2012년 (헤이세이 24년)

  • 3월 31일 - "뉴 쓰시마"의 운항을 종료.
  • 4월 1일 - "페리 키즈나"가 취항.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의 운임을 개정 (인하).

2018년 (헤이세이 30년) 7월 23일 - JR 규슈 고속선이 운항하는 후쿠오카-부산 항로의 고속선 비틀의 일부 좌석을 이용하여,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에 쓰시마 혼승편의 운항을 시작[5][6].

2019년 (헤이세이 31년) 3월 31일 - 가라쓰 동~인통사 항로의 페리 아즈사 운항 종료. 이에 따라 4월 1일 동 항로에 다이아몬드 이키가 취항.

2021년 (레이와 3년) 7월 1일[7] -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의 취항 선박을 "페리 겐카이"에서 신조선[8] "페리 우미테라시[9]"로 변경[10].

2. 1. 회사 설립 초기 (1920년대 ~ 1940년대)

규슈 유센은 1920년 8월 15일 쓰시마 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2] 자본금은 4,000엔이었으며, 하카타・이키・쓰시마 노선 등 7개 노선을 운영했다. 1923년 4월 25일에는 화객선 "무쓰마루"가 준공되었는데, 이 배는 원량식 스태빌라이저(오늘날의 핀 스태빌라이저의 전신)를 장착한 최초의 배였다.

1929년 기타큐슈 상선 주식회사로, 1935년에는 규슈 유센 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변경했다. 1945년 10월 14일에는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의 화객선 "주마루"(800톤)가 기뢰에 접촉하여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공식적으로 541명, 비공식적으로 800명 이상이 사망하거나 행방불명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주마루#주마루 사고를 참조.''

2. 2. 전후 복구 및 성장기 (1940년대 ~ 1980년대)

1945년(쇼와 20년) 10월 14일,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의 화객선 "주마루"(800톤)가 기뢰에 접촉하여 침몰, 사망・행방불명자는 공식적으로 541명, 비공식적으로 800명 이상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주마루#주마루 사고를 참조.''

1947년(쇼와 22년)에는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화객선 "다이슈마루"(848톤) (구 일본 육군의 SS정〈수송정〉에서 개조) 및 여객선 "아타다마루" (구 일본 해군의 항공기 구난선에서 개조)가 취항하였고, 나가사키~이키・쓰시마 항로에 화객선 "(공(이사오)마루"가 취항했다. 1951년(쇼와 26년) 4월에는 쓰시마 연안 상선을 흡수 합병하여 쓰시마 동서 연안 항로가 다시 규슈 유센의 경영이 되었다.

1953년(쇼와 28년)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오시마마루"(349톤)가 취항하였고, 1957년(쇼와 32년) 2월 24일에는 "잇슈(이키슈)[3]마루"(586톤)가 취항했다. 1959년(쇼와 34년) 11월에는 가라쓰・요부코~인통사・고노우라 항로에 화객선 "아즈사마루"가 취항했다. 1963년(쇼와 38년) 11월 3일,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타이슈(쓰이슈)[4]마루"(642톤)가 취항했다.

1967년(쇼와 42년) 시모노세키~히타카쓰 항로에 "세키슈마루"(500톤)가 취항했다. "잇슈(이키슈)마루", "타이슈(쓰이슈)마루", "세키슈마루"와 동시에 "하쿠슈마루"라는 여객선도 취항했으며, 당시 이 항로는 이키 북부의 가쓰모토항에도 기항했다. 1969년(쇼와 44년) 7월 2일,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아소마루"(1,000톤)가 취항했는데, 소규모지만 차량 수송 능력을 갖추고 있어 세미 페리라고 불렸다.

1970년(쇼와 45년) 7월, 인통사-요부코 간에 "페리 이키"(400톤)가 취항했고, 1971년(쇼와 46년) 6월에는 "페리 요부코"(532톤)가 취항했다. 1972년(쇼와 47년) 10월 30일,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최초의 본격적인 페리 "페리 쓰시마"(1,560톤)가 취항했다. 1974년(쇼와 49년) 4월, 선박 대형화로 인해 가쓰모토항 기항이 중단되었다. 1975년(쇼와 50년) 4월 28일,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페리 "페리 하카타"(약 1,800톤)가 취항하여 1일 2왕복 체제가 되었다.

1979년(쇼와 54년) 고쿠라~히타카쓰 항로에 페리 "페리 아가타"가 취항했다. 1980년(쇼와 55년) 7월, 하카타~이키 항로에 단동형 고속선 "시 에이스"가 취항했으나, 내항성 문제로 동계에는 운휴했다. 1983년(쇼와 58년) "페리 겐카이"(675톤)가, 1987년(쇼와 62년) "페리 아즈사"(682톤)가 인통사-요부코 항로에 취항했다.

2. 3. 현대화 및 서비스 확장 (1989년 ~ 현재)

1989년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페리 "뉴 쓰시마"가 취항하여 "페리 쓰시마"의 운항을 종료했다. 1990년에는 고속선 "시 에이스"의 운항을 종료했다. 1991년 3월,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최초의 제트포일 "비너스"가 취항했다. 1994년 4월 1일에는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페리 "페리 지쿠시"가 취항하여 "페리 하카타"의 운항을 종료했다. 1998년, 고쿠라~히타카쓰 항로의 운항 경로를 하카타~히타카쓰로 변경했다. 2000년에는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에 제트포일 "비너스 2"가 취항했다. 2001년 11월 6일에는 제트포일 항로를 히타카쓰항까지 연장했다. 2003년,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 중, 페리의 심야 운항을 시작했다. 2006년 12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 인통사항 터미널 개축 공사로 인해, 이키 측의 발착항을 인통사항에서 고노우라항으로 일시 변경했다. 2007년 4월 1일, 인통사~요부코 항로의 운항 경로를 인통사~가라쓰(가라쓰 동항)로 변경하고, 동 항로에 페리 "에메랄드 가라쓰"가 취항했다. 같은 해 4월 3일에는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의 취항 선박을 "페리 아가타"에서 "페리 겐카이"로 변경했다. 2012년 3월 31일 "뉴 쓰시마"의 운항을 종료하고, 4월 1일 "페리 키즈나"가 취항하면서 하카타-이키-쓰시마 항로의 운임을 인하했다. 2018년 7월 23일, JR 규슈 고속선이 운항하는 후쿠오카-부산 항로의 고속선 비틀의 일부 좌석을 이용하여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에 쓰시마 혼승편 운항을 시작했다.[5][6] 2019년 3월 31일 가라쓰 동~인통사 항로의 페리 아즈사 운항을 종료하고, 4월 1일 동 항로에 다이아몬드 이키가 취항했다. 2021년 7월 1일[7],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의 취항 선박을 "페리 겐카이"에서 신조선[8] "페리 우미테라시[9]"로 변경했다.[10]

3. 주요 항로

하카타항에서 이키쓰시마로 가는 항로에는 페리제트포일을 운항하며, 가라쓰항에서 인도지 항로와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에는 페리를 각각 운항하고 있다.

규슈 유센은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 가라쓰 ~ 인도지 항로,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를 운항한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는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 (후쿠오카시)에서 출발하여 고노우라항 혹은 아시베항 (이키시)을 경유하여 이즈하라항 (쓰시마시)에 도착한다. 가라쓰 ~ 인도지 항로는 가라쓰항 (가라쓰시)에서 인도지항 (이키시)으로 운항한다.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는 하카타항 (후쿠오카시)에서 히타카쓰항 (쓰시마시 가미쓰시마정)으로 운항한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는 하카타 부두에서 출발하여 이키시의 고노우라항 또는 아시베항을 경유하여 쓰시마시의 이즈하라항으로 운항하며, 이키 왕복편과 하카타 - 쓰시마 간 직항편도 운항한다. 가라쓰 - 인통지 항로는 가라쓰 동항에서 이키시의 인통지항으로 운항한다.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는 하카타 부두에서 가미쓰시마마치의 히타카쓰항 국내선 터미널로 운항한다.

규슈 유센은 하카타와 이키, 쓰시마를 잇는 항로에 고속선(제트포일)을 운항하고 있다.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에서 출발하여 고노우라항 또는 아시베교항을 경유하여 이즈하라항으로 가는 노선을 운항한다. 하카타-이키-쓰시마 편 외에도 이키 왕복편과 하카타-쓰시마 간 직항편도 운항하고 있다. 이전에는 이즈하라항에서 히타카쓰항까지 연장 운행한 적도 있었다.

2018년 7월 23일부터는 JR 큐슈 고속선이 운항하는 후쿠오카-부산 항로의 고속선 비틀호의 일부 좌석을 이용하여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에 쓰시마 혼승편 운항을 시작했다.

운임에 대해서는 연료유 가격 변동 조정금 제도가 도입되어 있으며, 연료 가격의 시황 등을 경영적으로 판단하여 사전에 발표한 후 가산되는 경우가 있다.

3. 1. 페리

규슈 유센은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 가라쓰 ~ 인도지 항로,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를 운항한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는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 (후쿠오카시)에서 출발하여 고노우라항 혹은 아시베항 (이키시)을 경유하여 이즈하라항 (쓰시마시)에 도착한다. 가라쓰 ~ 인도지 항로는 가라쓰항 (가라쓰시)에서 인도지항 (이키시)으로 운항한다.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는 하카타항 (후쿠오카시)에서 히타카쓰항 (쓰시마시 가미쓰시마정)으로 운항한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는 하카타 부두에서 출발하여 이키시의 고노우라항 또는 아시베항을 경유하여 쓰시마시의 이즈하라항으로 운항하며, 이키 왕복편과 하카타 - 쓰시마 간 직항편도 운항한다. 가라쓰 - 인통지 항로는 가라쓰 동항에서 이키시의 인통지항으로 운항한다.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는 하카타 부두에서 가미쓰시마마치의 히타카쓰항 국내선 터미널로 운항한다.

3. 2. 고속선 (제트포일)

규슈 유센은 하카타와 이키, 쓰시마를 잇는 항로에 고속선(제트포일)을 운항하고 있다. 하카타항 베이사이드 플레이스 하카타 부두에서 출발하여 고노우라항 또는 아시베교항을 경유하여 이즈하라항으로 가는 노선을 운항한다. 하카타-이키-쓰시마 편 외에도 이키 왕복편과 하카타-쓰시마 간 직항편도 운항하고 있다. 이전에는 이즈하라항에서 히타카쓰항까지 연장 운행한 적도 있었다.

2018년 7월 23일부터는 JR 큐슈 고속선이 운항하는 후쿠오카-부산 항로의 고속선 비틀호의 일부 좌석을 이용하여 하카타-히타카쓰 항로에 쓰시마 혼승편 운항을 시작했다.

4. 보유 선박

규슈 유센은 페리 5종과 고속선 2종 등 총 7종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26] 페리의 도장은 오랫동안 선체 하부가 황록색, 선체 상부와 상부 구조가 흰색이었지만, "뉴 쓰시마" 이후에는 선체 전체가 흰색에, 하늘색(가라쓰-인통지 항로는 녹색)과 파란색 라인이 들어가 있다. 굴뚝과 마스트의 색상은 배에 따라 다르다.

페리 지쿠시


페리 기즈나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에는 '''페리 지쿠시'''와 '''페리 기즈나'''가 운항 중이다. 페리 지쿠시는 1994년에 준공되었으며[26], 여객 정원은 674명(다객 시에는 924명)이다. 우치미 조선에서 건조되었으며, 1등, 2등 지정(특2등), 2등 객실을 갖추고 있다. 과거에는 매점과 경식 코너가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고, 컵라면, 스낵 과자, 주스, 맥주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페리 기즈나는[11] 2012년에 준공 및 취항하였으며, 여객 정원은 최대 678명이다. 우스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1등, 2등 지정(특2등), 2등 객실을 갖추고 있다. 여객용 엘리베이터, 다목적 화장실, 휠체어용 객실 공간을 갖춘 배리어 프리 대책이 이루어졌다. 연료 소비량이 10% 감소되었고, 진동 대책으로 방진 고무, 냄새 대책으로 해수가 아닌 깨끗한 물을 사용한다. 핀 스태빌라이저를 장비하여 배의 흔들림을 줄이고, 바우 스러스터를 장비하여 선회 능력을 높였다.

다이아몬드 이키


가라쓰 - 인통지 항로에는 '''에메랄드 가라쓰'''와 '''다이아몬드 이키'''가 운항 중이다. 에메랄드 가라쓰는 2007년에 준공 및 취항하였으며, 여객 정원은 350명이다. 구마모토 도크에서 건조되었으며, 2등 객실만 운영하고 매점과 경식 코너는 없다. 가라쓰 항로의 신규 취항에 따라 취역했으며, 여객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등 배리어 프리 대응이 이루어졌다. 다이아몬드 이키는[12][13] 2019년 4월 1일에 취항하였으며, 여객 정원은 350명이다. 야마나카 조선에서 건조되었으며, 나가사키현의 낙도 지역 교류 촉진 기반 강화 사업으로 건조비가 보조되어 항로 운임이 인하되었다.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에는 '''우미테라시'''가 운항 중이다. 2021년 7월에 준공되었으며, 여객 정원은 174명이다. 우스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동요 경감 장치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소요 시간은 종전 5시간 50분에서 4시간 55분으로 단축되었다. "우미테라시"는 쓰시마를 대표하는 화목 히토쓰바타고의 별명이다.

규슈 유센은 페리 5종과 고속선 2종 등 총 7종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26] 고속선은 보잉 929 제트포일인 비너스와 비너스2가 운용된다. 선박 도색은 취역 당시부터 흰색 바탕에 빨간색 라인이다.

비너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에는 비너스와 비너스2가 운항된다.

  • '''비너스'''는 1991년에 준공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4일에 취항하였다.[26] 총 163톤, 전장 30.3m, 폭 8.5m, 출력 7,600마력, 항해 속력 약 40노트이다. 여객 정원은 257명이며, 가와사키 중공업 고베에서 건조되었다.

  • '''비너스2'''는 1985년에 준공되었으며, 2000년 4월 1일에 취항하였다.[26] 총 163톤, 전장 27.4m, 폭 8.5m, 출력 7,600마력, 항해 속력 약 40노트이다. 여객 정원은 257명이며, 보잉에서 건조되었다. 원래 간사이 기선 "제트 8", 사도 기선 "팔콘"을 거쳐 구입한 선박이다.

4. 1. 페리

규슈 유센은 페리 5종과 고속선 2종 등 총 7종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페리의 도장은 오랫동안 선체 하부가 황록색, 선체 상부와 상부 구조가 흰색이었지만, "뉴 쓰시마" 이후에는 선체 전체가 흰색에, 하늘색(가라쓰-인통지 항로는 녹색)과 파란색 라인이 들어가 있다. 굴뚝과 마스트의 색상은 배에 따라 다르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에는 '''페리 지쿠시'''와 '''페리 기즈나'''가 운항 중이다. 페리 지쿠시는 1994년에 준공되었으며[26], 여객 정원은 674명(다객 시에는 924명)이다. 우치미 조선에서 건조되었으며, 1등, 2등 지정(특2등), 2등 객실을 갖추고 있다. 과거에는 매점과 경식 코너가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고, 컵라면, 스낵 과자, 주스, 맥주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페리 기즈나는[11] 2012년에 준공 및 취항하였으며, 여객 정원은 최대 678명이다. 우스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1등, 2등 지정(특2등), 2등 객실을 갖추고 있다. 여객용 엘리베이터, 다목적 화장실, 휠체어용 객실 공간을 갖춘 배리어 프리 대책이 이루어졌다. 연료 소비량이 10% 감소되었고, 진동 대책으로 방진 고무, 냄새 대책으로 해수가 아닌 깨끗한 물을 사용한다. 핀 스태빌라이저를 장비하여 배의 흔들림을 줄이고, 바우 스러스터를 장비하여 선회 능력을 높였다.

|thumb|right|다이아몬드 이키]]

가라쓰 - 인통지 항로에는 '''에메랄드 가라쓰'''와 '''다이아몬드 이키'''가 운항 중이다. 에메랄드 가라쓰는 2007년에 준공 및 취항하였으며, 여객 정원은 350명이다. 구마모토 도크에서 건조되었으며, 2등 객실만 운영하고 매점과 경식 코너는 없다. 가라쓰 항로의 신규 취항에 따라 취역했으며, 여객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등 배리어 프리 대응이 이루어졌다. 다이아몬드 이키는[12][13] 2019년 4월 1일에 취항하였으며, 여객 정원은 350명이다. 야마나카 조선에서 건조되었으며, 나가사키현의 낙도 지역 교류 촉진 기반 강화 사업으로 건조비가 보조되어 항로 운임이 인하되었다.

하카타 - 히타카쓰 항로에는 '''우미테라시'''가 운항 중이다. 2021년 7월에 준공되었으며, 여객 정원은 174명이다. 우스키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동요 경감 장치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소요 시간은 종전 5시간 50분에서 4시간 55분으로 단축되었다. "우미테라시"는 쓰시마를 대표하는 화목 히토쓰바타고의 별명이다.

4. 2. 고속선 (제트포일)

규슈 유센은 페리 5종과 고속선 2종 등 총 7종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26] 고속선은 보잉 929 제트포일인 비너스와 비너스2가 운용된다. 선박 도색은 취역 당시부터 흰색 바탕에 빨간색 라인이다.

하카타 - 이키・쓰시마 항로에는 비너스와 비너스2가 운항된다.

  • '''비너스'''는 1991년에 준공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4일에 취항하였다.[26] 총 163톤, 전장 30.3m, 폭 8.5m, 출력 7,600마력, 항해 속력 약 40노트이다. 여객 정원은 257명이며, 가와사키 중공업 고베에서 건조되었다.

  • '''비너스2'''는 1985년에 준공되었으며, 2000년 4월 1일에 취항하였다.[26] 총 163톤, 전장 27.4m, 폭 8.5m, 출력 7,600마력, 항해 속력 약 40노트이다. 여객 정원은 257명이며, 보잉에서 건조되었다. 원래 간사이 기선 "제트 8", 사도 기선 "팔콘"을 거쳐 구입한 선박이다.

5. 우편 운송 사업

규슈 유센은 규슈 본섬과 이키섬, 쓰시마 양도 간의 우편 운송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우편차 사양(알루미늄 밴 타입)의 2t-4t 트럭을 보유하고 있다.[29]

하카타-이키-쓰시마(및 부산) 간은 육상 교통 기관이 없는 도서 항로이기 때문에, 개설 시부터 우편물 운송을 하고 있으며, 1949년 이전에는 정부에 의한 우편물 운송 명령서를 교부받아 국고 보조를 받아 운송 업무를 수행했다.[29] 같은 해 이후에는 우편물 운송 위탁법에 따른 운송 계약으로 이행하여, 1956년의 운송 요금 개정(여객 운임 환산 방식에서 화물 운송 원가 기준으로)을 거쳐 계속했다.[30]

국고 보조 항로의 경우, 우편물 수수를 하는 우체국과 선착장 간의 수송도 해운업자 측의 부담으로 되어 있어, 카 페리화 이전부터 수수국-발착항 간에는 우편차에 의한 접속 수송을 하고 있었다.[31] 카 페리화 이후에는 우편차를 이용하여 차량 항송을 실시하여, 적환을 생략하게 되었다. 규슈 본섬(후쿠오카현) 측에서는 후쿠오카시 히가시구의 신 후쿠오카 우체국(2007년 3월 이전에는 하카타 우체국이 수수국이었다)까지 자사 우편차를 투입하여 우편물의 수수를 하고, 해상 구간에서는 우편차를 그대로 자사의 페리 (하카타 발착 항로)로 항송한다. 이키에서는 고노우라 우체국에 우편차가 발착하며(동 우체국에서 이키 섬내의 다른 집배 우체국[32]으로의 逓送 업무에 대해서는 이키 교통이 실시하고 있다). 쓰시마에서는 섬내 집배국 간의 逓送 업무도 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3]

6. 사업소

규슈 유센은 본사를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가미야마치 1번 27호에 두고 있다. 나가사키현 이키시 고노우라정에 이키 지점,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즈하라정에 쓰시마 지점, 도쿄도 지요다구에 도쿄 사무소, 오사카시 후쿠시마구에 오사카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가미쓰시마정에는 히타카츠 출장소와 히타카츠 선박 정비장이 있으며,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히가시구에는 하코자키 선박 정비장이 있다. 하코자키 선박 정비장은 JR 큐슈 고속선의 제트포일 정비장과 인접해 있으며, 양사의 계류용 부잔교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九州郵船株式会社 第151期決算公告 https://catr.jp/comp[...]
[2] 웹사이트 歴史情報 http://www.iki-haku.[...]
[3] 문서 壹州(壱州、いしゅう)は「壱岐」のこと。
[4] 문서 對州(対州、たいしゅう)は「対馬」のこと。
[5] 웹사이트 九州郵船ウェブサイト http://www.kyu-you.c[...]
[6] 웹사이트 JR九州高速船ウェブサイト http://www.jrbeetle.[...]
[7] 뉴스 フェリーげんかいの代替船新装備で快適『フェリーうみてらし』進水式 対馬新聞 2021-02-26
[8] 뉴스 '『フェリーげんかい』の代替船 新船来年6月竣工へ' 対馬新聞 2020-09-04
[9] 뉴스 比田勝~博多航路の新船 船名『うみてらし』に決定 対馬新聞 2020-10-30
[10] 뉴스 比田勝~博多航路の新船 船名『うみてらし』に決定 対馬新聞 2020-10-30
[11] 웹사이트 新造船「フェリーきずな」の就航について http://www.pref.naga[...] 長崎県
[12] 뉴스 壱岐フェリー、来春から運賃2割安 新船就航で長崎県補助 佐賀新聞LiVE 2018-05-08
[13] 웹사이트 唐津航路新造船の船名について http://www.kyu-you.c[...] 九州郵船新着情報 2018-06-27
[14] 서적 世界の船 https://dl.ndl.go.jp[...] 朝日新聞社 2023-03-18
[15] 간행물 船の科学 1954年4月号 P.12 船舶技術協会 1954-04
[16] 간행물 船の科学 1955年3月号 P.10 船舶技術協会 1955-03
[17] 간행물 船の科学 1957年3月号 P.16 船舶技術協会 1957-03
[18] 간행물 船の科学 1960年1月号 P.54 船舶技術協会 1960-01
[19] 간행물 船の科学 1963年12月号 P.21 船舶技術協会 1963-12
[20] 서적 日本船舶名鑑 https://dl.ndl.go.jp[...] 日本船舶研究所 2023-03-18
[21] 서적 世界の艦船別冊 日本のカーフェリー -その揺籃から今日まで- 海人社 2009
[22] 서적 日本船舶明細書 日本海運集会所 1984
[23] 서적 全国フェリー・旅客船ガイド 1987年上期号 日刊海事通信社 1986
[24] 간행물 フィリピンで活躍する旧日本フェリー Part2 海人社 2016-12
[25] 서적 日本船舶明細書 日本海運集会所 1992
[26] 서적 フェリー・旅客船ガイド 2006年春季号 日刊海事通信社 2006
[27] 웹사이트 New Lomaiviti VIII Arriving Next Week, Two More To Come https://fijisun.com.[...] 2019-11-05
[28] 간행물 インドネシアで活躍する旧日本フェリー 海人社 2013-02
[29] 서적 続逓信事業史 第三巻 郵便 前島会 1960
[30] 서적 続逓信事業史 第三巻 郵便 前島会 1960
[31] 서적 目で見る壱岐の100年 郷土出版社 2002
[32] 문서 2007年10月から2012年9月までの間は、郷ノ浦郵便局も含め壱岐島内の旧集配郵便局の郵便部門はいずれも郵便事業新福岡支店所管の集配センターとなっていた。
[33] 문서 「海運・造船会社要覧2008」(日刊海事通信社)に、事業内容の一つとして「対馬島内郵便車事業」が記載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