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체 위의 매끄러운 준사영 스킴 사이의 고유 사상과 관련된 정리로, K이론과 저우 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 정리는 푸시포워드 사상과 천 특성 사이의 교환 법칙을 제공하며, 대수적 K-이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곡선 위의 벡터 다발, 매끄러운 사상, 닫힌 매입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 가능하며, 대수 곡선의 모듈라이 공간과 같은 모듈라이 공간의 준사영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기하학 정리 -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리만 곡면에서 인자의 차수, 유리형 함수 공간의 차원, 곡면의 종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서, 유리형 함수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대수기하학 정리 - 고다이라 매장 정리
    콤팩트 켈러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가 될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는 고다이라 매장 정리는 켈러 형식이 정수 코호몰로지에 속하는 켈러 다양체, 즉 호지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를 이룬다는 내용으로, 고다이라 구니히코가 1954년에 고다이라 소멸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했다.
  • 베른하르트 리만 - 리만 사상 정리
    리만 사상 정리는 복소해석학에서 단일 연결 열린 진부분집합 사이의 각도를 보존하는 정칙함수, 즉 등각 사상의 존재를 보장하는 중요한 정리이다.
  • 베른하르트 리만 -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리만 곡면에서 인자의 차수, 유리형 함수 공간의 차원, 곡면의 종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서, 유리형 함수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대수기하학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대수기하학 - 매끄러운 함수
    매끄러운 함수는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k번 미분 가능하고 그 미분 함수가 연속일 경우 Ck로 표기하며,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고, 곡선의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
요약
분야대수기하학
증명알렉산더 그로텐디크 (1957년)
관련 정리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
곡면의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

2. 정의

K 위의 두 준사영(quasiprojective) 매끄러운 스킴 X\to\operatorname{Spec}K, Y\to\operatorname{Spec}KK-스킴의 고유 사상 f\colon X\to Y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러한 데이터와 구조들을 바탕으로,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으로 표현된다.

:

\begin{matrix}

\operatorname K_0(X)&\xrightarrow{\operatorname{ch}}&\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xrightarrow{.\operatorname{Td}(X)}&\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scriptstyle f_!}\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f_*}&&\downarrow{\scriptstyle f_*}\\

\operatorname K_0(Y)&\xrightarrow[\operatorname{ch}]{}&\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xrightarrow[.\operatorname{Td}(Y)]{}&\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

\end{matrix}



여기서 왼쪽 정사각형은 일반적으로 가환하지 않지만, 큰 직사각형 전체는 가환 그림을 이룬다. 이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ch}(f_!(-)).\operatorname{Td}(Y)=f_*(\operatorname{ch}(-).\operatorname{Td}(X))

이 식에서 사용된 기호와 구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상세 설명' 섹션에 자세히 나와 있다.

X가 체 위에서 정의된 매끄러운 준사영 스킴일 때,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mathrm{ch} (f_{!}{\mathcal F}^\bull) \mathrm{td}(Y) = f_* (\mathrm{ch}({\mathcal F}^\bull) \mathrm{td}(X) ).

여기서 \mathrm{td}(X)X접다발의 토드 종수이다. 이 정리는 푸시포워드를 취하는 것과 체른 특성 사이의 교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정도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보정 인자가 XY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드 종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mathrm{ch}(f_{!}{\mathcal F}^\bull) = f_* (\mathrm{ch}({\mathcal F}^\bull) \mathrm{td}(T_f) ),

여기서 T_ff의 상대 접층이다. f매끄러운 사상인 경우, T_ff의 올을 따라가는 접다발을 나타내는 벡터 번들이다.

2. 1. 상세 설명

K 위의 준사영(quasiprojective) 매끄러운 스킴 X\to\operatorname{Spec}KY\to\operatorname{Spec}KK-스킴의 고유 사상 f\colon X\to Y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위에 다음과 같은 구조들을 정의할 수 있다.

  • X 또는 Y 위의 저우 환 \operatorname A(X), \operatorname A(Y) 및 유리수 계수를 취한 \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 저우 환 사이의 밂 사상 f_*\colon\operatorname A(X)\to\operatorname A(Y). 이는 귀진 사상의 일종이며, 올에 대한 적분에 해당한다. 유리수 계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귀진 사상 f_*\colon\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to\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가 존재한다.
  • 토드 특성류 \operatorname{Td}(X)\in\operatorname A(X)\otimes\mathbb Q, \operatorname{Td}(Y)\in\operatorname A(Y)\otimes\mathbb Q. 이는 X접다발천 특성류 \operatorname c(X)\in\operatorname A(X)의 성분들의 유리수 계수 선형 결합이다.
  • 천 지표 \operatorname{ch}\colon\operatorname K_0(X) \to\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천 특성류는 정수 계수 저우 환에 정의되지만, 천 지표를 정의하려면 유리수가 필요하다.)
  • X 또는 Y 위의 연접층들의 범주 \operatorname{Coh}(X), \operatorname{Coh}(Y)
  • X 위의 연접층의 f에 대한 상 f_*\colon\operatorname{Coh}(X)\to\operatorname{Coh}(Y). 이는 왼쪽 완전 함자이다.
  • X 위의 연접층의 f에 대한 상 f_*\colon\operatorname{Coh}(X)\to\operatorname{Coh}(Y)의 오른쪽 유도 함자 \operatorname R^\bullet f_*\colon\operatorname{Coh}(X)\to\operatorname{Coh}(Y).
  • X 위의 연접층들의 그로텐디크 군 \operatorname K_0(X). 이는 K이론에서 0차 K군이다.
  • 그로텐디크 군에서도 연접층의 상(의 유도 함자)를 정의할 수 있다. 즉, \operatorname R^\bullet f_*\colon\operatorname K_0(X)\to\operatorname K_0(Y).
  • 그로텐디크 군에서는 부호를 붙인 직합 f_!=\bigoplus_{i=0}^\infty(-1)^i\operatorname R^if_i\colon\operatorname K_0(X)\to\operatorname K_0(Y)를 정의할 수 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사상이 존재한다.

:

\begin{matrix}

\operatorname K_0(X)&\xrightarrow{\operatorname{ch}}&\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xrightarrow{.\operatorname{Td}(X)}&\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scriptstyle f_!}\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f_*}&&\downarrow{\scriptstyle f_*}\\

\operatorname K_0(Y)&\xrightarrow[\operatorname{ch}]{}&\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xrightarrow[.\operatorname{Td}(Y)]{}&\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

\end{matrix}



일반적으로 왼쪽 정사각형은 가환하지 않지만, 큰 직사각형 전체는 가환 그림을 이룬다. 이를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라고 한다. 이를 기호로 쓰면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ch}(f_!(-)).\operatorname{Td}(Y)=f_*(\operatorname{ch}(-).\operatorname{Td}(X))

X 위에서 정의된 매끄러운 준사영 스킴이라면, 코히어런트 층의 유계 복합체에 대한 그로텐디크 군 K_0(X)은 유한 계수 벡터 번들의 유계 복합체의 그로텐디크 군과 자연스럽게 동형이다. 이 동형을 사용하여, 체른 특성(체른 클래스의 유리수 조합)을 다음과 같은 함자적 변환으로 간주한다.

:\mathrm{ch} \colon K_0(X) \to A(X, \Q),

여기서 A_d(X,\Q)는 차원 dX에 대한 사이클의 차우 군을 유리 동치에 대해 모듈로 하고, 텐서 곱을 유리수와 취한 것이다. X복소수 위에서 정의된 경우, 후자의 군은 위상적 코호몰로지 군으로 매핑된다.

:H^{2\dim(X) - 2d}(X, \Q).

매끄러운 준사영 스킴 사이의 고유 사상 f \colon X \to YX 위의 층의 유계 복합체 {\mathcal F^\bull}을 고려하면,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푸시포워드 사상

:f_{!} = \sum (-1)^i R^i f_* \colon K_0(X) \to K_0(Y)

(고차 직상의 교대 합)과 푸시포워드

:f_* \colon A(X) \to A(Y),

를 다음 공식으로 관련시킨다.

: \mathrm{ch} (f_{!}{\mathcal F}^\bull) \mathrm{td}(Y) = f_* (\mathrm{ch}({\mathcal F}^\bull) \mathrm{td}(X) ).

여기서 \mathrm{td}(X)는 (X접다발)의 토드 종수이다. 따라서 이 정리는 푸시포워드를 취하는 것과 체른 특성 사이의 교환 법칙 미성립에 대한 정확한 척도를 제공하며, 필요한 보정 인자가 XY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드 종수는 함자적이고 완전열에 대해 곱셈적이므로, 그로텐디크-리만-로흐 공식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mathrm{ch}(f_{!}{\mathcal F}^\bull) = f_* (\mathrm{ch}({\mathcal F}^\bull) \mathrm{td}(T_f) ),

여기서 T_ff의 상대 접층으로, K_0(X)에서 TX - f^*(TY)로 정의된다. f매끄러운 사상인 경우, T_f는 단순히 벡터 번들이며, f의 올을 따라가는 접다발이라고 알려져 있다.

3. 공식

K 위의 준사영(quasiprojective) 매끄러운 스킴 X\to\operatorname{Spec}KY\to\operatorname{Spec}KK-스킴의 고유 사상 f\colon X\to Y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위에 다음과 같은 구조들을 정의한다.


  • X 또는 Y 위의 저우 환 \operatorname A(X), \operatorname A(Y) 및 유리수 계수를 취한 저우 환 \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 저우 환 사이의 밂 사상 f_*\colon\operatorname A(X)\to\operatorname A(Y) (이는 귀진 사상의 일종이며, 올에 대한 적분에 해당한다.) 및 유리수 계수의 경우의 귀진 사상 f_*\colon\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to\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
  • 토드 특성류 \operatorname{Td}(X)\in\operatorname A(X)\otimes\mathbb Q, \operatorname{Td}(Y)\in\operatorname A(Y)\otimes\mathbb Q (이는 X접다발천 특성류 \operatorname c(X)\in\operatorname A(X)의 성분들의 유리수 계수 선형 결합이다.)
  • 천 지표 \operatorname{ch}\colon\operatorname K_0(X) \to\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천 특성류는 정수 계수 저우 환에 정의되지만, 천 지표를 정의하려면 유리수가 필요하다.)
  • X 또는 Y 위의 연접층들의 범주 \operatorname{Coh}(X), \operatorname{Coh}(Y)
  • X 위의 연접층의 f에 대한 상 f_*\colon\operatorname{Coh}(X)\to\operatorname{Coh}(Y) (이는 왼쪽 완전 함자이다.)
  • X 위의 연접층의 f에 대한 상 f_*\colon\operatorname{Coh}(X)\to\operatorname{Coh}(Y)의 오른쪽 유도 함자 \operatorname R^\bullet f_*\colon\operatorname{Coh}(X)\to\operatorname{Coh}(Y)
  • X 위의 연접층들의 그로텐디크 군 \operatorname K_0(X) (이는 K이론에서 0차 K군이다.)
  • 그로텐디크 군에서의 연접층의 상(의 유도 함자) \operatorname R^\bullet f_*\colon\operatorname K_0(X)\to\operatorname K_0(Y)
  • 그로텐디크 군에서의 부호를 붙인 직합 f_!=\bigoplus_{i=0}^\infty(-1)^i\operatorname R^if_i\colon\operatorname K_0(X)\to\operatorname K_0(Y)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사상이 존재한다.

:

\begin{matrix}

\operatorname K_0(X)&\xrightarrow{\operatorname{ch}}&\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xrightarrow{.\operatorname{Td}(X)}&\operatorname A(X)\otimes_{\mathbb Z}\mathbb Q\\

{\scriptstyle f_!}\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f_*}&&\downarrow{\scriptstyle f_*}\\

\operatorname K_0(Y)&\xrightarrow[\operatorname{ch}]{}&\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xrightarrow[.\operatorname{Td}(Y)]{}&\operatorname A(Y)\otimes_{\mathbb Z}\mathbb Q

\end{matrix}



일반적으로 왼쪽 정사각형은 가환하지 않지만, 큰 직사각형 전체는 가환 그림을 이룬다. 이를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라고 한다. 이를 기호로 쓰면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ch}(f_!(-)).\operatorname{Td}(Y)=f_*(\operatorname{ch}(-).\operatorname{Td}(X))

X를 매끄러운 준사영 스킴이자 위에서 정의된 스킴이라고 하자. 이러한 가정 하에서, 코히어런트 층의 유계 복합체에 대한 그로텐디크 군 K_0(X)은 유한 계수 벡터 번들의 유계 복합체의 그로텐디크 군과 자연스럽게 동형이다. 이 동형을 사용하여, 체른 특성(체른 클래스의 유리수 조합)을 다음과 같은 함자적 변환으로 간주한다.

:\mathrm{ch} \colon K_0(X) \to A(X, \Q),

여기서 A_d(X,\Q)는 차원 dX에 대한 사이클의 차우 군을 유리 동치에 대해 모듈로 하고, 텐서 곱을 유리수와 취한 것이다. X복소수 위에서 정의된 경우, 후자의 군은 위상적 코호몰로지 군으로 매핑된다.

:H^{2\dim(X) - 2d}(X, \Q).

이제 매끄러운 준사영 스킴 사이의 고유 사상 f \colon X \to YX 위의 층의 유계 복합체 {\mathcal F^\bull}을 고려하자.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푸시포워드 사상

:f_{!} = \sum (-1)^i R^i f_* \colon K_0(X) \to K_0(Y)

(고차 직상의 교대 합)과 푸시포워드

:f_* \colon A(X) \to A(Y),

를 다음 공식으로 관련시킨다.

: \mathrm{ch} (f_{!}{\mathcal F}^\bull) \mathrm{td}(Y) = f_* (\mathrm{ch}({\mathcal F}^\bull) \mathrm{td}(X) ).

여기서 \mathrm{td}(X)는 (X접다발)의 토드 종수이다. 따라서 이 정리는 위와 같은 의미에서 푸시포워드를 취하는 것과 체른 특성 사이의 교환 법칙 미성립에 대한 정확한 척도를 제공하며, 필요한 보정 인자가 XY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토드 종수는 함자적이고 완전열에 대해 곱셈적이므로, 그로텐디크-리만-로흐 공식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mathrm{ch}(f_{!}{\mathcal F}^\bull) = f_* (\mathrm{ch}({\mathcal F}^\bull) \mathrm{td}(T_f) ),

여기서 T_ff의 상대 접층으로, K_0(X)에서 TX - f^*(TY)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f매끄러운 사상인 경우, T_f는 단순히 벡터 번들이며, f의 올을 따라가는 접다발이라고 알려져 있다.

4. 역사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1956년경 장피에르 세르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정리를 증명하였다. 그로텐디크는 1957년에 이 정리에 대해 강의하였으나 출판하지는 않았다. 장피에르 세르아르망 보렐은 그로텐디크의 증명을 정리하여 1958년에 출판하였다.[10]

그로텐디크의 접근 방식은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가진다. 첫째, 그는 이 정리가 다양체에 대한 정리로 이해되던 것을 다양체 간의 사상에 대한 정리로 보아 진술 자체를 변경했다. 올바른 일반화를 찾음으로써 증명은 더 간단해졌고 결론은 더 일반적이 되었다. 요컨대, 그는 어려운 수학적 분석 문제에 강력한 범주론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또한, K-군을 도입하여 대수적 K-이론의 길을 열었다.

5. 일반화 및 확장

''A''1-호모토피 이론을 사용하여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두 매끄러운 스킴 사이의 고유 사상인 경우로 확장되었다.

정리의 일반화는 \mathrm{ch}(-)\mathrm{td}(X)의 적절한 일반화를 고려하여 비매끄러운 경우로, 컴팩트 지지 코호몰로지를 고려하여 비고유한 경우로 확장할 수 있다.

산술 리만-로흐 정리는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를 산술 스킴으로 확장한다.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는 (본질적으로) ''Y''가 점이고 체가 복소수 체인 특수한 경우이다.

이반 파닌(Ivan Panin)과 알렉산더 스미르노프(Alexander Smirnov)는 방향성을 가진 코호몰로지 이론에 대한 리만-로흐 정리의 버전을 증명했다.[4] 이는 대수적 코보디즘과 같은 대수적 방향성을 가진 코호몰로지 이론 사이의 곱셈 연산과 관련이 있다.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이 결과의 특수한 경우이며, 이 설정에서 천 특성이 자연스럽게 나타난다.[5]

6. 예시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는 ''Y''가 점이고 체가 복소수 체인 특수한 경우이다.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의 상대적 버전으로 해석할 수 있다.

6. 1. 곡선 위의 벡터 다발

매끄러운 사영 곡선 C 위의 랭크 n 및 차수 d벡터 다발 E \to C (행렬식의 차수로 정의되거나, 동등하게 첫 번째 천 특성류의 차수로 정의됨)는 리만-로흐 정리와 유사한 공식을 가진다. 만약 X = CY = \{*\}를 한 점으로 둔다면, 그로텐디크-리만-로흐 공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begin{align}

\mathrm{ch}(f_{!}E) &= h^0(C,E) - h^1(C,E) \\

f_*(\mathrm{ch}(E)\mathrm{td}(X))&= f_*((n + c_1(E))(1 + (1/2)c_1(T_C))) \\

&= f_*(n + c_1(E) + (n/2)c_1(T_C)) \\

&= f_*(c_1(E) + (n/2)c_1(T_C)) \\

&= d + n(1-g);

\end{align}

따라서,

:\chi(C,E) = d + n(1-g).[6]

이 공식은 랭크 n 및 차수 d의 코히어런트 층에도 적용된다.

6. 2. 매끄러운 고유 사상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의 상대적 버전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사상 f\colon X \to Y는 모두 동일 차원(그리고 \Complex로 기저 변환 시 위상 공간으로 동형)인 올을 갖는다. 이 사실은 매끄러운 고유 공간을 매개변수화하는 모듈라이 공간 \mathcal{M}을 고려할 때 모듈라이 이론에서 유용하다. 데이비드 머포드는 이 공식을 사용하여 대수 곡선의 모듈라이 공간의 차우 환의 관계를 추론했다.[7]

6. 2. 1. 곡선의 모듈라이 공간

종수 g인 곡선(표시된 점 없음)의 모듈 스택 \overline{\mathcal{M}}_g에 대해, \overline{\mathcal{C}}_g = \overline{\mathcal{M}}_{g,1}이고, \overline{\mathcal{C}}_g \to \overline{\mathcal{M}}_g는 종수 g인 곡선과 한 개의 표시된 점을 가진 모듈 스택인 보편 곡선 \pi\colon\overline{\mathcal{C}}_g \to \overline{\mathcal{M}}_g이다. 여기서 '''타우톨로지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begin{align}

K_{\overline{\mathcal{C}}_g/\overline{\mathcal{M}}_g} &= c_1(\omega_{\overline{\mathcal{C}}_g/\overline{\mathcal{M}}_g})\\

\kappa_l &= \pi_*(K^{l+1}_{\overline{\mathcal{C}}_g/\overline{\mathcal{M}}_g}) \\

\mathbb{E} &= \pi_*(\omega_{\overline{\mathcal{C}}_g/\overline{\mathcal{M}}_g}) \\

\lambda_l &= c_l(\mathbb{E})

\end{align}

여기서 1 \leq l \leq g이고 \omega_{\overline{\mathcal{C}}_g/\overline{\mathcal{M}}_g}는 상대적인 이중화 묶음이다. [C] \in \overline{\mathcal{M}}_g 점에서의 \omega_{\overline{\mathcal{C}}_g/\overline{\mathcal{M}}_g}의 올은 이중화 묶음 \omega_C이다. \lambda_i\kappa_i 사이의 관계를 찾아,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를 사용하여 매끄러운 자취의 차우 환 A^*(\mathcal{M}_g) 상에서 \kappa_i의 합으로 \lambda_i를 나타낼 수 있었다([7] 보조정리 6.2). \overline{\mathcal{M}}_g가 매끄러운 델리뉴-멈포드 스택이므로, 어떤 유한군 G에 대해 \overline{\mathcal{M}}_g = [\tilde{\mathcal{M}}_g/G]를 나타내는 스킴 \tilde{\mathcal{M}}_g \to \overline{\mathcal{M}}_g에 의한 덮개를 고려했다. \omega_{\tilde{\mathcal{C}}_g/\tilde{\mathcal{M}}_g}에 대한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을 얻었다.

:\mathrm{ch}(\pi_!(\omega_{\tilde{\mathcal{C}}/\tilde{\mathcal{M}}})) = \pi_*(\mathrm{ch}(\omega_{\tilde{\mathcal{C}}/ \tilde{\mathcal{M}}}) \mathrm{Td}^\vee(\Omega^1_{\tilde{\mathcal{C}}/\tilde{\mathcal{M}}}))

왜냐하면

:\mathbf{R}^1\pi_!({\omega _}_{g}/{\tilde {\mathcal {M}}}_{g}}}) \cong \mathcal{O}_{\tilde{M}},

이므로, 다음 공식을 얻는다.

:\mathrm{ch}(\mathbb{E}) = 1 + \pi_*(\text{ch}(\omega_{\tilde{\mathcal{C}}/\tilde{\mathcal{M}}}) \text{Td}^\vee (\Omega^1_{\tilde{\mathcal{C}}/\tilde{\mathcal{M}}})).

\mathrm{ch}(\mathbb{E})의 계산은 더욱 줄일 수 있다. 짝수 차원 2k에서,

:\text{ch}(\mathbb{E})_{2k} = 0.

또한, 차원 1에서

:\lambda_1 = c_1(\mathbb{E}) = \frac{1}{12}(\kappa_1 + \delta),

여기서 \delta는 경계에 대한 클래스이다. g=2 및 매끄러운 자취 \mathcal{M}_g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begin{align}

\lambda_1 &= \frac{1}{12}\kappa_1 \\

\lambda_2 &= \frac{\lambda_1^2}{2} = \frac{\kappa_1^2}{288}

\end{align}

이는 \mathbb{E}의 체른 지수를 분석하여 추론할 수 있다.

6. 3. 닫힌 매입

폐포 매입 f\colon Y \to X는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 공식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이 공식이 성립하는 또 다른 자명하지 않은 경우를 보여준다.[8] 차원이 n인 매끄러운 다양체 X와 코드 차원이 k인 부분 다양체 Y에 대해,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c_k(\mathcal{O}_Y) = (-1)^{k-1}(k-1)![Y]

다음 짧은 완전열을 사용한다.

:0 \to \mathcal{I}_Y \to \mathcal{O}_X \to \mathcal{O}_Y \to 0

1 = c(\mathcal{O}_X) = c(\mathcal{O}_Y)c(\mathcal{I}_Y)이므로, 아이디얼 묶음에 대해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c_k(\mathcal{I}_Y) = (-1)^k(k-1)![Y]

7. 응용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표지된 대수 곡선의 모듈 공간과 같은 거친 모듈 공간이 사영 공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준사영 다양체가 된다.[9]

7. 1. 모듈라이 공간의 준사영성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는 거친 표지된 대수 곡선의 모듈 공간 M_{g,n}과 같은 거친 모듈 공간 M이 사영 공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준사영 다양체가 된다.[9] 이는 M에서 정식으로 연관된 층을 살펴보고 관련된 선다발의 차수를 연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_{g,n}에는 곡선족

:\pi\colon C_{g,n} \to M_{g,n}

과 표지된 점에 해당하는 단면

:s_i\colon M_{g,n} \to C_{g,n}

이 있다. 각 올은 정규 번들 \omega_{C}을 가지므로, 다음과 같은 관련 선다발이 존재한다.

:\Lambda_{g,n}(\pi) = \det(\mathbf{R}\pi_*(\omega_{C_{g,n}/M_{g,n}}))

그리고

:\chi_{g,n}^{(i)} = s_i^*(\omega_{C_{g,n}/M_{g,n}}) .

다음이 밝혀졌다.

:\Lambda_{g,n}(\pi) \otimes \left(\bigotimes_{i=1}^n \chi_{g,n}^{(i)}\right)

은 충분한 선다발[9]이므로 거친 모듈 공간 M_{g,n}은 준사영이다.

참조

[1] 간행물 Classes de faisceaux et théorème de Riemann–Roch Springer-Verlag 1957
[2] 논문 Le théorème de Riemann-Roch http://www.numdam.or[...]
[3] 간행물 SGA 6 Springer-Verlag 1971
[4] 웹사이트 Push-forwards in oriented cohomology theories of algebraic varieties http://www.math.uiuc[...]
[5] 서적 Algebraic cobordism http://www.uni-due.d[...] Springer
[6] 서적 Moduli of curves
[7] 서적 Arithmetic and Geometry
[8] 서적 Intersection Theory
[9] 논문 The projectivity of the moduli space of stable curves, III: The line bundles on M_{g,n}, and a proof of the projectivity of \bar{M}_{g,n} in characteristic 0. https://www.mscand.d[...] 1983-12-01
[10] 저널 Le théorème de Riemann–Roch (d’après des résultats inédits de A. Grothendieck) http://www.numdam.or[...] 19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