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루지옹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루지옹츠는 비스와 강 동쪽에 위치한 폴란드의 도시이다. 1234년 튜턴 기사단에 의해 요새화되었고, 1291년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이후 폴란드와 프로이센의 지배를 받았다. 1920년 폴란드에 재편입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전후 폴란드에 편입되었다. 현재 인구는 95,045명이며, 교육 기관과 스포츠 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프로이센 - 토룬
    토룬은 폴란드 비스와 강 중류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 기사단에 의해 건설되어 한자 동맹으로 번성했으며 코페르니쿠스 출생지이자 중세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문화 중심 도시이다.
  • 서프로이센 - 푸츠크
    푸츠크는 폴란드 북부 포모제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 튜튼 기사단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나 폴란드 왕국 복귀 후 포메른 보이보드십의 중심지이자 폴란드 해군 기지로 발전했으며, 폴란드의 바다 결혼식이 거행된 해양 관광 중심지이다.
  • 쿠야비포모제주의 도시 - 토룬
    토룬은 폴란드 비스와 강 중류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 기사단에 의해 건설되어 한자 동맹으로 번성했으며 코페르니쿠스 출생지이자 중세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문화 중심 도시이다.
  • 쿠야비포모제주의 도시 - 비드고슈치
    비드고슈치는 폴란드 북부 브다 강변에 위치한 내륙 수운 요충지로, 폴란드 왕국 중요 도시였으나 프로이센 지배와 독일 점령기 학살을 겪고 폴란드로 반환되어 현재 쿠야비-포메라니아 주 주지사 소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그루지옹츠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Grudziądz 깃발
깃발
Grudziądz 문장
문장
모토Grudziądz – Miasto Otwarte (그루지옹츠 – 열린 도시)
라틴어 이름Graudentum, Graudentium
독일어 이름Graudenz (그라우덴츠)
별칭グルジョンツ (구루존츠), 그라우덴츠
위치폴란드
행정 구역
국가폴란드
쿠야비-포모제주
시군
정치
시장Maciej Glamowski (마체이 글라모프스키)
역사
최초 언급1065년 4월 11일
도시 권리 획득1291년 6월 18일
지리
면적57.76 km2
고도50 m
인구
총 인구 (2021년 12월 31일)92,552명 (40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CET (+1)
하계 시간 (DST)CEST (+2)
기타 정보
우편 번호86–300 ~ 86–311
지역 번호+48 056
자동차 번호판CG
고속도로[[File:A1-PL.svg|32px|link=A1 autostrada (Poland)]] [[File:S5-PL.svg|32px|link=Expressway S5 (Poland)]]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도시 전경
도시 전경 및 그루지옹츠 곡물 창고
시장 광장
시청
물의 문
구 베네딕트 수도원

2. 지리적 위치

그루지옹츠는 비스와 강의 동쪽 강둑 근처에 위치한다.[2] 슈체치에서 북동쪽으로 약 22km, 그단스크에서 남쪽으로 93km, 칼리닌그라드에서 남서쪽으로 170km 떨어져 있다. 헬므노 땅에 위치해 있다.

3. 역사

그루지옹츠 지역의 정주 흔적은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Grudenc"라는 이름은 1222년 문헌에서 처음 확인된다. 1225년 또는 1226년, 마조프셰 공작 콘라트 1세는 프로이센 부족의 공격에 맞서기 위해 헤움노 땅(Kulmerland)을 독일 기사단에 할양하였다. 기사단은 1231년 건설을 시작했고, 1291년에는 쿨름법에 따른 도시법을 인정받았다. 14세기 동안 그루지옹츠는 곡물 유통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1440년 프로이센 동맹에 참여했으며, 십삼년 전쟁 이후 제2차 토룬 조약에 따라 왕령 프로이센의 일부가 되었다. 1522년에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화폐 제도에 관한 강연을 하기도 했다. 16세기에는 수공업과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17세기 북방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고 1655년에는 스웨덴에 점령당했다가 1659년 폴란드가 탈환했지만 도시는 크게 파괴되었다.

1772년 폴란드 제1분할로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고, 프리드리히 2세는 이곳에 거대한 요새를 건설했다. 이후 서프로이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철도 건설과 함께 제철, 기계, 자동차, 섬유 등 공업이 급속히 발전하여 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며(1880년 17,321명에서 1905년 35,958명), 1900년에는 독립시(kreisfreie Stadt|크라이스프라이에 슈타트de)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1920년, 그루지옹츠는 폴란드 제2공화국 영토가 되어 포모제 주에 편입되었다. 당시 독일계 주민이 다수였던 것으로 여겨지나 주민 투표는 실시되지 않았다. 이 시기 그루지옹츠는 폴란드의 문화 및 교육 중심지이자 주요 군사 기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

1939년 9월 3일, 나치 독일폴란드 침공으로 점령되어 단치히-서프로이센 제국 관구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2월부터 3월까지 소련군과의 격렬한 전투 끝에 도시의 약 60%가 파괴되었으며, 전쟁 후 다시 폴란드 영토가 되었다. 이후 독일계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3. 1. 초기 중세 폴란드

그루지옹츠는 피아스트 왕조의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1세 용감한 자[3]에 의해 건설되었다.

초기 그루지옹츠는 '고르드'(Gord)라고 불리는 방어 요새였으며, 이 요새와 탑은 폴란드인들을 발트 해 연안의 프로이센인들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워졌다.[4] 정주 흔적은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Grudenc"라는 이름은 1222년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

3. 2. 튜턴 기사단 국가

1225년 혹은 1226년, 마조프셰 공작 콘라트 1세는 프로이센 부족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튜턴 기사단에게 그루지옹츠를 포함한 헤움노 땅을 할양하였다. 1231년, 튜턴 기사단은 이곳에 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성벽의 일부만 남아있다. 1234년부터 기사단은 기존 정착지를 다시 요새화하였고, 13세기 중반경에는 석재를 이용한 본격적인 성 건설이 시작되었다. 성의 보호 아래 정착지는 점차 도시의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

1277년에는 "성과 도시"가 요트빙인족에게 심하게 포위당하는 위기를 겪기도 했다. 튜턴 기사단의 수도원 국가 통치 하에 있던 1291년, 이 정착지는 쿨름법에 따른 도시법(Kulmer Recht)을 부여받으며 공식적인 도시로 인정받았다.[4] 이후 몇 년에 걸쳐 시벽이 건설되었다.

도시의 발전과 함께 주요 건물들도 들어섰다. 가톨릭 성 니콜라스 교회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13세기 말에 지어졌다. 13세기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령 교회는 1345년 도시 병원과 함께 처음 문헌에 언급된다. 14세기에는 이미 도시 기반 시설이 상당히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기록들이 있다. 예를 들어 1380년 문서에는 수도교, 분수, 시청 지하실 건설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14세기 동안 그루지옹츠는 특히 곡물 유통의 중심지로 번성하며 첫 번째 황금기를 맞이했다. 또한 섬유를 포함한 농산물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시기 교황의 판결은 이 도시와 지역을 폴란드에 반환하도록 명령했지만, 튜턴 기사단은 이를 따르지 않고 계속 점령 상태를 유지했다.[5] 1454년경 그루지옹츠는 단치히(Gdańsk), 엘블롱크(Elbląg), 토룬(Toruń), 말보르크(Malbork), 헤움노(Chełmno), 호이니체(Chojnice), 노베 미아스토 루바프스키에(Nowe Miasto Lubawskie), 스타로가르트 그단스키(Starogard Gdański) 등 튜턴 기사단 국가 서부의 다른 주요 도시들과 비슷한 수준의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3. 3. 폴란드 왕국

그루지옹츠의 수문과 성벽, 14세기/15세기


1440년, 그루지옹츠는 튜턴 기사단 국가에 맞서 프로이센 동맹을 공동으로 창설했다. 십삼년 전쟁(1454-1466)이 시작되자 시민들은 튜턴 기사단에게 성을 넘겨줄 것을 강요했다. 동맹은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에게 폴란드 편입을 요청했고, 국왕은 이를 받아들여 1454년 3월 크라쿠프에서 합병 문서에 서명했다.[6] 전쟁 중 도시 내부에 기사단 지지 세력이 일부 있었으나, 도시와 성은 폴란드의 통제하에 유지되었다. 1466년 토룬 2차 조약으로 그루지옹츠의 폴란드 복귀가 확정되었다.[7]

1454년부터 1772년까지 그루지옹츠는 폴란드 헬름노 주에 속했으며, 1466년부터는 폴란드 왕국령 프로이센 지역의 일부였고, 이후 더 큰 대폴란드 주에 편입되었다. 그루지옹츠 성은 지역 스타로스타(왕실 행정관)의 소재지였으며, 폴란드 국왕들이 자주 방문했다.

십삼년 전쟁으로 인한 침체 이후, 16세기 중반까지 경제 성장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17세기에는 종교 갈등과 폴란드-스웨덴 전쟁으로 경제 발전이 어려움을 겪었다.

그루지옹츠 시청, 예수회 대학 건물


1522년, 천문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그루지옹츠에서 그의 논문 ''Monetae cudendae ratio''를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는 원리, 즉 오늘날 그레샴의 법칙(또는 그레샴-코페르니쿠스 법칙)으로 알려진 개념을 제시했으며, 경제학의 중요 개념인 화폐수량설의 초기 형태를 담고 있다.[8]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1569년 지역 프로테스탄트에게 성령 교회 사용이 허용되었고, 1572년경에는 도시 내 가톨릭 세력이 크게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597년 지기스문트 3세 바사 국왕은 프로테스탄트가 사용하던 교회들을 가톨릭에 반환하도록 명령했다. 프로테스탄트들은 성 조지 교회만 유지했으나, 이마저도 1618년 비스와 강의 범람으로 파괴되었다. 이후 잠시 성령 교회를 다시 사용했지만, 1624년 이 건물은 베네딕토 수도회 수녀들의 기관 설립을 위해 넘겨졌다.

1622년부터 토루니 출신의 예수회 회원들이 그루지옹츠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640년에는 거주지를 마련할 정도로 세력을 키웠으나 도시 행정관의 반대에 직면하기도 했다. 1648년에는 예수회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예수회는 그루지옹츠 최초의 고등학교인 예수회 대학을 설립하기도 했다.[9]

1655년 스웨덴군의 그루지옹츠 포위 공격


1655년 말 스웨덴 대홍수 시기에는 스웨덴군에게 점령되어 4년간 지배를 받았다. 1659년, 폴란드군의 포위 공격 끝에 스웨덴군은 후퇴했으나, 철수 과정에서 도시 일부가 화재로 소실되었다.

18세기 그루지옹츠 성


도시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나, 비스와 강 쪽으로는 성벽 대신 거대한 곡물 저장고들이 늘어서 있었으며, 이곳에서 나무 관을 통해 강둑으로 곡물을 운반했다.[10]

3. 4. 프로이센 분할 통치

프로이센 당국에 의해 파괴된 후 그루지옹츠 성의 마지막으로 남은 부분인 클리멕 탑의 19세기 모습


1772년 폴란드 제1분할 이후 그루지옹츠는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다. 당시 도시 인구는 2,172명에 불과했다. 이 시기 그루지옹츠는 폴란드 분할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 속했다.[11]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2세는 도시 무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44가구의 독일 이주민을 이주시켰고, 곡물 무역이 번성했다.[12] 그러나 프리드리히 2세는 폴란드 국가와 민족에 대해 강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으며,[16][17] 폴란드인을 동화시키기 위한 독일화 정책을 강압적으로 추진했다.[16][17] 그는 독일과 프리지아 출신 노동자와 농민들이 자신의 문명 건설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 이들을 데려왔고,[18] 프로이센 동부 지방에 약 30만 명의 독일 이주민을 정착시켰다. 국고를 이용해 독일 장인들을 폴란드 도시 곳곳에 배치하기도 했다.[19]

1776년, 프리드리히 2세는 그루지옹츠에 요새 건설을 결정했다. 이후 1796년부터 1804년까지 프로이센 국왕의 결정에 따라 기존의 그루지옹츠 성은 철거되었다. 1806년에서 1807년 사이 나폴레옹 전쟁 중 프로이센 침공 당시, 이 요새는 빌헬름 르네 드 롬 드 쿠르비에르 보병대장의 지휘 아래 프랑스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13]

프로이센 통치 하에서 폴란드인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다. 그루지옹츠는 폴란드 활동가들을 수감하는 군사 감옥으로 이용되었다. 1832년에는 11월 봉기에 참여했던 폴란드 반란군 249명이 프로이센군에 의해 현지 요새에 수감되어 강제 노역, 영양실조, 구타, 모욕 등에 시달렸다.[14] 석방된 수감자 중 일부는 유럽을 떠나 대이주 운동에 참여했으며, 1835년 영국 포츠머스에서 그루마다 그루지옹츠를 결성하기도 했다.[15] 1832년 이후 프로이센은 두 번째 독일계 이주민 정착 정책을 추진했으며,[20] 폴란드 거주 지역의 독일화를 목표로 하는 법률들이 통과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프로이센 정착위원회는 15만 4천 명의 이주민을 정착시켰다. 역사가 마틴 키친(Martin Kitchen)은 폴란드인 거주 지역에서 폴란드어 사용 금지, 종교적 차별과 더불어 독일인 이주를 통한 식민화 시도가 있었으며, 이는 사실상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었다고 지적했다.[21] 당시 그루지옹츠군(Landkreis Graudenz)에는 약 16,850명의 폴란드인과 약 26,000명의 독일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2]

1871년, 그루지옹츠는 통일된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행정적으로는 서프로이센 주의 마리엔베르더 행정구에 속하게 되었다. 독일의 철도망 개선으로 곡물 무역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은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1878년 야브워노보 포모르스키에와 라스코비체로 가는 철도가 개통되고 비스와강 철교가 건설되면서 그루지옹츠는 빠르게 산업 도시로 성장했다. 1883년에는 토룬-그루지옹츠-말보르크 철도 노선도 개통되었다. 1899년에는 그루지옹츠 상공회의소가 설립되었고, 독일 제국 해군은 도시 이름을 딴 경순양함급과 주력함 SMS 그라우덴츠를 명명했다. 1826년 창간된 신문 ''Der Gesellige''는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독일 동부에서 널리 읽히는 신문 중 하나였다. 20세기 초 그루지옹츠는 여러 학교와 시립 기록 보관소, 박물관을 갖춘 독일 동부의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1914년에서 1918년 사이의 도시 전경


이러한 독일화 정책에 맞서 폴란드인들의 저항 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23] 1894년, 폴란드 활동가들은 "가제타 그루지옹츠카(Gazeta Grudziądzka)" 신문을 발간하기 시작했다. 이 신문은 농촌 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해방을 지지하고 독일화 정책에 반대하며 독일 당국을 비판하는 기사를 실었다. 독일 당국이 편집자 비크토르 쿨레르스키(Wiktor Kulerski)를 탄압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신문의 판매 부수를 늘리는 결과를 낳았다.[33] 1898년부터 1901년까지는 폴란드 독립을 목표로 하는 폴란드 학생들의 비밀결사가 활동했지만, 1901년 독일 법원의 탄압으로 좌절되었다.[24] 독일 당국은 독일화 조치의 일환으로 현지 요새에 군대를 주둔시켰는데, 특히 폴란드인에 대해 강한 민족주의적 편견을 가진 군인들을 배치했다.[25] 또한 인구 구성을 바꾸기 위해 더 많은 독일 군인, 상인, 공무원들을 이주시켰다.[26]

1910년 독일 제국이 실시한 인구 조사에서는 그루지옹츠 도시 인구의 84%, 군 전체 인구의 58%가 독일인으로 기록되었다.[27] 그러나 이 인구 조사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비판이 제기된다. 역사가들은 조사 결과가 상당히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데, 인구 조사원(주로 교사)에게 공식적인 압력이 가해졌을 수 있으며, 독일어와 폴란드어를 모두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를 독일인으로 분류하는 새로운 범주를 만들어 결과를 왜곡했을 가능성이 지적된다.[28] 일부 분석가들은 이중 언어자로 등록된 모든 사람이 독일인으로 분류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9]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당시 그루지옹츠의 폴란드인 비율은 공식 통계(약 12~15%)보다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시기, 폴란드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30][31] 1912년 독일 총선거에서 독일 국민자유당 후보가 전체 투표의 53%를 얻었지만, 폴란드인 후보도 2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같은 해, 비크토르 쿨레르스키는 현지 폴란드인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폴란드 가톨릭 농민당(Polish Catholic Peasant Party)을 창당했다.[32] 1913년에는 폴란드어 신문 "가제타 그루지옹츠카"의 발행 부수가 12만 8천 부에 달해, 당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발행 부수가 많은 폴란드어 신문이 되었다.[33]

3. 5. 양차 세계 대전 사이의 폴란드

1920년 1월 23일, 베르사유 조약의 규정에 따라 그루지옹츠(Grudziądz)는 다시 폴란드식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부활한 폴란드 제2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 주민 대다수는 독일인이었다. 새로 임명된 폴란드 시장 요제프 블로덱(Józef Włodek)은 도시에 대해 "현대적이지만 불행히도 완전히 독일식"이라고 평가했다.[34]

시장 광장의 타운하우스


1926년부터 1934년 사이, 독일인 인구는 1910년 34,194명에서 3,542명에서 3,875명 사이로 감소했다.[35] 일부 폴란드 저술가들은 이러한 독일인 이주가 주로 경제적 이유와 폴란드 국가 체제 하에서 살기를 꺼렸던 독일 소수 민족의 의지 부족 때문이었다고 설명한다.[36] 독일 작가 크리스티안 라이트츠 폰 프렌츠(Christian Raitz von Frentz)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정부가 수십 년간 진행된 체계적인 독일화 정책을 되돌리려 했다고 언급했다.[37] 과거 독일의 가혹한 통치와 폴란드인에 대한 차별에서 비롯된 편견과 갈등은 새로 독립한 폴란드 국가의 소수 민족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38]

폴란드 당국은 "명백히 반독일적인" 서부 국경 방위 연합(Związek Obrony Kresów Zachodnich)과 같은 대중 조직의 지지를 받으며 폴란드화를 추진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시행했다.[39] 지역 언론 역시 독일인들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1928년 그루지옹츠의 도시 풍경


도시의 재독일화를 우려한 폴란드 신문 "Słowo Pomorskie"(1923년 9월 23일 자)는 그루지옹츠 당국이 지역 독일 아마추어 극장인 "Deutsche Bühne"를 용인하는 것을 비판했다. 이 극장은 베를린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었으며,[40] 전쟁 전에 설립되어 배우 대부분이 지역 주둔지의 독일 장교들이었다.[41] 이에 시장은 해당 극장이 의심스러운 "반국가 활동"으로 인해 감시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코토브스키(Kotowski)에 따르면, 이는 독일 소수 민족의 사소한 활동조차 초기부터 폴란드 당국의 면밀한 감시 대상이었음을 보여준다.[42]

전간기 그루지옹츠는 폴란드군의 주요 주둔지 중 하나이자 중요한 문화 및 교육 중심지였다. 도시 안팎에는 여러 군사 학교가 위치했으며, 포메라니아 세무서와 포메라니아 산업무역회의소 같은 중요 기관이 자리 잡아 전간기 포메라니아 주의 경제 수도 역할을 하는 데 기여했다. 그루지옹츠의 경제적 잠재력은 1925년 폴란드 제2공화국 대통령 스타니스와프 보이치호프스키(Stanisław Wojciechowski)가 공식 개막한 제1회 포메라니아 농업 및 산업 박람회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유명한 그루지옹츠 곡물 창고


19년의 전간기 동안 제64 및 제65 보병 연대, 제16 경포병 연대가 그루지옹츠에 주둔했다. 이 부대들은 본부를 도시에 둔 제16 보병 사단의 일부였으며, 유명한 기병 부대인 제18 포메라니아 울란 연대도 이곳에 주둔했다. 그루지옹츠 기병 훈련 센터는 훗날 폴란드 저항 영웅이 되는 비토르트 필레츠키(Witold Pilecki)를 포함한 많은 저명한 군 지휘관을 배출했다. 또한 헌병 센터, 사격 및 폭격 항공 학교, 보병 예비 장교생도 과정을 제공하는 하사관 전문 학교 등에서도 군사 교육이 이루어졌다.

1920년에는 독일어 학교가 설립되었다.[66] 1931년, 폴란드 정부는 이 학교의 독일어 수업 시수를 줄이고, 독일화의 피해자로 간주되는 폴란드식 이름을 가진 가톨릭 학생 명단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명단은 제출되지 않았지만 일부 학생이 전학 조치되었고, 이는 학교 파업으로 이어졌다.[45] 이 독일 학교는 독일의 사상과 관습을 따랐으며,[46] 나치 이념을 칭송했던 나치 동조자 힐겐도르프(Hilgendorf)가 교장을 맡았다.[47] 한 여학생의 노트에서 나치 당가인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Horst Wessel Lied)와 수정주의적 내용의 글이 발견되자 폴란드 당국은 경악했다. 이 사건은 분노를 일으켰고, 분리주의적 신념을 가진 힐겐도르프의 해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48] 1933년 11월, 지역 선거 운동 중 폴란드 군중에 의해 독일인 장인 두 명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66]

3. 6.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그루지옹츠 주민들이 나치 독일군을 환영하는 모습.


1939년 9월 3일, 나치 독일폴란드 침공 과정에서 베어마흐트 부대가 그루지옹츠 전투 이후 도시에 진입하여 점령했다. 1939년 10월 26일부터 1945년까지 이 도시는 새롭게 설치된 단치히-서프로이센 가우의 마리엔베르더 행정구에 속하게 되었다.

독일 침공 직후, 아인자츠콤만도 16과 아인자츠그루펜 IV 및 V가 도시에 들어와 폴란드 주민들에 대한 범죄를 저질렀다.[49] 이들은 폴란드 법원, 단체, 경찰서 등을 대대적으로 수색하며 막대한 양의 곡물, 직물, 커피, 장비, 심지어 집비둘기까지 약탈했다.[49] 9월 7일에는 사제, 교사 등 지역 사회의 존경받는 폴란드 시민 25명이 인질로 잡혔다.[51] 독일 당국은 폴란드 침공 당시 폴란드 측에 구금되었던 도시의 민족 독일인들에게 해가 가해질 경우 이들을 처형하겠다고 위협했다. 독일계 소수 민족 구성원들이 돌아오면서 인질들은 잠시 석방되었으나, 곧 다시 체포되어 대부분 총살당했다.[50] 9월 9일에는 추가로 85명의 폴란드인이 독일군에 의해 투옥되었다.[51] 독일 당국은 도시의 폴란드 독립 기념비를 파괴했으며,[52] 폴란드 사제들이 미사 중에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53]

유대인 공동체에 대한 탄압도 즉각적으로 시작되었다. 9월 4일, 아인자츠그루펜 V는 14시간 안에 600명에 달하는 도시의 모든 유대인 명단과 그들의 재산 목록 제출을 요구했으며, 2만 즐로티의 벌금을 부과했다.[54] 9월 6일에는 도시 전역에 유대인과 1, 2등급 혼혈인(소위 ''미슐링'')들에게 아인자츠그루펜 V 본부(현지 학교에 설치됨)로 모이라는 포스터가 붙었다. 약 100명이 이 명령에 따라 모였고, 즉시 체포되어 재산을 빼앗긴 뒤 알 수 없는 곳으로 끌려가 사라졌다. 이들은 쿠야비포모제주 므니셰크-그루파 숲에서 독일군에게 처형된 것으로 추정된다.[55][56]

10월 19일, 나치당의 가우라이터(지역 책임자) 알베르트 포스터가 도시를 방문했다. 그는 ''폴크스도이체''들에게 한 공개 연설에서 이 지역을 "100% 독일화"할 것이며, 폴란드인들은 "여기에 아무런 관련이 없고 쫓겨나야 한다"고 공언하며 노골적인 민족 청소 의지를 드러냈다.[57]

점령 기간 동안 그루지옹츠에는 슈투트호프 강제수용소의 부속 수용소인 그라우덴츠 강제 수용소가 운영되었다.

1945년 2월 9일, 적군(붉은 군대)이 도시를 포위했고, 격렬한 전투 끝에 3월 6일 독일 수비대가 항복했다. 이 전투로 인해 시가지의 약 60%가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전쟁 후 그루지옹츠는 다시 폴란드 영토가 되었으며, 남아있던 독일계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3. 7. 전후 폴란드

1983년 그루지옹츠 시장 광장


1945년 격렬한 전투로 도시의 60% 이상이 파괴되었다. 소련군 소령 레프 코펠레프(Lev Kopelev)는 이 전투에 참전했으며, 그의 저서 "영원히 간직해야 할 것들"(Aufbewahren für alle Zeit|아우프베바렌 퓌어 알레 차이트de)에서 독일 수비대의 최종 항복 과정을 다루었다. 그는 1945년 3월 적군자유 독일을 위한 국가 위원회(NKFD) 회원들이 함께 벌인 심리전에 대해 서술했다.

전쟁이 끝난 후 포츠담 협정에 따라 도시의 독일인 주민들은 독일로 탈출하거나 추방되었다.[66] 도시는 소련이 합병한 커존 라인 동쪽 폴란드 지역에서 이주해 온 폴란드인들의 새로운 보금자리가 되었다.

4. 인구

2018년 기준 인구는 95,045명이었다.

5. 교육

그루지옹츠 기술 고등학교와 천문대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대학교
  • 그루지옹츠 고등 교육 기관(Grudziądzka Szkoła Wyższa|그루지옹츠카 스코와 비슈샤pol)

6. 스포츠

그루지옹츠에는 두 개의 프로 스포츠 팀이 있다. 가장 많은 팬을 보유한 팀은 인기 있는 모터사이클 스피드웨이 팀인 GKM 그루지옹츠이다. 이 팀은 그루지옹츠 스피드웨이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르며, 폴란드 최상위 리그인 엑스트랄리가에 참가한다. 반면 지역 축구 팀인 올림피아 그루지옹츠는 팬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2022년 기준으로 하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올림피아 그루지옹츠는 육상유도 부문을 포함한 다종목 스포츠 클럽이기도 하다.[67]

7. 유명 인물


  • 피오트르 그루지옹츠키 (1400년경~1480년경), 작곡가
  • 요한 슈토베우스 (1580~1646), 작곡가
  • 알프레트 볼 (1863~1946), 독일 화학자
  • 알렉산더 포흘만 (1865~1952), 정치인
  • 막스 빈클러 (1875~1961), 그라우덴츠 시장
  • 에른스트 하르트 (1876~1947), 작가
  • 발데마르 코파멜 (1880~1934), 잠수함 함장
  • 레오 화이트 (1882~1948), 무대 배우
  • 알폰스 호프만 (1895~1963), 폴란드 엔지니어
  • 볼레슬와프 올린스키 (1899~1992), 폴란드 비행사 및 시험 조종사
  • 쿠르트 바이어 (1901~1991), 제독
  • 에리히 비테 (1911~2008), 무대 배우, 오페라 테너 및 오페라 감독
  • 안토니 초르테크 (1915~2003), 폴란드 권투 챔피언
  • 헨리크 사비스토프스키 (1925~1984), 런던 시티 앤 길드 칼리지 학장
  • 발데마르 바자노프스키 (1935~2011), 올림픽 역도 금메달리스트
  • 슈테파니아 토치스카 (1943년생), 메조소프라노
  •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1951~1981), 1980년 하계 올림픽 3000m 장애물 경주 올림픽 챔피언
  • 마테우시 소칼슈추크 (1985년생), 플래시 게임 개발자, 그 도시를 배경으로 한 게임 Waterworks!의 제작자
  • 크시슈토프 부치코프스키 (1986년생), 모터사이클 스피드웨이 선수
  • 피오트르 야노프스키, 바이올리니스트

8. 자매 도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체르냐호프스크와의 자매 도시 관계는 중단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09
[2] 웹사이트 Grudziądz Poland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05
[3] 서적 Wielka encyklopedia polski: Tom 1 Fogra
[4] 웹사이트 Grudziądz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3-05-08
[5] 웹사이트 wojny polsko-krzyżackie https://encyklopedia[...] 2024-04-19
[6] 서적 Związek Pruski i poddanie się Prus Polsce: zbiór tekstów źródłowych Instytut Zachodni
[7] 서적
[8] 서적 The World of Copernicus
[9] 서적 Zabytkowe ratusze MUZA SA
[10] 서적 Vollständige Topographie des Königreichs Preußen https://archive.org/[...] Marienwerder
[11] 웹사이트 Partitions of Poland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17
[12] 서적 Zwischen polnischer Ständegesellschaft und preußischem Obrigkeitsstaat https://books.google[...] Oldenbourg
[13] 서적 Feste Graudienz 1807 unter Gouverneur de Courbiere - Geschichte der Blockade und Belagerung https://kpbc.umk.pl/[...] Verlag Arnold Kriedte 1907
[14] 서적 Na tułaczym szlaku... Powstańcy Listopadowi na Pomorzu Muzeum w Koszalinie, Archiwum Państwowe w Koszalinie
[15]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16] 서적 Frederick the Great: A Historical Profi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Zwischen polnischer Ständegesellschaft und preußischem Obrigkeitsstaat https://books.google[...] Oldenbourg
[18] 서적 Frederick the Great: A Historical Profi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서적 Fryderyk II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20] 서적 Wielka historia Polski t. 4 Polska w czasach walk o niepodległość (1815–1864). Od niewoli do niepodległości (1864–1918)
[21]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1800–2000 Wiley-Blackwel
[22] 웹사이트 Deutsche Verwaltungsgeschichte Provinz Westpreußen, Stadt- und Landkreis Graudenz http://www.verwaltun[...]
[23] 서적 Kraj a emigracja. Ruch ludowy wobec wychodźstwa chłopskiego do krajów Ameryki Łacińskiej (do 1939 roku) Muzeum Historii Polskiego Ruchu Ludowego
[24] 서적 Filomaci Pomorscy: tajne związki młodzieży polskiej na Pomorzu Gdańskim w latach 1830–1920 Polska Akademia Nauk, Instytut Historii Nauki, Oświaty i techniki, Zakład Dziejów Oświaty
[25] 서적 Studia i materiały do dziejów Wielkopolski i Pomorza, Tom 18 Polskie Towarzystwo Historyczne. Oddział w Poznaniu,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26] 서적 Historia Polski 1795–1918 Wydawnictwo Literackie
[27] 서적 Gemeindelexikon für die Regierungsbezirke Allenstein, Danzig, Marienwerder, Posen, Bromberg und Oppeln Königlich Preußisches Statistisches Landesamt
[28] 서적 Neither German nor Pole: Catholicism and National Indifference in a Central European Borderlan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9] 서적 National Identity and Weimar Germany: Upper Silesia and the Eastern Border, 1918–1922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0] 간행물 Przegląd zachodni, Tom 34 Instytut Zachodni
[31] 서적 Życie kulturalno-literackie Grudziądza w latach 1918–1939 Gdańskie Towarzystwo Naukowe
[32] 서적 Dzieje Wielkopolski: Lata 1793–1918 Wydawn. Poznańskie
[33] 서적 Kraj a emigracja. Ruch ludowy wobec wychodźstwa chłopskiego do krajów Ameryki Łacińskiej (do 1939 roku) Muzeum Historii Polskiego Ruchu Ludowego
[34] 서적 Als der Osten noch Heimat war Rowohlt
[35] 서적 Polens Politik gegenüber seiner deutschen Minderheit 1919–1939 https://books.google[...] Forschungsstelle Ostmitteleuropa, University of Dortmund
[36] 서적 Niemiecka mniejszość narodowa w Polsce w latach 1919-1939 Wydawnictwo Państwowej Wyższej Szkoły Zawodowej, Studia Lubuskie
[37] 서적 A Lesson Forgotten: Minority Protection Under the League of Nations: The Case of the German Minority in Poland, 1920-193 LIT Verlag Berlin-Hamburg-Münster
[38] 서적 Polens Politik gegenüber seiner deutschen Minderheit 1919–1939
[39] 서적 Polens Politik gegenüber seiner deutschen Minderheit, 1919–1939 Studien der Forschungsstelle Ostmitteleuropa an der Universität Dortmund
[40] 서적 Mniejszość niemiecka na Pomorzu w okresie międzywojennym UAM
[41] 서적 Historia Pomorza: 1850–1918, pt. 2. Polityka i kultura
[42] 서적 Polens Politik gegenüber seiner deutschen Minderheit, 1919–1939 Studien der Forschungsstelle Ostmitteleuropa an der Universität Dortmund
[43] 간행물 Pamiętnik teatralny Państwowy Instytut Sztuki (Poland), Instytut Sztuki (Polska Akademia Nauk)
[44] 간행물 Rocznik Gdański Gdańskie Towarzystwo Naukowe. Wydział I Nauk Społecznych i Humanistycznych
[45] 서적 Volk, Staat, Gott, Die deutsche Minderheit in Polen und ihr Schulwesen 1918–1939 https://books.google[...] Nordost Institut, University of Hamburg 2020-10-02
[46] 서적 Mniejszość niemiecka na Pomorzu w okresie międzywojennym UAM
[47] 서적 Mniejszości narodowe i wyznaniowe na Pomorzu w XIX i XX wieku:zbiór studiów Uniwersytet Mikołaja Kopernika
[48] 서적 Volk, Staat, Gott!«Die deutsche Minderheit in Polen und ihr Schulwesen 1918–1939
[49]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nstytut Pamięci Narodowej
[50] 서적 Eksterminacja inteligencji polskiej na Pomorzu Gdańskim (wrzesień – grudzień 1939) Instytut Zachodni
[51]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52] 서적 Grudziądz. Kronika miasta. wydawnictwo Regnum
[53] 간행물 Niektóre problemy okupacji hitlerowskiej w Grudziądzu (1939–1945)
[54] 서적 Einsatzgruppen w Polsce Bellona
[55] 간행물 Niektóre problemy okupacji hitlerowskiej w Grudziądzu
[56] 서적 Eksterminacja inteligencji polskiej na Pomorzu Gdańskim
[57] 서적 Grudziądz. Kronika miasta. wydawnictwo Regnum
[58] 간행물 Niektóre problemy okupacji hitlerowskiej w Grudziądzu
[59] 서적 Martyrologia grudziądzan podczas okupacji hitlerowskiej. Wydawnictwo Komitetu Ochrony Pamięci Walk i Męczeństwa w Grudziądzu
[60] 서적 Był rok 1939
[61] 서적 Martyrologia grudziądzan podczas okupacji hitlerowskiej.
[62] 서적 Eksterminacja ludności polskiej w pierwszych miesiącach okupacji (wrzesień − grudzień 1939) w: Stutthof: hitlerowski obóz koncentracyjny. Interpress
[63] 서적 Był rok 1939
[64] 서적 Martyrologia grudziądzan podczas okupacji hitlerowskiej
[65] 서적 Grudziądz. Kronika miasta. wydawnictwo Regnum
[66] 서적 Als der Osten noch Heimat war Rowohlt
[67] 웹사이트 Oficjalna Strona GKS Olimpia Grudziądz https://gksolimpiagr[...] 2023-03-12
[68]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