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K5는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중형 세단으로, 2010년 1세대 모델 출시 이후 현재 3세대 모델까지 판매되고 있다. 1세대는 로체의 후속으로 현대 쏘나타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다. 2세대는 듀얼 디자인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췄으며,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도 출시되었다. 3세대는 디자인 혁신을 통해 중형차 시장에서 판매 1위를 기록했으며, 현재까지 K5라는 이름으로 해외 시장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10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7 아우디 A7은 아우디 A6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매끈한 루프 라인을 가진 4도어 쿠페 스타일 스포츠백으로, 메르세데스-벤츠 CLS 클래스, BMW 6 시리즈 그란 쿠페와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고성능 모델을 갖추고 2세대부터는 아우디 최초로 무빙 라이트가 적용되었으며 중국 시장에는 롱 휠베이스 세단형 A7L도 출시되었다.
2010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아마록 폭스바겐 아마록은 폭스바겐에서 생산하는 중형 픽업트럭으로, 2010년부터 생산된 1세대 모델은 다양한 엔진과 구동 시스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22년부터 생산되는 2세대 모델은 포드 레인저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안전성과 파워트레인이 향상되었다.
스포츠 세단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스포츠 세단 - 현대 아반떼 현대 아반떼는 1990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승용차로, 국내에서는 아반떼, 해외에서는 엘란트라 또는 란트라로 판매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차체 형태를 갖춘 베스트셀러 모델이지만 일부 세대에서는 품질 논란이 있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 BMW X5 BMW X5는 BMW가 1999년에 출시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고성능 버전인 X5 M도 존재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2.0L 세타 LPI, 2.0L/2.4L 세타 II MPI/GDI 엔진과 6단 수동/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유럽 시장에는 1.7L U II 엔진도 적용되었다. 2011년에는 2.0L 세타 II GDI 터보, 2.0L 누우 LPI 엔진이 추가되고, 2.4L 세타 II MPI 엔진이 대체되었다. 2012년에는 2.0L 누우 MPI CVVL 엔진,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적용되었다.
2011년5월에는 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함께 K5 하이브리드가 출시되었다. 누우 2.0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하여 21km/L의 연비를 달성했다.
2013년6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K5가 출시되었다. LED 포그램프, 킥 업 타입 트렁크 리드 등이 적용되었고, 현빈이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2013년12월에는 K5 하이브리드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K5 하이브리드 500h가 출시되었으며, 2015년12월 2세대 K5 하이브리드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기아 K5 정측면
기아 K5 후측면
2012년 기아 옵티마 하이브리드 (미국)
2013년 기아 옵티마 하이브리드 (스웨덴)
2. 1. K5 (2010년 4월~2013년 6월)
2010년4월 29일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공개와 함께 출시되었다. 로체의 후속 차종으로, 현대 쏘나타(YF)와 플랫폼을 공유한다. 엔진은 2.0L 세타 LPI 엔진, 2.0L 세타 Ⅱ MPI 엔진, 2.4L 세타 Ⅱ GDI 엔진이 적용되었다. 변속기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전륜형 6단 수동변속기 혹은 6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한다. 차명인 K5는 기아자동차(Kia)와 대한민국(Korea), 강력함, 지배, 통치 등의 뜻을 지닌 그리스어 Kratos, 활동적인, 동적인이라는 뜻을 지닌 영어 Kinetic의 앞 단어인 K에 중형급을 의미하는 숫자 5를 결합한 것으로, K7에 이어 두 번째로 K를 쓴 차종이다. 대한민국 외에 중국에서는 K5라는 차명을 사용하였으나, 그 외의 모든 국가에서는 옵티마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다. 피터 슈라이어가 디자인에 관여한 K5는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송 디자인 분야에서 수상작 중 하나로 선정되었고,[72]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송 디자인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받는 등[73] 큰 호평을 받았다.
2011년7월 19일에는 2.0L 세타 Ⅱ GDI 터보 엔진과 2.0L 누우 LPI 엔진이 추가되어 기존의 2.4L 세타 Ⅱ MPI 엔진과 2.0L 세타 LPI 엔진을 대체한 2012년형이 출시되었다. 유럽에서 판매되는 사양에는 1.7L U Ⅱ 엔진도 있다. 2.0L 누우 LPI 엔진에서 RPM만 올라가고 속도는 제대로 올라가지 않는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해서 2012년1월에 기아자동차는 해당 차량에 대해 무상 수리를 해주겠다고 발표하기도 하였다.[74] 같은 해 2월 13일에는 2.0L 누우 MPI CVVL 엔진,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등이 신규 적용된 2013년형이 출시되었다.
2. 1. 1. 라인업
2.0L LPI(장애인용)
K5 2.0L LPI(렌터카, 택시)
K5 2.0L 가솔린
K5 2.0L 가솔린 터보
K5 2.4L 가솔린
K5
럭셔리 프레스티지
스마트 디럭스 럭셔리 프레스티지
스마트 스마트 스페셜 디럭스 트렌디 럭셔리 프레스티지 프레스티지 브라운 프레스티지 에코 플러스 노블레스
2011년형 기아 K5 하이브리드는 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파워트레인을 공유하며, 2.4리터 MPI 엔진, 6단 자동변속기, 30kW 전기 모터, 경량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탑재하여 완전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했다.[21] 최대 100kph까지 전기 모드로 주행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22]
2010년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2011년 6월 미국 시장에 출시되어 첫 달 524대가 판매되었다.[19] 2011년 12월까지 미국 시장에서 총 19,672대가 판매되어 토요타 프리우스에 이어 하이브리드 판매량 2위를 기록했다.[20]
외관은 하이브리드 전용 배지, 휠 디자인, 약 약 2.54cm 낮아진 차고, 라이트 플래티넘 그래파이트 색상 등이 특징이다. 또한, 상부 그릴 뒤에 액티브 셔터 시스템을 적용하여 공기역학을 개선하고 엔진 예열을 돕는다.[24]
2011년 9월, K5 하이브리드는 미국 48개 주를 7,899마일 주행하며 평균 64.55마일/갤런의 연비를 기록, "하이브리드 가솔린 차량의 최소 연료 소비량"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다.[25][26]
2013년 12월에 K5 하이브리드 500h가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기존 K5 하이브리드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500h라는 서브 네임이 추가되었다.[1] 2015년 12월에 2세대 K5 하이브리드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2. 4. 1. 라인업
2.0L 가솔린+전기
럭셔리 프레스티지 노블레스
모델
생산 기간
변속기
출력 (PS)
토크 (kgm)
0–100 km/h (공식)
최고 속도 (km/h)
가솔린
2.0L Nu MPi
2013–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65 @ 6500 rpm 172 @ 6700 rpm
20 @ 4800 rpm 20.5 @ 4800 rpm
9.8 (수동) 10.6 (자동)
210 (수동) 208 (자동)
2.0L Nu MPi HEV
2011–2015
6단 자동
190 @ 5500 rpm
9.4
192
2.0L Theta II MPi
2010–2013
6단 수동 6단 자동
165 @ 6200 rpm
20.2 @ 4600 rpm
9.8 (수동) 10.9 (자동)
210 (수동) 202 (자동)
2.0L Theta II GDi 터보
2011–2015
6단 자동
271 @ 6000 rpm
37.2 @ 1750-4500 rpm
6.8
해당사항 없음
2.4L Theta II MPi
2010–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80 @ 6000 rpm
23.6 @ 4000 rpm
9.1 (수동) 9.5 (자동)
210
2.4L Theta II GDi
2010–2015
6단 자동
201 @ 6300 rpm
25.5 @ 4250 rpm
9.0
210
LPG
2.0L Nu LPi
2011–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57 @ 6200 rpm
20 @ 4200 rpm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0L Theta II LPi
2010–2011
6단 수동 6단 자동
144 @ 6000 rpm
19.3 @ 4250 rpm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디젤
1.7L U II CRDi
2010–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36 @ 4000 rpm
33.1 @ 2000–2500 rpm
10.3 (수동) 11.6 (자동)
202 (수동) 197 (자동)
2. 4. 2. 제원
(0–62 mph) (공식)
최고 속도
가솔린
2.0L Nu MPi
2013–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65PS @ 6500 rpm 172PS @ 6700 rpm
20kgm @ 4800 rpm 20.5kgm @ 4800 rpm
9.8초 (수동) 10.6초 (자동)
210km/h (수동) 208km/h (자동)
2.0L Nu MPi HEV
2011–2015
6단 자동
190PS @ 5500 rpm
9.4초
192km/h
2.0L Theta II MPi
2010–2013
6단 수동 6단 자동
165PS @ 6200 rpm
20.2kgm @ 4600 rpm
9.8초 (수동) 10.9초 (자동)
210km/h (수동) 202km/h (자동)
2.0L Theta II GDi 터보
2011–2015
6단 자동
271PS @ 6000 rpm
37.2kgm @ 1750-4500 rpm
6.8초
2.4L Theta II MPi
2010–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80PS @ 6000 rpm
23.6kgm @ 4000 rpm
9.1초 (수동) 9.5초 (자동)
210km/h
2.4L Theta II GDi
6단 자동
201PS @ 6300 rpm
25.5kgm @ 4250 rpm
9.0초
210km/h
LPG
2.0L Nu LPi
2011–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57PS @ 6200 rpm
20kgm @ 4200 rpm
2.0L Theta II LPi
2010–2011
6단 수동 6단 자동
144PS @ 6000 rpm
19.3kgm @ 4250 rpm
디젤
1.7L U II CRDi
2010–2015
6단 수동 6단 자동
136PS @ 4000 rpm
33.1kgm @ 2000–2500 rpm
10.3초 (수동) 11.6초 (자동)
202km/h (수동) 197km/h (자동)
구분
K5 하이브리드 500h 2.0L 누우 MPI
전장 (mm)
4845mm
전폭 (mm)
1835mm
전고 (mm)
1455mm
축거 (mm)
2795mm
윤거 (전, mm)
1601mm(R16) 1595mm(R17)
윤거 (후, mm)
1601mm(R16) 1595mm(R17)
승차 정원
5명
변속기
자동 6단
서스펜션 (전/후)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
전륜 구동
엔진 형식
G4NE
연료
가솔린+전기
배기량 (cc)
1,999
최고 출력 (ps/rpm)
150/6,000
최대 토크 (kg*m/rpm)
18.3/5,000
모터 최고 출력 (kW/rpm)
35
연료 탱크 용량 (L)
65
요소수 탱크 용량 (L)
-
공차 중량 (kg)
1,570(자동 6단)
연비 (km/L)
도심 16.2/고속 17.5/복합 16.8(자동 6단)
Co2 배출량 (g/km)
100(자동 6단)
3. 2세대 (JF, 2015년 7월~2021년 10월)
2세대 K5는 2015년7월 15일에 출시되었으며, 현대 쏘나타(LF)와 플랫폼을 공유한다. 같은 해 4월에 열린 서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1세대 K5의 디자인 정체성을 계승하여, 과감하고 스포티한 SX(Sporty Extreme)와 모던하고 세련된 MX(Modern Extreme)의 듀얼 디자인을 선보였다. 고객은 추가 비용 없이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었다.
2세대 K5는 5가지 엔진 라인업(1.6L 가솔린 터보, 1.7L 디젤, 2.0L 가솔린, 2.0L 가솔린 터보, 2.0L LPI)을 제공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초고장력 강판 사용 비율을 51%로 높이고, 7개의 에어백, 차체 통합 제어 장치, 후방 주차 보조 장치,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 급제동 경보 장치 등을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했다. 또한, 휴대폰 무선 충전 시스템,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 조수석 워크인 스위치 등 새로운 편의 사양도 추가되었다.
2015년10월에는 북아메리카와 중국에도 출시되었다. 북아메리카 모델에는 하만카돈 10 스피커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미국 NBA 농구 선수 블레이크 그리핀이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중국 모델은 SX 범퍼에 안개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16년2월에는 K5 스포츠 왜건이 공개되었으나, 현재까지 해외에서만 판매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6월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전시되었다. 같은 해 7월 12일에 출시된 2017년형 모델에는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시그니처 트림과 스포티함을 강조한 GT라인 트림이 추가되었고,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과 T맵&미러 링크가 적용되었다.
2015년12월에 출시된 K5 하이브리드는 외장형 액티브 에어 플립과 관성 주행 안내 기능이 적용되었다. 2016년7월에 출시된 K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9.8kWh 배터리와 50kW 모터를 탑재하여 최대 44km를 전기 모터로만 주행할 수 있었다.
2018년1월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K5가 출시되었다. 더 뉴 K5는 듀얼 디자인을 단일화하고, 고속도로 주행보조, 카카오 i 음성인식 시스템을 적용했다. 2019년 LPG차 법규 개정으로 2.0 DOHC LPG 모델이 민수용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1.7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단종되었다.
2세대 K5 LPG 택시는 2021년에 단종되었으며, 니로 플러스, EV6, 스포티지 2.0 LPG 모델이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2018년5월에 출시된 더 뉴 K5 하이브리드는 배터리 용량이 증대되었다.
3. 1. K5 (2015년 7월~2018년 1월)
4세대 K5(JF)는 2015년 4월 제10회 서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같은 해 7월 15일에 대한민국 시장에 정식 출시되었다.[28] 이 모델은 현대 쏘나타 (LF)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피터 슈라이어 기아 디자인 총괄 책임자가 디자인을 맡았다.
K5는 '두 개의 얼굴'이라는 콘셉트를 바탕으로, 모던(MX, Modern Extreme)과 스포티(SX, Sporty Extreme)의 두 가지 디자인으로 출시되었다. 1.6L 가솔린 터보, 1.7L 디젤, 2.0L 가솔린, 2.0L 가솔린 터보, 2.0L LPI 등 총 5가지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다.[28]
2016년 시카고 오토쇼에서 K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공개되었다. 현대 쏘나타 PHEV와 파워트레인을 공유하며, 9.8 kWh 배터리를 장착해 최대 약 43.45km(약 43km)를 전기로만 주행 가능하다. 공기역학 계수는 0.24Cd로 테슬라 모델 S와 같으며, 고속 및 저속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액티브 그릴이 적용되어 공기 저항을 줄였다.[31] 50kW 전동기와 2.0리터 "Nu" 4기통 GDI 엔진, 6단 자동 변속기가 탑재되었다.[32] 2017년 1월 미국에서 40대가 판매되었다.[33]
3. 3. 1. 라인업
구분
K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0L 가솔린+전기
K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노블레스 스페셜
기아 옵티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2016년 시카고 오토쇼에서 공개되었다. 현대 쏘나타 PHEV와 파워트레인을 공유하며, 형제 모델과 마찬가지로 9.8 kWh 배터리 팩을 탑재하여 약 43.45km의 전기 주행 거리를 제공한다. 옵티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공기역학 계수가 0.24Cd로 전기 자동차 테슬라 모델 S와 동등한 수준이며, 고속 및 저속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액티브 그릴을 갖추고 있어 공기역학 계수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3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50 kW 전동기와 2.0리터 "Nu" 4기통 GDI 엔진을 탑재하고, 6단 자동 변속기와 결합된다.[32]
2016년 시카고 오토쇼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공개되었다.[31] 기아 옵티마 PHEV는 현대 쏘나타 PHEV와 파워트레인을 공유하며, 9.8 kWh 배터리 팩을 탑재하여 약 43.45km의 전기 주행 거리를 제공한다. 공기역학 계수는 0.24Cd로 전기 자동차 테슬라 모델 S와 동등한 수준이다. 고속 및 저속에서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액티브 그릴을 갖추고 있어 공기역학 계수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31] 50kW 전동기와 2.0리터 "Nu" 4기통 GDI 엔진을 탑재하고, 6단 자동 변속기와 결합된다.[32]
3. 4. 더 뉴 K5 (2018년 1월~2021년 10월)
제네바 모터쇼 2018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페이스리프트된 기아 K5가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8년 1월에 출시되었다.
더 뉴 K5는 기존 SX, MX 2가지 디자인 대신 단일 디자인으로 출시되었다. 고속도로 주행보조, 카카오 i 음성인식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2019년 LPG차 법규 개정으로 2.0 DOHC LPG 모델이 민수용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1.7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단종되었다. 2세대 K5 LPG 택시는 2021년 단종되었으며, 니로 플러스, EV6, 스포티지 2.0 LPG 모델이 대체하고 있다.
3세대 K5는 2019년11월에 공개되어 12월 12일에 출시되었다. 디자인에 대한 호평으로 판매량이 크게 늘어 중형차 시장에서 쏘나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46] 기아의 내수 및 수출형 모델 명칭 통합 전략에 따라 해외 시장에서도 K5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46] 북미 등 일부 시장에서만 판매되고 유럽 및 우핸들 국가에서는 판매되지 않는다.
택시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으나,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을 구입하여 LPG 택시로 개조하거나 LPG 자가용 모델을 택시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2023년10월 25일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K5가 출시되었다. 더 뉴 K5는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주간주행등,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크렐 프리미엄 카스테레오 시스템 등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이 적용되었다.[77][78]
2024년11월 4일에는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강화한 'The 2025 K5'가 출시되었다.[81] 2.0 가솔린 모델에 스마트 셀렉션 트림을 추가하고, 2.0 LPi 렌터카 모델에는 편의 사양을 추가했다.
4. 1. 올 뉴 K5 (2019년 12월~2023년 10월)
2019년11월에 공개되었고, 12월 12일에 출시되었다. 디자인에서 여러 호평을 받아 판매량이 급증하여 중형차 시장에서 쏘나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46] 이때부터 해외 시장에서도 K5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 우핸들 사양은 나오지 않는다.
기아 올 뉴 K5 정측면
기아 올 뉴 K5 후측면
기아 올 뉴 K5 1.6T 정측면
전체적인 디자인은 쏘나타와 유사하며, 패스트백과 같은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46] 그러나 Z자형 주간 주행등, 질감이 있는 그릴, 창문을 따라 C필러까지 이어지는 크롬 스트립 등 독특한 디자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46] 실내 또한 대폭 개선되어,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10.3인치 중앙 스크린, Apple CarPlay 및 Android Auto, 12개의 스피커를 갖춘 보스 오디오 시스템을 옵션으로 제공한다.[46]
택시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으나,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을 구입하여 LPG 택시로 개조하거나 LPG 자가용 모델을 택시로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3세대부터 기아의 내수 및 수출형 모델 명칭 통합 전략에 따라 해외에도 K5로 수출되었다.[46] 북미 등 일부 시장에서만 판매되며, 유럽과 우핸들 국가에서는 판매되지 않는다.
엔진은 쏘나타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 1.6리터 터보 엔진은 최고 180마력, 최대 토크 27.0kg·m를 발휘한다.[47] 고성능 GT 모델은 최고 286마력, 최대 토크 43.0kg·m를 내는 2.5리터 터보차저 엔진을 탑재한다.[47] 일부 트림에서는 사륜구동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는 전방 충돌 방지 보조(FCA),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가 포함된 후측방 모니터(BVM) 및 후측방 충돌 방지 보조(BCA),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또는 내비게이션 기반 SCC(NSCC), 차선 유지 보조(LFA), 운전자 주의 경고(DAW),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등이 포함된다.(시장 상황에 따라 다름)
올 뉴 K5 하이브리드는 2020년 1월에 일반 하이브리드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범퍼 디자인에 차이가 있다. 기아는 기존 2.0리터 가솔린 하이브리드 외에 2.0리터 LPG 하이브리드도 출시하기 위해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80]
4. 2. 1. 제원
기아 K5 제원
구분
2.0 가솔린
1.6 가솔린 터보
2.0 하이브리드
2.0 LPi
전장 (mm)
4905mm
4905mm
4905mm
4905mm
전폭 (mm)
1860mm
1860mm
1860mm
1860mm
전고 (mm)
1445mm
1445mm
1445mm
1445mm
축거 (mm)
2850mm
2850mm
2850mm
2850mm
엔진
스마트스트림 G2.0 MPi I4
스마트스트림 G1.6 T-GDi I4[43]
스마트스트림 G2.0 HEV I4
스마트스트림 G2.0 LPi I4
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8단 자동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4. 3. 더 뉴 K5 (2023년 10월~현재)
2023년10월 25일, 기아 K5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K5가 출시되었다. 더 뉴 K5는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으로 재해석된 주간주행등,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크렐 프리미엄 카스테레오 시스템 등 새로운 디자인 요소와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77][78]
택시 업계의 요구에 따라 3세대 K5 택시가 국내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기아는 2.0리터 LPG 하이브리드 모델도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79][80]
2024년11월 4일에는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강화한 연식변경 모델 'The 2025 K5'가 출시되었다.[81]
4. 3. 1. 라인업
2023년10월 25일에 부분 변경 모델이 출시되었다. 외관은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으로 재해석된 주간주행등, 신규 멀티 스포크 휠, 스타맵 라이팅 형상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적용되었다. 외장 색상은 울프 그레이와 문스케이프 매트 그레이 등 2종의 신규 색상을 포함한 7종으로 운영된다.[77]
실내는 12.3인치 클러스터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연결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인포테인먼트/공조 전환 조작계 등이 적용되었으며, 신규 색상 샌드, 마션 브라운과 블랙 등 3종의 내장 색상으로 운영된다.[77]
디지털 키 2, 빌트인 캠 2, e 하이패스, 지문 인증 시스템, 전동식 세이프티 파워트렁크, 진동 경고 스티어링 휠, 에어컨 애프터 블로우, 뒷좌석 6:4 폴딩 시트, 측방 주차 거리 경고,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등의 편의 사양이 탑재되었으며,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가 기본 적용되었다. 크렐의 프리미엄 카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 기반 5.1 채널 사운드를 탑재했다.[78]
기아에서 2세대 K5 LPG 택시를 단산시키자 택시 업계에서 반발이 있었고, 현대자동차가 8세대 쏘나타(DN8C) 택시를 출시하였다. 이후 기아에서도 K5 DL3의 택시를 출시하기로 했으며, 중국베이징현대에서 생산하는 8세대 쏘나타 택시와 달리 3세대 K5 택시는 국내에서 생산할 예정이다.[79]
기존 2.0리터 가솔린 하이브리드 외에, 2.0리터 LPG 하이브리드도 기아에서 출시하기 위해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80]
캐나다 시장에서는 페이스리프트 이전 모델의 인기가 좋지 못했던 관계로 출시 없이 그대로 철수했다.
2024년11월 4일, 연식변경 모델 'The 2025 K5'가 출시됐다.[81] 트림별로 안전·편의사양을 확대 적용하고 2.0 가솔린 모델에 신규 엔트리 트림 ‘스마트 셀렉션’을 추가했다.
The 2025 K5는 전체 트림에 선바이저 LED 조명, 글로브 박스 LED 조명, 뒷좌석 발매트 고정 고리, 실내 소화기 등을 기본화 했으며 프레스티지 트림부터는 스티어링 휠 진동 경고, 가죽 및 열선 스티어링 휠 등을 기본으로 적용했다. 노블레스 트림에는 운전자세 메모리 시스템(운전석 시트, 아웃사이드 미러)을 기본 탑재하고 시그니처 트림부터 뒷좌석 열선 시트, 뒷좌석 측면 수동 선커튼 등 고급 편의 사양을 기본화했다.
2.0 가솔린 모델에 새롭게 추가된 스마트 셀렉션 트림은 기존 프레스티지 트림의 일부 사양을 간소화했으며 라디에이터 그릴 패턴, 전면 범퍼 하단 인테이크 그릴, 전후면 버티컬 윙, 스키드 플레이트, 머플러 팁 등을 새롭게 디자인했다. 또한 전용 외장 색상 ‘글래시어’를 추가하고 16인치 알로이 휠, 직관적인 기계식 변속 레버(SBC, Shift By Cable), 12.3인치 디스플레이 오디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적용했다.
2.0 LPi 렌터카 모델은 엔트리 트림에 앞좌석 통풍시트를 기본 탑재하고 운전석 파워 시트, 열선 스티어링 휠, 진동경고 스티어링 휠이 포함된 컴포트 패키지를 선택사양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판매 가격은 2.0 가솔린 27.66억원, 1.6 가솔린 터보 29.32억원, 2.0 하이브리드 32.5억원, 2.0 LPi 29.2억원부터 시작한다.[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