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획원은 1930년대 일본의 대륙 침략과 전시 경제 체제 구축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국가 총동원과 국책 기획을 담당했다. 내각조사국을 전신으로 하여 1937년에 발족했으며,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시 경제 정책 수립 및 시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획원은 육군, 대장성 등 각 성의 영향을 받았으며, 요시다 시게루, 기시 노부스케 등 주요 인물들이 참여했다. 1943년 폐지된 후 업무는 여러 부처로 이관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경제기획원의 기능으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연구소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일본의 연구소 -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는 포스코의 지원으로 1986년 설립되어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하며 우수한 연구 시설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연구중심대학이다. - 폐지된 일본의 국가기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 폐지된 일본의 국가기관 - 대만총독부
대만총독부는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일본이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행정, 입법, 사법 권한을 가졌으며, 초기에는 강경 통치를, 이후에는 경제 발전을 통한 사회 안정에 중점을 둔 통치를 펼쳤다.
기획원 | |
---|---|
개요 | |
공식 명칭 | 기획원 |
영문 명칭 | The [Cabinet] Planning Board |
일본어 명칭 | (키카쿠인) |
상세 정보 | |
설치 연월일 | 1937년 - 1943년 |
소재지 | 도쿄부 |
전신 | 기획청 |
주요 인물 | |
총재 | 결성풍태랑 (초대) 안배원기 (마지막) |
2. 역사
기획원의 전신은 1935년 5월 10일 설치된 내각총리대신 직속 국책 조사 기관인 '''내각조사국'''이다.[2] 내각조사국은 내각심의회 서무, 전력 국가 관리안 구체화, 산업 합리화 정책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다.[3] 1937년 5월 14일 하야시 내각은 내각조사국을 '''기획청'''으로 개편, 강화하였고,(칙령 제192호)[4] 같은 해 10월 25일 '''내각자원국'''과 통합하여 '''기획원'''이 발족되었다.
기획원은 중요 정책 기획 입안과 물자 동원 기획 입안을 통합하고, 1938년 5월 5일 시행된 국가총동원법 제정 이후 전시 통제 경제 정책을 일원화하여 각 성청에 실시시키는 기관이 되었다.
1937년 (쇼와 12년) 10월, 기획원 발족에 따라 총재·차장이 친임관·칙임관이 되었다. 1939년(쇼와 14년) 4월 1차 개조에서 각 부서는 번호제로 변경 및 과학부가 설치되었고, 1941년(쇼와 16년) 5월 2차 개조에서 차장 직할의 총재 관방 총무실이 설치되었다. 1942년(쇼와 17년) 1월 제7부는 신제 기술원으로 이관되었고, 4월 3차 개조에서 제4부를 각 청의 통일 사무에, 제2부에 생산력 확충 및 물자 동원 계획 사무를 담당하게 했다. 11월 4차 개정에서 6부를 5부제로 변경하고 감원하였다.
1943년(쇼와 18년) 10월 31일 기획원은 폐지되었고, 그 업무는 내각, 군수성, 내무성에 각각 이관되었다.[10] 1944년(쇼와 19년) 11월 1일, 내각 참사관을 폐지하고 '''종합계획국'''이 설치되었다.[10] 1945년(쇼와 20년) 8월 31일 종합계획국이 폐지되었고, 9월 1일 내각총리대신 관리 하에 '''내각조사국'''이 설치되었다. 11월 22일 내각관방 관리 하에 '''내각심의실'''이 설치됨에 따라, 11월 24일 내각조사국은 폐지되었다.
내각심의실은 1952년(쇼와 27년) 내각총리대신 관방 조사실로 독립[13], 1957년(쇼와 32년) '''내각관방심의실'''과 내각총리대신 관방심의실로 분리되었다.[13] 1986년(쇼와 61년) '''내각 내정 심의실'''과 '''내각 외정 심의실'''로 분리되었지만, 2001년(헤이세이 13년) 중앙 성청 재편에 의해 폐지되고 '''내각관방 부장관보''' 및 '''내각관방 부장관보실'''이 설치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의 기획원이 폐지된 이후, 그 기능은 대한민국 정부의 경제기획원으로 계승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31년 일본에서 「중요산업통제법」이 공포되고, 5·15 사건과 2·26 사건을 거치면서 일본 육군 내 통제파가 발흥하였다. 이에 따라 소위 "신신 관료(신 관료)"의 아성이었던 내각조사국의 권한이 강화되었다.[3] 1935년 5월 10일에는 내각총리대신 직속 국책 조사 기관인 '''내각조사국'''이 설치되었다.[2] 내각조사국에는 각 성의 혁신 관료, 육군의 스즈키 테이이치, 해군의 아베 요스케가 참여하여[2] 내각심의회 서무, 전력 국가 관리안 구체화, 산업 합리화 정책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다.[3]1937년 5월 14일, 하야시 내각은 내각조사국을 더욱 강력한 중요 정책 입안 조직인 '''기획청'''으로 개편, 강화하였다.(칙령 제192호)[4] 같은 해 10월 25일, 중일 전쟁 발발 후 '''내각자원국'''과 통합하여 '''기획원'''이 발족되었다. 이로써 기획원은 국가 총동원 기관이자 종합 국책 기획 관청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강력한 기관이 되었다. 기획원은 중요 정책 기획 입안과 물자 동원 기획 입안을 통합하여, 이후 전시 통제 경제 정책을 일원화하고 각 성청에 실시시키는 기관이 되었으며, 1938년 5월 5일 시행된 국가총동원법 제정 이후 그 권한을 더욱 강화했다.
2. 2. 초기 활동 (1937년 ~ 1940년)
1937년(쇼와 12년) 10월, 기획원이 발족하면서 총재와 차장은 이전의 정치 임명에 의한 겸임에서 각각 친임관, 칙임관으로 변경되었다.[13] 1939년(쇼와 14년) 4월, 1차 개조를 통해 각 부서는 번호제로 바뀌고 과학부가 설치되었다.2. 3. 전시 통제 강화 (1941년 ~ 1945년)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기획원은 조선의 경제를 일본의 군수 산업에 종속시키기 위한 정책을 강화했다. 같은 해 '기획원 사건'을 통해 기획원 내의 반대 세력을 숙청하고, 통제 경제 정책을 더욱 강화했다. 1943년 군수회사법 제정으로 기업의 이윤 추구는 사실상 부정되었으며, 경제 신체제 확립 요강에 따라 자본과 경영의 분리가 추진되었다. 조선인 강제 동원, 물자 수탈 등 전시 수탈 정책이 강화되었다.[13]2. 4.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43년(쇼와 18년) 10월 31일 기획원은 폐지되었고, 다음 11월 1일 기획원의 업무는 종합 국책 및 행정 고찰, 중요 예산 통제권은 내각에, 국가 총동원은 군수성에, 국토 계획은 내무성에 각각 이관되었다.[10] 내각 관방에서는 기획원 총무실 및 제1부의 주요 사무를 계승하는 관직으로서, 내각서기관장의 지휘 아래 '''내각 참사관'''(''내각 참사관실'')이 설치되었다.1944년(쇼와 19년) 11월 1일, 기획원 부활이 검토된 결과 내각 참사관을 폐지하고 '''종합계획국'''이 설치되었다.[10] 국장에는 우에바 테츠조, 아키나가 게츠조, 관동군 참모 부장 이케다 스미히사, 사코미즈 히사츠네, 전 상공차관 무라세 나오요 등이 취임했다.
1945년(쇼와 20년) 8월 31일 종합계획국이 폐지되었고, 칙령 제503호 "내각조사국 관제"에 의거, 같은 해 9월 1일 내각총리대신 관리 하에 '''내각조사국'''이 설치되었다. 내각조사국은 전후 경영에 관한 중요 사항의 조사 및 기획, 전후 경영에 관한 각 청 사무의 조정 통일에 관한 사무를 관장했다.
1945년(쇼와 20년) 11월 22일 "내각 부내 임시 직원 설치 제 중 개정 노 건"에 의거, 내각관방 관리 하에 '''내각심의실'''이 설치됨에 따라, 같은 해 11월 24일 내각조사국은 폐지되었다.
내각심의실은 이후 1952년(쇼와 27년) 조사 기능이 독립하여 내각총리대신 관방 조사실이 되었고[13], 1957년(쇼와 32년) 내각심의실이 폐지되어 '''내각관방심의실'''과 내각총리대신 관방심의실로 분리되었다.[13] 1986년(쇼와 61년) 7월 1일 내각관방심의실이 폐지되어 '''내각 내정 심의실'''과 '''내각 외정 심의실'''로 분리되었지만, 2001년(헤이세이 13년) 1월 6일 중앙 성청 재편에 의해 내각 내정 심의실과 내각 외정 심의실은 폐지되고 '''내각관방 부장관보''' 및 '''내각관방 부장관보실'''이 설치되어 정책 기획·입안 및 종합 조정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의 기획원이 폐지된 이후, 그 기능은 대한민국 정부의 경제기획원으로 계승되었다.
3. 조직
기획원은 총재와 차장 아래 7개의 부서를 두었다. 총재관방에는 일반 사무를 담당하는 총무실이 있었다. 각 부서는 전시 총동원, 생산력 확충, 인구 정책, 물자 동원, 재정, 교통 동원, 과학 동원 등 특정 분야를 담당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총무부는 제1부, 조사부는 제2부 등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3. 1. 조직 구조
직책 | 역할 | 비고 |
---|---|---|
총재 | 친임관 | |
차장 | 칙임관 | |
총재관방 | ||
총무실 | 일반사무 | |
총무부 (→ 제1부) | 전시국가총동원 관계 사무 | |
조사부 (→ 제2부) | 생산력확충 관계 사무 | |
내정부 (→ 제3부) | 인구정책, 인구동원계획 관계 사무 | |
산업부 (→ 제4부) | 물자동원, 생활필수품, 수급통제사무 | |
재무부 (→ 제5부) | 재정 관계 사무 | |
교통부 (→ 제6부) | 교통동원기획사무 | |
과학부 (→ 제7부) | 과학동원, 과학연구 관계 사무 |
3. 2. 주요 부서
부서명 | 담당 사무 |
---|---|
총무부 (제1부) | 국가 총동원 관계 사무 |
조사부 (제2부) | 생산력 확충 관계 사무 |
내정부 (제3부) | 인구 정책, 인구 동원 계획 관계 사무 |
산업부 (제4부) | 물자 동원, 생활 필수품, 수급 통제 사무 |
재무부 (제5부) | 재정 관계 사무 |
교통부 (제6부) | 교통 동원 기획 사무 |
과학부 (제7부) | 과학 동원, 과학 연구 관계 사무 (1942년 기술원으로 이관) |
4. 주요 인물
기획원의 주요 인물로는 역대 총재와 차장이 있으며, 이들은 기획원의 운영과 정책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1. 역대 총재
대 | 성명 | 재직 연월일 | 퇴임 후 주요 공직·역직 | |
---|---|---|---|---|
1(기획청 총재) | ||||
유키 도요타로 (겸임) | 1937년(쇼와 12년) 5월 14일 - 1937년(쇼와 12년) 6월 4일 | 일본은행 총재 | ||
2(기획청 총재) | ||||
히로타 코키 (겸임) | 1937년(쇼와 12년) 6월 10일 - 1937년(쇼와 12년) 10월 25일 | |||
3 | ||||
타키 마사오 | 1937년(쇼와 12년) 10월 25일 - 1939년(쇼와 14년) 1월 11일 | |||
4 | ||||
아오키 카즈오 (1939년(쇼와 14년) 8월 30일부터 겸임) | 1939년(쇼와 14년) 1월 11일 - 1940년(쇼와 15년) 1월 16일 | 대동아 대신, 나가노 방송 회장 | ||
5 | ![]() | 타케베 로쿠조 (심득) | 1940년(쇼와 15년) 1월 16일 - 1940년(쇼와 15년) 1월 17일 | 만주국 국무원 총무 장관 |
6 | ||||
타케우치 카키치 | 1940년(쇼와 15년) 1월 17일 - 1940년(쇼와 15년) 7월 22일 | 군수차관 | ||
7 | ||||
호시노 나오키 (1940년(쇼와 15년) 12월 6일부터 겸임) | 1940년(쇼와 15년) 7월 22일 - 1941년(쇼와 16년) 4월 4일 | 내각서기관장 | ||
8 | ||||
스즈키 테이이치 (겸임) | 1941년(쇼와 16년) 4월 4일 - 1943년(쇼와 18년) 10월 8일 | 국무대신, 대일본산업보국회 회장 | ||
9 | ||||
아베 겐키 (심득) | 1943년(쇼와 18년) 10월 8일 - 1943년(쇼와 18년) 11월 1일 | 내무대신 |
4. 2. 역대 차장
대 | 성명 | 재직 기간 | 퇴임 후 주요 공직·역직 |
---|---|---|---|
1 | 이노 세키야 | 1937년 5월 14일 - 1937년 9월 1일 | 농림 차관, 농림대신, 법무대신 |
2 | 나카무라 케이노신 | 1937년 9월 1일 - 1937년 10월 25일 | 후생 차관 |
3 | 아오키 카즈오 | 1937년 10월 25일 - 1939년 1월 11일 | 대동아대신, 나가노 방송 회장 |
4 | 타케베 로쿠조 | 1939년 1월 23일 - 1940년 1월 25일 | 만주국 국무원 총무장관 |
5 | 우에무라 코고로 | 1940년 1월 25일 - 1940년 8월 13일 | 게이단렌 회장, 닛폰 방송 회장, 일본항공 회장 |
6 | 오바타 타다요시 | 1940년 8월 13일 - 1941년 4월 7일 | 대정익찬회 사무총장, 아이치현 지사 |
7 | 미야모토 타케노스케 | 1941년 4월 7일 - 1941년 12월 24일 | |
8 | 아베 모토키 | 1941년 12월 27일 - 1943년 11월 1일 | 내무대신 |
4. 3. 기타 주요 인물
제공된 원본 소스는 기획원의 연혁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고 있을 뿐, '기타 주요 인물' 섹션에 포함될 만한 특정 인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5. 비판과 논란
기획원은 일제강점기 조선 경제를 일본에 종속시키고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조선의 자원과 노동력을 수탈하고, 전시 통제 경제 정책을 시행하여 조선인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3]
특히, 기획원은 조선인 강제 동원의 주체로서, 이 과정에서의 인권 유린과 피해자 배상 문제는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논란으로 남아있다.[13]
5. 1. 조선 경제에 대한 영향
기획원은 조선의 경제를 일본의 군수 산업에 종속시키고,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압했다.[13] 조선의 자원과 노동력을 수탈하여 일본의 전쟁 수행을 지원했으며,[13] 식량 배급제, 물가 통제 등 전시 통제 경제 정책으로 조선인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13]5. 2. 강제 동원 문제
기획원은 조선인들을 강제 동원하여 일본의 탄광, 광산, 군수 공장 등에서 노역하게 했다.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강제 노동에 시달렸으며,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했다. 일본 정부는 아직까지도 강제 동원 문제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3]6. 관련 자료
기획원과 관련된 서적, 연구 논문, 사료 등이 있다.
(관련 서적은 하위 섹션 참조)
6. 1. 관련 서적
참조
[1]
서적
時事英語辞典
研究社
1948
[2]
문서
[3]
서적
総力戦体制研究 日本陸軍の国家総動員構想
三一書房
[4]
문서
[5]
문서
[6]
서적
官僚。もういいかげんにせんかい
講談社
[7]
서적
ドキュメント平成革新官僚―「公僕」たちの構造改革
中公新書ラクレ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웹사이트
アジ歴グロッサリー 内閣審議室
https://www.jacar.go[...]
[12]
웹사이트
アジ歴グロッサリー 内閣調査局
https://www.jacar.go[...]
[13]
서적
昭和戦中期の総合国策機関
吉川弘文館
[14]
서적
時事英語辞典
研究社
1948
[15]
서적
総力戦体制研究 日本陸軍の国家総動員構想
三一書房
1981-01-01
[1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