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가 (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가 (열차)는 1949년부터 2008년까지 도쿄와 오사카를 운행했던 야간 급행 열차이다. 1947년 도쿄-오사카 간 급행 열차로 시작하여, 1949년 긴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0년대에는 여러 급행 열차들이 추가 운행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에는 '묘조'가 통합되고, '긴가'는 도쿄-히메지 구간으로 연장되기도 했다. 1976년 20계 객차, 1985년 14계 객차, 1986년 24계 객차로 차량이 교체되었고, 2008년 폐지되었다. 긴가는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에도 야간 이동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이용객 감소로 인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카이 여객철도의 열차 - 노조미 (열차)
노조미는 도쿄와 하카타를 잇는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주요 운행 계통으로, 다양한 차량이 투입되었으며, 안전 관련 사고와 시즈오카현 내 역 정차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열차 - 고다마 (열차)
고다마는 도카이도 및 산요 신칸센에서 각 역에 정차하는 신칸센 열차 등급으로, 지정석과 자유석을 갖추고 특별 할인 승차권도 판매하며, 과거에는 특급 열차로 운행되기도 했다. - 야간열차 -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는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연결하는 암트랙 장거리 여객열차로, 1908년 시카고 뉴올리언스 리미티드로 시작하여 이름 변경,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치며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 야간열차 - 유로나이트
유로나이트는 유럽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는 야간 열차 서비스이며,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가 나이트젯 서비스를 도입했고, 다양한 객차 구성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유럽 도시 간을 연결한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열차 - 하쿠타카
하쿠타카는 호쿠리쿠 신칸센의 고속 열차로, 다테 산의 백응 전설 속 흰 매에서 유래되었으며, 최고 260km/h의 속도로 도쿄역에서 쓰루가/가나자와/나가노역을 잇는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열차 - 노조미 (열차)
노조미는 도쿄와 하카타를 잇는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주요 운행 계통으로, 다양한 차량이 투입되었으며, 안전 관련 사고와 시즈오카현 내 역 정차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긴가 (열차) | |
---|---|
열차 정보 | |
![]() | |
열차 종류 | 침대 급행열차 |
노선 | 동해도 본선 비와코선 JR 교토선 |
운행 구간 | 도쿄역 ↔ 오사카역 |
영업 거리 | 556.4km |
운행 정보 | |
운영 주체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 |
이전 운영 주체 | 일본국유철도 |
운행 시작 | 1949년 9월 15일 |
운행 종료 | 2008년 3월 14일 (정규열차) |
열차 번호 | 101, 102 |
좌석 등급 | A침대 B침대 |
침대 종류 | 개방 A침대 (1호차) 개방 B침대 (2~8호차) |
사용 차량 | 24계 객차 (미야하라 종합 운전소) |
견인 기관차 | EF65형 전기 기관차 (다바타 운전소) |
궤간 | 1,067mm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최고 속도 | 110km/h |
2. 역사
'긴가'(銀河)라는 애칭은 1949년(쇼와 24년) 9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도쿄역 - 고베역 간을 운행하던 야간 급행열차에 부여된 이름이다[4]. 초기에는 1등차와 2등차 객차만으로 편성되어 전전의 '''명사열차'''에 준하는 호화로운 구성이었고, 열차 맨 뒤에는 특급열차 수준의 테일마크도 부착되었다[4].
그러나 이러한 호화 편성은 전후 혼란기의 시대 상황과 맞지 않아 이용객이 적었고, 비난 여론에 따라 운행 시작 9일 만인 9월 24일 3등차가 추가 연결되었으며 테일마크도 제거되었다.
1976년경부터는 운행 거리(영업 킬로 556.4km)를 고려하여 특급열차로 격상하는 방안도 검토되었다. 하지만 도쿄역 - 오사카역 구간에서는 운행 시간 단축 효과가 크지 않아 단순한 요금 인상으로 비칠 수 있었고, 성수기 임시 열차가 좌석차 위주로 편성되는 점 등을 고려하여 급행열차로 유지되었다.
2000년대 들어 차량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가 지속되면서, 결국 2008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폐지되었다[6]. JR 서일본은 폐지 이유로 신칸센, 항공기, 고속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의 발달과 저렴한 숙박 시설 증가로 침대열차의 경쟁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7].
2. 1. 야간 급행열차 정비 (1947년 ~ 1959년)
1947년 (쇼와 22년) 6월 21일,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103, 104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원래는 고베역 발착이었으나, 당시 점령 하에 있어 오사카역 발착으로 운행했다. 같은 해 7월, 해당 열차는 11, 12열차로 변경되었다.1948년 (쇼와 23년) 7월 1일에는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2017, 2018열차의 운행이 시작되었다.
1949년 (쇼와 24년) 9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여러 변경이 있었다. 기존의 11, 12열차는 15, 16열차로 변경되었고, '긴가'라는 열차 애칭이 처음으로 부여되어 운행을 시작했다[4]. 이는 도쿄역을 20:30에 출발하여 오사카역에 07:54에 도착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오사카역을 21:00에 출발하여 도쿄역에 07:30에 도착하는 야행 급행열차였다. 당시 도쿄역과 오사카역 사이를 운행하는 다른 야간 급행열차로는 17, 18열차가 새로 운행을 시작하여 총 3왕복 체제가 되었다. '긴가'는 초기에 1등차와 2등차 객차만으로 편성되어 전전의 '''명사열차'''에 준하는 호화로운 구성이었고, 열차 맨 뒷부분에는 특급열차 수준의 행등식 테일마크도 부착되었다[4]. 하지만 이러한 호화 편성은 오히려 이용객 감소의 원인이 되었고, 전후 혼란기의 혼잡한 열차 상황 속에서 빈 채로 운행되어 비난을 받았다. 결국 운행 시작 불과 9일 후인 9월 24일부터 3등차 좌석 객차가 추가되었고 테일마크도 제거되었다.
1950년 (쇼와 25년) 10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긴가'의 운행 구간이 도쿄역 - 고베역 간으로 연장되었다 (도쿄 20:30 발, 고베 08:25 착 / 고베 20:10 발, 도쿄 07:53 착)[4]. 또한 급행 17, 18열차는 15, 16열차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1월 8일에는 급행 2017, 2018열차에 '묘조', 급행 15, 16열차에 '스이세이'(彗星, 혜성)라는 애칭이 각각 부여되었다. '스이세이'는 차량 설비가 "긴가"와 차이가 없었기 때문인지 간사이 지방에서는 "유성"이라는 열차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1953년 (쇼와 28년) 11월 11일에는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겟코'(月光)가 운행을 시작했다.
1956년 (쇼와 31년) 3월 20일에는 '긴가'에 3등 침대차가 처음으로 연결되었다[4][3]. 같은 해 11월 19일에는 도카이도 본선 전 구간의 전철화 완료로 소요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긴가'의 운행 시간은 도쿄역 (21:00) 출발, 고베역 (08:20) 도착, 반대 방향은 고베역 (21:10) 출발, 도쿄역 (09:03) 도착으로 변경되었다[3]. 또한 이날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나니와'가 운행을 시작했다.
긴가 (열차) | |||||||||||||
---|---|---|---|---|---|---|---|---|---|---|---|---|---|
고베 → 도쿄 | |||||||||||||
짐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짐 | 2AB | 2B | 2C | 특2 | 특2 | 2 | 3침 | 3침 | 3 | 3 | 3 | 3 | 3 |
colspan="13" style="text-align:left; font-size:80%;" | |
1958년 (쇼와 33년) 10월 1일에는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임시 급행열차 '아카쓰키'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 개정으로 '긴가'의 운행 시각은 도쿄역(21:00) 출발, 고베역(07:57) 도착, 반대 방향은 고베역(20:50) 출발, 도쿄역(08:02) 도착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긴가'의 편성은 마니(수하물차) + 마로네40(침대차) + 마로네41(침대차) + 스로54(객차) x3 + 나하네10(침대차) x4 + 수하(객차) x4 + 오하후(객차)였다[3].
1959년 (쇼와 34년) 9월 22일, 임시 급행 '아카쓰키'는 폐지되었다.
2. 2. 급행열차 증편 (1960년 ~ 1964년)
- 1960년 6월 1일: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셋쓰'가 운행을 시작했다.
- 1961년
- * 3월 1일: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긴세이'(金星)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 열차는 정기 열차로서는 처음으로 153계 전동차를 사용한 야간 급행이었다.
- * 10월 1일: 대규모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져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 '긴가'는 좌석 완급차를 2등 침대차 완급차로 교체하여 전 차량 침대 열차가 되었다.
- *# '셋쓰'가 1왕복 증편되어 2왕복 운행하게 되었다.
- *# '긴세이'는 전동차 운행에서 객차 운행으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침대차를 연결하게 되었다.
- *#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153계 전동차를 사용한 급행 '이코마', '야마시로', '요도', '롯코'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들은 각각 주간 1왕복, 야간 1왕복으로 운행되었으며, '이코마'의 야간 열차는 부정기 열차였다.
- *# '겟코'(月光)는 좌석차 연결이 중단되고 침대차 전용 열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 침대 열차 증편으로 인해 좌석차 위주였던 부정기 급행 '아카츠키'(あかつき)는 일단 폐지되었다.
- 1962년
- * 6월 10일: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임시 급행 '아카츠키'가 침대차 열차로 운행을 재개했다. 이는 비즈니스 이용객들의 침대 열차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부정기 열차 '제2 롯코'를 침대 열차로 변경하고 이름을 바꾼 것이다. 또한 급행 '스이세이'(彗星)에 뷔페차 오시 16형이 연결되기 시작했다.
- * 10월 1일: '아카츠키'가 정기 열차로 승격되었다. 반면 '야마시로'는 폐지되었고, '요도'와 '롯코'는 야간 운행이 폐지되어 주간 1왕복 운행으로 축소되었다.
- 1963년 10월 1일: 도쿄역 - 오사카역 간에 급행 '스바루'(すばる)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는 당시 침대 급행에 대한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선로 용량 부족으로 증편이 어렵자, 기존의 '나니와' 1왕복을 감편하고 신설한 침대차 급행이었다. 또한 전동차로 운행되던 야간 급행 '제2나니와'가 객차로 변경되고 침대차가 연결되었다.
- 1964년 10월 1일: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 급행 '스이세이', '아카츠키', '셋쓰', '스바루'가 폐지되었다.
- # 폐지된 '스이세이'에 연결되었던 뷔페차 오시 16형이 '긴가'에 연결되기 시작했다[4].
2. 3. 도카이도 본선 유일의 침대 급행 '긴가' (1965년 ~ 2008년)
- 1965년 (쇼와 40년)
- 3월: 「긴가」의 2등 침대차 2량을 제외하고 스하44·스하후43형 객차가 연결되었다.
- 10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급행 「금성」, 「요도」, 「롯코」가 폐지되었다.
- 급행 「이코마」가 1왕복 감편되어 1왕복 운행으로 축소되었다.
- 「긴가」의 운행 구간이 도쿄역 - 히메지역 구간으로 연장되었다. 이는 해당 구간에서 운행되던 급행 「하리마」의 폐지에 따른 조치였다.
- 1968년 (쇼와 43년) 10월 1일: 욘산토오 시간표 개정으로 급행 「묘성」이 「긴가」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4]. 이로써 「긴가」는 2왕복 운행 체제가 되었다[4]. 급행 「나니와」도 폐지되었다.
- 기존의 「긴가」는 상하행 모두 「긴가」 2호가 되었고, 폐지된 「묘성」의 시간표를 이어받은 열차는 상하행 모두 「긴가」 1호가 되었다.
- 1972년 (쇼와 47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긴가」는 도쿄역 - 오사카역 간 운행으로 통일되었다[4]. 또한, 상하행 「긴가」 1호는 도쿄역 - 기이카쓰우라역 간을 운행하는 급행 「'''기이'''」와 병결 운행을 시작했다[4].
- 1975년 (쇼와 50년) 3월 10일: 시간표 개정으로 「긴가」 1왕복(구 2호)이 폐지되어 다시 1왕복 운행이 되었다[4]. 이 시점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 1976년 (쇼와 51년) 2월 20일: 「긴가」의 객차가 20계 객차로 변경되었다[4].
- 1976년경부터 운행 거리(영업 킬로 556.4km) 때문에 특급열차로의 격상도 검토되었으나, 도쿄역 - 오사카역 구간에서는 유효 시간대 문제로 소요 시간이 크게 단축되지 않아 단순한 요금 인상으로 비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성수기에 운행되던 임시 「긴가」는 좌석차 위주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급행열차로 계속 운행되었다.
- 1980년 (쇼와 55년) 7월 25일: 기존에 '급행'이라고만 표시되던 테일 마크가 열차명과 은하수 일러스트가 포함된 디자인으로 변경되어 이날 오사카역 발 열차부터 적용되었다[17]. 이는 객차 급행열차에 그림이 있는 테일 마크가 부활한 사례였다.
- 1984년 (쇼와 59년) 2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도쿄역 도착 시각이 오전 9시대에서 오전 6시대로 변경되었다. 오사카역 출발 시각도 약간 앞당겨졌으며, 중간역에서 침대특급 「세토」나 「이즈모」 4호를 대피하는 시간이 없어졌다.
- 1985년 (쇼와 6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긴가」의 객차가 20계 객차에서 14계 객차로 변경되었다[4].
- 1986년 (쇼와 61년) 11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정기 「긴가」의 객차가 14계 객차에서 24계 25형 객차로 변경되었다[18].
- 1991년 (헤이세이 3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담당 차장 구역이 JR 동일본 도쿄 차장구에서 JR 서일본 오사카 차장구로 변경되었다.
- 2001년 (헤이세이 13년) 3월 3일: 시간표 개정으로 1량이 감축되었다.
- 2008년 (헤이세이 20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긴가」는 폐지되었다[6]. JR 서일본은 폐지 이유로 신칸센과 항공기, 고속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의 발달과 저렴한 숙박 시설의 증가로 인해 침대열차의 경쟁력이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7]. 최종 운행일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열차 | 방향 | 기관차 | 소속 | 객차 종류 | 발전차 | 1 | 2 | 3 | 4 | 5 | 6 | 7 | 8 |
---|---|---|---|---|---|---|---|---|---|---|---|---|---|
하행 (도쿄 발) | ← 오사카 | EF65-1114 (다바타) | 미야하라 종합 운전소 | 객차 형식 | 카니24 11 | 오로네24 102 | 오하네후25 133 | 오하네25 158 | 오하네25 196 | 오하네25 251 | 오하네후25 131 | 오하네25 160 | 오하네후25 132 |
좌석 종류 | 발전차 | A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
상행 (오사카 발) | 도쿄 → | EF65-1112 (다바타) | 미야하라 종합 운전소 | 객차 형식 | 카니24 104 | 오로네24 6 | 오하네후25 150 | 오하네25 191 | 오하네25 161 | 오하네25 207 | 오하네후25 47 | 오하네25 167 | 오하네후25 46 |
좌석 종류 | 발전차 | A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B침대 |
1949년 9월, 도쿄역과 고베역 사이를 운행하던 1등차와 2등차만으로 편성된 야행 급행 15·16열차에 '긴가'라는 애칭이 붙으면서 운행이 시작되었다[4]. 당시 열차 맨 뒤에는 특급열차 수준의 행등식 테일마크가 부착되기도 했다[4].
3. 운행 개황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명사열차에 준하는 호화로운 편성은 오히려 이용객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 전쟁 직후 혼란기 당시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혼잡했지만, '긴가'는 텅 빈 채 운행되어 비난을 받았고, 결국 운행 시작 9일 만인 9월 24일에 3등차를 연결하고 테일마크도 제거하게 되었다.
운행 초기에는 1왕복이었으나, 1968년 10월 시간표 개정(통칭 '욘산토')으로 도쿄역 - 오사카역 간 침대 급행 '묘조'가 통합되면서 '긴가'는 2왕복으로 증편되었다[4]. 또한, 급행 '나니와' 폐지에 따라 전 좌석차로 구성된 오사카역 발착 계절 열차도 1왕복 설정되었다.
1975년 산요 신칸센 완공 이후, 정기 열차는 도쿄와 오사카 간 1왕복으로 축소되었고[3], 계절 열차도 폐지되어 폐지 시까지 1왕복 운행 체제가 유지되었다[4]. 1976년경부터는 운행 거리(영업 킬로 556.4km) 때문에 특급열차로 승격하는 방안도 검토되었다. 하지만 도쿄역 - 오사카역 구간에서는 유효 시간대 문제로 소요 시간이 크게 단축되지 않아 단순한 요금 인상으로 비칠 우려가 있었고, 성수기에 운행되던 임시 '긴가' 열차가 좌석차 위주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결국 급행열차로 남게 되었다.
1998년 7월부터는 임시 '긴가' 81호, 82호의 시간표를 활용하여 285계 전동차 '선라이즈 익스프레스'를 사용한 침대 특급 '선라이즈 유메'가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운행일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되었으나, 이후 '선라이즈 유메'로 대체되었다.
'긴가'는 도쿄와 오사카 양방향 모두 아침 7시 전후에 도착하는 시간표로 운행되어, 종착역에서 떨어진 곳에서도 이른 아침부터 활동하기 편리했다[7]. 이를 위해 중간역에서의 정차 시간을 조정하기도 했다. 열차 번호는 하행이 101열차, 상행이 102열차였다[4].
2000년대 들어 차량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가 지속되면서, 2008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을 끝으로 폐지되었다[6]. JR 서일본은 폐지 이유로 신칸센, 항공기, 고속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의 발달과 저렴한 숙박 시설 증가로 인해 침대 열차의 경쟁력이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7].
3. 1. 정차역
도쿄 → 오사카상행 (102호)
오사카 → 도쿄도쿄 ● ● 시나가와 ● ● 요코하마 ● ● 오후나 ● ● 오다와라 ● ● 아타미 ● ● 누마즈 - ● 후지 - ● 시즈오카 ● - 나고야 - ● 기후 ● - 마이바라 ● ● 오쓰 ● ● 교토 ● ● 신오사카 ● ● 오사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