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명성 (194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명성(1946년)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코치, 감독이었다. 부산 출신으로 부산공고와 동아대학교를 졸업하고 투수로 활동했으며, 한국전력공사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70년 실업 야구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다. 1977년 은퇴 후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를 시작으로 청보 핀토스, 태평양, 삼성 라이온즈, 빙그레 이글스, LG 트윈스 등에서 코치로 활동했다. 롯데 자이언츠 감독 대행을 거쳐 1999년 삼성 라이온즈 감독으로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이끌었다. 2001년 급성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 - 최형우 (정치인)
    최형우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4·19 혁명과 6·3 사태 당시 활동하고 5선 국회의원, 정무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4·19 유공자로 인정받았다.
  • 구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 - 이재우 (1945년)
  • 1971년 야구 - 박영길 (야구인)
    박영길은 롯데 자이언츠 창단 감독, 삼성 라이온즈 타격코치 및 감독, 태평양 돌핀스 감독을 역임하고 MBC와 PSB TV에서 야구 해설가, 스포츠서울 객원기자, 서울 해치 고문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야구인이다.
  • 1971년 야구 - 김영덕 (야구인)
    재일교포 출신 야구인 김영덕은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생활 후 한국으로 건너와 KBO 리그 여러 팀의 감독을 맡아 한국시리즈 우승과 통합 우승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승리 지향적인 팀 운영과 투수 혹사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969년 야구 - 김진영 (야구인)
    김진영은 대한민국의 야구인으로 1990년 은퇴 후 미국으로 이민, 플로리다주에서 여생을 보내다 2020년 노환으로 사망했다.
  • 1969년 야구 - 박영길 (야구인)
    박영길은 롯데 자이언츠 창단 감독, 삼성 라이온즈 타격코치 및 감독, 태평양 돌핀스 감독을 역임하고 MBC와 PSB TV에서 야구 해설가, 스포츠서울 객원기자, 서울 해치 고문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야구인이다.
김명성 (194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국가대표
메달

2. 생애

부산 출신으로, 주 포지션은 투수였다. 부산공고동아대학교를 졸업했다. 부산공고 시절 팀의 창단 첫 청룡기 우승을 이끌었고 MVP를 수상했다. 실업 야구 팀 한국전력공사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70년에 실업 야구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다. 1977년 은퇴 후 코치 생활을 시작, 롯데 자이언츠 창단 투수코치를 맡아 프로야구 생활을 시작했다.[1] 1984년부터 KBS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을 맡다가 1986년 청보 핀토스 투수코치를 맡아 현장에 돌아왔다.[1] 1987년부터 수석코치를 역임했다가 1988년 4월 22일부터 2군 전담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고,[2] 태평양으로 팀명이 바뀐 1988년까지 몸담았다. 1989년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로 옮겼다.[3] 1991년 빙그레 이글스로 이적했다.

1993년 시즌 후 LG 트윈스 수석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이광환 감독을 보좌하여 KBO 리그에서 생소했던 선발-셋업-마무리 투수 분업 구조를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4] 하지만, 이광환 감독이 1996년 전반기를 끝으로 도중 하차하고 천보성 코치가 감독대행으로 부임하면서 생긴 개편에 따라 그 해 7월 24일 육성군 투수코치로 보직 변경되었고,[6] 시즌 후 팀을 떠났다.[7]

이후 연고 팀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로 부임, 1998년 6월 김용희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중도 하차하자[8] 감독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 정식 감독이 되었다.

1999년 드림 리그 2위를 기록, 삼성 라이온즈를 플레이오프에서 꺾고 1999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한화 이글스에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매직 리그 2위로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지만, 삼성 라이온즈와 치른 준 플레이오프에서 패해 플레이오프에 올라가지 못했다. 2001년 시즌은 다시 단일 리그로 환원되어 4위부터 8위의 게임 차가 2경기밖에 안되는 난전이었다.

김명성은 평소 구단 내 선수협 문제와 성적 부진에 대한 스트레스로 폭음과 줄담배를 자주 했었다. 여기에 과로가 겹쳐 2001년 7월 24일 올스타전 휴식기에 경상남도 남해군에 있는 친구 집에 낚시 휴가를 갔다가 귀가하던 중 심각한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졌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향년 56세로 사망하였다. 이는 한국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시즌 중 현직 감독이 사망한 사례였다.

2. 1. 학창 시절 및 선수 경력

부산 출신으로, 주 포지션은 투수였다. 부산공고동아대학교를 졸업했다. 부산공고 시절 팀의 창단 첫 청룡기 우승을 이끌었고 MVP를 수상했다. 실업 야구 팀 한국전력공사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70년에 실업 야구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다. 1977년 은퇴했다.[1]

2. 2. 코치 경력

한국전력공사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70년 실업 야구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다. 1977년 은퇴 후 코치 생활을 시작, 롯데 자이언츠 창단 투수코치를 맡아 프로야구 생활을 시작했다.[1] 1984년부터 KBS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을 맡다가 1986년 청보 핀토스 투수코치를 맡아 현장에 돌아왔는데, 같은 해 5월 10일부터 1군-2군 제도로 팀이 개편되자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1군 투수코치를 맡았다.[1] 1987년부터 수석코치를 역임했다가 1988년 4월 22일부터 2군 전담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고,[2] 태평양으로 팀명이 바뀐 1988년까지 몸담았다. 그 해 말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면서 코치진 물갈이로 태평양을 떠나 1989년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로 옮겼다.[3] 1990년김성근 감독 부임으로 또다시 코치진이 물갈이되자 1991년 빙그레 이글스로 이적했다.

1993년 시즌 후 팀이 한화로 바뀌면서 LG 트윈스 수석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이 과정에서 이광환 감독을 보좌하여 KBO 리그에서 생소했던 선발-셋업-마무리 투수 분업 구조를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4] 1993년 시즌 뒤 한화(구 빙그레) 2군 감독설이 있었다.[5]

하지만, 이광환 감독이 1995년 플레이오프 패퇴, 1996년 세대 교체 실패 및 부상 선수 속출 등으로 팀 전력이 크게 약화되어 같은 해 전반기를 끝으로 도중 하차했다. 천보성 코치가 감독대행으로 부임하면서 생긴 개편에 따라 그 해 7월 24일 육성군 투수코치로 보직 변경되었고,[6] 시즌 후 천보성 대행이 정식 감독으로 승격하자 계약이 만료된 박용진 전 2군감독, 박종훈 수비코치, 이승희 2군코치와 함께 팀을 떠났다.[7]

이후 연고 팀 롯데 자이언츠 투수 코치로 부임했는데, 1998년 6월 김용희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중도 하차하자[8] 감독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 정식 감독이 되었다.

한편, 롯데는 김명성이 1983년을 끝으로 떠난 뒤 한동안 투수코치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김청옥 전 농협 감독을 1987년 1월 10일부터 3년 계약 형식으로 영입했고,[9] 같은 해 시즌 뒤 어우홍 감독이 2년 계약 형식으로 부임하자[10] 재일동포 김정행을 플레잉코치로 승격하려 했으나, 같은 팀 에이스 최동원과 불편한 관계라 좌절됐다. 어우홍 감독은 1989년 시즌을 끝으로 계약 종료와 함께 물러났으며, 이 과정에서 계약 기간이 남아있었던[11] 김용희 (플레잉), 임태호(2군) 외 나머지 코치들이 팀을 떠났다. 김청옥 코치 후임으로 김정행 영입설이 있었지만, 김진영 전 청보 감독이 어우홍 감독 후임으로 부임하자 은퇴한 김정행 대신 김진영 감독의 삼미-청보 시절 제자[12] 장명부를 투수코치로 영입할 것을 요구해 관철시켰다.

2. 3. 감독 경력

1999년 드림 리그 2위라는 좋은 성적으로 삼성 라이온즈를 플레이오프에서 꺾고 1999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한화 이글스에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매직 리그 2위로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지만, 매직 리그 1위 팀이었던 LG 트윈스가 드림 리그 3위 삼성 라이온즈보다 승률이 낮은 바람에 삼성 라이온즈와 치른 준 플레이오프에서 패해 플레이오프에 올라가지 못했다. 2001년의 시즌은 다시 단일 리그로 환원되어 4위부터 8위의 게임 차가 2경기밖에 안되는 난전이었다.

2. 4. 갑작스러운 사망

김명성은 평소 구단 내 선수협 문제와 성적 부진에 대한 스트레스로 폭음과 줄담배를 자주 했었다. 여기에 과로가 겹쳐 2001년 7월 24일 올스타전 휴식기에 경상남도 남해군에 있는 친구 집에 낚시 휴가를 갔다가 귀가하던 중 심각한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졌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향년 56세로 사망하였다. 이는 한국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시즌 중 현직 감독이 사망한 사례였다.

3. 김명성 사후 롯데 자이언츠

김명성 감독이 급사한 이후 2001년롯데 자이언츠는 팀 분위기가 하락하여 그 해 최하위를 기록했고, 이후 '8-8-8-8-5-7-7'로 대표되는 암흑기를 맞이하며 2007년까지 하위권을 전전하며 포스트 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4]

4. 평가

온화한 인품으로 선수단을 규합하는 지도력을 발휘하여 약팀이었던 롯데 자이언츠를 상위권으로 이끌었고, 투수 코치로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5. 기타

6. 감독 기록

김명성은 1998년 6월 16일부터 2001년 7월 24일까지 롯데 자이언츠 감독을 맡았다.[2] 전임 감독은 김용희였고, 후임 감독은 우용득이었다.[2]

6. 1. 정규 시즌

김명성은 196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와 197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로 참가했다.[1] 1971년 대회에서 대표팀은 우승을 차지했다.[1] 1994년에는 LG 트윈스 코치로서 정규시즌 1위와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2]

6. 2. 포스트 시즌

김명성은 1994년 LG 트윈스 코치로서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197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와 196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참가하여, 1971년 대회에서는 대표팀의 우승을 이끌었다.[2][3]

참조

[1] 뉴스 핀토스 許(허)감독 잠정퇴진…渡日(도일)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24-09-08
[2] 뉴스 태평양단장 姜(강)창호씨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4-09-08
[3] 뉴스 金明成(김명성)씨 삼성 코치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19-06-01
[4] 뉴스 "<프로야구> LG, 이광환감독 전격 해임"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3-23
[5] 뉴스 다이아몬드 구단마다 코치개편〃술렁〃 http://211.43.216.33[...] 문화일보 2020-07-24
[6] 뉴스 "<프로야구> LG, 이광환감독 전격 해임"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3-23
[7] 뉴스 "<프로야구> LG, 천보성감독 취임"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3-23
[8] 뉴스 "<프로야구소식> 롯데,코칭스태프 보직 변경"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3-23
[9] 뉴스 김(金)청옥 전(前)농협감독 자이언츠 코치입단(入団)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7-26
[10] 뉴스 프로야구 코너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0-07-26
[11] 뉴스 프로야구 각 구단 코치 「물갈이」 윤곽 드러나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4-08-18
[12] 뉴스 "[안녕! Mr. 전설] 장명부, 그가 남긴 강렬한 추억" https://sports.news.[...] MK스포츠 2020-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