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병관 (언론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병관은 1934년 김성수의 손자이자 김상만의 장남으로 태어난 언론인이다. 동아일보에서 광고, 판매, 총무국 등 여러 부서를 거쳐 1989년 대표이사 사장 겸 발행인이 되었으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보도하며 언론인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1993년 동아일보 회장을 거쳐 명예회장으로 취임했으나 세무조사로 사퇴했다. 이후 명예회장으로 복귀하여 한국신문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수호를 강조했으며,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해고된 기자 처우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김씨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울산 김씨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 동아일보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동아일보 -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소프트테니스 대회로, 현재 1923년과 1924년 18세 이하부 여자 단체전 우승팀 기록만 일부 남아 있어 상세한 역사 규명을 위한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김현철 (1959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은 '소통령'으로 불리며 김영삼 정부에서 막후 영향력을 행사한 정치인, 기업인, 학자로, 한보 사태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구속된 바 있으며, 중앙여론조사연구소 소장, 유엔한국청년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김영삼민주센터 상임이사와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김병관 (언론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병관
출생일1934년 7월 24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종로방 계동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사망일2008년 2월 25일
사망 원인식도암
본관울산
국적대한민국
별명호 화정(化汀)
직업언론인
기업인
배우자안경희
자녀장녀 김희령, 장남 김재호, 차남 김재열
부모김상만(부), 고현남(모)
경력
전직동아일보 명예회장
학력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MBA

2. 생애

김병관은 1934년 경성부에서 인촌 김성수의 손자이자 일민 김상만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중앙고등학교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호남 거부 가문의 장손으로 태어났으나 판소리를 배우는 등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훗날 회고에서 명창 만정 김소희에게 가르침을 받은 것을 자랑하기도 했다.[1] 가슴 깊이 취기가 젖어들면 구슬프게 ‘흥타령’을 불렀다.[1]

1968년 동아일보에 입사해 33년간 신문 경영 일선에서 일했다.[2] 관리과장[3], 관리부 차장[4], 광고부장, 판매부장, 광고국 부국장 등을 거쳐,[3] 1985년 부사장, 1987년 발행인을 맡았고, 1989년 3월에는 대표이사 사장 겸 발행인이 되었다.[4] 1991년 사장에 재선임된 뒤 1993년 3월 회장을 거쳐 2001년에는 명예회장으로 취임했다.

1995년 중국을 방문해 리펑 총리와 단독 회견을 가졌고, 1998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김용순 위원장의 초청으로 남측 신문 경영인으로서는 최초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 미국의 뉴욕 타임스와 일본 아사히 신문, 러시아 이즈베스티야 등의 신문들과 제휴를 맺고 국제적 교류를 확대하기도 했다.[3]

1989년 동아일보 사장 시절, 국립극장과 함께 '창작 창극운동'을 펼쳐 국악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1] 창극 〈아리랑〉을 비롯해 임꺽정, 안중근, 김구, 홍범도, 전봉준 등이 그의 후원으로 재조명되어 해외 순회공연을 통해 세계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1] 남도의 토속, 민요를 소재로 한 연극과 영화 촬영에도 전폭적인 지원을 했다.

1998년 10월 북한 방문 후 사재를 털어 화정평화재단과 21세기 평화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는 얽히고설킨 한반도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1] 한국신문협회 회장과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1999년 고려대학교와 중앙중고등학교, 고려중고등학교 재단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2001년 2월 오명에게 동아일보 회장직을 물려주고 명예회장이 되었으나, 국민의 정부의 세무조사가 시작되자 사퇴하였다.[5] 2005년 다시 동아일보 명예회장에 추대되었고, 같은 해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으로 선임되는 등 교육 분야에서 활동했다.

2006년 고려대학교안암병원에서 식도암 진단을 받고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으나, 암이 악화되어 2007년 12월 20일 입원해 투병하다 2008년 2월 25일 사망했다.[2]

2. 1. 생애 초반

1934년 경성부에서 인촌 김성수의 손자이자 일민 김상만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중앙고등학교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호남 거부(巨富) 가문의 장손으로 태어났으나 판소리를 배우는 등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훗날 회고에서 명창 만정 김소희에게 가르침을 받은 것을 자랑하기도 했다.[1]

가슴 깊이 취기가 젖어들면 구슬프게 ‘흥타령’을 불렀다.[1] 1968년 동아일보에 입사해 33년간 신문 경영 일선에서 일했다.[2] 동아일보에서 광고, 판매, 총무국 등 여러 부서에서 근무했으며, 관리과장[3], 관리부 차장[4], 광고부장, 판매부장, 광고국 부국장 등을 지냈다.[3]

2. 2. 언론, 사회단체 활동

김병관은 동아일보에서 언론 활동을 시작하여, 사회 다방면에 걸쳐 활동을 하였다.

1985년 동아일보 부사장을 거쳐 1987년 동아일보 발행인을 맡았고, 1989년 3월에는 동아일보 대표이사 사장 겸 발행인이 되었다.[4] 1991년 사장에 재선임된 뒤 1993년 3월 동아일보 회장을 거쳐 2001년에는 동아일보 명예회장으로 취임했다.

1995년 중국을 방문해 리펑 총리와 단독 회견을 가졌고, 1998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김용순 위원장의 초청을 받아 남측 신문 경영인으로서는 최초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 미국의 뉴욕 타임스와 일본 아사히 신문, 러시아 이즈베스티야 등의 신문들과 제휴를 맺고 국제적 교류를 확대하기도 했다.[3]

1989년 동아일보 사장 시절, 국립극장과 함께 '창작 창극운동'을 펼쳐 국악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1] 창극 〈아리랑〉을 비롯해 임꺽정, 안중근, 김구, 홍범도, 전봉준 등이 그의 후원으로 재조명되어 해외 순회공연을 통해 세계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1] 또한 남도의 토속, 민요를 소재로 한 연극과 영화 촬영에도 전폭적인 지원을 했다.

1998년 10월 북한 방문 후 사재를 털어 화정평화재단과 21세기 평화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는 얽히고설킨 한반도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1] 그밖에 한국신문협회 회장과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2. 2. 1. 동아일보 경영

김상만의 뒤를 이어 동아일보 경영자가 되었다. 1985년 부사장, 1987년 발행인을 차례로 맡았고, 1989년 3월 동아일보 대표이사 사장 겸 발행인[4]이 되었다.

1987년 경찰이 서울대생 박종철 군을 고문치사한 사건이 일어났다. 엄혹했던 그해, 1월 19일자 동아일보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 제하에 1면 전체를 이 사건 관련 기사로 채웠다. 그뿐 아니라 당시 발행면수 12면 중 6개 면에 걸쳐 국가 공권력의 만행을 고발했다.[1] 정부의 보도 중지 압력에도 그는 굴하지 않았다. 동아일보가 연일 터뜨린 고문치사 사건 속보는 그해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됐다. 그때도 그는 동아일보 기자들의 버팀목이었다.[1]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해고된 직원들의 처우에는 소홀하여 비판의 여지가 되기도 했다.

1991년 사장에 재선임된 뒤 1993년 3월 동아일보 회장을 거쳐 2001년에는 동아일보 명예회장으로 취임했다.

김병관이 동아일보 발행인이던 1987년 동아일보는 서울대생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을 특종 보도하고, 이후 제2창간 선언 등을 통해 매출액이 늘어나는 등 사세를 확장했다.[3] 서울 충정로에 대형 사옥을 건립했고, 광화문에 동아미디어센터를 개설한 것도 김병관이 대표이사로 있던 때였다. 1995년에 동아일보는 86억의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3]

1995년에 중국을 방문해 리펑(이붕) 총리와의 단독 회견을 성사시켰고, 1998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김용순 위원장의 초청을 받아 남측 신문 경영인으로서는 최초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다. 또 미국의 뉴욕 타임스와 일본 아사히 신문, 러시아 이즈베스티야 등의 신문들과 제휴를 맺고 국제적 교류를 확대하기도 했다.[3]

2. 2. 2. 문화, 사회 후원 활동

1989년 동아일보 사장 시절, 국립극장과 함께 '창작 창극운동'을 펼쳐 국악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1] 창극 〈아리랑〉을 비롯해 임꺽정, 안중근, 김구, 홍범도, 전봉준 등이 그의 후원으로 재조명되어 해외 순회공연을 통해 세계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1] 또한 남도의 토속, 민요를 소재로 한 연극과 영화 촬영에도 전폭적인 지원을 했다.

1998년 10월 북한 방문 후 사재를 털어 화정평화재단과 21세기 평화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는 얽히고설킨 한반도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1] 그밖에 한국신문협회 회장과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2. 3. 생애 후반

김병관은 1999년 고려대학교와 중앙중고등학교, 고려중고등학교 재단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2001년 2월 오명에게 동아일보 회장직을 물려주고 명예회장이 되었으나, 국민의 정부의 세무조사가 시작되자 사퇴하였다.[5] 2005년 다시 동아일보 명예회장에 추대되었고, 같은 해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으로 선임되는 등 교육 분야에서 활동했다.

2006년 고려대학교안암병원에서 식도암 진단을 받고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으나, 암이 악화되어 2007년 12월 20일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해 투병하다 2008년 2월 25일 사망했다.[2]

2. 3. 1. 세무조사와 명예회장직 사퇴

1999년 김병관은 고려대학교와 중앙중고등학교, 고려중고등학교 재단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으로 취임했고, 2001년 2월 사장 오명에게 동아일보 회장직을 물려주고 명예회장에 취임하였으나, 국민의 정부의 세무조사가 시작되자 사퇴하였다.[5]

2005년 다시 동아일보 명예회장에 추대되었고, 그해에는 한국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으로 선임되는 등 교육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그러나 2001년 7월 국민의 정부의 동아일보 세무 조사 과정에서 부인 안경희가 투신자살하였다.[5]

2. 3. 2. 투병과 사망

2006년 고려대학교안암병원에서 식도암 진단을 받고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으나, 암이 악화되어 2007년 12월 20일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해 투병하다 2008년 2월 25일 사망했다.[2]

고려대 화정체육관에서 화정 김병관 선생 장례위원회 주관으로 장례를 치른 후,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 선영에 안장되었다.[2]

3. 학력

4. 가족 관계

5. 사상과 신념

그는 언론사를 운영하면서 '이 나라 자유민주주의의 보루로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수호는 독자들과의 변할 수 없는 약속'[4]이라는 신념을 가졌다. 그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수호'를 의무로 여겼으며,[4] '개혁과 합법이라는 이름으로 자유민주주의를 훼손시키려는 세력'[4]에 대해 반발하고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6. 평가와 비판

김병관은 군사정권 시절 해직 기자들의 처우 문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았다.[5] 동아일보조선일보, 중앙일보와 함께 '조중동'으로 불리며 보수 편향적인 논조로 비판받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있다. 동아투위 사건으로 해직된 기자들은 김병관에게 사과를 요구했으나, 그는 사과하지 않았다.[5]

6. 1. 긍정적 평가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는 추모사에서 "화정 선생에게 동아일보는 3대를 이어온 영광스러운 가업(家業)인 동시에 벗어던질 수 없는 무거운 십자가였다. 창업주 인촌 김성수 선생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의 어둡고 고통스러웠던 시기에 출발해 오늘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역사를 헤쳐온 역사 깊은 신문의 운영을 책임지는 중압감에서 잠시라도 몸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평가했다.[1]

이정일 전 국회의원은 화정의 절친한 지인 중 한 명으로, 화정의 부인 안경희 여사 생전에는 부부 동반으로 해외여행을 자주 다녔다고 한다. 이 전 의원은 화정을 ‘부러질지언정 꺾이지 않는’ 언론인의 모습으로 기억하며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그분은 불의와 타협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었다. 허허실실 웃더라도 자기 주관이 분명했다. 평소 술을 좋아했지만 취중에도 편집국장이 상의해오면 전혀 흐트러짐 없이 항상 공정하고 불편부당한 입장에서 냉정하게 지시했다. 다른 것은 양보해도 기사에서만큼은 양보란 없었다. 노태우 전 대통령 재임 중 3당 합당을 할 때도, 김대중 정부 때도 권력에 문제가 있으면 결코 좌시하지 않았다. 언론을 떠나서 다른 무엇을 할 수 없는 분이었다."[1]

초등학교 동창으로 60년 가까이 희로애락을 함께한 이상혁 변호사는 “투박한 얼굴에 말은 없고 눈만 껌뻑거려 남들에겐 무뚝뚝해 보였겠지만, 잔정이 많은 사람이었다”면서 “어느 여행지를 가든 1000KRW~2000KRW 하는 값싼 기념품을 사가지고 와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직원들에게 나눠주곤 했다”고 말했다.[1]

6. 2. 부정적 평가

김병관은 군사정권 시절 해직 기자들의 처우 문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았다.[5] 동아일보조선일보, 중앙일보와 함께 '조중동'으로 불리며 보수 편향적인 논조로 비판받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있다.

동아투위 사건으로 해직된 기자들은 김병관에게 사과를 요구했으나, 그는 사과하지 않았다.[5]

7. 기타

김병관은 판소리 명창들에게도 인정받을 만큼 뛰어난 판소리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 안숙선 명창은 그에 대해 “아주 걸쭉하고 자신 있게 잘 부르셨다. 참 멋있는 분이셨다. 우리나라 사람으로서 우리 음악을 사랑하고 즐길 줄 아는 분이셨다”고 회상했다.[1] 그는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민요 등을 곧잘 부르곤 했다.

그는 평생 ‘정론직필(正論直筆)’과 ‘공선사후(公先私後)’를 소신으로 삼았다.[1]

이명박 정부에서 초대 외교·안보담당 수석비서관을 지낸 김병국과는 사촌 관계이다. 이건희와는 자녀들끼리 결혼하여 사돈 관계가 되었다.

참조

[1] 뉴스 화정 김병관 선생 기리는 지인들의 회고 https://news.naver.c[...]
[2] 뉴스 김병관 前 동아일보 회장 별세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8-02-26
[3] 간행물 김병관: 언론 자유를 뛰어넘은 언론 사주 http://www.jabo.co.k[...] 대자보 2008-04-02
[4] 뉴스 本社 김병관 명예회장-이사직 사임…임시이사회서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5] 뉴스 김병관 前동아일보 회장 별세…향년 74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