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기 (193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원기(1937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동아일보 기자, 국회의원, 여러 정당의 당직을 역임했으며,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냈다. 신민당, 민주한국당, 평화민주당,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등 다양한 정당에서 활동했으며, 정계 은퇴 후에도 민주당계 정당의 상임고문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읍중학교 동문 - 윤철상
윤철상은 민주화추진협의회, 평화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등에서 주요 당직을 거쳐 제15대, 16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정읍중학교 동문 - 신정치
신정치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사법시험 수석 합격 후 판사로 임용되어 대법원 재판연구관, 고등법원 부장판사, 지방법원장 등을 지낸 법조인으로,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시절 굵직한 사건들의 항소심 재판을 맡았고 서울고등법원장 재직 중 중앙선관위원으로 지명되었다. - 도강 김씨 - 김개남
김개남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1894년 전봉준과 함께 동학 농민 운동을 주도하며 전라도 남원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제2차 봉기 때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전봉준과 함께 핵심 인물로 평가받지만 노선과 연계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도강 김씨 - 김추리
김추리는 연극 '품바' 창시자의 딸이자 2008년 '소녀'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즌5》, 《내일은 미스트롯》, 《헬로트로트》 등 다양한 방송과 《가요무대》, 연극 《불효자는 웁니다》에서 활동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김원기 (193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원기 |
본관 | 도강 |
출생일 | 1937년 2월 16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개신교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군 복무 | 육군병장 만기전역 |
학력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경력 | 신민당 원내부총무 평화민주당 원내총무 민주당 사무총장 제2대 노사정위원회 위원장 열린우리당 의장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
정치 활동 | |
지역구 | 전북 정읍군·김제군(10) 전북 정읍군·고창군(11) 전북 정주시·정읍군(13·14) 전북 정읍시(16·17) |
의원 선수 | 6 |
의원 대수 | 10·11·13·14·16·17 |
당내 직책 |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
국회 내 직책 |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
국회의장 임기 | 2004년 6월 5일~2006년 5월 29일 |
2. 학력
3. 경력
김원기는 동아일보 조사부장, 안보통일 연구위원을 지냈다. 정계 입문 후에는 신민당 원내부총무, 민주한국당 대변인, 평화민주당 원내총무, 신민주연합당 사무총장, 민주당 사무총장·수석부총재·상임고문, 통합민주당 공동대표최고위원, 새정치국민회의 상임고문,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상임고문, 대통령비서실 정치특보, 열린우리당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의장·상임고문,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제2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장관급)을 지냈으며,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3. 1. 정치 입문 전 (1960년 ~ 1979년)
1937년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태어났다. 1955년 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해 동아일보 기자가 되었다.3. 2. 국회의원 및 정당 활동 (1979년 ~ 2008년)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신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1년 제11대 총선에서는 민주한국당 후보로 재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는 3위로 낙선했다. 1987년 김대중이 창당한 평화민주당(평민당)에 입당하여,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승리했다.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이 기간 동안 평민당 원내총무, 김대중 평민당 총재의 정치특별보좌관, 민주당 사무총장 및 최고부총재를 역임했다.1995년 김대중이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이를 비판하며 무소속으로 활동했으나,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동교동계의 윤철상에게 패했다. 이후 1997년 대통령 선거 직전에 노무현, 김정길 등과 함께 국민회의에 입당했다. 1998년에는 장관급 직책인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는 윤철상을 누르고 익산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지명되어 국회에 복귀했다.
2003년 친노무현계가 주도하여 결성된 열린우리당의 창당준비위원장을 역임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당선되어 최다선 의원이 되었으며,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직을 사퇴한 후, 김대중 정권 이후 국회의장 경험자들의 관례에 따라 제17대 국회 임기 만료와 동시에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열린우리당에서 시작된 새정치민주연합의 분당 과정을 거쳐 더불어민주당까지 친노·친문 성향[3][4]의 민주당계 정당의 상임고문직을 맡으며 정계 원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5][6][7]
정당 | 직책 |
---|---|
신민당 | 원내부총무 |
민주한국당 | 대변인, 홍보위원, 당무위원 |
평화민주당 | 원내총무 |
신민주연합당 | 사무총장 |
민주당 | 사무총장, 수석부총재, 상임고문 |
통합민주당 | 공동대표최고위원 |
새정치국민회의 | 상임고문 |
새천년민주당 | 최고위원, 상임고문 |
대통령비서실 | 정치특보 |
열린우리당 |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 의장, 상임고문 |
대통합민주신당 | 상임고문 |
통합민주당 | 상임고문 |
민주당 | 상임고문 |
민주통합당 | 상임고문 |
새정치민주연합 | 상임고문 |
더불어민주당 | 상임고문 |
3. 3. 기타 경력
4. 정치 활동 및 노선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신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1년 제11대 총선에서는 민주한국당 후보로 재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는 3위로 낙선했다. 1987년 김대중이 창당한 평화민주당(평민당)에 입당하여,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승리했다.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이 기간 동안 평민당 원내총무, 김대중 평민당 총재의 정치특별보좌관, 민주당 사무총장 및 최고부총재를 역임했다.
1995년 김대중이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이를 비판하며 무소속으로 활동했으나,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동교동계의 윤철상에게 패했다. 이후 1997년 대통령 선거 직전에 노무현, 김정길 등과 함께 국민회의에 입당했다. 1998년에는 장관급 직책인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는 윤철상을 누르고 익산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지명되어 국회에 복귀했다.
2003년 친노무현계가 주도하여 결성된 열린우리당의 창당준비위원장을 역임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당선되어 최다선 의원이 되었으며,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직을 사퇴한 후, 김대중 정권 이후 국회의장 경험자들의 관례에 따라 제17대 국회 임기 만료와 동시에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열린우리당에서 시작된 새정치민주연합의 분당 과정을 거쳐 더불어민주당까지 친노·친문 성향[3][4]의 민주당계 정당의 상임고문직을 맡으며 정계 원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5][6][7]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10대 총선 | 제10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읍군·김제군 | 신민당 | 45,703표 | 24.81% | 2위 | 당선 | 초선 |
제11대 총선 | 제11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읍군·고창군 | 민주한국당 | 41,789표 | 26.72% | 2위 | 당선 | 재선 |
제12대 총선 | 제12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주시·정읍군·고창군 | 민주한국당 | 26,449표 | 16.43% | 3위 | 낙선 | |
제13대 총선 | 제13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주시·정읍군 | 평화민주당 | 58,276표 | 64.3% | 1위 | 당선 | 3선 |
제14대 총선 | 제14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주시·정읍군 | 민주당 | 55,616표 | 74.75% | 1위 | 당선 | 4선 |
제15대 총선 | 제15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읍시 | 민주당 | 20,891표 | 27.96% | 2위 | 낙선 | |
제16대 총선 | 제16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읍시 | 새천년민주당 | 38,497표 | 57.59% | 1위 | 당선 | 5선 |
제17대 총선 | 제17대 | 국회의원 | 전북 정읍시 | 열린우리당 | 32,562표 | 49.56% | 1위 | 당선 | 6선 |
참조
[1]
웹사이트
상임고문 김원기(常任顧問 金元基)
http://minjoo.kr/mem[...]
2012-01-28
[2]
웹사이트
김생기, 중앙무대 조력자서 단체장으로 돌아온 정치달인
https://www.chosun.c[...]
2010-06-09
[3]
웹페이지
[4]
웹사이트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政黨) 이야기
https://www.chosun.c[...]
2016-03-23
[5]
웹사이트
김원기 중앙당 상임고문
https://web.archive.[...]
더불어민주당
[6]
웹사이트
민주 상임고문단 "계파 갈등이 패인…남탓 멈춰야"
http://www.mediapen.[...]
2022-06-16
[7]
웹사이트
강동순 위원 사퇴할 때까지 사이버 사퇴 서명 전개
https://www.nocutnew[...]
2007-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