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중섭은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을 역임하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다양한 국내외 대학 및 기관과 교류했다. 또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회장, 정부 기관 위원 등을 역임하며 한국어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다수의 저서, 연구 보고서,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 및 한국어 능력 시험 출제 및 채점, 외국인 한국어 평가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창고등학교 (서울) 동문 - 이재갑 (공무원)
이재갑은 행정고시 합격 후 노동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을 추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인창고등학교 (서울) 동문 - 조원진
조원진은 한국외대 졸업 후 대우그룹에서 근무하다 2008년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한애국당을 창당했으나 21대 총선에서 낙선, 막말 논란 등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정치인이다. - 경희대학교 동문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경희대학교 동문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김중섭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경희대학교 교수
경희대학교와 깊은 인연을 맺고 학문 활동을 이어갔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하였으며, 박사학위는 "한국어 의태어 어원 연구"를 주제로 받았다. 이후 모교에서 한국어 교육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998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과정을 처음 개설하였고, 2002년에는 일반대학원에 한국어학(한국어 교육) 전공 석·박사과정을 신설하여 한국어 교육 전문가 양성의 기틀을 마련했다. 2007년부터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주임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많은 국내외 석·박사 인재를 배출하였다. 그의 제자들은 국내외 다양한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한국어 보급 및 한국학 발전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내외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학술 교류, 공동 연구, 교재 개발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주도하며 한국어 및 한국 문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활발한 국제 교류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이끌었다.
2. 1. 국어국문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1981년), 석사(1985년), 박사(1995년)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한국어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의태어의 어원을 탐구한 "한국어 의태어 어원 연구"이다.1998년에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과정을 신설하고 주임교수를 맡아 한국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시작했다. 이어 2002년에는 일반대학원에 한국어학(한국어 교육) 전공 석·박사과정을 개설하여 학문적 깊이를 더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석사 677명(한국인 95명, 외국인 582명)과 박사 190명(한국인 91명, 외국인 99명)에 달하는 인재를 배출하였다.
2007년 3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임용된 이후, 한국어학 전공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매년 약 100여 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59명(박사 30명, 석사 229명)의 후학을 지도했으며, 이들은 국내외 여러 대학에서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 분야의 교수로 활동하거나, 세종학당, 한국교육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다양한 기관에서 한국어 보급과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기관, 국내외 기업체, 한국어 교재 개발 및 출판 분야 등에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졸업생들이 진출한 대표적인 해외 대학 및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일본: 긴키대학, 리츠메이칸대학, 후쿠오카대학
- 미얀마: 만달레이외국어대학교, 양곤외국어대학교
- 중국: 길림외국어대학교, 중앙민족대학교, 시안외국어대학교, 하북대학교, 하북외국어대학교, 천진외국어대학교
- 태국: 까셋삿대학교, 나래수완대학교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대학
- 폴란드: 아담미츠키에프스키대학교
- 인도: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어학 전공에서는 해외 유수 대학과의 교류 협력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긴키대학, 하노이 국립외국어대학,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베이징 외국어대학, 중국해양대학, 푸단 대학 등 27개 대학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주요 협력 분야로는 중국 정부초청 장학생 프로그램 운영, 국제학술대회 공동 개최, 교수진 학술 교류, 교재 공동 제작 및 공유, 양해각서(MOU) 체결 등이 있다. 또한 대학원 박사과정에 우수한 외국인 교원을 유치하여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국제학술대회 개최 및 교원·학생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Higher Education for ASEAN Talents (HEA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세안 지역 우수 학자들과의 인적 교류 증진에도 힘쓰고 있다.
2. 2.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발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1981년), 석사(1985년), 박사(1995년)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 논문 주제는 "한국어 의태어 어원 연구"이다.1998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과정을 개설하고, 한국어교육 전공 주임교수로서 졸업생을 배출하기 시작했다. 이어 2002년에는 일반대학원에 한국어학(한국어 교육) 전공 석·박사과정을 개설하였다. 이를 통해 배출된 인력(재학생 포함)은 다음과 같다.
과정 | 학위 | 총 인원 | 한국인 | 외국인 |
---|---|---|---|---|
교육대학원 (1998~) | 석사 | (별도 통계 없음) | ||
일반대학원 (2002~) | 석사 | 677명 | 95명 | 582명 |
박사 | 190명 | 91명 | 99명 |
2007년 3월부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어학 전공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매년 석·박사 과정에 약 100여 명이 재학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59명(박사 30명, 석사 229명)의 후학을 양성하였다. 이들은 국내외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어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활동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국내외 대학 및 부설기관 교수 또는 연구원
- 국외 세종학당 및 한국교육원 교원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기관 전문가
- 국내 기업체 및 해외 진출 기업체 한국어 교육 담당
-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출판
졸업생들이 진출한 대표적인 해외 대학 및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일본: 긴키대학(Kindai University), 리츠메이칸대학(Ritsumeikan University), 후쿠오카대학
- 미얀마: 만달레이외국어대학교(Mandalay University), 양곤외국어대학교(University of Yangon)
- 중국: 길림외국어대학교(Jilin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중앙민족대학교(Minzu University of China), 시안외국어대학교(Xi’an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하북대학교(Hebei University), 하북외국어대학교(Hebei Foreign Studies University), 천진외국어대학교(Tianjin Foreign Studies University)
- 태국: 까셋삿 대학교(Kasetsart University), 나래수완대학교(Naraesuan University)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대학(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Adam Mickiewicz University in Poznań)
- 인도: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Jawaharlal Nehru University)
또한, 경희대학교 한국어학 전공은 해외 유수 대학들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긴키대학, 하노이 국립외국어대학(Hanoi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스토니브룩 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베이징 외국어대학(Beijing Foreign Studies University), 중국해양대학(Ocean University of China), 푸단 대학 등 27개 대학과 교류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주요 교류 활동으로는 중국 정부초청 장학생 프로그램 운영 협력, 국제학술대회 공동 개최, 전임교수 학술 교류, 교재 공동 제작 및 공유, 양해각서(MOU) 체결 등이 있다.
현재 대학원 박사과정에는 우수한 외국인 교원들이 진학하여 공동 연구, 국제학술대회 개최, 교원 및 우수 학생 연수 과정 등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Higher Education for ASEAN Talents (HEAT)'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아세안 지역 학자들과의 인적 교류 및 연구 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2. 3. 국내외 대학 및 기관과의 교류
경희대학교 한국어학 전공은 국내외 유수의 대학 및 기관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국외 명문대학과의 협력에 힘쓰고 있는데, 近畿大学|긴키대학일본어(Kindai University),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하노이 국립외국어대학vi(Hanoi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Stony Brook University|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영어(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北京外国语大学|북경외국어대학중국어(Beijing Foreign Studies University), 中国海洋大学|중국해양대학중국어(Ocean University of China), 复旦大学|복단대학중국어 등 27개 대학과 다방면에서 협력하고 있다. 주요 협력 활동으로는 중국 정부초청 장학생 프로그램 운영, 국제학술대회 공동 개최, 전임교수 간 학술 교류, 교재 공동 제작 및 공유, MOU 체결 등이 있다.또한, 대학원 박사과정에 우수한 외국인 교원들이 진학하여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제학술대회 개최, 교원 및 우수 학생 대상 연수 과정 운영 등을 통해 학문적 교류를 심화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의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Higher Education for ASEAN Talents (HEAT)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아세안 지역의 우수한 학자들과 연구 역량 및 강의 역량 증진을 위한 인적 교류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국제 교류 활동은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연구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3.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어교육부장, 교학부장을 역임하였고, 2003년 7월 한국어 교육 전공자로서는 처음으로 국제교육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2014년까지 활동하였다. 김중섭 원장은 1993년 영국 뉴캐슬대학 교환학생 2명으로 시작했던 국제교육원의 한국어 프로그램을 2023년 기준 100여 개국 47,000여 명이 참여하는 세계적 규모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원장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했으며, 특히 재외동포 및 입양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추진에도 힘썼다. 또한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여러 국제 교육 프로그램에도 적극 협력하였다. 그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 과정을 이수한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의 우수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후속 관리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어 교육 기관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고 다양한 국제 문화 행사를 개최하는 등, 교육 환경 개선과 국제 교류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1. 재외동포 교육 전문가 활동
1985년 경희대학교 국제교류처 연구원으로 국제교류 업무를 시작하며 교육 분야에 발을 들였다. 특히 재외동포 교육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는데, 1986년부터 재외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하계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000여 명 규모의 재외동포 학생 모국 순방 여름학교를 직접 운영하며 이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 기반을 다졌다.이후 1993년 4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처음으로 개설하여 재외동포와 외국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국제교육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어교육부장, 교학부장을 역임했고, 2003년 7월에는 한국어 교육 전공자로는 처음으로 국제교육원 원장으로 임명되어 2014년까지 기관을 이끌었다.
김중섭 원장의 재임 기간 동안 국제교육원의 한국어 프로그램은 크게 성장했다. 1993년 영국 뉴캐슬대학 교환학생 2명으로 시작했던 프로그램은 2023년 기준으로 100여 개국 출신 47,000여 명이 참여하는 규모로 확대되었다. 그는 한국어 보급에 힘쓰는 동시에, 교육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한국의 우수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도왔다.
국제교육원장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며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에 기여했다.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교육기관, 정부기관, 유학원과 협력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며,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재외동포와 입양아를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또한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국제 교육 프로그램에도 적극 협력했다.
주요 성과로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을 들 수 있다.
- 한국 연수 프로그램: KF 외교관 한국언어문화연수, KLEAP(미국 군인 대상) 연수, 미국 국방외국어대학(DLI) 몰입 교육 프로그램 등.
- 해외 대학과의 연수 프로그램: 일본의 도쿄 세이쿠대학교, 긴키대학교, 니가타 국제정보대학교, 미국의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등 26개 대학, 중국의 여러 대학 한국어학과, 홍콩의 중문대학교, 시티대학교,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를 포함한 3개 대학, 태국 2개 대학, 기타 러시아, 체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5개국 대학과의 지속적인 연수 프로그램.
또한 한국어 교육 기관 중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여 경희대학교 학생과 외국인 학생이 1:1로 만나 서로의 문화를 교류할 기회를 마련했다. 이 외에도 경희 세계문화축제,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통해 화합하는 장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3. 2. 한국어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1985년 경희대학교 국제교류처 연구원으로 국제교류 업무를 시작하였다. 특히 1986년부터 재외동포 청소년 하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1000여 명 규모의 재외동포 학생 모국순방 여름학교를 직접 실시하는 등 재외동포 교육 분야 전문가로 활동하였다.1993년 4월에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 한국어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개설하여 재외동포와 외국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하기 시작했다. 국제교육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어교육부장, 교학부장을 지냈고, 2003년 7월에는 한국어교육 전공자로서는 처음으로 국제교육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2014년까지 활동했다.
그가 개설한 국제교육원의 한국어 프로그램은 1993년 영국 뉴캐슬대학 동아시아학과 교환학생 2명으로 시작하여, 2023년 기준 100여 개국 47,000여 명이 참여하는 세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성장했다. 원장 재직 기간 동안 한국어 보급에 힘쓰며, 한국어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한국의 우수 대학에서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입학을 지원했다. 또한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교육기관, 정부기관, 유학원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며, 세계 각지에 있는 재외동포 및 입양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도 적극 협력하였다.
주요 성과로는 다양한 한국 연수 프로그램 개설을 들 수 있다. KF 외교관 한국언어문화연수, KLEAP(미국 군인) 연수, 미국 DLI 몰입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설했다. 또한 일본의 도쿄 세이쿠 대학, 긴키대학교, 니가타 국제정보대학 등 26개 대학, 중국의 여러 대학 한국어학과, 홍콩의 홍콩 중문 대학, 홍콩 시립 대학, 미국의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를 포함한 3개 대학, 태국 2개 대학, 그리고 러시아, 체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5개국과도 지속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대상/협력 기관 | 프로그램 내용 |
---|---|
KF | 외교관 한국언어문화연수 |
미국 군인 | KLEAP 연수 |
미국 DLI | 몰입 교육 프로그램 |
일본 26개 대학 (예: 도쿄 세이쿠 대학, 긴키대학교, 니가타 국제정보대학) | 대학 연수 프로그램 |
중국 여러 대학 | 한국어학과 연수 프로그램 |
홍콩 중문 대학, 홍콩 시립 대학 | 연수 교류 |
미국 3개 대학 (예: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 연수 교류 |
태국 2개 대학 | 연수 교류 |
기타 5개국 (러시아, 체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 연수 프로그램 |
이 외에도 한국어교육 기관으로는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여 경희대학교 학생과 외국 학생이 1:1로 상호 문화를 교류할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경희 세계문화축제,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세계인이 함께 어울리고 화합하는 장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3. 3.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부 협력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으로 재직(2003년 7월 ~ 2014년)하면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힘썼다. 1993년 영국 뉴캐슬대학 교환학생 2명으로 시작한 국제교육원의 한국어 프로그램은 2023년 기준 100여 개국 47,000여 명이 참여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김중섭은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교육기관, 정부기관 등과 협력하여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며, 재외동포 및 입양아 대상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또한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국제 교육 프로그램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해 왔다.주요 성과 및 개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국내 연수 프로그램 개설:
- KF 외교관 한국 언어 문화 연수
- KLEAP (미국 군인 대상) 연수
- 미국 DLI(Defense Language Institute) 몰입 교육 프로그램
- 해외 대학과의 연수 프로그램 개설:
- 일본: 도쿄 세이쿠대학교, 킨키대학교, 니가타 국제정보대학교,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등 26개 대학
- 중국: 여러 대학의 한국어학과 연수 프로그램
- 홍콩: 홍콩 중문대학교, 홍콩 시티대학교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를 포함한 3개 대학
- 태국: 2개 대학
- 기타: 러시아, 체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5개국 대학
- 기타 활동:
- 한국어 교육 기관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여 경희대학교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 간의 1:1 문화 교류 기회를 제공했다.
- 경희 세계문화축제,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문화 행사를 개최하여 세계인의 화합과 교류 증진에 기여했다.
3. 4. 한국어 도우미 제도 및 행사 개최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김중섭은 한국어 보급과 국제 교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한국어 교육 기관으로는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여 경희대학교 대학(원)생과 외국 학생이 1:1로 상호 문화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는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고, 한국 학생들에게는 국제적인 시야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또한, '경희 세계 문화 축제'와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 다양한 한국어 관련 행사를 개최하여 세계인이 한데 어울려 화합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 걸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한국어 교육의 발전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4. 주요 활동
김중섭 교수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전문가로서 경희대학교를 중심으로 학문 연구, 후학 양성, 국제 교류 등 다방면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85년 경희대학교 국제교류처에서 연구원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3년에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처음 개설하여 재외동포와 외국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했다. 국제교육원 원장을 역임하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크게 발전시켜, 2023년까지 100여 개국 47,00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한국어교육 기관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고,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며 한국어 보급과 문화 교류에 힘썼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 한국어 교육 전공 석·박사 과정을 개설하고 주임교수로서 수많은 후학을 양성했으며, 이들은 국내외 대학 및 관련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어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
대학에서의 활동 외에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중언어학회, 국어국문학회, 한글학회 등 주요 학회에서 임원 및 회원으로 활동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등 정부 기관 및 관련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어능력시험(TOPIK) 운영, 세종학당 설립 지원, 한국어 교원 정책 수립 등 한국어 교육 정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외에도 한중우호협회, 세종학당재단, 미국한국어진흥재단 등 다양한 국내외 단체 활동을 통해 국제 교류 증진과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에 기여했다. 2015년에는 미국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16년판'에 등재되기도 했다.
4. 1. 학회 활동
김중섭 교수는 한국어 교육 및 국어학 분야의 여러 주요 학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해 왔다. 특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중언어학회, 국어국문학회, 한글학회 등에서 연구위원, 편집위원, 임원 등 다양한 직책을 맡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학회 활동 내역은 아래와 같다.학회 | 직책 | 기간 |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연구위원 | 1997년 10월 ~ 1998년 7월 |
편집이사 | 1998년 8월 ~ 2001년 7월 | |
부회장 | 2001년 8월 ~ 2003년 7월 | |
감사 | 2003년 3월 ~ 2005년 8월 | |
편집위원 | 2006년 1월 ~ 2007년 7월 | |
회장, 대표이사 | 2009년 9월 ~ 2011년 8월 | |
자문위원 | 2019년 9월 ~ 2021년 8월 | |
법인재단 이사장 | 2020년 3월 ~ 현재 | |
이중언어학회 | 편집위원 | 2003년 12월 ~ 2005년 10월 |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 | 2005년 10월 ~ 2007년 9월 | |
국어국문학회 | 부회장, 어문교육전공 이사 | 2009년 6월 ~ 현재 |
전공이사 | 2017년 7월 ~ 2019년 6월 | |
한글학회 |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 2010년 4월 ~ 현재 |
자문위원, 평의원 겸 편집위원 | 2010년 6월 ~ 현재 | |
한국어원학회 | 섭외이사 | 1996년 10월 ~ 2006년 11월 |
한국어교육기관대표자협의회 | 부회장 (서울, 경기지역) | 2006년 4월 ~ 2008년 7월 |
회장, 고문 | 2008년 7월 ~ 2012년 8월 | |
고문 | 2012년 9월 ~ 현재 |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이사 | 2014년 1월 ~ 2015년 12월 |
4. 2. 정부 기관 및 위원회 활동
김중섭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국회,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다양한 정부 기관 및 관련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어 교육 정책 수립과 국제 교류 증진에 기여했다. 특히 한국어능력시험(TOPIK) 관련 평가 및 출제, 세종학당 설립 심사, 한국어 교원 자격 심사 등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기간 | 소속 기관/위원회 | 직책/활동 내용 |
---|---|---|
1996년 9월 ~ 2004년 10월 | 교육부 국제교육진흥원 | 국제교육교류 심의위원 |
1997년 7월 ~ 1998년 12월 | 학술진흥재단 | 한국어능력시험 평가위원 및 출제위원 |
1997년 8월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제1회 한국어능력시험 출제부위원장 |
1998년 12월 |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 한국어 세계화 추진 기반 구축 사업 연구 자문위원 |
1999년 5월 ~ 2009년 12월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어능력시험 평가위원회 자문위원 및 검토위원 |
2000년 4월 ~ 2006년 2월 |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 공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02년 7월 | 교육부 | 2002 교육개혁 우수대학 사업 집필의원 |
2003년 9월 ~ 2005년 8월 | 정보통신부 | 차세대 통신지도자 과정 운영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
2003년 ~ 2009년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세계화재단 | 한국어능력시험 관련 각종 위원 (평가, 출제, 채점, 문항개발, 자문 등) |
2009년 1월 ~ 2009년 12월 | 문화체육관광부 |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자문위원 |
2009년 ~ 2010년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제16회~제20회 한국어능력시험 채점위원장 |
2010년 ~ 현재 | 국립국어원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개발위원회 자문위원 |
2010년 ~ 현재 | 국회 |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
2011년 1월 ~ 2011년 12월 | 세종학당재단 | 세종학당 설립 심사위원 |
2010년 ~ 2015년 | 국립국어원 | 한국어교원자격심사위원회 위원, 위원장 (제3기) |
2011년 3월 ~ 2012년 2월 | 한국국제협력단 (KOICA) | 지구촌체험관 자문위원 |
2011년 5월 ~ 2015년 4월 | 교육부 (당시 교육과학기술부) |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평가 인증위원회 위원 |
2012년 4월 ~ 2013년 4월 | 문화체육관광부 | 한류문화진흥위원회 자문위원 |
2012년 10월 ~ 2016년 10월 | 세종학당재단 | 비상임이사 |
2013년 10월 ~ 2014년 4월 | 행정안전부 (당시 안전행정부) | 지구촌새마을운동 자문위원 |
2014년 5월 ~ 2016년 4월 | 한국국제협력단 (KOICA) | 홍보전문위원 |
2014년 5월 ~ 2015년 5월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해외한국학 심의위원 |
2015년 1월 ~ 2018년 6월 | 국회 |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연임) |
2016년 7월 ~ 2017년 12월 | 국립국어원 | 국제통용한국어표준교육과정 개발위원회 자문위원 |
4. 3. 대학 관련 활동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2007년 3월부터 재직하였다. 1998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과정을 개설하고 주임교수를 맡았으며, 2002년에는 일반대학원에 석·박사과정으로 한국어학(한국어 교육) 전공을 개설하여 많은 후학을 양성했다. 그는 259명(박사 30명, 석사 229명)의 후학을 지도했으며, 이들은 국내외 대학, 세종학당,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다양한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1985년 경희대학교 국제교류처 연구원으로 국제교류 업무를 시작했으며, 1993년 4월에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 한국어 교육 과정을 처음 개설하여 재외동포와 외국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했다.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교육부장, 교학부장을 역임하였고, 2003년 7월부터 2014년까지, 그리고 2020년 2월부터 다시 원장직을 맡아 국제교육원을 이끌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국제교육원의 한국어 프로그램은 초창기 2명의 학생에서 2023년 기준 100여 개국 47,00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국제교육원장으로서 KF 외교관 한국언어문화연수, KLEAP(미군) 연수, 미국 DLI 몰입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부 및 해외 기관 연수 프로그램을 유치하고 운영했다. 또한 일본, 중국, 홍콩, 미국, 태국 등 여러 국가의 26개 이상 대학과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했다. 한국어교육 기관 최초로 '한국어 도우미 제도'를 도입하여 경희대학교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 간의 상호 문화 교류 기회를 제공했으며, 경희 세계문화축제, 세계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 등을 개최하여 한국어 보급과 문화 교류 증진에 힘썼다.
경희대학교 내에서는 주요 행정 보직을 맡아 대학 발전에 기여했다. 대외협력처장(2013-2016), 총장실장(2015-2017), 경희미래위원회 사무총장(2017-2019) 등을 역임했다.
해외 대학과의 교류 및 자문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홍콩 중문대학교 전업전수학원 한국어 교육 자문위원(2011-현재) 및 한국어 프로그램 자문위원(2016-현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중국 하북외국어대학교 특별초빙교수(2018-현재)로 위촉되었다. 또한 미국한국어진흥재단 이사(2019-현재)로 활동하며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에도 기여하고 있다.
기간 | 직책 | 소속 기관 |
---|---|---|
1993.03.01 ~ 1996.02.02 | 전임연구원 |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
1996.03.01 ~ 1998.02.28 | 조교수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
1998.03.01 ~ 2003.02.28 | 교학부장 겸 한국어교육부장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
1998.03.01 ~ 2005.03.01 |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0.04.01 ~ 2005.03.01 | 부교수, 교수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
2003.07.01 ~ 2015.01.07 | 원장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
2004.03.01 ~ 현재 | 교수(한국어교육, 국어학) |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
2011.09.01 ~ 현재 | 한국어 교육 자문위원 | 홍콩 중문대학교 전업전수학원 |
2013.03.04 ~ 2015.03.21 | 대외협력처장 | 경희대학교 |
2015.03.01 ~ 2016.02.28 | 대외협력처장 | 경희대학교 |
2015.03.04 ~ 2017.04.21 | 총장실장 | 경희대학교 |
2016.09.01 ~ 현재 | 한국어 프로그램 자문위원 | 홍콩 중문대학교 |
2017.05.18 ~ 2019.02.19 | 사무총장 | 경희미래위원회 사무국 |
2018.12.07 ~ 현재 | 특별초빙교수 | 하북외국어대학교 |
2020.02.18 ~ 현재 | 원장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
4. 4. 기타 단체 활동
김중섭 교수는 학술 및 교육 활동 외에도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에 참여하며 폭넓은 행보를 보여왔다.2004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어세계화재단 이사로 활동했으며, 2005년부터는 현재까지 한중우호협회 이사직을 맡고 있다. 또한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ROTC 중앙회 상임이사를 지냈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지구촌체험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다문화교류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했으며, 같은 기간 세종학당재단 비상임이사로서 한국어 교육 확산에 기여했다.
국제적인 활동으로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세계 백신 면역 연합 (GAVI) 한국사무소 연락대표를 맡았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당시 안전행정부의 지구촌새마을운동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2014년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 심의위원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이사를 맡았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국제협력단 (KOICA) 홍보전문위원으로도 활동했다.
2019년부터는 지구촌나눔운동 전문위원과 미국 한국어 진흥 재단 이사직을 맡아 현재까지 활동하며 국제 개발 협력과 해외 한국어 교육 지원에 기여하고 있다.
5.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 | 수상 내역 |
---|---|
1987년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위원회 공로패 (조국순방 여름학교 진행) |
1989년 | 도서출판 고려원 감사패 (독서감상문 장려) |
1991년 2월 28일 | 교육부장관 표창장 (재외교포대학생 한국어교육 여름학교 공로) |
2006년 11월 | 경희대학교 총장상 |
2006년 11월 | 경희대학교 총동문회 공로상 |
2009년 6월 30일 |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헤럴드경제 대한민국 우수교육 기관 선정 |
2009년 8월 25일 | 일본 외무대신 표창 |
2009년 12월 31일 | 문화체육관광부 표창장 |
2010년 3월 19일 | 경희대학교 60주년 기념 사업 표창장 |
2010년 4월 12일 | 베트남 문화교육교류훈장 |
2010년 10월 12일 | 코이카(KOICA) 감사패 |
2011년 7월 13일 | 미국 한국어 진흥재단 감사패 |
2011년 12월 31일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 |
2012년 2월 1일 | 일본 대학신문사 감사패 |
2012년 7월 12일 | 태국 치앙라이 라자팟대학교 감사패 |
2012년 11월 16일 | 미군 501정보여단 감사패 |
2013년 1월 8일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장 |
2013년 12월 20일 | 경희대학교 목련상-실천부분(Magnolia 2013) |
2014년 11월 28일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4년 세종도서 문학 나눔 선정 (‘세상, 아름다운 사랑과 만나다’) |
2016년 5월 18일 | 경희대학교 총장 표창패 (20주년 근속) |
2017년 7월 19일 | 마르퀴즈 후즈 후 ‘2017 알버트 넬슨 마르퀴즈 평생 공로상’ |
2017년 8월 3일 | 대만 국립가오슝대학교 감사장 |
2019년 11월 20일 | 인도 네루대학교 한국학센터 감사패 |
2023년 10월 4일 | 문화체육관광부 한글날 기념 국무총리 표창 |
6. 연구 실적
김중섭 교수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 활동을 수행해왔다. 그의 연구는 주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법론, 교재 개발,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희대학교를 중심으로 초급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수준의 한국어 학습 교재 개발에 참여했으며, 특정 언어권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교재 편찬에도 기여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법무부, 국립국어원, 국립국제교육원 등 정부 부처 및 유관 기관과 협력하여 한국어 교육 정책 수립,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항 개발, 사회통합 프로그램(KIIP) 관련 연구 등 다수의 연구 용역을 수행하며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과 국제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학술 논문을 통해서는 한국어 교수법, 교재 분석, 학습자 오류 연구, 한류 현상과 한국어 교육의 연관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한국어 교육학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했다. 학술 연구 외에도 개인적인 성찰과 경험을 담은 수필집을 출간하기도 하였다. 그의 연구 성과는 다수의 저서, 연구 보고서, 학술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6. 1. 저서
다음은 김중섭 교수가 저술하거나 참여한 저서 및 연구 보고서 목록이다. 주로 한국어 교육 관련 교재와 이론서, 연구 보고서가 많으며, 일부 수필집도 포함되어 있다.=== 저서 ===
발행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96년 | 글 잘 쓰는 길 |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
1996년 | 한국어 초급 |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
1996년 | 한국어 중급 |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
1996년 | 한국어 고급 |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
1997년 | 한국어 초급 (개정증보) | 경희대학교 |
1997년 | 한국어 중급 (개정증보) | 경희대학교 |
1997년 | 한국어 고급 (개정증보) | 경희대학교 |
1998년 | 안녕하세요 (Hi! This is Korean Conversation) | 박이정 |
1999년 | 한국어기초회화 (일본어판) | 박이정 |
2000년 | 한국어 초급1 (Navigating Korean) | 경희대학교 |
2001년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한영판) | 박이정 |
2001년 | 한국어 초급 2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002년 | 한국어 중급1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002년 | 한국어 중급2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002년 | 관광 한국어 (중국어판) | 박이정 |
2002년 |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 한국문화사 |
2003년 | 한국어 고급 1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003년 | 한국어 고급 2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004년 | 혼자 공부하는 한국어 초급 1 | 경희대학교 출판부 |
2004년 | 혼자 공부하는 한국어 초급 2 | 경희대학교 출판국 |
2004년 | 혼자 공부하는 한국어 중급 1 | 경희대학교 출판부 |
2004년 | 혼자 공부하는 한국어 중급 2 | 경희대학교 출판부 |
2004년 | 한국어 교육의 이해 | 한국문화사 |
2005년 | 방문자를 위한 한국어 Easy Korean | UCL inc |
2005년 | 신표준 한국어 | 외어교학연구출판사 |
2006년 | 신표준한국어 초급2 | 외어교학연구출판사 |
2006년 | 학부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 유씨엘아인엔씨 |
2006년 | 신표준한국어 중급1 | 외어교학연구출판사 |
2006년 | 신표준한국어 중급2 | 외어교학연구출판사 |
2006년 | 영원까지 함께한 사랑 | 도서출판 푸르름 |
2006년 | 신표준한국어 고급1 | 외어교학연구출판사 |
2006년 | 신표준한국어 고급2 | 외어교학연구출판사 |
2007년 | 한국어 나비 초급 1 | Japan Language PLUS |
2007년 | 한국어 나비 초급 2 | Japan Language PLUS |
2008년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 도서출판 하우 |
2008년 | (개정판) 한국어 교육의 이해 | 한국문화사 |
2008년 | 베트남인을 위한 초급 한국어 회화 | KoreaLanguagePLUS |
2008년 | 러시아인을 위한 초급 한국어 회화 | KoreaLanguagePLUS |
2008년 | (개정판)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 도서출판 하우 |
2009년 | 日本人のための分かりやすい 韓國語文法100 | Korea Language PLUS |
2009년 | 面相中国人的韩国语语法100 | Korea Language PLUS |
2009년 | できる韓国語慣用表現 | ASK |
2009년 | 新标准韩国语 同步练习册 (초급 상/하, 중급 상/하) |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외연사) |
2010년 | 한글학교 한국어 5 |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
2010년 | 한글학교 한국어 6 |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
2010년 | 한국어교육의 이해 | 도서출판 하우 |
2010년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듣기 | 도서출판 하우 |
2010년 | 전화 한국어 (입문, 초급1 5권) | 문화체육관광부 |
2010년 | Korean Conversation Dictionary : for Foreigners, English-Korean | 한림출판사 (Hollym) |
2010년 | 사회통합 프로그램[KIIP]을 위한 한국어 (기초, 초급1, 초급2) |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
2011년 | 맞춤 한국어 5, 6 (영어권) (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 교육과학기술부 |
2011년 | 사회통합 프로그램 [KLLP]을 위한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 (기초, 초급1, 초급2) |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 |
2012년 | KOREAN PHRASE BOOK FOR TRAVELERS | Hollym |
2012년 | 맞춤 한국어 1~6 (태국어권)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 | 교육과학기술부 |
2013년 | EASY TALK IN KOREAN | Hollym |
2013년 | 맞춤 한국어 1~6 (스페인어권)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 | 교육과학기술부 |
2014년 | 세상, 아름다운 사랑과 만나다 | 도서출판 하우 |
2014년 | (수정증보판) 한국어 교육의 이해 | 도서출판 하우 |
2014년 | 경희 한국어 1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 도서출판 하우 |
2014년 | 경희 한국어 2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 도서출판 하우 |
2014년 | 경희 한국어 3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 도서출판 하우 |
2015년 | 경희 한국어 4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 도서출판 하우 |
2015년 | 경희 한국어 5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 도서출판 하우 |
2015년 | 경희 한국어 6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 도서출판 하우 |
2015년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6 (교재, 교사용 지도서, 워크북) | 국립국제교육원 |
2016년 | 한국어 발음 정복하기 | 도서출판 하우 |
2017년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6 (일본어권) (교재 및 워크북) | 국립국제교육원 |
2017년 | 한류노믹스 | KOFICE |
2017년 | 한국어 어휘 정복하기 : 한눈에 쏙 들어오는 계약용어 300 | 도서출판 하우 |
2020년 | 신표준한국어 초급(상) (新标准韩国语 初级上) |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외연사) |
2021년 | 신표준한국어 초급(하) (新标准韩国语 初级下) |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외연사) |
2021년 | 신표준한국어 초급상 워크북 (新标准韩国语 初級 (上) 练习册) |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외연사) |
2021년 | 미원 조영식을 생각한다 | 한국학술정보 |
2022년 | 신표준한국어초급(하) 워크북 (新标准韩国语 初級 (下) 练习册) |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외연사) |
2022년 | 신표준한국어중급(상) (新标准韩国语 中級(上) |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외연사) |
2022년 | 왕가위의 시간 | (주)모인그룹 열아홉 |
2023년 | 와글와글 중급한국어 | 日本朝日出版社 (일본 아사히 출판사) |
=== 연구 보고서 및 용역 ===
수행 연도 | 제목 | 발주/연구 기관 |
---|---|---|
2000년 |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수 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업보고서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어세계화 추진위원회 |
2001년 |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과과정 및 교수요목 개발 최종보고서 | 한국어 세계화 재단 |
2002년 | 러시아 및 중국 지역 한국어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 교육인적자원부 |
2002년 | 한국어 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 |
2003년 | 한국어 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 |
2005년 | 온라인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연구개발 | 경희사이버대학교 |
2005년 | 한.일공과대학학부 유학생 파견사업 평가 및 운영 방안 연구 | 교육부 국제진흥원 |
2005년 | 교재의 과제와 발전 방향 | 한국문화사 |
2005년 | 한국어 보급 현지화 사업(중국) | 문화체육관광부 |
2006년 | 중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 코스웨어 개발 | (주)미래넷 |
2007년 |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개발 연구용역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7년 | 한국어능력시험 문제은행 구축을 위한 표준 문항 개발 연구 용역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0년 | 외국인 유학생 유치 다변화 전략 및 지원·관리 종합시스템 구축 방안 | |
2011년 | 동북아국가와의 교육 및 과학기술 교류협력 활성화방안 | 교육과학기술부 |
2016년 |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 국립국어원 |
2016년 | 2016년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사업 정책 연구 최종 보고서 | 국립국제교육원 |
6. 2. 보고서
wikitext연도 | 보고서 제목 | 발주처/기관 |
---|---|---|
2000 |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수 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업보고서 | 문화관광부 한국어세계화 추진위원회 |
2001 |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과과정 및 교수요목 개발 최종보고서 | 한국어 세계화 재단 |
2002 | 러시아 및 중국 지역 한국어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 교육인적자원부 |
2002 | 한국어 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 |
2003 | 한국어 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 |
2005 | 온라인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연구개발 | 경희대학교 사이버대학 |
2005 | 한·일공과대학학부 유학생 파견사업 평가 및 운영 방안 연구 | 교육부 국제진흥원 |
2005 | 교재의 과제와 발전 방향 | 한국문화사 |
2005 | 한국어 보급 현지화 사업(중국) | 문화관광부 |
2006 | 중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 코스웨어 개발 | (주)미래넷 |
2007 |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개발 연구용역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7 | 한국어능력시험 문제은행 구축을 위한 표준 문항 개발 연구 용역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0 | 외국인 유학생 유치 다변화 전략 및 지원·관리 종합시스템 구축 방안 | |
2011 | 동북아국가와의 교육 및 과학기술 교류협력 활성화방안 | 교육과학기술부 |
2016 | 2016년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사업 정책 연구 최종 보고서 | 국립국제교육원 |
6. 3. 논문
- 1988.12.01 ㅇ(N)음의 변천연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 1993.12.01 재외교포 학생들을 위한 조국순방여름학교(단기) 운영실태 및 추진 방안 연구 - 국제교육진흥원 위탁 경희대학교 프로그램(`88-`92) 분석, 경희대 학생생활연구소
- 1994.01.01 한일어 의태부사어 연구-하체어 중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 1994.02.01 한일어의태부사연구(하체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1994.09.01 한일어 의태부사 어원비교연구, 경희 알타이어 연구소
- 1995.08.01 한국어 의태부사 어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 1996.01.01 한국어 의태어 어원연구 방법론, 경희대학교 대학원
- 1996.01.01 천체자연어계 의태어 어원 연구 방법,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 1996.02.01 한국의태어어원연구방법론, 경희대학교 대학원
- 1996.12.01 북한의 언어정책과 한국어 교육연구, 이중언어학회
- 1996.12.01 천체 자연어계 의태어 어원연구방법,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과
- 1997.02.01 한국어 신체관련 의태어 형성연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1997.09.0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교육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1997.11.01 유운중복 의태어의 의미구조연구, 조영식박사 희수기념논문집 편찬위원회
- 1998.06.01 북한의 한국어 교육 연구(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영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1998.12.01 한국어능력평가검사의 개발실태 및 분석, 이중언어학회
- 1999.06.0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 1999.09.01 북한의 한국어교재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 2000.07.01 남북한 한국어교육 비교 연구
- 2000.12.01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수 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업보고서, 문화관광부 한국어세계화 추진위원회
- 2001.01.0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 2001.12.01 기록과 관찰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01.12.01 한국어 교사 교육 연수 프로그램 교과과정 및 교수요목 개발 최종보고서, 한국어 세계화 재단
- 2002.03.01 러시아 및 중국 지역 한국어교육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2002.06.0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02.12.01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02.12.01 동남아시아 지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의 실제, 언어교육연구원
- 2002.12.01 한국어 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 2003.12.01 한국어 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 2004.07.01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 2004.08.01 한국어 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05.02.01 온라인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연구개발, 경희대 사이버대학
- 2005.04.01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학회
- 2005.06.01 한.일공과대학학부 유학생 파견사업 평가 및 운영 방안 연구, 교육부 국제진흥원
- 2005.06.01 교재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문화사
- 2005.09.01 한국어 보급 현지화 사업(중국), 문화관광부
- 2005.10.01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오류분류에 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 2006.04.01 인터넷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 교육 사례 연구, 우리말학회
- 2006.06.01 중국 대학 한국어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이중언어학회
- 2006.11.01 중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 코스웨어 개발, (주)미래넷
- 2007.01.01 (2006.12.31) 한류와 한국어 교육,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2007.02.01 일한이공계 학부유학생 사업 중간 평가 및 이후의 과제, 이바라키대학 유학생센터
- 2007.05.01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개발 연구용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7.05.01 한국어능력시험 문제은행 구축을 위한 표준 문항 개발 연구 용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7.09.01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이중언어학회
- 2009.07.01 韓国人学習者の日本留学に対するレディネス及びニーズの分析--日韓共同理工系学部留学生事業第9期生を中心として일본어, 긴키대학 어학교육부기요
- 2010.11.01 외국인 유학생 유치 다변화 전략 및 지원·관리 종합시스템 구축 방안
- 2010.12.01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11.02.01 CIS지역 재외동포 대상 한국 문화 교육 항목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이중언어학회
- 2011.10.01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학회
- 2011.12.01 동북아국가와의 교육 및 과학기술 교류협력 활성화방안, 교육과학기술부
- 2012.03.01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발전 과정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12.04.01 중국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과 미래 전략, 외국어교육과연구출판사
- 2012.04.01 中國韓國語教育的發展方向和未來戰略중국어
- 2012.07.01 어원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원학회
- 2013.03.01 세종학당 성공을 위한 조건과 과제, 한국어문화연구센터
- 2014.02.01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의 성과 및 과제, 이중언어학회
- 2014.06.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orean Version of Quality of Sexual Function (QSF-K) in Healthy Korean Women영어, JKMS
- 2014.10.01 Impact of affective variables o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oral achievement영어, Elsevier
- 2015.12.01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16.08.01 2016년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생 사업 정책 연구 최종 보고서, 국립국제교육원
- 2016.09.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Hand-Foot Skin Reaction an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HF-QoL-K)영어, JKMS
- 2017.06.01 한 중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비교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2017.12.01 한국 대중문화 노출이 취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한글학회
- 2018.04.01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visual analogue scale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defecation pattern changes영어
- 2018.12.01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비음화를 중심으로-
- 2019.01.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Ovarian Symptom Index-18 and Neurotoxcity-4 for Korean Patients with Ovarian, Fallopian Tube, or Primary Peritoneal Cancer영어
- 2019.02.01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 말하기 수업 적용 연구-중국 내 한국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 2020.05.01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한국어 동기 모형 연구―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2020.08.01 군사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2020.10.01 Pilot study of radiofrequency thermal therapy performed twice on the entire vaginal wall for vaginal laxity영어
- 2020.12.01 군사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실제 국방어학원 <외국군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 2021.06.01 군집분석을 활용한 중국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동기 유형 분석
- 2021.11.01 중국인 한국어 전공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중심으로-
- 2022.10.01 국내 한국어교육 양적 연구 통계 기법 사용의 동향과 제안점
7. 한국어 능력 시험(토픽) 및 외국인 한국어 평가 문제 출제 및 채점 실적
김중섭 교수는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초기부터 문제 출제, 채점, 자문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시험의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기관에서 외국인 대상 한국어 평가 및 교육 관련 활동에 참여하며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폭넓게 활동해왔다.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활동 내용 | 관련 기관/시험명 |
---|---|---|
2000년 | 평가위원 | 제4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0년~2002년 | 자문위원 | 한국어 능력 시험 |
2001년 | 전문위원 | 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
2001년 | 심사위원 | 전국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본선 대회 |
2001년 | 평가위원 | 제5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3년 | 전문위원 | 한국어 세계화 재단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
2003년 | KPT 문제은행식 평가위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3년 | 출제 평가위원 | 제7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4년~2006년 | 자문위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 능력 시험 |
2004년 | 평가위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8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4년 | 문제은행 문항개발위원장 | 한국어 능력 시험 |
2004년 | 채점위원장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8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5년 | 전문위원 | 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교육능력시험 |
2005년 | 평가위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9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5년 | 문제은행 문항개발위원장 | 한국어 능력 시험 |
2006년 | 문제은행 문항개발 출제위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어 능력 시험 |
2006년 | 심사위원 | 제5회 전국외국인 한국어 연극 한마당 |
2008년 | 자문위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14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8년 | 채점위원장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14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8년 | 채점위원장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13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9년~2010년 | 채점위원장 | 제16회 ~ 제20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9년 | 출제위원장 | 제15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09년 | 자문위원 | 제15회 한국어 능력 시험 |
2012년 | 심사위원 | 금호아시아나배 일본학생 한국어말하기 대회 |
2014년 | 외부 시험 평가위원(EE) 및 명예 어드바이저(Hon advisors) | 홍콩 중문 대학 한국어과정 |
2016년~현재 | 외부 시험 평가위원(EE) 및 명예 어드바이저(Hon advisors) | 홍콩 중문 대학 한국어과정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