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사키 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사키 공항은 일본 나가사키현에 위치한 공항으로, 1923년 일본 제국 해군 비행장으로 시작하여 1955년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었다. 1975년 현재의 해상 공항으로 확장 이전하면서 일본 최초의 해상 공항이 되었으며, 1979년 나가사키-상하이 간 국제선 정기편이 취항했다. 현재는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며, 2016년 개항 이후 승하차 여객수 1억 명을 돌파했다. 2008년과 2017년에 소형기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사키현의 공항 - 쓰시마 공항
쓰시마 공항은 나가사키현 쓰시마섬에 위치한 공항으로, 국내선과 과거 국제선 노선을 운영했으며, 활주로 확장 및 시설 개선을 통해 제트기 취항이 가능해졌고, 현재는 "쓰시마 야마네코 공항"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 - 나가사키현의 공항 - 후쿠에 공항
후쿠에 공항은 일본 고토시 후쿠에섬에 위치하며 '고토 쓰바키 공항'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공항으로, 국내선 노선이 주로 운항되고 있으며 후쿠오카, 나가사키 노선이 운항 중이다. - 인공섬 공항 - 홍콩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은 란타우섬에 위치한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카이탁 공항을 대체하여 개항한 이래 지속적인 시설 확장을 통해 수천만 명의 여객과 수백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며 홍콩 공항공사가 운영하고 홍콩 공항철도 등으로 시내와 연결된다. - 인공섬 공항 - 고베 공항
고베 공항은 고베시 포트 아일랜드 남쪽 해상에 위치한 지역 공항으로, 정치적 논란과 자금난을 겪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재해 복구 계획으로 건설이 재개되어 2006년 개항, 2018년 민영화 후 국제선 운항 확대를 추진 중이며 편리한 교통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 - 오무라시의 교통 - 오무라선
오무라선은 규슈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나가사키현의 하이키역과 이사하야역을 잇는 47.6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일부 구간은 전철화되어 특급 '하우스텐보스'호가 운행되고, 2022년 서큐슈 신칸센 개통과 함께 신오무라역이 개업하여 신칸센과의 연계가 강화되었으며,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 역할을 수행한다. - 오무라시의 교통 - 오무라역 (나가사키현)
오무라역은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있는 JR 규슈 오무라선 철도역으로, 1898년 개업하여 나가사키 본선의 일부였다가 오무라선으로 편입되었으며, 2면 2선의 승강장과 목조 역사를 갖추고 있고, FM 오무라 스튜디오가 있으며, 오무라시청, 오무라 공항 등 주변 시설이 위치한다.
나가사키 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長崎空港 (나가사키 쿠코) |
영어 이름 | Nagasaki Airport |
IATA 코드 | NGS |
ICAO 코드 | RJFU |
종류 | 공공 |
운영자 | 일본 국토교통성 |
도시 | 나가사키현 |
위치 | 오무라시, 나가사키현, 일본 |
개항 | 1975년 5월 1일 |
허브 공항 | 오리엔탈 에어 브리지 |
해발 고도 | 8 피트 (2.4 m) |
웹사이트 | 나가사키 공항 |
활주로 | |
활주로 1 | 14/32 |
활주로 1 표면 | 아스팔트 콘크리트 |
활주로 1 길이 | 3,000 m |
통계 (2022년) | |
승객 수 | 2,573,071 명 |
화물 (톤) | 4,143 톤 |
항공기 운항 횟수 | 15,791 회 |
2. 역사
나가사키 공항의 역사는 1923년 일본 제국 해군 비행장으로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어 1955년 '''오무라 공항'''으로 명명되었고, 1975년 오무라만의 미노시마 섬 전체를 개발하여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해상 공항으로 새롭게 개항했다.[3][4][6][25] 해상에 위치하여 육지로의 소음 공해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26]
개항 이후, 1979년 상하이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 운항을 개시했으며,[10][6][29] 1980년에는 활주로를 3000m로 연장하여 대형 항공기의 취항 기반을 마련했다.[25] 1990년에는 「'90 나가사키 여행 박람회」 기념으로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가 착륙하기도 했다.[27][34][35]
2011년에는 기존 오무라 공항 부지(A 활주로)가 일본 자위대로 이관되어 '''오무라 비행장'''으로 분리되었다.[15][28] 코로나19 범유행으로 국제선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2023년 상하이 노선 운항이 재개되었다.[16] 나가사키 공항은 규슈 지역 공항 중 유일하게 FAZ(수입 촉진 지역)로 지정되어 국제 물류 거점으로서의 발전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31]
공항 서쪽 하나몬지 산의 활주로 측 사면에는 철쭉과 사츠키로 'NAGASAKI' 문자를 새겨 공항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25]
연도 | 내용 |
---|---|
1923년 | 일본 제국 해군 오무라 비행장 개설 |
1955년 | 구 해군 시설을 이용하여 오무라 공항 발족[31] |
1959년 | 나가사키 공항 빌딩 주식회사 설립, 전일본공수 후쿠오카-나가사키 노선 취항[8] |
1960년 | 공항 정비법 제2종 공항 지정, 오무라 공항 공용 개시[31] |
1971년 | 해상 공항 매립 공사 시작[25] |
1975년 5월 1일 | 미노시마에 B 활주로 공용 개시, 나가사키 공항으로 명칭 변경, 세계 최초 해상 공항 개항[31] |
1979년 9월 1일 | 첫 국제 정기편 상하이 노선 취항[29] |
1980년 | B 활주로 3000m로 연장 완료[25] |
1989년 12월 | 서울 노선 정기편 취항[30] |
1990년 9월 2일 | 「'90 나가사키 여행 박람회」 기념 콩코드 특별 착륙[34][35] |
2008년 12월 1일 | 터미널 빌딩 리뉴얼 오픈 |
2011년 | A 활주로(구 오무라 공항)를 방위성으로 이관, 오무라 비행장으로 분리[28] |
2016년 10월 6일 | 개항 이후 누적 이용객 1억 명 돌파[36] |
2020년 2월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국제선 운항 중단[16] |
2023년 10월 | 중국 동방 항공 상하이 노선 운항 재개[16] |
2. 1. 오무라 공항 시대 (1923년 ~ 1975년)

현재 나가사키 공항의 본토 부분은 1923년 일본 제국 해군 비행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이곳은 당시 폐지된 제21 해군 항공 기지의 주요 기지로 사용되었다.[3][4]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비행장 주변에는 여러 항공기 공장이 세워졌고, 기지는 수많은 항공기를 만들고 수리하는 군사적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5]
전쟁이 끝난 후, 이 군사 비행장은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었고, 1955년에는 '''오무라 공항'''(大村空港|오무라 구코일본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31] 터미널 건물은 4년 뒤인 1959년에 완공되었으며,[6][7] 같은 해 2월 16일에는 나가사키 공항 빌딩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1959년 5월, 전일본공수가 후쿠오카-나가사키 노선을 개설하면서 본격적인 민간 항공 운항이 시작되었다.[8] 1960년에는 공항 정비법에 따라 제2종 공항으로 지정되어 오무라 공항의 공용이 개시되었다.[31]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트 항공기의 등장과 운항 횟수 증가로 인해 나가사키현은 새로운 공항 건설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기존 오무라 공항을 확장하려 했으나, 지리적인 문제로 인해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6] 결국 현은 오무라만 해안에서 떨어진 箕島|미시마일본어 섬에 새로운 공항을 짓기로 결정했다. 건설 시작 전 섬에는 13가구 66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는데, 현 관계자들의 설득 끝에 모두 공항 건설을 위해 이주하는 데 동의했다.[6][10]
1971년 해상 공항을 위한 매립지 조성 공사가 시작되었고,[25] 본격적인 신공항 건설은 1972년에 시작되어 완공까지 3년이 걸렸다. 공사 과정에서 섬 언덕 일부를 깎아 평탄화하고 해안 주변을 매립하여 면적을 0.9km2에서 1.54km2로 넓혔다.[4] 동시에 본토와 섬을 잇는 970m 길이의 箕島大橋|미시마 오하시일본어 다리도 건설되었다. 새로운 공항 건설에는 약 180억엔이 투입되었다.[10][9]
이후 1975년 5월 1일, 미시마 섬에 건설된 새로운 활주로(B 활주로)와 터미널이 문을 열면서[10][31], 공항 명칭은 '나가사키 공항'으로 변경되었고 오무라 공항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로써 나가사키 공항은 일본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해상 공항으로 기록되었다.[11][10][12][25]
2. 2. 나가사키 공항 개항 (1975년 ~ 현재)
1960년대 들어 제트기 운항이 증가하고 기존 오무라 공항의 시설 확장이 어려워지자[6], 나가사키현은 새로운 공항 건설을 추진하게 되었다. 여러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오무라만 내에 위치한 箕島|미노시마일본어 섬이 최종 부지로 선정되었다. 당시 섬에 거주하던 13가구 66명의 주민들은 현 당국의 설득 끝에 공항 건설을 위해 이주에 동의하였다.[6][10]
1972년부터 본격적인 공항 건설이 시작되어 3년 동안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섬의 언덕 일부를 평탄화하고 주변 해안을 매립하여 공항 부지 면적을 기존 0.9km2에서 1.54km2로 확장하였다.[4] 또한, 섬과 본토를 연결하기 위해 길이 970m의 箕島大橋|미시마 오하시일본어 다리가 건설되었다. 신공항 건설에는 총 180억엔의 비용이 투입되었다.[10][9]
1975년 5월 1일, 미시마 섬에 건설된 새로운 활주로(B활주로)와 여객 터미널이 완공되어[10][31] '''나가사키 공항'''으로 공식 개항하였다. 이는 일본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해상 공항 건설 사례로 기록되었다.[11][10][12][25] 오무라만 해상에 위치한 덕분에 육지와의 거리가 확보되어 항공기 이착륙으로 인한 소음 문제가 적다는 장점을 지닌다.[26]
개항 이후 나가사키 공항은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선하고 운항 노선을 확대해 나갔다.
- 1979년 9월 1일에는 중국 동방 항공이 상하이 노선에 취항하면서 첫 국제선 정기편 운항을 시작하였다.[10][6][29] 이는 나가사키의 역사적, 지리적 특성을 감안할 때 지방 공항으로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국제선 개설이었다.
- 1980년에는 B활주로의 길이가 기존 2500m에서 현재와 같은 3000m로 연장되어 대형 항공기의 이착륙이 더욱 용이해졌다.[10][6][25]
- 1989년 12월에는 서울 노선 정기편이 취항하였다.[30]
1990년 9월 2일, 나가사키시에서 개최된 「'90 나가사키 여행 박람회」를 기념하여 에어 프랑스 소속의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가 나가사키 공항에 착륙하는 특별 이벤트가 열렸다. 이 역사적인 순간을 보기 위해 약 1만 5천 명에서 2만 명에 달하는 인파가 공항으로 몰려들어 주변 지역에 심각한 교통 체증을 유발하기도 했다.[13][14][34][35] 이로써 나가사키 공항은 일본 내에서 콩코드가 착륙한 몇 안 되는 공항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7]
한편, 공항 개항 이후에도 본토 측에 남아 있던 구 오무라 공항 시설(A활주로)은 2011년에 국토교통성에서 방위성으로 이관되었으며, 공식 명칭도 '''오무라 비행장'''으로 변경되어 나가사키 공항과는 별개의 시설로 운영되기 시작했다.[28][15] 현재 오무라 비행장은 해상자위대 오무라 항공 기지를 비롯하여 나가사키현 방재 항공대, 나가사키현 경찰 항공대 등이 이용하고 있다.[28]
코로나19 팬데믹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2020년 2월부터 홍콩 익스프레스(홍콩 노선)와 중국 동방 항공(상하이 노선)의 운항이 중단되면서 나가사키 공항의 국제선 기능은 일시적으로 마비되었다. 이후 방역 상황이 호전됨에 따라 2023년 10월, 중국 동방 항공이 상하이 노선 운항을 재개하면서 3년 8개월 만에 국제선 운항이 다시 이루어지게 되었다.[16]
나가사키 공항은 규슈 지역의 공항 중 유일하게 FAZ(Foreign Access Zone, 수입 촉진 지역)로 지정되어 있어, 향후 국제 항공 화물 운송의 거점으로서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31] 공항 서편에 위치한 하나몬지 산의 활주로 방향 경사면에는 약 5만 그루의 철쭉과 사츠키를 심어 'NAGASAKI'라는 글자를 형상화하였는데, 이는 나가사키 공항의 독특한 상징물로 자리 잡았다.[25]
3. 운항 노선
하네다-나가사키 노선은 높은 수요를 바탕으로 국내선 이용객 수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으며, 과거 보잉 747, 트라이스타, DC-10 등 대형기가 투입되었고 현재는 보잉 777, 보잉 787 같은 광동체기 운항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에어 시스템의 MD-90이나 전일본공수의 특정 기종(767-300, 747-400D)이 처음 투입된 노선이기도 하다. 이타미 노선 역시 과거 대형기가 운항했으나, 현재는 보잉 737 등 소형기를 이용한 고빈도 운항이 주를 이룬다.
나가사키의 역사적, 지리적 배경 덕분에 지방 공항으로는 이례적으로 일찍 국제선 정기편이 개설되었다. 1979년 9월 1일 상하이 노선[29]을 시작으로, 1989년 12월에는 서울 노선[30]이 취항했다. 또한, 규슈 지역 공항 중 유일하게 FAZ(수입 촉진 지역)으로 지정되어 국제 항공 화물 거점으로서의 역할도 기대되고 있다.[31]
3. 1. 국내선
오리엔탈 에어 브리지가 이 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항공사 | 취항지 |
---|---|
일본항공(JAL)[38] | 도쿄(하네다), 오사카(이타미), 나고야(주부) |
전일본공수(ANA)[39] | 도쿄(하네다), 나고야(주부), 오사카(이타미), 나하(오키나와) |
스카이마크(SKY) | 고베 |
솔라시드 에어(SNJ)[40][52] | 도쿄(하네다), 나하(오키나와) |
제트스타 재팬(JJP)[41] | 도쿄(나리타)[42] |
피치 항공(APJ) | 오사카(간사이) |
오리엔탈 에어 브리지(ORC)[43] | 쓰시마, 후쿠에, 이키, 가고시마, 미야자키 |
3. 2. 국제선
wikitext
3. 3. 과거 운항 노선
4. 시설
오무라만의 거의 중앙, 해안에서 약 2km 떨어진 미노시마 전체를 개발하여 1975년 5월 1일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해상 공항으로 개항했다.[25] 공항 자체가 오무라만 앞바다에 위치하여 육지 쪽으로의 소음 공해가 거의 없다는 환경적 이점을 가진다.[26] 공항의 설치 및 관리는 국토교통성이 담당하며, 여객 터미널 빌딩의 운영은 나가사키 공항 빌딩 주식회사(기업 브랜드: NABIC)가 맡고 있다.
공항 서쪽에 위치한 하나몬지 산의 활주로 측 비탈면에는 약 5만 그루의 철쭉 및 사츠키를 심어 ''NAGASAKI''라는 글자를 새겨 놓았는데, 이는 공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25] 또한, 과거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가 취항했던 일본의 몇 안 되는 공항 중 하나이기도 하다.[27]
본토 방면의 오무라시 이마즈정에는 나가사키 공항 개항 이전에 사용되던 옛 '''오무라 공항'''의 부지가 남아있다. 이곳의 활주로(18/36)는 A활주로로 불렸으며, 미노시마에 새로 건설된 활주로(14/32)는 B활주로로 구분된다.[28] A활주로 구역에는 해상자위대 오무라 항공 기지가 자리 잡고 있으며, 제22항공군 등이 사용한다. 이 구역은 2011년 국토교통성에서 방위성으로 이관되어 정식 명칭이 "오무라 비행장"이 되었다.[28] 해상자위대 외에도 나가사키현 방재 항공대와 나가사키현 경찰 항공대가 오무라 비행장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A활주로와 B활주로 사이의 수역에는 오무라 비행장이 관리하는 US-1/US-2 수상기의 이착륙 구역(시드롬)이 설정되어 있다.
규슈 지역 공항 중 유일하게 FAZ(수입 촉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국제 항공 화물 물류 거점으로서의 발전이 기대된다.[31]
한편, 공항 내에 서식하는 너구리 개체 수가 증가하여 항공기 이착륙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자, 2012년에는 이를 막기 위해 전기 울타리가 설치되었다.[25] 공항 부지 내에서 너구리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며, 관련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25]
4. 1. 여객 터미널
- 구조: 철근 콘크리트
- 규모: 지상 2층 (일부 3층), 길이 263m, 폭 39m
- 총 바닥 면적: 23604m2
- 준공: 제1기 공사 1975년 3월 ~ 제5기 공사 1993년 7월
- 설비: 보딩 브릿지 5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 1기는 대형기용 더블 보딩 브릿지이다.
'''1층'''
- 국내선 도착 로비
- * 수하물 수취소
- 국내선 탑승 수속 카운터
- 국제선 도착 로비
- * 세관
- * 수하물 수취소
- 국제선 탑승 수속 카운터
'''2층'''
'''3층'''
- 전망 데크
4. 2. 항공 관제탑
항공 교통 관제는 국토교통성이 실시한다. 해상자위대는 자대 항공기에 대해 오무라 측의 지상 활주로 관제만을 실시하고 있다. TCA(Terminal Control Area, 터미널 관제 구역)는 2007년 7월 1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또한, 야간 시간에는 후쿠오카 FCS에서 원격 관제를 받는다.[37]항공 보안 무선 시설의 보수는 국토교통성 오사카 항공국 나가사키 공항 사무소 항공 교통 관제 기술관이 담당한다.
5. 교통
오무라만 위에 건설된 해상 공항이므로, 공항으로의 접근은 연락교를 이용한 육상 교통 또는 선박을 이용한 해상 교통으로 이루어진다.
5. 1. 육상 교통
나가사키 공항은 오무라만에 위치한 해상 공항으로, 육상 교통은 연락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자가용공항 섬과 본토의 오무라시 모리조노초는 나가사키현도 38호 나가사키 공항선의 일부인 미노시마 대교(길이 970m)로 연결되어 있다. 다리에는 보도가 설치되어 있어 걸어서 공항과 본토를 오갈 수도 있다.
대중교통=== 버스 ===
여러 버스 회사에서 나가사키 시내, 이사하야, 사세보, 시마바라 등 주변 지역과 공항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1]
방면 | 주요 경유지 | 운행 회사 | 비고 |
---|---|---|---|
나가사키시 | 코코워크 모리마치, 나가사키역, 나가사키 신치, 데지마 도로 | 나가사키현영 버스, 나가사키 버스 (공동 운행) | 나가사키 자동차도 통제 시 서큐슈 신칸센 대체 운행 가능 |
나가사키시 | 나가사키역, 우라카미역, 오하시, 나가사키 대학 동문 앞, 나가사키 바이패스 | 나가사키현영 버스 | |
나가사키시 | 나가사키역, 우라카미역, 오하시, 나가사키 대학 앞, 스미요시, 나가사키 바이패스 | 나가사키현영 버스 | |
이사하야시 | 이사하야 터미널, 오무라 터미널 | 나가사키현영 버스 | |
사세보시 | 시험장 앞, 신오무라역 앞, 소노기혼마치, 가와타나 버스센터, 하우스텐보스, 하야키 다고노우라, 오로시혼마치 입구, 히우역 앞, 후지와라 다리, 사세보역 앞 | 세이히 버스 | [A8] 공항 특급 |
사세보시 (사사) | 상동 경유, 마쓰우라마치 국제 거리, (서큐슈도 경유), 사사 버스센터 | 세이히 버스 | [R9] 공항 특급 |
시마바라시 | 혼이사하야역 앞, 이사하야 터미널 | 시마테츠 버스 | 혼이사하야역에서 시마테츠 열차 환승 |
=== 택시 ===
- 공항 승합 택시: 사세보역까지 직행 운행한다. (운영: 공항 승합 택시 공동 사업체)
- 오무라 카모메 라이너: 나가사키 자동차도 오무라IC까지 운행하며, 신오무라역을 경유한다.
=== 철도 연계 ===
서큐슈 신칸센 및 오무라선의 신오무라역에서 공항으로 직접 연결되는 철도는 없으며,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5. 2. 해상 교통

나가사키 공항은 해상 공항이므로 주요 교통 수단 중 하나는 배편이다. 공항 페리는 安田産業汽船|야스다 산업 기선일본어에서 운영하며, 도기쓰[22]와 하우스텐보스[23]를 연결한다.
공항 터미널과 선착장 사이에는 약 300m의 연락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 '''야스다 산업 기선 운항 노선'''
- * 도기쓰 발착편
- * 하우스텐보스 발착편
- ** 하우스텐보스 내의 잔교에 발착하며, 프리존 내에 위치하므로 별도의 입장료는 필요 없다.
6. 통계
나가사키 공항의 연도별 이용객 수 및 주요 노선 통계는 아래와 같다.
6. 1. 연도별 이용객 수
연도 | 총 승객 수[20] |
---|---|
1998 | 3,090,345 |
1999 | 3,056,828 |
2000 | 2,958,058 |
2001 | 2,846,646 |
2002 | 2,853,510 |
2003 | 2,834,289 |
2004 | 2,637,308 |
2014년도 연간 이용객 수는 국내선 2,932,086명, 국제선 76,513명이다.[32]
6. 2. 국내선 통계
2014년도 기준 연간 국내선 이용객 수는 2,932,086명이었다.[32]행선지 | 여객수 | 국내선 순위 |
---|---|---|
도쿄 국제공항 | 약 161만 명 | 상위 10위 |
7. 사건 및 사고
- 2008년 7월 26일, 개인 소유의 소형기가 이륙 직후 공항 인근 오무라만에 추락하여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17년 6월 29일, 소조 대학 소유의 훈련기가 착륙 장치 문제로 동체 착륙하여 공항 운영이 일시 중단되었다.[24]
7. 1. 2008년 소형기 추락 사고
2008년 7월 26일 17시 25분경, 개인이 소유한 소형 비행기(아에로스파시알 제조 소카타 TB-10)가 이륙 직후 공항에서 약 300m 떨어진 오무라만 해상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비행기에 타고 있던 3명은 구조되었지만, 그중 1명은 심각한 부상을 입어 이틀 뒤 사망했다.7. 2. 2017년 소형기 동체 착륙 사고
2017년 6월 29일 오전 10시 30분경, 소조 대학 소유의 조종사 훈련용 소형 비행기(비치크래프트 배런 58)가 착륙 장치를 내리지 않고 공항에 동체 착륙했다. 이 사고로 공항은 3시간 이상 폐쇄되었으며, 18편의 항공편이 결항되었다. 탑승자 3명은 모두 무사했다.[24]8. 기타
(내용 없음)
8. 1. 상징
공항 서쪽 언덕인 하나몬지 산의 활주로 쪽 절개 사면에는 약 5만 그루의 철쭉과 사츠키를 심어 ''NAGASAKI''라는 글자를 만들어 놓았다. 이는 나가사키 공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25]8. 2. 콩코드 취항
나가사키 공항은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가 취항했던 일본의 몇 안 되는 공항 중 하나이다.[27] 1990년 9월 2일에는 「'90 나가사키 여행 박람회」 행사의 일환으로 콩코드가 이곳에 오기도 했다.[34][35]8. 3. 너구리 문제
공항 내에 서식하는 너구리가 증가하여 항공기의 이착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했다.[25]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2년에 전기 울타리가 설치되었다.[25] 또한, 공항 부지 내에서 너구리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알리는 간판이 설치되어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25]참조
[1]
웹사이트
空港管理状況
https://www.mlit.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3-11-13
[2]
웹사이트
会社案内
https://www.orc-air.[...]
2018-03-27
[3]
웹사이트
第21海軍航空廠があった街
http://old.omura.ito[...]
2023-12-05
[4]
간행물
新大村空港の建設計画
https://archiveservi[...]
2024-07-26
[5]
웹사이트
大村市の誕生と太平洋戦争
https://www.city.omu[...]
大村市
2023-12-05
[6]
웹사이트
長崎空港は世界初の海上空港!大村湾に浮かぶ小島が国際空港に変貌
2022-04-14
[7]
웹사이트
現空港に近すぎ?な元祖「長崎空港」とは 他空港とは一味違う珍経緯、そして跡地の"いま"
2023-07-09
[8]
웹사이트
ANA 長崎就航60周年 歴代の制服ずらり 空港で式典
2019-05-12
[9]
웹사이트
【動画】橋物語・箕島大橋 世界初の海上空港とを結ぶ大橋
2021-06-13
[10]
웹사이트
Airport Overview
2018-08-03
[11]
웹사이트
Why Does Asia Have So Many Artificial Island Airports?
2023-11-13
[12]
웹사이트
長崎空港 ~世界初の海上空港~
2023-11-13
[13]
웹사이트
大村湾から未来への flight
https://www.city.omu[...]
大村市
2023-11-13
[14]
웹사이트
【平成の長崎】コンコルド飛来 旅博訪欧親善団乗せ 平成2(1990)年
2018-09-02
[15]
간행물
平成27年度航空機騒音調査結果(長崎空港・大村飛行場周辺)
http://www.pref.naga[...]
長崎県
2023-05-11
[16]
웹사이트
長崎と上海を結ぶ便が約4年ぶりに再開 空港で記念セレモニー
2023-10-30
[17]
웹사이트
国際線<長崎-上海> 運航再開
2023-10-24
[18]
웹사이트
Jeju Air Expands Muan International Service in Dec 2024
Aeroroutes
2024-10-09
[19]
뉴스
"[단독] 日 나가사키 하늘길 5년 7개월 만에 부활…대한항공 10월 27일 취항"
https://www.theguru.[...]
The Guru News
2024-08-22
[20]
웹사이트
Nagasaki Airport -About Nagasaki airport
https://web.archive.[...]
2007-02-19
[21]
웹사이트
バス
2023-11-13
[22]
웹사이트
交通アクセス
2023-11-13
[23]
웹사이트
Access to Huis Ten Bosch
2023-11-13
[24]
웹사이트
長崎空港の小型機胴体着陸、滑走路の閉鎖を解除-産経WEST
https://www.sankei.c[...]
2018-06-27
[25]
서적
空港をゆく
イカロス出版
[26]
문서
[27]
문서
[28]
간행물
平成27年度航空機騒音調査結果(長崎空港・大村飛行場周辺)
http://www.pref.naga[...]
長崎県
2017-04-18
[29]
문서
[30]
문서
[31]
웹사이트
長崎空港
http://ocab.mlit.go.[...]
国土交通省大阪航空局
2015-09-18
[32]
간행물
管内空港の利用状況概況集計表(平成26年度速報値)
http://ocab.mlit.go.[...]
国土交通省大阪航空局
[33]
웹사이트
航空輸送統計年報の概要 令和 5 年度(2023 年度)分
https://www.mlit.go.[...]
2024-07-06
[34]
문서
[35]
문서
[36]
뉴스
長崎空港の乗降客数1億人
http://www.nagasaki-[...]
2016-10-07
[37]
웹사이트
対空センター AFIS&AEIS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航空局
2022-10
[38]
문서
ジェイエアの機材・乗務員で運航する便あり
[39]
문서
ANAウイングスの機材・乗務員で運航する便あり
[40]
문서
全日本空輸とのコードシェア
[41]
문서
日本航空とのコードシェア(国際線との乗り継ぎ時のみ)
[42]
웹사이트
ジェットスター・ジャパン、東京/成田〜長崎線開設 9月6日から
https://www.traicy.c[...]
Traicy
2018-04-24
[43]
문서
日本航空・全日本空輸とのコードシェア
[44]
뉴스
札幌-九州間に4路線新設 日本エアが免許申請
交通新聞社
1992-04-16
[45]
문서
日本航空とのコードシェア
[46]
웹사이트
長崎)ジンエアーのソウル便、運休へ 10月25日から
http://www.asahi.com[...]
2016-02-11
[47]
뉴스
韓国LCCエアソウル 長崎ーソウル線、無期限運休 路線の赤字理由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4-13
[48]
웹사이트
長崎空港と佐世保を結ぶ高速バスが10月末から新大村駅経由に
https://www.ktn.co.j[...]
テレビ長崎
2023-09-06
[49]
웹사이트
長崎空港の小型機胴体着陸、滑走路の閉鎖を解除-産経WEST
https://www.sankei.c[...]
2017-06-29
[50]
뉴스
'[단독] 日 나가사키 하늘길 5년 7개월 만에 부활…대한항공 10월 27일 취항'
https://www.theguru.[...]
더구루
2024-08-22
[51]
뉴스
무안서 국제선 7개·국내선 제주 노선 뜬다
http://www.jndn.com/[...]
전남매일
2024-10-27
[52]
문서
전일본공수와 공동운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