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나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나이인은 러시아의 하바롭스크 지방과 중국 헤이룽장성 등에 주로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이다. 나나이인은 스스로를 '나나이'라고 부르며, 중국에서는 '허저족'으로 불린다. 숙신, 읍루 등과 관련이 있으며, 만주족과의 대립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형성했다. 어업이 주요 생계 수단이었으며, 물고기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어피달자'라고 불리기도 했다. 샤머니즘을 믿고 자연을 숭배하며, 다양한 신화와 전설을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환경 문제, 언어 및 전통 문화 쇠퇴 등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나이족 - 타즈족
    타즈족은 러시아 연해주에 거주하며 한족과 퉁구스족의 혼혈로 형성된 소수 민족으로, 고유 언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수렵 채집 문화와 중국 북부 문화의 영향을 받은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2000년 러시아 소수 원주민으로 인정받았다.
  • 나나이족 - 나나이스키군
    나나이스키군은 하바롭스크 지방에 위치하며 1934년에 설립되었고, 하바롭스크와 인접한 지역으로 약 2만 명의 인구와 나나이족을 포함한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구르 늪이라는 중요한 습지 지역을 포함한다.
  • 헤이룽장성 - 헤이룽장 텔레비전
    헤이룽장 텔레비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에 위치한 방송국으로, 1945년 라디오 방송으로 시작하여 1958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으며, 현재 여러 채널을 운영하고 위성 및 모바일 방송도 제공한다.
  • 헤이룽장성 - 흑룡강인민방송
    흑룡강인민방송은 흑룡강성 지역에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국으로, 중국어와 한국어로 방송하며 롱광 차오 위 광보를 통해 한국 관련 프로그램과 정보를 제공하고, 하얼빈시에 방송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우데게족
    우데게족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퉁구스어족 소수 민족으로, 전통적으로 수렵과 어로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20세기 후반부터 언어 사용 인구 감소와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 - 오로치인
    오로치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으로 생활하고 샤머니즘 신앙을 가진 소수 민족으로, 러시아화를 겪으며 인구 감소와 문화 쇠퇴의 어려움 속에서 문화와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나이인
기본 정보
나나이족 어린이. 소녀들은 전통 의상
나나이족 어린이. 소녀들은 전통 의상 "pokto"를 입고 있다.
언어나나이어
러시아어 (러시아)
표준 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종교대다수: 샤머니즘
소수:
티베트 불교
러시아 정교회
관련 민족에벤크족
오로첸족
만주족
우데게족
기타 퉁구스족
언어별 명칭러시아어: нанайцы (nanaitsy)
영어: Nanai
중국어: 赫哲 (Hèzhé)
만주어: ᡥᡝᠵᡝ (Heje)
인구
전체약 18,000명 (추정)
거주 지역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11,623명
중국 (헤이룽장성)
5,354명
우크라이나
42명

2. 명칭

나나이인의 일반적인 이름은 나나이(나나이어 нанайgld 또는 наниgld)와 허저(나나이어 хэдзэниgld; 중국어 赫哲族|Hèzhézú중국어)이다. 과거에는 골디(Goldi),[4] 골즈(Golds),[3] 골데스(Goldes), 사마기르(Samagir)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나나이'는 나나이어로 '땅의 사람', '원주민', '지역 주민'을 의미한다. '나(Na)'는 땅을 뜻하며,[58][25] '니오(nio)', '바이(bəi)', '나이(nai)'는 여러 방언에서 '사람'을 의미한다.[5][23] 우수리강아무르강 하류 거주민의 자칭은 '나나이'이고, 현재 중국 헤이룽장성 부금시 일대 거주민의 자칭은 '나바이(Nabai)'였으며, 헤이룽장성 동강시 일대 거주민의 자칭은 '나니오(Nanio)'였다.[58] 러시아에서의 공식 민족명 및 자칭 역시 "나나이(Нāнай)" 또는 "나니(Нāни)"이다.[26] 다른 자칭으로는 강가에 사는 사람들을 뜻하는 칠랑( 奇楞중국어) 등이 있다.[5]

'허저'라는 명칭은 러시아 언어학자 L. I. 셈에 따르면 아무르강 하류 나나이족의 자칭인 '헤제 나이'(хэǯэ най) 또는 '헤제니'(хэǯэны)에서 유래했으며, '강 하류를 따라 사는 사람들'을 의미한다.[6][27] 이는 나나이족의 중국어 명칭인 허저(赫哲, Hèzhé)의 어원이 되었으며,[6][28] 중국에서는 과거에 헤이진(黑斤, Hēijīn)과[7] 허저하라(赫哲哈喇, Hèzhéhālā)[7], 또는 흑근(黑斤)이라고도 불렀다.[56] 허저(Heje)라는 족명은 《성조인황제실록》의 강희 2년(1663년) 기록에서 처음 나타나는데, 이는 특정 집단의 자칭이나 타칭이 전체를 아우르는 명칭으로 확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 동북부(쑹화강·우스리강이 아무르강에 합류하는 지역)의 주민들은 스스로를 "호젠"이라고 부르며, 이는 '허저'로 표기된다.[23]

만주족은 나나이인의 일부를 사견부(使犬部, ᡳᠨᡩᠠᡥᡡᠨ ᡨᠠᡴᡡᡵᠠᡵᠠ ᡤᠣᠯᠣ|Indahūn Takūrara Golomnc) 혹은 사견국(使犬國, ᡳᠨᡩᠠᡥᡡᠨ ᡨᠠᡴᡡᡵᠠᡵᠠ ᡤᡠᡵᡠᠨ|Indahūn Takūrara Gurunmnc)이라 칭하기도 했다.[55]

인접 민족들은 나나이족을 각기 다른 명칭으로 불렀다. 울치족은 골디(Goldy), 오로치족은 고지(Gogdy), 에벤키족은 골디프(Goldykh), 우데게족은 망투(Mangtu)라고 불렀다.[23] 고아시아 계통의 니브흐족은 나나이족을 얀티(Yanty)라고 부르지만, 아무르강 하류의 나나이족에 대해서는 콜도키(Choldoky)라는 이름으로 불렀다.[23] 일본에서 나나이족을 "콜돗케"라고 부르는 것은 마미야 린조가 니브흐족으로부터 들은 호칭에서 유래했다.[23] "고리도", "골도", "골지", "골디"와 같은 명칭은 나나이족 중에서도 자신들의 상류에 사는 동족을 가리켜 부르는 경우가 있으며, 과거에는 이 명칭이 나나이족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23]

한편, 우수리강 유역의 주민들에게는 아카니(Akani)[29], 아찬(Achan)이라는 이름도 알려져 있다.[23] '아카니'와 '아찬'은 나나이어로 '노예'를 의미하는 'akha'에서 유래한 단어로 여겨지며, 이는 과거 만주족이 이 지역 사람들을 노예로 삼았던 역사적 사실과 관련이 있다는 견해가 있다.[23]

3. 역사

나나이인의 조상은 고대 만주 지역의 숙신, 읍루, 물길, 흑수말갈, 여진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53] 12세기에서 13세기 무렵에는 한족이나 만주족 계통 왕조의 지배 영역에 속했으며, 이후 몽골 제국과도 접촉했다.[29]

여진족이 후금을 건국하고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나나이인과 만주족의 관계는 변화했다. 초기 누르하치의 통일 전쟁 과정에서 만주족과 대립하며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했고, 이후 청나라의 통치 체제 아래 편입되었다.[54][59][60] 청나라는 일부 나나이인을 팔기제에 편입시키거나, 씨족 및 마을 단위로 호적을 관리하고 공물을 받는 방식으로 통치했다.

17세기 중반부터는 러시아 제국의 코사크 세력이 아무르강 유역에 등장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29] 1689년 넬친스크 조약으로 러시아 세력은 잠시 물러났으나, 19세기 중반 아이군 조약(1858년)과 베이징 조약(1860년)을 통해 청나라는 아무르강 북쪽과 우수리강 동쪽의 외만주 지역을 러시아에 할양했다.[29][37] 이로 인해 나나이인의 전통적인 거주지는 러시아와 청나라 양국으로 분단되었고, 특히 러시아령에 속하게 된 나나이인들은 러시아 제국의 본격적인 식민지화 정책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겪었다.[29]

20세기에 들어서 러시아령 나나이인들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사회주의 정책 아래 놓였다. 1930년대부터 콜호스(집단 농장) 설립 등 집단화가 추진되었으며, 이는 나나이 사회에 또 다른 큰 변화를 가져왔다.[29]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며 나나이인은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해왔다.

3. 1. 기원과 형성

1895년에 촬영된 하바롭스크 북부의 나나이 가족.


나나이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자들이 이들이 고대 만주 지역에 거주했던 숙신, 읍루, 물길, 흑수말갈, 여진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53]

여진족의 누르하치는 건주여진 내 여러 부족(숙수후 ᠰᡠᡴᠰᡠᡥᡠ|Suksuhumnc, 후너허 ᡥᡠᠨᡝᡥᡝ|Hunehemnc, 왕야, 동오, 저천 ᠵᡝᠴᡝᠨ|Jecenmnc, 너옌 ᠩᡝᠶᡝᠨ|Neyenmnc, 주셔리 ᡷᡠᡧᡝᡵᡳ|Jušerimnc 등)을 통일한 후,[54] 압록강, 두만강 서쪽, 쑹화강 중하류, 우수리강 동쪽 및 아무르강 중하류 유역의 여진 부족들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나이인들은 만주족에 대항하며 자신들의 응집력을 강화했고, 만주족을 더 이상 동족으로 여기지 않게 되었다. 이는 나나이인이라는 독립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나나이족은 후르카 추장 소소쿠의 지휘 아래 누르하치와 만주족에 맞서 싸웠으나, 결국 1631년 홍타이지에게 항복했다.[12]

헤저족(赫哲), 황청직공도, 1769


치랑족(奇楞), 황청직공도, 1769


만주족은 나나이인의 일부를 '''사견부'''(使犬部, ᡳᠨᡩᠠᡥᡡᠨ
ᡨᠠᡴᡡᡵᠠᡵᠠ
ᡤᠣᠯᠣ|Indahūn Takūrara Golomnc) 또는 '''사견국'''(使犬國, ᡳᠨᡩᠠᡥᡡᠨ
ᡨᠠᡴᡡᡵᠠᡵᠠ
ᡤᡠᡵᡠᠨ|Indahūn Takūrara Gurunmnc)이라고 부르기도 했다.[55] 《태종문황제실록》에는 만주족 통치자들이 나나이인들에게 "너희 선조는 본래 우리나라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동질성을 강조하려 했으나,[56] 실제로는 《길림통사》에서 "흑근(黑斤, 나나이인을 지칭하는 다른 이름) 사람의 성정은 사납고 간사하여 믿고 맡길 수 없다"고 기록하는 등[56] 두 민족 간의 불신과 경계는 뚜렷했다. 사견부의 복장은 후르하 사람들과 비슷했지만, 언어는 만주인들도 거의 알아듣지 못해 후르하인의 통역이 필요할 정도였다.[57] 청나라에 정복된 후, 나나이족을 포함한 아무르강 유역 민족들은 변발을 강요당했다. 이들은 이전에도 머리 뒤쪽을 땋는 풍습이 있었으나, 청나라의 명령으로 머리 앞부분까지 깎게 되었다.[12] 울치족은 나나이족을 "머리를 깎은 사람들"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3]

'허저(Heje)'라는 족명은 1663년 강희제 시기 《성조인황제실록》에 처음 등장한다. 이는 본래 사견부의 일부나 혹은 이웃 부족이 사용하던 명칭이었으나, 만주족이 이를 사견부 전체, 나아가 나나이족 전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나나이족의 자칭은 지역에 따라 다양했는데, 우수리강아무르강 하류에서는 '나나이', 현재 헤이룽장성 푸진시 일대에서는 '나바이(Nabai)', 퉁장시 일대에서는 '나니오(Nanio)'라고 불렀다. 이 명칭들은 모두 '땅의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만주어와 마찬가지로 나나이어에서도 '나(Na)'는 땅을 뜻한다.[58]

청나라는 나나이족을 통치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1674년 후르하부(ᡥᡡᡵᡥᠠ
ᠠᡳᠮᠠᠨ|Hūrha Aimanmnc)의 허저인을 영고탑으로 이주시켜 40개의 신만주좌령에 편입시켰고, 1714년에는 삼성(ᡳᠯᠠᠨ
ᠮᡠᡴᡡᠨ|Ilan Halamnc) 지역의 나나이인 장정 1,530명을 신만주좌령에 편입했다. 강희제부터 옹정제 시기까지 팔기제에 편입된 나나이인은 약 60개 좌령, 2만 명에 달했으며, 이 중 1만여 명은 성경(盛京, 현재의 선양시)으로 이주시키고 나머지는 길림에 남겼다.[59] 팔기제에 속하지 않은 나나이인에 대해서는 씨족(ᠮᡠᡴᡡᠨ|Halamnc)과 마을(ᡤᠠᡧᠠᠨ|Gašanmnc) 단위로 호적에 등록하는 편호정책을 실시하고, 토착 관원인 성장과 향장을 임명하여 관리했다. 이는 기존의 사회 조직을 활용하여 행정 통제를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또한, 편호에 포함된 나나이인에게 매년 상태가 좋은 담비 가죽 한 장을 공물로 바치게 하는 공초 정책과, 공물을 바친 이들에게 답례품을 하사하는 상오림 정책을 병행했다.[60]

나나이족이 언제 독립된 민족 집단으로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요 견해가 있다. 중국의 다수 연구자들은 청나라 초기에 이미 형성되었다고 보지만, 천렌카이 등 일부 중국 연구자와 러시아 학자들은 청나라 시기에도 나나이족 촌락들이 분산되어 있었고 명칭도 다양했기 때문에 단일한 민족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제시한다.[61]

1734년 프랑스 지도에는 우수리강과 아무르강 남쪽의 돈돈강 하구 양쪽에 '유피'족(魚皮)이, 아무르강 하류에는 '케칭'족이 표시되어 있다(현재 나나이족, 울치족, 니브흐족이 거주).


나나이족에 대한 초기 유럽 기록은 1709년 아무르강 유역을 탐험한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남겨졌다. 이들은 우수리강과 돈돈강(오늘날 하바롭스크콤소몰스크나아무레 사이) 상류 원주민을 '유피 타타르족'(Yupi Tartars, 魚皮韃子)이라 불렀고, 돈돈강 하류와 그 아래 아무르강 유역 주민들을 프랑스어로 '케칭'(Ketching)이라고 기록했다.[8] '케칭'은 하류 아무르강 나나이족의 자칭 이름의 프랑스어 표기일 수 있으며, 가까운 관계인 울치족에게도 적용되었을 수 있다.[9] 예수회 기록에 따르면, 유피족의 언어는 만주어와 케칭족(盖青)의 언어 사이의 중간적 성격을 띠었으며, 두 집단 간에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했다고 한다.[10]

나나이족은 역사적으로 주변 민족과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다. 일부 한족이 나나이족 내에 씨족 분파를 형성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만주족과 여진족의 일부를 흡수하기도 했다. 나나이족 문화는 한족 및 만주족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국 남부 지역과 유사한 신화를 공유하기도 한다.[11]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나나이족 거주 지역은 한족이나 만주족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의복, 겨울 주거, 장신구 등에서 영향을 받았다. 또한 몽골 제국과의 접촉도 있었다.[29]

1640년대 러시아 제국의 코사크 군대가 아무르강 유역에 등장하면서 나나이족의 역사에 새로운 국면이 시작되었다. 1649년 에로페이 하바로프가 이 지역을 탐험했으며,[29] 1689년 청나라와 러시아 사이에 넬친스크 조약이 체결되면서 러시아 세력은 잠시 물러났다. 청나라는 이 지역을 관할하며 세금을 부과하려 했으나, 실제 통치는 나나이족과 이주 한족 농민들이 거주하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었다.[29] 그러나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청나라는 아무르강 북쪽과 우수리강 동쪽의 외만주(현재 러시아 연해주)를 러시아에 할양했다.[29][37] 이로 인해 나나이족의 전통적인 거주 지역 대부분이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었고, 민족이 분단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 제국의 본격적인 식민지화가 진행되면서 러시아인들은 나나이족을 전통 어장에서 몰아내려 했고, 이는 나나이족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주었으며 기존의 물물교환 경제 체제를 더욱 빠르게 붕괴시켰다.[29] 20세기 초 나나이족 경제는 상업 중심으로 변화했지만,[29] 러시아의 수산가공업 발전이 더뎠던 탓에 인근 아무르강 하류 민족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뒤처지는 경향을 보였다.[29] 전통적으로 나나이족 경제는 아무르강 본류에서의 어업과 지류에서의 수렵을 기반으로 한 이동 생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29]

골디족(나나이족)이 민속극 "납치범의 격퇴"를 공연하는 모습, 1895


러시아 영토 내 나나이족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큰 변화를 겪었다.[29] 1924년 극동 혁명 위원회 내 원주민 부서 설립을 시작으로 광범위한 사회주의화가 추진되었다.[29] 1926년부터 1928년 사이 소비에트 연방의 행정 구역 개편 과정에서 나나이스크 지구가 설치되었으나, 실제 나나이족은 더 넓은 지역에 분포했다.[29] 1930년 최초의 콜호스(집단 농장)가 설립되고 인구가 특정 마을에 집중되는 집단화가 진행되었다.[29] 이러한 집단화와 도시화는 역설적으로 나나이인들에게 민족으로서의 결속력과 정체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29] 이 시기 나나이어 문자가 고안되고 정서법이 확립되었으며, 보육원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나나이어 교육이 시작되었다.[29]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나나이어 교육은 중단되었고, 1970년대 후반에야 재개될 수 있었다.[29]

3. 2. 근현대

러시아 제국의 코사크 군대가 아무르강 유역에 처음 나타난 것은 1640년대이다. 1649년, 하바롭스크 지명의 유래가 된 에로페이 하바로프가 야쿠츠크 방면에서 이 지역을 탐험했다.[29] 그러나 1689년 청나라와 러시아 사이에 넬친스크 조약이 체결되면서 러시아인들은 아무르 지방에서 철수했고,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가 이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청나라는 지역 주민에게 세금을 부과하려 했으나, 이는 나나이인과 더불어 청나라 본토에서 이주한 농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한정되었다.[29]

이후 청-러 간의 국경은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크게 변화했다. 러시아는 아이군 조약으로 아무르강 좌안 지역의 영유권과 아무르강 항행권을 획득했으며, 베이징 조약에서는 우수리강 동쪽의 외만주(현재 러시아 연해주) 영유권까지 청나라로부터 인정받았다.[29][37] 이 조약들의 결과로 나나이인의 전통적인 거주 지역 대부분이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었고, 민족은 분단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이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식민지화를 추진했다.[29] 이 과정에서 러시아인들은 나나이인들을 전통적인 어장에서 몰아내려 했기 때문에 나나이인들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고, 나나이인 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던 물물교환 경제의 붕괴가 더욱 가속화되었다.[29] 20세기 초에 이르러 나나이인들의 경제는 상업적인 형태로 변모했으나,[29] 인근 아무르강 하류 민족의 경제에 비해 뒤처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러시아의 수산가공업이 아직 이 지역에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29]

러시아에 편입된 나나이인들은 1917년 이후의 러시아 혁명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29] 나나이인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주의화는 1924년 극동 혁명 위원회 내에 원주민 부서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29] 1926년부터 1928년 사이 소비에트 연방의 행정 구역이 확정되면서 나나이스크 지구가 탄생했지만, 실제 나나이인들은 해당 지구를 넘어 광범위하게 거주하고 있었다.[29] 최초의 콜호스1930년에 설립되었고, 인구를 좁은 마을에 집중시키는 집단화가 진행되었다.[29] 이러한 집단화와 도시로의 집주는 역설적으로 나나이인들에게 민족으로서의 결속력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29] 이 시기에는 나나이어 문자가 고안되고 정서법이 확립되었으며, 보육원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나나이어 교육도 시작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나나이어 교육은 중단되었고, 197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재개되었다.[29]

아르세니예프의 안내를 맡았던 사냥꾼 델수 우잘라(1896년, 아르세니예프 촬영)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자 탐험가였던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는 극동·시베리아 지역을 탐험하는 과정에서 나나이(골드인) 사냥꾼 델수 우잘라를 만나 그의 도움을 받았다. 아르세니예프는 델수 우잘라를 깊이 신뢰하여 여러 차례 탐험에 동행했다.[49] 1923년 아르세니예프는 델수 우잘라와의 경험을 바탕으로 탐험기 『델수 우잘라』를 출판했다.[49]

이 책에 감명받은 일본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1974년 소련과 합작하여 영화 《델수 우잘라》를 감독했다. 이 영화는 1975년 일본에서, 1976년 소련에서 개봉되었다. 영화는 제9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금상과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수상했으며[50], 제48회 아카데미상에서는 소련 출품작으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51]

4. 분포

2010년 인구조사 기준,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의 나나이인 도시 및 농촌 정착지 분포(%)


나나이인은 퉁구스·만주어 그룹 중 가장 남쪽에 분포한다.[23]
러시아러시아에서 나나이인은 오호츠크 해, 아무르강 하류, 하바롭스크 하류,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양쪽, 그리고 우수리강과 기린강(사마기르) 유역에 거주한다. 러시아 내 분포 중심지는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스키 군이다. 러시아인들은 과거 나나이 씨족의 이름을 따서 이들을 골디(Goldi)라고 불렀다. 러시아 내 나나이족 인구는 1926년 5,309명, 1939년 8,411명, 1959년 7,919명, 1970년 9,911명, 1979년 10,357명, 1989년 11,883명, 2002년 12,160명, 2010년 11,671명으로 조사되었다.

최소 10개의 집단이 아무르강 북쪽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29] 한때 기린강 일대에 살았던 퉁구스 계통의 사마기르인은 나나이족에게 동화된 것으로 여겨진다.[29][30]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나나이족은 아무르강을 따라 600km 이상, 지류를 따라 약 100km에 걸쳐 분포했지만, 문화적·언어적으로 통일성이 없고, 각 집단이 고립되어 서로 접촉이 드물었다고 한다.[29]
중국나나이족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56개 민족 중 하나이며, 중국에서는 "허저족"(赫哲族|허저족중국어)으로 알려져 있다. 2004년의 마지막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나나이족의 수는 4,640명으로, 대부분 헤이룽장성에 거주한다. 중국에서는 나나이족(허저족)이 헤이룽장성 동부의 헤이룽장(아무르강)·우스리강·쑹화강으로 둘러싸인 싼장 평원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200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른 중국 내 나나이인(허저족)의 성(省)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32] 소수 인구임에도 중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32] 헤이룽장성·지린성·랴오닝성 등 중국 동북부에 90% 가까이가 살고 있으며, 특히 헤이룽장성에 집중되어 있다.[32]

성(省)나나이인 인구총 인구 대비 %
헤이룽장성3,91084.27%
지린성1904.09%
베이징시841.81%
랴오닝성821.77%
내몽골 자치구541.16%
허베이성460.99%
기타2745.91%



2000년 인구 조사 기준, 중국 나나이인 인구의 0.45% 이상을 포함하는 현(县) 또는 현급 행정 구역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성(省)지구(地区)현(县)나나이인 인구중국 나나이인 인구 비율
헤이룽장성자무스시퉁장시106022.84%
헤이룽장성자무스시자오취구65714.16%
헤이룽장성솽야산시라오허현52911.40%
헤이룽장성자무스시푸위안현46810.09%
헤이룽장성자무스시샹양구1312.82%
헤이룽장성자무스시첸진구972.09%
헤이룽장성하얼빈시난강구881.90%
지린성지린시창이구711.53%
헤이룽장성자무스시화촨현671.44%
헤이룽장성자무스시푸진시651.40%
헤이룽장성허강시쑤이빈현521.12%
헤이룽장성자무스시둥펑구511.10%
헤이룽장성하얼빈시이란현450.97%
베이징시하이뎬구430.93%
헤이룽장성헤이허시쉰커현430.93%
헤이룽장성자무스시화난현420.91%
헤이룽장성자무스시탕위안현300.65%
지린성지린시융지현290.63%
지린성창춘시차오양구270.58%
헤이룽장성치치하얼시젠화구260.56%
헤이룽장성치치하얼시룽장현260.56%
내몽골 자치구후룬베이얼시에벤크 자치기220.47%
헤이룽장성솽야산시바오칭현210.45%
기타95020.47%



헤이룽장성 내에는 3개의 허저족 민족향이 설치되어 있다.[33]


(또는 그에 준하는 행정 구역)
지급시
헤이룽장성솽야산시라오허현쓰파이 허저족 향
(四排赫哲族乡중국어)
자무스시퉁장시제진커우 허저족 향
(街津口赫哲族乡중국어)
바차 허저족 향
(八岔赫哲族乡중국어)


5. 문화

나나이인의 문화는 아무르강 유역의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어업과 수렵, 채집 중심의 생활 방식을 반영한다.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고유 언어인 나나이어가 존재하지만, 현대에는 러시아어중국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사용자가 줄어드는 추세이다.[62][29]

전통 경제는 연어를 비롯한 풍부한 어족 자원에 크게 의존했으며, 물고기 가죽을 활용한 어피의(魚皮衣) 제작 기술은 나나이 문화를 상징하는 특징 중 하나이다.[68][14] 겨울철에는 수렵 활동과 함께 자작나무 수피 등을 이용한 공예도 이루어졌다. 의복 역시 어피의가 대표적이며, 만주족이나 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은 요소도 나타난다.[29]

종교적으로는 샤머니즘 신앙이 강하게 남아 있어, 자연물에 깃든 정령(세온)을 숭배하고 호랑이를 경외하는 전통이 있다.[42] 샤먼은 공동체 내에서 영적 지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복잡하고 독특한 장례 의식을 주관하기도 한다.[43][42]

신화와 구전 문학 또한 풍부하게 발달했는데, 세상의 창조와 영웅들의 이야기를 다룬 서사시가 전해 내려온다. 특히 허저족의 영웅 서사시인 '이마칸'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48] 이러한 나나이 문화는 주변 민족과의 교류 및 사회 변화 속에서 고유성을 유지하면서도 변화를 겪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5. 1. 언어

나나이어는 퉁구스어족 남퉁구스어파에 속하며, 아무르강 상류, 중류, 하류를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이 언어는 주로 러시아 시베리아의 나나이인들이 사용하며, 중국헤이룽장성에서는 '허저어'(赫哲族|Hèzhé Zú중국어)라는 이름으로 소수의 인원이 사용한다. 전체 나나이인 약 1만 7,000여 명 중 나나이어 화자는 약 1,400명 정도로 추산되지만, 대부분의 나나이인, 특히 젊은 세대는 러시아어중국어에도 능통하여 일상적인 의사소통에는 이들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62] 나나이어는 윌타어, 울치어와 함께 남퉁구스어파를 형성하며, 어휘나 문법 면에서는 에벤키어의 영향도 받았다.[29] 언어 및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민족은 울치인(올차)으로, 이들은 나나이인보다 더 하류 지역에 거주한다.[35]

소련 시절 발렌틴 아브로린 등을 중심으로 키릴 문자에 기반한 나나이어 문자 표준이 만들어졌으며[29], 이는 1930년대 초 Найхинru 지방의 말을 기초로 한 것이다.[29] 현재 러시아에서는 하바롭스크의 13개 학교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교원 양성 대학 등에서 나나이어를 가르치고 있다.[29]

중국의 나나이족(허저족)은 나나이어의 허전 방언을 사용하지만, 고유한 문자 체계는 가지고 있지 않아 주로 중국어로 글을 쓴다. 이들에게는 이마칸으로 알려진 풍부한 구전 문학 전통이 있다.[20] 2005년에는 허저어 교과서를 편찬하려는 노력이 있었다.[21]

1979년 조사에 따르면, 당시 나나이인은 거의 모두 이중 언어 사용자였으며, 93.2%가 러시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했고 43.9%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여겼다.[29] 반면 나나이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비율은 63%, 모국어로 여기는 비율은 55.8%였다.[29] 1959년부터 1979년까지 20년 동안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간주하는 나나이인의 비율이 13.3%에서 43.9%로 급증하여 빠른 러시아어화 경향을 보였다.[29] 나나이어 사용은 주로 고령층(제1언어)과 중년층(제2언어)에 한정되었고, 젊은 세대는 나나이어를 수동적으로 이해하거나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언어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29]

5. 2. 경제

얼음 위에서 스키를 타는 골드족(나나이족) 사냥꾼, 창과 소총을 든 모습, 1895


전통적으로 나나이족의 경제는 어업에 크게 의존했다. 1709년 우수리강 유역을 방문한 예수회 지도 제작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그곳 주민들은 여름 내내 낚시를 하며 신선한 생선을 먹고, 겨울을 대비해 생선을 말리는 데 시간을 보냈다.[66][3][14] 주요 어획물은 연어송어였으며, 중국 지역에서는 캐비어 채취를 위한 철갑상어 어업도 이루어졌다. 잡은 생선은 주식으로 삼았을 뿐 아니라, 기르는 가축의 사료로도 사용되었다.[67][14] 구 소비에트 연방의 민족학자 레빈과 체보크사로프는 나나이족을 아무르강과 같은 대하 유역의 어로 민족으로 분류하기도 했다.[38][39]

나나이족은 물고기 가죽을 이용해 전통 의복(어피의, 魚皮衣)을 만드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생선 가죽을 말린 후 망치로 두드려 부드럽게 만들어 옷을 지었으며,[68][14] 때로는 무게가 50kg이 넘는 큰 물고기의 가죽을 사용하기도 했다.[69][15] 이러한 전통 때문에 나나이족은 한족으로부터 '어피달자'(魚皮韃子) 또는 '어피도자'(魚皮套子)라고 불렸는데, 이 명칭은 송화강 하류와 아무르강 하류의 다른 원주민 집단에게도 적용되었다.[70][16][29][31][40] 오늘날 어피의는 주로 혼수품이나 박물관 전시용으로 제작된다.[40]

강이 어는 겨울철에는 숲에서 수렵 활동을 했는데, 이는 주로 모피를 얻기 위한 목적이었다.[29] 식물 채집 또한 생업의 중요한 부분으로, 봄과 여름에는 미나리 종류를 채집하여 식용으로 삼고, 쐐기풀이나 버드나무섬유를 얻기 위한 초목도 채집했다.[40]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공예 역시 발달했다.

금속 가공 기술도 뛰어났는데, 이는 한족만주족에게서 배운 것으로 여겨진다. 나나이족의 금속 가공 기술은 울치족, 니브흐족, 심지어 만주족 사이에서도 유명했다.[29] 장식 예술 또한 매우 발달하여 높은 장식성을 보여주었으며, 종종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다. 중국 염료를 사용한 샤먼 도구, 직물, 종이 세공 등은 독창적인 면모를 보였다.[29]

주요 이동 및 운반 수단은 스키개썰매였다.[39] 나나이족의 개썰매는 아무르-사할린형으로 분류되며, 나무를 엮어 만든 배 모양의 뼈대(길이 약 2.5m, 높이 40cm, 폭 50cm) 위에 버드나무로 만든 좌석과 짐받이를 설치한 형태였다. 보통 5마리의 개가 썰매를 끌었다.

농업은 비교적 늦게 도입되었다. 1709년 기록에는 담배 재배만 언급되었으나,[14] 이후 아무르강 상류의 나나이족은 중국인으로부터 곡물 재배 등을 배워 식생활에 활용했다.[29] 과거에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과 산단 무역을 통해 광범위한 교역 활동에 종사하기도 했으나,[37] 오늘날에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의 일부가 관광 상품화되기도 한다.

5. 3. 의복

나나이족은 과거 연어, 송어 등 물고기 가죽으로 봄부터 가을까지 입는 평상복인 어피의(魚皮衣)와 신발을 만들어 입었다. 이 때문에 한족으로부터 어피달자(魚皮韃子) 또는 어피도자(魚皮套子)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29][31][40] 또한 혼례 의상으로 화려한 자수를 놓은 어피의를 만들기도 했다.[40] 오늘날 어피의는 시집갈 때 지참하는 물건이거나 박물관 등에 전시하기 위해 만들어질 뿐, 일상적으로 입는 의복은 아니다.

여성의 머리 장식이나 남성이 이마를 밀고 머리를 변발로 묶는 풍습 등은 만주족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29] 청나라에 정복된 후에는 아무르강 유역의 다른 민족들처럼 나나이족에게도 변발이 강요되었다. 이전에도 머리 뒤를 땋기는 했으나, 청나라의 지배 이후 앞머리까지 밀어야 했다.[12] 울치족은 이러한 나나이족을 가리켜 "머리를 깎은 사람들"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3]

5. 4. 종교

나나이의 "우상 기둥"(토템)


나나이인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을 신봉하며, 특히 (둔타, ''Doonta'')과 호랑이(암바, ''Amba'')를 사람들의 보호자로서 존경하고 경외심을 가졌다.[42] 그들은 샤먼에게 기도를 드려 악령(부세우)을 쫓아내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43] 수 세기 동안 , , , , 나무정령(세온)을 숭배해 왔으며, 우주의 모든 사물에는 고유한 정령이 깃들어 독립적으로 세상을 돌아다닌다고 생각했다. 나나이인의 믿음에 따르면, 원래 땅은 평탄했으나 거대한 이 강 계곡을 파내어 지금의 지형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나나이 종교에서는 과 같은 무생물에도 정령이 깃들어 있다고 보아 종종 의인화했는데, 예를 들어 불은 '파드자 마마'라고 불리는 나이 든 여성으로 여겨졌다. 아이들은 파드자 마마를 놀라게 할 수 있으므로 불 가까이 가는 것이 금지되었고, 남성들은 불 앞에서 항상 정중하게 행동해야 했다.

샤먼은 투시력을 비롯한 여러 초자연적 능력을 지니고 선령과 악령을 조종하는 힘을 가진 인격으로 여겨져, 나나이인들에게 두려움과 특별한 존경을 받았다.[43] 나나이인의 우주는 다양한 정령과 악령으로 가득 차 있으며, 샤먼은 이들과 직접 교섭하여 불임 여성에게 아이를 점지해 주거나, 재앙이나 질병의 원인이 되는 악령과 싸워 물리치는 특별하고 강인한 영혼을 가진 존재로 인식되었다.[43][42] 샤먼은 춤을 추고 을 치며, 샤먼 복장에 달린 금속판을 울리고 노래하며 자신과 신자들을 망아의 상태로 이끌었다. 이때 샤먼의 영혼은 신령의 세계로 날아가 신령과 교섭하고, 신령이 샤먼에게 빙의하여 샤먼의 입을 통해 신의 뜻을 전한다고 믿었다.[42]

나나이 샤먼의 복장은 이 지역 다른 퉁구스 민족과 유사하게 치마와 재킷, 원뿔 모양의 금속 펜던트가 달린 가죽 벨트, 뱀, 도마뱀 또는 개구리 그림이 그려진 장갑, 나뭇가지 모양의 뿔이나 곰, 늑대, 여우 털이 달린 모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때로는 중국 거울 조각을 의상에 부착하기도 했다.

나나이 사회에서는 샤먼이 아니더라도 병의 원인을 찾아내 악령을 나무 인형에 봉인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인정했지만,[43] 죽은 자의 영혼을 사후 세계 '부니(Buni)'로 인도하는 역할은 특별한 의상을 입는 대(大) 샤먼만이 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43]

나나이인은 사람이 죽으면 육체는 영혼의 껍데기에 불과하므로 영혼은 계속 살아남는다고 믿었다. 이러한 영혼 불멸 사상은 기독교의 영향이 아닌 나나이인 고유의 믿음이다.[17] 또한 각 사람에게는 영혼과 정신이 모두 있으며, 죽으면 이 둘이 각기 다른 길을 간다고 생각했다. 망자의 정신('암반')은 악의를 품고 살아있는 친척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시간이 지나면 이 '암반'을 길들여 숭배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악령을 쫓아내는 특별한 의식을 치러야 했다.[18]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은 '라차코'라고 불리는 으로 만든 임시 거처에 7일 동안 머문다. 그 후 '파요'라는 나무 인형으로 옮겨져 마지막 장례 의식까지 보관된다.[19] '파요'는 살아있는 사람처럼 돌보아지는데, 매일 밤 잠자리에 들도록 작은 침대와 베개, 담요를 마련해주고 아침에 깨운다. '파요'의 입 부분에는 작은 구멍이 있어 가끔 파이프를 꽂아 망자가 담배를 피울 수 있도록 했다. 가족이 여행을 갈 때는 '파요'를 함께 데려갔다.[19]

망자의 마지막 장례 의식은 '카사 타보리'라고 불리며 3일 동안 계속된다. 이 기간에는 많은 잔치가 열리고, 고인의 영혼이 저승('부니')으로 떠날 준비를 한다. 의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셋째 날에 진행되는데, 이때 망자의 영혼은 '파요'에서 '무그데'라고 불리는 실제 사람 크기의 큰 나무 인형으로 옮겨진다. 이 '무그데'는 개썰매에 실려 '부니'로 운반된다. '부니'는 이 세상과 비슷하지만 더 풍요로운 극락과 같은 곳으로 여겨졌으나,[43] 그곳에 이르는 길은 험난하여 샤먼의 도움이 없이는 도착할 수 없다고 믿었다.[43] '부니'로 떠나기 전, 샤먼은 모인 가족들에게 고인의 유언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한 인류학자의 기록에 따르면 어떤 영혼은 자신이 생전에 갚지 못한 빚을 가족에게 갚아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19] 의식이 끝나면 샤먼은 개썰매를 타고 '부니'로 위험한 여정을 떠나는데, 해가 지기 전에 돌아오지 못하면 샤먼 자신도 목숨을 잃는다고 믿어졌다. '카사 타보리'가 끝난 후, 살아있는 친척들은 더 이상 고인의 무덤을 찾아가거나 고인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삼가는 것이 관습이었다.[19]

유아의 영혼은 성인의 영혼과 다르게 취급되었다. 나나이인에게 1살 미만의 아이는 아직 사람이 아니라 로 여겨졌다. 아기가 죽으면 그 영혼은 새로 변해 날아간다고 믿었기 때문에 매장하지 않았다. 대신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에 싸서 숲 속 큰 나무 위에 놓아두는 일종의 풍장을 했다. 이렇게 하면 아이의 영혼, 즉 새의 영혼이 자유롭게 다시 여성의 몸으로 들어가 환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유아의 장례를 준비할 때 석탄으로 손목에 팔찌 모양 등의 표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나중에 죽은 아이와 비슷한 표시를 가진 아이가 태어나면 같은 영혼이 환생한 것으로 여겼다.[17]

일반적으로 망자는 땅에 묻혔지만, 돌 전에 죽은 아이는 예외적으로 나무 위에 안치하는 풍장을 했다. 한편, 현대의 많은 나나이인은 티베트 불교 신자이기도 하다.

5. 5. 신화



나나이족의 신화에 따르면, 세상이 처음 생겨났을 때는 태양이 세 개나 떠 있어 매우 혼란스러운 상태였다[45]. 이때 '하다우'(하도)라는 창조신이 나타나 혼란을 일으키는 태양들을 정벌하고 세상에 질서를 가져왔으며, 이후 인간과 생물을 창조했다고 전해진다[45]. 또한, 태초의 세상은 온통 물뿐이었고 땅은 없었는데, 물새 한 마리가 물속 깊이 잠수하여 흙을 퍼 올렸고, 이 흙을 바탕으로 대지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도 있다[45]. 아무르강 지역의 고고 자료로 잘 알려진 암각화(페트로그리프)는, 여러 개의 태양 때문에 바위가 아직 점토처럼 부드러웠던 먼 옛날에 사람들이 그린 것이라는 전설도 남아 있다[45]. 이렇게 만들어진 대지는 처음에는 평평했지만, 거대한 뱀이 기어가면서 강의 골짜기를 파내 지금과 같이 울퉁불퉁한 지형이 되었다고 한다.

세상에 살아남은 최초의 인간은 남매였는데, 이들이 부부가 되어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45]. 이들 부부는 사람들이 죽으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했는데, 둘 다 너무 늙어 시체를 제대로 묻을 수 있을지 걱정하며 잠이 들었다. 남편은 꿈속에서 백 명의 사람이 매달려도 끄떡없을 만큼 거대한 나무를 보았다. 그 나무껍질은 구더기로, 뿌리는 거대한 으로, 잎사귀는 둥근 금속 거울로, 꽃은 방울로 이루어져 있었고, 꼭대기에는 수많은 금속 뿔이 달려 있었다. 잠에서 깬 노인은 아내에게는 비밀로 하고 이 나무를 찾아가 활과 화살로 뿔, 거울, 방울을 쏘아 떨어뜨려 집으로 가져와 침대 밑에 숨겨두었다. 그러자 다시 꿈에 하얀 노인이 나타나 굴뚝 구멍을 내라고 지시했다. 노인이 시키는 대로 하자, 뿔과 거울, 방울 한 세트만 노인의 손에 남고 나머지는 굴뚝 구멍으로 날아가 위대한 샤먼이 될 사람들을 찾아 흩어졌다. 이렇게 해서 여러 샤먼이 나타나 죽은 자들을 위로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신화에 등장하는 나무와 도구들은 실제 샤먼들이 사용하는 도구와 관련이 깊으며, 일부 학자들은 샤먼이 이러한 도구를 착용하고 큰 나무(세계수)로 분장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46].

영웅 서사시 분야에서는 영웅 '메르겐'(말고)과 여영웅 '푸지'를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다. 이들 서사시에는 추크치나 몽골 문화의 영향이 엿보이며[45], 울치인이나 오로치인의 서사시와도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하지만 니브흐나 아이누의 영웅 서사시와는 성격이 다르다[45]. 반면, 앞서 언급된 창세 신화에서는 추크치나 몽골 문화의 요소가 나타나지 않는다[45].

특히 나나이족의 서사시 중에서도 '이마칸'은 매우 풍부하고 복잡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나나이족의 생활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47]. 2011년, 중국에 거주하는 나나이족(허저족)의 이마칸 이야기꾼은 그 전통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긴급 보호 목록에 등재되었다[48].

6. 현대 사회

현대 나나이 사회는 여러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다.

첫 번째는 환경 문제이다. 나나이인 거주 지역 인근에는 하바롭스크(1858년 건설)나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같은 신흥 도시 및 산업 도시들이 들어서고 철도가 지나가면서[29], 나나이 인구의 약 5%가 도시로 이주했다[29]. 과거 콜호즈가 수익성 높은 농경이나 목축으로 전환하려 했으나, 아무르강의 풍부했던 수산 자원이 고갈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29]. 더욱이 심각한 수질 오염으로 인해 어류 수가 급감하면서 전통적인 생계 수단인 어로가 크게 위협받고 있다[29]. 1989년 조사에 따르면, 콤소몰스크 부근 아무르강 물에는 허용치의 13배에 달하는 페놀, 5배의 석유 제품, 40배의 구리가 포함되어 있었다[29].

두 번째는 실업 및 취업 문제로, 특히 남성들의 상황이 더 심각하다[29]. 소련 체제 확립 이전 나나이 사회에는 지식인 계층이 거의 없었고 문맹률도 매우 높아, 소련 초기에는 교육을 통해 민족 지식인과 산업 지도자를 양성할 필요가 있었다[29]. 국가의 교육 지원에도 불구하고 교사, 문화·의료 종사자, 관리직 등 특정 분야의 수요만 높았다[29]. 1960년대까지 생산 분야 전문직 훈련은 소수에 그쳤고, 대부분 교육이나 의료와 같은 인도주의적 직종에 집중되었다[29]. 이로 인해 다른 산업 분야의 전문가는 전국 평균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불균형이 발생했다[29]. 이는 지역 사회의 실제 필요나 청년들의 희망과는 거리가 멀었는데, 1970년대 조사에 따르면 젊은 남성들은 주로 엔지니어링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29]. 여성이 인도주의적 전문직 훈련을 더 많이 받게 되면서 남성들의 직업 선택 폭은 더욱 좁아졌다[29]. 전반적으로 나나이인의 교육 수준은 인근 러시아인보다 낮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그 격차가 더 크다. 이는 나나이인 전문가나 관리직 수가 러시아인보다 적은 원인 중 하나이며, 산업 분야에서 이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다[29]. 농촌 지역의 나나이 산업 전문가 중 상당수가 이직을 희망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29].

세 번째는 나나이어와 전통문화의 쇠퇴이다. 러시아화의 영향으로 나나이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29]. 전통 문화 역시 변화를 겪고 있는데, 예를 들어 1930년대 '아마추어 예술 운동' 당시에는 전통 악곡이 연주되었으나, 이후 러시아식 클럽 활동의 영향을 받으면서 나나이 가수들이 전통 창법과는 다른 '학술적인' 창법을 익히게 되어 전통 음악의 본질이 변형되었다[29].

7. 저명한 나나이족 인물


  • 데르수 우잘라: 20세기 초 러시아 탐험가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의 나나이족 안내인이자 친구였다. 아르세니예프는 데르수에 관한 두 권의 책을 썼으며, 이는 일본의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에 의해 1975년 영화 ''데르수 우잘라''로 만들어졌다. 1975년 소련에서 제작된 이 영화는 원시적인 생활을 하는 나나이인 사냥꾼과 러시아 병사 사이의 우정을 그리고 있다.

  • 촙트게레레 찰친: 나나이족 여성 무당으로, 프랑스 프로듀서 엑토르 자주의 1994년 앨범 ''Chansons des mers froides|샹송 데 메르 프루아드프랑스어''(''차가운 바다의 노래'')에 참여했다. 이 앨범에서 시베리아에서 녹음된 "등대"(영국 시인 윌프레드 윌슨 깁슨의 시 "플래넌 아일"을 각색)라는 곡의 주문을 수행했다. 주 보컬은 수지 수가 맡았으며, 배경 음악에는 사카린 퍼커션 그룹과 시시무트 댄스 드러머의 연주가 포함되었다.
  • Кола Бельды|콜라 벨디ru: (1929–1993) 소련과 러시아에서 인기 있었던 가수로, 특히 "Увезу тебя я в тундру|우베주 테뱌 야 브 툰드루ru"(''나는 너를 툰드라로 데려갈 것이다'')라는 노래로 잘 알려져 있다.
  • 한경: 중국 출신의 팝 가수이자 배우이다. 과거 한국의 아이돌 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였으며, 유닛 그룹 슈퍼주니어-M의 리더로도 활동했다.
  • 킬리 유얀: 미국 국적의 사진 작가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북극, 원주민 공동체, 환경 보존 문제 등을 사진, 영화, 강연을 통해 알리고 있으며, 내셔널 지오그래픽을 비롯한 주요 간행물에 기고하고 있다.
  • 막심 파사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붉은 군대 소속의 저격수로 복무했으며, 237명의 적군을 사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2] 간행물 Six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eb.archive.[...] 2010
[3] EB1911
[4] 문서 Dersu Uzala 1923
[5] 서적 赫哲语简志 Publishing House of Minority Nationalities
[6] 문서 Нанайский язык
[7] 웹사이트 Hezhe, Talk about the history of the Chinese ethnics http://www.ethnichis[...]
[8] 서적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chronologique, politique et physique de l'empire de la Chine et de la Tartarie chinoise http://web2.bium.uni[...] P.G. Lemercier
[9] 문서 Ульчский язык
[10] 문서 Du Halde 1735
[11] 서적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chu-Tungus Studies, Bonn, August 28-September 1, 2000: Trends in Manchu and Tungus studies Otto Harrassowitz Verlag 2002
[12]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3] 서적 Materials for the Study of Tungusic Languages and Folklo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
[14] 문서 Du Halde 1735
[15] 웹사이트 Fish-Skin Clothes http://www.chinacult[...]
[16]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N ENDANGERED LANGUAGES: NORTHEAST ASIA http://www.helsinki.[...]
[17] 간행물 The Traditions and Rituals of the Nanai People
[18] 서적 Nanai shamanic culture in indigenous discourse 2013-08-12
[19] 문서 The Way of The Soul to The Otherworld and the Nanai Shaman
[20] 웹사이트 Yimakan songs of the Hezhe http://www.chinaviva[...] 2006-08-17
[21] 웹사이트 Textbook preserves Hezhe language http://www.chinadail[...]
[22] 문서 荻原(1989)p.55
[23] 문서 荻原(1989)pp.72-75
[24] 문서 赫哲語簡志 民族出版社 1986
[25] 문서 Нанай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ий Язык, Москва 1980
[26] 문서 Нанай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ий Язык, Москва 1980
[27] 문서 Нанайский язык
[28] 웹사이트 Hezhe, Talk about the history of the Chinese ethnics http://www.ethnichis[...]
[29] 웹사이트 The red book of the Russian Empire. "THE NANAIS" http://www.eki.ee/bo[...] The Redbook 1993-08
[30] 문서 加藤(1994)pp.159-160
[31] 문서 加藤(1977)pp.275-280
[3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 >> 第五次人口普查数据 http://www.stats.gov[...] 2010-06-21
[33] 웹사이트 迎着东升的红日 走向小康之路的赫哲族 http://epaper.hljnew[...] 2020-07-05
[34] 문서 加藤(1977)p.283
[35] 문서 荻原(1989)p.75
[36] 문서 佐々木史郎(1996)
[37] 문서 原(1998)pp.51-52
[38] 문서 河野(1981)pp.64-68
[39] 문서 加藤(1994)pp.166-170
[40] 문서 荻原(1989)pp.99-102
[41] 문서 荻原(1989)p.94
[42] 문서 加藤(1994)pp.170-175
[43] 문서 荻原(1989)pp.120-121
[44] 서적 Nanai shamanic culture in indigenous discourse Fürstenberg/Havel
[45] 문서 荻原(1989)pp.57-61
[46] 문서 『世界神話事典』(2005)p.65
[47] 간행물 ホジェン人の叙事詩「イマカン」から 千葉大学
[48] 웹사이트 UNESCO - Hezhen Yimakan storytelling https://ich.unesco.o[...] 2023-09-03
[49] 문서 アルセーニエフ『デルス・ウザラ』
[50] 웹사이트 40 years ago today: Dersu Uzala wins at the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s://akirakurosaw[...] Akira Kurosawa info 2020-07-03
[51] 웹사이트 THE 48TH ACADEMY AWARDS : 1976 https://www.oscars.o[...] 2020-07-03
[52]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53]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54] 문서 閹崇年, 《努爾哈赤傳》, 북경출판사, 291~295쪽.
[55]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56]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57] 문서 《北征日記》
[58]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59]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60]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61]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62] 웹사이트 Nanai http://www.ethnologu[...]
[63]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64]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65]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청아출판사
[66] 서적 Go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68] 서적
[69] 웹사이트 Fish-Skin Clothes http://www.chinacult[...] 2009-07-03
[70]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N ENDANGERED LANGUAGES: NORTHEAST ASIA http://www.helsinki.[...]
[71] 논문 The Traditions and Rituals of the Nanai People 2015
[72] 서적 Nanai shamanic culture in indigenous discourse Fürstenberg/Havel
[73] 간행물 The Way of The Soul to The Otherworld and the Nanai Shaman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ns-Oceanic Research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