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라 다케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 다케지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으로,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 대장까지 진급했다. 그는 쇼와 천황의 측근으로 시종무관장 등을 역임하며 황실과 군부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만주 사변 등 군부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천황의 의지를 묵살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그의 일기는 쇼와 천황과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일본 상황을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1933년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1946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공직에서 추방되었다가 1952년 추방 해제되었고, 1962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모쓰케국 사람 - 나스 스케하루
    나스 스케하루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나스 씨의 당주였으며, 호조 씨와의 협력, 오다와라 정벌 불참으로 인한 관직 박탈,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오토기슈 발탁을 거쳐 영지를 회복하고 그의 아들이 다이묘로서 나스 번을 개척하는 데 기여했다.
  • 시모쓰케국 사람 - 나스노 요이치
    나스노 요이치는 겐페이 전쟁 시기에 활약한 무사로, 야시마 전투에서 배에 걸린 부채를 명중시킨 일화로 유명하며, 시모쓰케국에서의 나스 씨 발전에 기여했다.
  • 일본의 추밀고문관 - 야나기타 쿠니오
    야나기타 구니오는 근대 일본 민속학의 기초를 세운 민속학자이자 문필가로, 농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민속학 연구에 몰두하여 일본 민속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으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연구 부족이라는 한계점도 가진다.
  • 일본의 추밀고문관 - 무쓰 무네미쓰
    무쓰 무네미쓰는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약한 일본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불평등 조약 개정 및 청일 전쟁 승리를 이끌며 일본 근대화와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으나 삼국 간섭이라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 공3급 금치훈장 수훈자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공3급 금치훈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나라 다케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9 조르주 슈발리에의 오토크롬
1919년 조르주 슈발리에의 오토크롬
본명나라 다케지 (奈良 武次)
출생일1868년 4월 28일
출생지도치기현
사망일1962년 12월 21일 (94세)
소속일본 제국
군종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889년 - 1933년
최종 계급육군 대장
지휘지나 주둔군
참전청일 전쟁
러일 전쟁
기타 경력일본 천황의 부관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奈良 武次 (나라 다케지)
추가 정보
제대 후 활동대일본무덕회 회장
추밀고문관
군인 원호회 회장

2. 생애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파리 강화 회의에 일본 제국 육군 대표 위원으로 참석했다. 귀국 후 동궁무관, 시종무관, 동궁무관장, 시종무관장을 역임하며 황태자 히로히토 친왕을 보좌했다. 1924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1933년 남작 작위를 받고 화족이 되었다. 1939년 퇴역했다.

퇴역 후에는 일본 무덕회 회장, 추밀고문관, 군인원호회장 등을 지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 GHQ에 의해 공직에서 추방되었으나 1952년 해제되었고, 1962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868년 도치기현 가누마시의 농가에서 나라 히코이치로(奈良彦一郎)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889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포병 소위로 임관하여, 근위사단 야포병 연대에 소속되었다. 1893년 육군포공학교 고등과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청일 전쟁 당시 임시도보포병 제2대대 부관으로 참전했다.[1]

전쟁 후 요새포병감 부관을 거쳐 1899년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일본 제국 참모본부 제3부 소속, 육군성 군무국 과원, 유라 요새 포병연대 대대장, 주일본대사관 등에서 일했다.[1]

러일 전쟁에는 제3군 공성포병 사령부원으로 참전했으며, 독립중포병여단 사령부원으로 옮겨갔다.[1] 1914년 8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우쓰노미야 다로와 함께 만주에서 활동하였다.[1] 이후 지나 주둔군 사령관, 칭다오 수비군 참모장, 군무국장 등을 지냈다.[1]

2. 2. 고위 장교 및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일본 주둔 중국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칭다오 주둔 일본군 참모장이 되었다.[1]

1918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베르사유 조약 회담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했다.[1] 또한 니콜라예프스크 사건을 조사하는 위원회의 의장을 맡았다.[1]

2. 3. 쇼와 천황과의 관계

1921년 쇼와 천황(당시 황태자)의 유럽 방문을 수행했다.[1] 1922년부터 1933년까지 시종무관 및 시종무관장을 역임하며 황태자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다.[1]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요청에 따라 강의와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황태자의 군사 교육을 감독했으며, 히로히토는 그의 지휘 아래 승마술을 익히고 아카사카 궁 내에 사격장을 건설하여 실탄 사격 훈련을 했다.[1]

만주 사변 이후, 열하 작전 등 군부의 독단적인 행동에 대해 천황이 제동을 걸고자 했으나, 나라는 이를 거부하고 군부의 입장을 옹호했다. 쇼와 천황은 국제 연맹의 반응을 우려하여 "통수권 최고 명령으로 작전 발동을 중지시킬 수 없는가"라고 작전 중지를 타진했지만, 나라는 "그것은 간인노미야, 육군 참모 총장이 오고 나서"라고 하며 넘겼다. 쇼와 천황은 재차 편지로 문의했지만, 나라는 참내하지 않고 "천황의 명령으로 작전을 중지하려 하면 분쟁을 야기하고 정변의 원인이 될 수 있다"라고 답신했다. 나라는 5·15 사건과 같은 정변 가능성을 언급하며 천황의 군부 통제 시도를 견제했다.

나라는 이전에도 관동군의 독단 전행을 우려하는 쇼와 천황의 의향을 거절하거나, 상하이로부터의 육군 철수를 묻는 질문을 흘려보내는 등, 천황의 국제 협조·온건 노선을 부정·비난하는 입장에서 여러 차례 천황의 타진을 거부하고 육군 및 육군 참모 본부의 판단과 행동에 관한 쇼와 천황의 간섭을 막았다.

시종 무관장 퇴임 시에는 후임으로 만주 사변 발발 당시 관동군 최고 사령관이었던 혼조 시게루를 추천했다. 쇼와 천황은 혼조가 과거 "만주 사변은 관동군에 의한 모략이라고 들었는데, 정말인가?"라는 자신의 질문에 "결코 군의 모략이 아닙니다"라고 대답한 것에 근거한 불신감 때문에 혼조의 시종 무관장 취임을 여러 번 거절했지만, 나라는 천황의 의향을 무시하고 혼조를 취임시켰다.

2. 4. 말년

1924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1933년 4월 남작 작위를 받아 화족의 반열에 올랐다.[1] 추밀원 고문, 대일본 무덕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1] 태평양 전쟁 이후 1946년 GHQ에 의해 일본 제국에 협력하였다는 이유로 공직에서 추방되었지만, 1952년 추방 해제되었으며, 1962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3. 평가

나라 다케지는 청일 전쟁러일 전쟁 등 주요 전쟁에서 활약하고, 쇼와 천황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군부와 황실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베르사유 조약 회담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하기도 했다.[1]

하지만, 만주 사변 등에서 군부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천황의 의지를 여러 차례 묵살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일본 천황의 시종무관으로 재직하던 시절 작성한 일기는 쇼와 천황의 생각과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일본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4. 서훈

奈良武次일본어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러일 전쟁제1차 세계 대전 등 주요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히로히토 천황의 측근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군 복무 기간 동안 다양한 훈장과 작위를 받았다.


  • 서위


  • 훈장 및 기장

수여 날짜훈장 및 기장
1895년 11월 9일공5급 금계훈장・훈6등 서보장
1895년 11월 18일메이지 27, 28년 종군기장
1901년 11월 30일훈5등 서보장
1902년 5월 10일메이지 33년 종군기장
1905년 11월 30일훈4등 서보장
1906년 4월 1일공3급 금계훈장・훈3등 욱일중수장・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
1912년 8월 1일한국 병합 기념장
1915년 11월 7일훈2등 욱일중광장・다이쇼 3, 4년 종군기장
1918년 9월 29일금배 1개
1920년 9월 7일훈1등 욱일대수장・다이쇼 3년 내지 9년 전역 종군기장・전첩기장
1921년 5월 30일금배 1조
1921년 10월 5일금배 1조
1924년 1월 26일금배 1조
1928년 11월 10일대례 기념장(쇼와)
1928년 12월 28일금배 1조
1931년 3월 20일제도 부흥 기념장
1934년 4월 29일욱일동화대수장
1937년 1월 15일어문 부착 은배
1940년 4월 29일은배 1조
1940년 8월 15일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


5. 가족

아내는 나라 미츠코 (우메다 요시노부 요코하마시 시장의 딸)이다.

6. 저서


  • 侍従武官長 奈良武次日記・回顧録일본어 전4권, 백서방, 2000년, 신판 2012년
  • 陸軍大将 奈良武次日記 第一次世界大戦と日本陸軍일본어 상·하. 다이쇼 원년 ~ 다이쇼 9년의 일기

: 구로사와 후미타카 외 5명 편, 원서방 「메이지 백년사 총서」, 2020-2021년

참조

[1]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 간행물 『官報』第3714号 1939-05-26
[3] 문서 「奈良武次 日記・回顧録」
[4] 문서 片倉 衷 「戦陣随録」
[5] 뉴스 総裁に朝香宮、会長に奈良武次大将 東京日日新聞 1938-11-05
[6] 서적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7] 뉴스 『毎日新聞』1952年2月14日夕刊一面 1952-02-14
[8] 웹사이트 奈良武次 A06051182000
[9] 간행물 『官報』第2576号「叙任及辞令」 1892-02-04
[10] 간행물 『官報』第2858号「敍任及辞令」 1893-01-11
[11] 간행물 『官報』第3862号「敍任及辞令」 1896-05-16
[12] 간행물 『官報』第5451号「叙任及辞令」 1901-09-02
[13] 간행물 『官報』第6531号「叙任及辞令」 1905-04-12
[14] 간행물 『官報』第8073号「叙任及辞令」 1910-05-23
[15] 간행물 『官報』第667号「叙任及辞令」 1914-10-21
[16] 간행물 『官報』第1825号「叙任及辞令」 1918-09-02
[17] 간행물 『官報』第3110号「叙任及辞令」 1922-12-12
[18] 간행물 『官報』第3745号「叙任及辞令」 1925-02-18
[19] 간행물 『官報』第373号「叙任及辞令」 1928-03-29
[20] 간행물 『官報』第1827号「叙任及辞令」 1933-02-03
[21] 간행물 『官報』第5245号「叙任及辞令」 1944-07-10
[2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06-12-11
[23] 간행물 『官報』第1128号「授爵・叙任及辞令」 1920-09-08
[24] 간행물 『官報』第2431号「授爵・叙任及辞令」 1920-09-08
[25] 간행물 『官報』第1499号・付録「辞令二」 1931-12-28
[26] 간행물 『官報』第4438号・付録「辞令二」 1941-10-23
[27] 간행물 『官報』第3457号「叙任及辞令」 1938-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