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루세 마사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루세 마사나리는 1567년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 나루세 마사카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이에야스의 노중으로서 에도 막부의 정무에 참여했으며, 가이국과 미카와국에 영지를 받아 다이묘가 되었다.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조상 도쿠가와 요시나오를 보좌하여 오와리 번의 번정을 지휘했고, 오사카 겨울 전투에서 오사카 성 해자 매립 공사를 지휘했다. 1625년에 사망했으며, 오와리 번의 부가로로서 나루세 가문은 대대로 섬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야마 나루세가 - 이누야마성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위치한 이누야마성은 기소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의 평산성으로, 가장 오래된 천수각을 가진 국보이자 백제성이라는 별칭을 가진 성으로, 오다 히로치카가 쌓은 도리데에서 시작되어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나루세 가문이 다스리다 현재는 공익재단에서 관리하며 일본 100명성 및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나루세 마사나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가명 | 쇼키치(小吉) |
계명 | 하쿠린인덴직지소신거사(白林院殿直指宗心居士) |
묘소 | 아이치현 이누야마시 린케이인 나고야시 헤이와 공원 |
관위 | 종오위하·하야토노카미(隼人正) |
막부 | 에도 막부 : 노주(老中), 사카이 봉행(堺奉行), 네고로구미(根来組) 조두, 그 외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도쿠가와 요시나오 |
번 | 오와리 번 : 쓰케가로(付家老) |
씨족 | 나루세 씨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
생년 | 에이로쿠 10년(1567년) |
사망 | 간에이 2년 1월 17일 (1625년 2월 23일) |
아버지 | 나루세 마사카즈(成瀬正一) |
어머니 | 구마가이 나오쓰라의 여동생 |
형제자매 | 마사나리 요시마사 마사타케 딸 (구사카베 무네요시의 부인) 마사카쓰 마사노리 딸 (쓰즈키 가즈시게의 부인) 딸 (가네마루 지부사에몬의 부인) |
배우자 | 정실: 모리카와 우지토시의 딸 계실: 혼다 마사시게의 딸 |
자녀 | 마사토라 유키나리 딸 (이타쿠라 시게무네의 부인) |
번주 정보 | |
구리하라 번주 (나루세 가문) | 대수: 1 임기: 1600년 ~ 1616년 전임: (신설) 후임: 나루세 유키나리 |
이누야마 번주 (나루세 가문) | 대수: 1 임기: 1616년 ~ 1625년 전임: 막부령 (히라이와 지카요시) 후임: 나루세 마사토라 |
2. 생애
나루세 마사나리는 에이로쿠 10년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 나루세 마사카즈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다. 덴쇼 12년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첫 공을 세우고,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사이에서 충절을 지키며 세키가하라 전투와 에도 막부 초기 정치에 참여했다. 오와리 번 성립에도 큰 공헌을 했으며, 오사카 전투에서 오사카 성 해자 매립을 지휘하는 등 활약했다. 간에이 2년 59세로 사망했으며, 그의 가문은 대대로 오와리 번의 중신으로 섬겼다.
게이초 19년 오사카 겨울 전투에서 도쿠가와 씨와 도요토미 씨가 화해했을 때, 오사카 성의 해자 매립 공사를 혼다 마사즈미, 안도 나오쓰구 등과 함께 지휘했다. 이때 오사카 측 여자 종인 오타마가 화해 조건은 총호리의 매립인데 외호나 내호까지 매립하는 것에 항의하자, "총호리란 모든 호리의 일이 아니겠는가"라고 놀렸고, 결국 오사카 성의 호리를 모두 매립했다는 일화가 있다.
간에이 2년 59세로 사망했다. 죽음을 앞두고 "오고쇼(이에야스)가 잠든 닛코에 가겠다"고 말했으나, 가신들이 가마를 메고 닛코로 가는 척 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후 나루세 씨는 대대로 오와리 번의 부가로를 섬겼다.
나루세 가문의 보리사는 린케이인(臨溪院)(아이치현이누야마시)과 하쿠린지(白林寺)(나고야시나카구)[2], 호세이지(지바현후나바시시)도 보리사가 되었다.[3] 린케이인의 나루세 가문 묘소에는 묘비가 있고,[2] 하쿠린지의 묘소는 나고야시 전재 복구 지구 정리 사업으로 헤이와 공원으로 이전되었다.[4]
2. 1. 초기 생애와 도쿠가와 가문 섬김
에이로쿠 10년(1567년),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 나루세 마사카즈의 아들로 태어났다.어린 시절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다. 덴쇼 12년(1584년)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소년조에 속해 첫 출진하여 용감하게 적진으로 돌진하여 투구와 목을 하나 베었고[1], 이 공적에 의해 이에야스로부터 500석과 단도를 하사받았다.
덴쇼 13년(1585년)에는 하시바 히데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공격으로 흩어진 네고로슈 50명을 하사받아 17세에 일군의 장수가 되었다. 이 철포대가 후에 네고로구미라고 불리는 백인대 부대이다.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공을 세우고, 도요토미 정권에 복종한 이에야스가 간토로 이봉되자 시모사국가쓰시카 군구리하라 4,000석을 받았다. 에도에서는 요쓰야에 저택을 하사받고, 휘하의 네고로구미를 나이토 신주쿠에 배치하여 고슈 가도의 방비를 맡았다.
조선 출병을 앞두고 오사카에서의 말 갖춤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눈에 띄어 5만 석으로 등용하겠다는 뜻을 받았지만, 두 군주를 섬길 수 없다며 눈물을 흘리며 "어떻게든 하겠다면 배를 가르겠다"며 굳게 거절했다는 일화가 있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이에야스의 사번을 맡는 한편, 네고로구미 100명을 이끌고 휘하의 선봉을 맡아 공적을 올렸다. 이때의 공으로 사카이 봉행에 발탁되었다. 그 후, 이에야스의 노중(가로)이 되어 혼다 마사즈미, 안도 나오쓰구 등과 함께 정무의 중추, 에도 막부 초기의 막정에 참여했다. 또한, 막부 직할령이었던 가이국 내에 2만 석, 미카와국 가모 군 내에 1만 석을 받아 3만 4,0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게이초 12년(1607년), 종5위하 하야토노카미에 임명되었다. 게이초 15년(1610년)에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조상 도쿠가와 요시나오의 보좌역이 되어 오와리 번 창성기의 번정을 지휘하여 그 확립에 공적을 남겼다. 또한 오와리 번의 부(附)가로로서 사망한 히라이와 치카요시의 군세를 지휘하여 요시나오를 따랐을 뿐만 아니라, 스루가 도시로(年寄)로서 안도 나오쓰구와 함께 군의에 참여하여 여러 다이묘를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그 후, 오와리 번의 부가로였던 히라이와 치카요시가 후손 없이 단절되자, 이에야스로부터 특별히 요청받아 부가로에 임명되어 이누야마 성을 받았다.
2. 2. 도요토미 정권 하
덴쇼 13년(1585년), 하시바 히데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공격받아 흩어진 네고로슈 50명을 하사받아 17세에 군대를 이끄는 장수가 되었다. 이들이 이끈 철포대는 후에 네고로구미라고 불리는 백인대 부대이다.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공을 세워, 도요토미 정권에 복종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로 이봉되자 시모사국가쓰시카 군구리하라 4,000석을 받았다.[1] 에도에서는 요쓰야에 저택을 하사받고, 휘하의 네고로구미를 나이토 신주쿠에 배치하여 고슈 가도의 방비를 맡았다.조선 출병을 앞두고 오사카에서 열린 말 갖춤 행사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눈에 띄어 5만 석으로 등용하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두 군주를 섬길 수 없다"며 눈물을 흘리며 거절했다. "어떻게든 하겠다면 배를 가르겠다"며 굳게 거절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2. 3. 세키가하라 전투와 에도 막부 초기
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번을 맡는 한편, 네고로구미 100명을 이끌고 휘하의 선봉을 맡아 공적을 올렸다. 이때의 공으로 사카이 봉행에 발탁되었다.[1] 그 후, 이에야스의 노중(가로)이 되어 혼다 마사즈미, 안도 나오쓰구 등과 함께 정무의 중추, 에도 막부 초기의 막정에 참여했다. 또한, 막부 직할령이었던 가이국 내에 2만 석, 미카와국 가모 군 내에 1만 석을 받아 3만 4,0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게이초 12년, 종5위하에 서위되고 하야토노카미를 칭했다. 게이초 15년에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조상 도쿠가와 요시나오의 보좌역이 되어 오와리 번 창성기의 번정을 지휘하여 그 확립에 공적을 남겼다.
또한 오와리 번의 부(附)가로로서 사망한 히라이와 치카요시의 군세를 지휘하여 요시나오를 따랐을 뿐만 아니라, 스루가 도시로(年寄)로서 안도 나오쓰구와 함께 군의에 참여하여 여러 다이묘를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그 후, 오와리 번의 부가로였던 히라이와 치카요시가 후손 없이 단절되자, 이에야스로부터 특별히 요청받아 부가로에 임명되어 이누야마 성을 받았다.
2. 4. 오와리 번 가로
게이초 15년(1610년)에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의 시조 도쿠가와 요시나오의 보좌역이 되어 오와리 번 창성기의 번정을 지휘하여 그 확립에 공적을 남겼다.[1] 이에야스로부터 특별히 요청받아 부가로에 임명되어 이누야마 성을 받았다.[1] 오와리 번의 부(附)가로로서 사망한 히라이와 치카요시의 군세를 지휘하여 요시나오를 따랐을 뿐만 아니라, 스루가 도시로(年寄)로서 안도 나오쓰구와 함께 군의에 참여하여 여러 다이묘를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했다.[1]나루세 씨는 대대로 오와리 번의 부가로로서 섬겼다.[1]
2. 5. 오사카 전투와 말년
게이초 19년(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에서 도쿠가와 씨와 도요토미 씨가 화해했을 때, 혼다 마사즈미, 안도 나오쓰구 등과 함께 오사카 성의 해자 매립 공사 지휘를 맡았다.[1] 이때 오사카 측 여자 종인 오타마가 화해 조건은 총호리의 매립인데 외호나 내호까지 매립하는 것에 항의하자, "총호리란 모든 호리의 일이 아니겠는가"라고 놀렸고, 결국 오사카 성의 호리를 모두 매립했다는 일화가 있다.간에이 2년(1625년), 59세로 사망했다. 죽음을 앞두고 "오고쇼(이에야스)가 잠든 닛코에 가겠다"고 말했으나, 가신들이 가마를 메고 닛코로 가는 척 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후 나루세 씨는 대대로 오와리 번의 부가로를 섬겼다.
나루세 가문의 보리사는 린케이인(臨溪院)(아이치현이누야마시)과 하쿠린지(白林寺)(나고야시나카구)이며,[2] 호세이지(지바현후나바시시)도 보리사가 되었다.[3] 린케이인의 나루세 가문 묘소에는 묘비가 있고,[2] 하쿠린지의 묘소는 나고야시 전재 복구 지구 정리 사업으로 헤이와 공원으로 이전되었다.[4]
3. 일화
- 엽은에는 나루세 마사나리의 일화가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도쿠가와 요시나오의 가로가 되었을 때,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만약 요시나오가 모반을 일으키려 한다면 그 뜻을 자신에게 알리도록" 하는 말을 듣고, 이를 준수하기 위한 기청문을 쓰도록 하였다. 그러나 마사나리는 자신을 직속 가로로 삼았으니, 자신의 주인은 요시나오 한 명이며, 만약 요시나오가 모반을 일으킨다면 자신도 가신으로서 그에 따를 것이므로, 이러한 기청문을 쓸 수 없다고 이에야스의 명령을 거절했다고 한다.
- 오와리번이 기소 계곡을 하사받았을 때 기소강도 함께 하사받은 일화가 있다. 나고야성에서 이에야스가 나루세 마사나리를 불러 기소 계곡 및 우라기소 3개 마을[5]을 오와리번에 주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나루세 마사나리는 못 들은 척하며 대답하지 않았다. 그러자 다시 이에야스는 다소 높은 어조로 같은 말을 반복했고, 나루세 마사나리는 머리를 숙이며 "기소의 산과 강을 함께 하사받아, 감사하게 생각하옵니다"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이후 오와리번은 하천의 반대편이 다른 번의 영지라도, 반대편 물가까지가 오와리번 영지가 되어, 뱃길, 목재 운반, 어업 등에 편리하게 되었다.[6]
4. 계보
구분 | 내용 |
---|---|
아버지 | 나루세 마사카즈 |
어머니 | 구마가이 나오쓰라의 여동생 |
정실 | 모리카와 우지토시의 딸 |
계실 | 혼다 마사시게의 딸 |
장남 | 나루세 마사토라 (정실 소생) |
차남 | 나루세 유키시게 (정실 소생) |
장녀 | 이타쿠라 시게무네의 부인 |
참조
[1]
문서
後代の編纂物によれば、家康が首実検を行っている時に、味方の先遣隊が敵の猛攻撃にたじろいでいるのを見て、周囲に制止されるのを払い除けて敵中にとって返し、ふたたび首級を挙げる働きを見せたという。
[2]
웹사이트
犬山たび 巻之二 犬山東編
https://inuyama-tabi[...]
犬山市教育委員会
2024-10-12
[3]
웹사이트
成瀬氏の墓 附 墓誌
https://www.city.fun[...]
船橋市教育委員会
2024-10-12
[4]
웹사이트
広報誌「なか」令和2年夏号
http://www.meinaka-h[...]
名古屋中法人会
2024-10-12
[5]
문서
美濃国恵那郡の加子母・付知・川上の三ヶ村
[6]
서적
木曽町誌 通史編
202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