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소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소강은 나가노현에서 발원하여 이세만으로 흘러드는 일본의 주요 하천이다. 총 길이 229km로, 일본 내 7번째로 길며, 기소강 수계에는 이비강과 나가라강도 포함된다. 과거에는 기소강, 이비강, 나가라강이 합류하여 이세만으로 흘러갔으나, 메이지 시대의 기소 삼천 분류 공사로 인해 현재는 분리되었다. 기소강 유역은 5개 현에 걸쳐 있으며, 하천 개발을 통해 수력 발전, 치수, 관개, 상수도 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특히, 아이치 용수 사업은 농미 평야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도쿠야마 댐 건설과 나가라강 하구언 건설을 둘러싼 논쟁은 공공 사업과 환경 문제, 생존권의 충돌을 보여주는 사례로, 이후 공공 사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소강에는 다양한 댐과 용수로가 건설되어 있으며, 홍수 조절과 용수 공급, 전력 생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소산맥 - 스와호
    스와호는 나가노현 중앙부 스와 분지에 있는 구조호로, 덴류강의 수원지이자 겨울철 오미와타리 현상과 예술 작품의 배경, 엡손 창립지로 유명하며, 수질 개선 노력으로 관광 명소가 되었다.
  • 기소산맥 - 덴류강
    덴류강은 야쓰가타케 산맥에서 발원하여 스와호를 거쳐 엔슈나다로 흘러드는, "아바레덴류"라고도 불렸던 강으로, 수력 발전 중심지로 개발되어 현재는 하천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아이치현의 강 - 나가라강
    일본 기후현을 흐르는 나가라강은 일본 3대 청류 중 하나로, 과거에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홍수를 통해 유로 변화를 겪었고,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생태적 가치가 높지만 하구둑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논란도 있다.
  • 아이치현의 강 - 덴류강
    덴류강은 야쓰가타케 산맥에서 발원하여 스와호를 거쳐 엔슈나다로 흘러드는, "아바레덴류"라고도 불렸던 강으로, 수력 발전 중심지로 개발되어 현재는 하천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 기후현의 강 - 나가라강
    일본 기후현을 흐르는 나가라강은 일본 3대 청류 중 하나로, 과거에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홍수를 통해 유로 변화를 겪었고,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생태적 가치가 높지만 하구둑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논란도 있다.
  • 기후현의 강 - 이비강
    기후현 간무리 산에서 발원하여 이세만으로 흘러드는 이비강은 기소강, 나가라강과 합쳐지기도 하며 물길 변화와 개수 공사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유역의 자치체와 문화, 노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소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기소강
원어 (일본어)木曽川 (Kiso-gawa)
등급일급 수계
수계기소강
국가일본
지방나가노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국가 지정국가 지정 명승
천연기념물
이기산에서 바라본 기소강과 이누야마토슈코라인오하시 다리
이기산에서 바라본 기소강과 이누야마토슈코라인오하시 다리
지리 정보
발원지하치모리산 (나가노현)
하구이세만 (미에현, 나고야)
하구 위치 좌표136.745333
길이229km
발원지 표고2,446m
하구 표고0m
유역 면적5,275km²
평균 방류량169m³/s
별칭일본의 라인강

2. 지리

기소강은 나가노현 키소군 키소손의 하치모리 산(2,446m) 남쪽에서 시작되어 남서쪽으로 흐른다. 토리이고개 서쪽을 남쪽으로 흘러 온타케 산에서 흘러드는 오타키가와와 합류한 후, 기소노 카케하시나 네자메노 토코 등의 계곡을 형성하면서 기후현 나카츠가와시로 들어가 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나카츠가와시에서 카니시까지는 에나 협곡, 후카자와 협곡, 소스이 협곡과 같은 협곡을 이루며, 노비 평야 동쪽으로 나와 미노카모시와 카니시의 경계에서 히다가와와 합류한다. 히다가와 합류 후 카니시에서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이누야마성 부근까지 다시 계곡을 형성하는데, 이들을 통틀어 "'''일본 라인'''"이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1931년 (쇼와 6년)에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고[4], 중류역이 1985년 (쇼와 60년)에 환경청(현 환경성)의 "명수 백선"[5]에 선정되었다.

카카미가하라시와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의 경계 부근에서 다시 노비 평야로 나와, 카카미가하라시 카와시마 지구에서 일단 3개의 흐름으로 분류하고 (삼파천 지구), 국도 22호선 신기소가와바시 부근에서 다시 합류한다. 하류역에서는 과거 이비가와, 나가라가와와 합류·분류를 반복하며 륜중이 발달했지만, 에도 시대 이후 여러 차례 개수 공사가 반복되어 현재는 분리되어 있다. 미에현 쿠와나시 나가시마초와 키소사키정과의 경계에서 이세만으로 흘러든다. 총 연장 229km는, 모가미강과 함께 전국 7위이다. 이비가와, 나가라가와 유역을 제외한 유역 면적은 5,275km²이다.

1급 하천 지정 구간의 관리자는 국토교통성 주부 지방 정비국이며, 기소가와·나가라가와 간의 배할제의 최상류단 (기후현 카이즈시 카이즈초 나리토)에 설치된 삼천 분류비 근처에 기소가와 하류 하천 사무소와 기소가와 상류 하천 사무소의 관리 경계 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기후현 카이즈시 카이즈초 나리토에 있는 기소 삼천 분류비 주변에 설치된 상류와 하류의 관리 경계 표지


이비 강 및 나가라 강은 하천법상 기소 강 수계에 포함되어 있다. 에도 시대까지는 현재의 기소 삼천 공원 부근까지 기소 강, 이비 강, 나가라 강 세 강이 모두 합류하여 동서 두 갈래로 나뉘어 이세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 메이지 시대의 기소 삼천 분류 공사로 분류가 이루어져 현재는 이비 강, 나가라 강이 이세 대교 부근에서 합류하지만, 기소 강은 이비 강, 나가라 강과 합류하지 않고 이세 만까지 이른다.

유역은 나가노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시가현의 5개 현에 걸쳐 있으며, 수계 전체의 유역 면적 9,100km²는 일본 국내의 수계 중 5번째로 넓다[6]。수계 전체에 391개의 일급 하천이 있으며, 하천 연장은 전체 246.5km이다[6]

기소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2. 1. 본류

나가노현 키소군 키소손의 하치모리 산(2,446m) 남쪽을 수원으로 하여 남서쪽으로 흐른다. 토리이고개 서쪽을 남쪽으로 흘러 온타케 산에서 흘러드는 오타키가와를 합류한 후, 키소노 카케하시나 네자메노 토코 등의 계곡을 형성하면서 기후현 나카츠가와시로 들어가 흐름을 서쪽으로 바꾼다.

나카츠가와시에서 카니시까지의 구간은 에나 협곡, 후카자와 협곡, 소스이 협곡과 같은 협곡을 형성하고, 노비 평야 동부로 나와 미노카모시와 카니시의 경계에서 히다가와와 합류한다. 히다가와 합류 후 카니시에서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이누야마성 부근까지 다시 계곡을 형성하며, 이들을 통틀어 "'''일본 라인'''"이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1931년(쇼와 6년)에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고[4], 중류역이 1985년(쇼와 60년)에 환경청(현 환경성)의 "명수 백선"[5]에 선정되었다.

카카미가하라시와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의 경계 부근에서 다시 노비 평야로 나와, 카카미가하라시 카와시마 지구에서 일단 3개의 흐름으로 분류하고 (삼파천 지구), 국도 22호선 신기소가와바시 부근에서 다시 합류한다. 하류역에서는 과거 이비가와, 나가라가와와 합류·분류를 반복하며 륜중이 발달했지만, 에도 시대 이후 여러 차례 개수 공사가 반복되어, 현재는 분리되어 있다. 미에현 쿠와나시 나가시마초와 키소사키정과의 경계에서 이세만으로 흘러든다. 총 연장 229km는, 모가미강과 함께 전국 7위의 길이다. 이비가와, 나가라가와 유역을 제외한 유역 면적은 5,275제곱킬로미터이다.

1급 하천 지정 구간의 관리자는 국토교통성 주부 지방 정비국이며, 기소가와·나가라가와 간의 배할제의 최상류단 (기후현 카이즈시 카이즈초 나리토)에 설치된 삼천 분류비 근처에 기소가와 하류 하천 사무소와 기소가와 상류 하천 사무소의 관리 경계 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이비 강 및 나가라 강은 하천법상, 기소 강 수계에 포함되어 있다. 에도 시대까지는 현재의 기소 삼천 공원 부근까지 기소 강, 이비 강, 나가라 강 세 강이 모두 합류하여 동서의 두 갈래로 나뉘어 이세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 메이지 시대의 기소 삼천 분류 공사로 분류가 이루어져 현재는 이비 강, 나가라 강이 이세 대교 부근에서 합류하지만, 기소 강은 이비 강, 나가라 강과 합류하지 않고 이세 만까지 이른다.

유역은 나가노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시가현의 5개 현에 걸쳐 있으며, 수계 전체의 유역 면적 9,100제곱킬로미터는 일본 국내의 수계 중 5번째로 넓다[6]。수계 전체에 391개의 일급 하천이 있으며(자세한 내용은 #주요 지류 참조), 하천 연장은 전체 246.5킬로미터이다[6]

2. 2. 기소강 수계

이비 강 및 나가라 강은 하천법상 기소 강 수계에 포함되어 있다.[6] 에도 시대까지는 현재의 기소 삼천 공원 부근까지 기소 강, 이비 강, 나가라 강 세 강이 모두 합류하여 동서 두 갈래로 나뉘어 이세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 메이지 시대의 기소 삼천 분류 공사로 분류가 이루어져 현재는 이비 강, 나가라 강이 이세 대교 부근에서 합류하지만, 기소 강은 이비 강, 나가라 강과 합류하지 않고 이세 만까지 이른다.

기소강 수계의 유역은 나가노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시가현의 5개 현에 걸쳐 있으며, 수계 전체의 유역 면적 9,100km²는 일본 국내의 수계 중 5번째로 넓다.[6] 수계 전체에는 391개의 일급 하천이 있으며, 하천 연장은 전체 246.5km이다.[6]

기소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3. 역사

에도 시대아이치현 이누야마야토미 사이 47km에 걸쳐 홍수를 막기 위해 '''키소강 제방'''(木曽川堤|기소강 쓰쓰미일본어)이 건설되었다. 1884년 5월 기록적인 홍수로 제방 일부가 붕괴된 후 재건되었고, 지역 자원봉사자들은 1,800그루의 벚나무 묘목을 심어 적송을 대체했다. 이 벚꽃에는 야생 벚나무 종을 포함하여 많은 특이한 품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소메이요시노'' 품종은 특별히 제외되었다.[2] 이치노미야와 코난 사이 7km 구간의 제방은 1927년부터 국가 명승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2] 벚나무 수는 자연적인 쇠퇴로 인해 2001년까지 400그루 미만으로 점차 감소했지만, 이치노미야시는 제방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리기 위해 대규모 식수 캠페인을 실시했다.

기후현 가카미가하라, 카니, 사카호기 등 이누야마의 키소강 다른 부분은 1934년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었다.[3]

3. 1. 하천 명칭의 유래

"기소", "기소", "기소"라는 명칭은 기소 계곡에서 을 생산하는 데서 유래된 "생마"(키소)라는 설과, 기소 사람들이 삼옷을 입는 데서 유래된 "착마"(키소)라는 설이 있다. 그 외에 아이누어로 "키"는 아름다운, "소"는 골짜기·흐름을 의미하므로, 기소 계곡에는 아이누 사람들의 평화로운 마을이 있었다는 설도 있다[7]. 나중에 지명이 강의 이름이 된 것으로 보인다[8].

기소강은 장소에 따라 '''히로노강''', '''우누마강''', '''사카이강''', '''스노마타강''', '''미노강''', '''오와리강''' 등으로도 불렸다.

3. 2. 고대 ~ 중세

고대 기소강 본류는 미노국오와리국의 경계였다. 오와리가와라고도 불렸으며, 현재의 가카미가하라, 가사마쓰 부근에서는 히로노가와라고도 불렸다.

769년(진호케이운 3년) 홍수로 본류가 이동하여(현재의 아카네베 남쪽으로 흐르게 됨) 강의 굴착 공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토사 퇴적과 유량 변화가 계속되었고, 공사가 미노국 측과 오와리국 측의 홍수 피해량과도 관련되면서, 866년(조간 8년)에는 미노국 가카미가하라군 군지 가가미 요시오와 아쓰미군 군지 가가미 요시무네가 전년 태정대신 후지와라 요시후사에게 파견되어 공사하던 오와리국 군지와 역부들을 습격하는 "히로노강 사건(가카미가하라 전투)"이 발생했다.[9]

3. 3. 륜중과 치수

헤이안 시대에는 이미 '''수옥'''이 건설되었고, 후에 '''륜중'''이 형성되어 주민들은 홍수에 대항해 갔다. 현지에는 "'''사각 팔각 십이각'''"이라는 말이 남아있다. 이것은 폭우가 내렸을 때 기소 삼천의 홍수 도달 예측 시간을 의미하는데, 이비강은 '''사각'''(8시간), 나가라강은 '''팔각'''(16시간), 기소강은 '''십이각'''(24시간)만에 홍수가 도달한다는 뜻이다. 유역 주민들이 수해에 얼마나 민감했는지 잘 알 수 있다. 한편, 그물코 모양으로 흐르는 기소 삼천을 이용한 수운은 킨카산이나 오가키 외에 오강포구에서 육로를 경유한 비와호 수운, 쿠와나츠에서 해운 등으로 오사카 등에도 연결되었다.

3. 4. 군사적 요충지

가마쿠라 시대 이후, 기소강은 풍부한 수량과 넓은 강폭으로 인해 군사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1221년(조큐 3년) 조큐의 난에서는 고토바 상황이 이끄는 조정군이 가마쿠라 막부군을 기소강에서 맞아 싸웠다.[1]

센고쿠 시대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미노・스노마타(현 기후현 오가키시)에 하룻밤 만에 성을 쌓아 오다 노부나가의 미노 공략을 도왔다. 노부나가는 기소강・나가라강 하구에 있는 나가시마를 근거지로 삼은 잇코잇키에게 크게 고전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의 전초전인 가와다 기소강 도하 전투에서는 기후성 성주였던 서군의 오다 히데노부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이케다 데루마사야마우치 가즈토요 등이 병력 차이를 이용하여 격파했다.[1]

3. 5. 에도 시대의 치수 사업

도요토미 히데요시1585년(덴쇼 13년) 6월, 대홍수로 기소강의 물길이 남쪽으로 이동하자 오와리와 미노의 국경을 변경했다. 이로 인해 오와리의 일부였던 25개 촌이 미노로 편입되었다.[10] 그러나 이 대홍수에 대한 동시대의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혼노지의 변 이후 오와리 국주 오다 노부오와 미노 국주 오다 노부타카는 기소강을 경계로 영지 분할에 대해 대립했다. 당시 기소강은 여러 지류로 갈라져 있었는데, 무로마치 시대 중반에는 이미 현재의 기소강 위치에 큰 분류가 존재했고, 1582년 시점에서는 원래의 기소강 본류보다 규모가 커서 영토 분할선으로 적합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정도였다.[10]

기소강 좌안 용수로의 변천. 자세한 내용은 미야타 용수를 참조.


광범위한 기소강 좌안 수로 체계도(녹색은 정비, 개착된 하천·수로)


에도 시대 초기, 기소강 좌안에는 이치노에가와, 니노에가와, 산노에가와 등 3개의 주요 지류가 있었다.[11] 도쿠가와 이에야스나고야성을 방어하기 위해 1608년(게이초 13년)에 이누야마에서 야토미까지 48km에 걸쳐 '''오카코이 쓰쓰미'''(오카코이 쓰쓰미)를 축조했다.

오카코이 쓰쓰미로 인해 이치노에가와, 니노에가와, 산노에가와는 기소강에서 분리되어 용배수로의 성격이 강해졌다. 이 과정에서 정비된 미야타 용수, 키즈 용수, 한냐 용수, 신한냐 용수 등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히데요시 시대의 국경 변경과 오카코이 쓰쓰미 축조로 기소강은 현재의 위치에 확정되었다. 오카코이 쓰쓰미 반대편의 둑은 군사적 목적으로 낮게 만들어져 미노 측은 수해 피해를 더 많이 입게 되었다. 반면, 오와리 측은 수해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이 시기에는 '''야로카 수'''라는 요괴가 기소강 등에 출몰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650년(게이안 3년) 농미 대홍수 때 오와리국 니와군 카미한냐 촌(현재의 아이치현 고난시 부근) 주민들이 "야로카야로카"라는 소리에 "요코사바요코세"라고 답하여 마을이 전멸했다는 전설이 있다.

1753년 (보력 3년), 에도 막부는 사쓰마 번에게 키소 삼천 분류 공사를 명령했다. 이는 외양 웅번의 경제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테츠다이 부신 정책이었다. 사쓰마 번은 히라타 유키에를 총책임자로 임명하여 1754년 (보력 4년)부터 1년 동안 나가라강과 이비강의 분류 공사를 진행했다. (보력 치수 사건)

보력 치수비. 히라타 유키에 등 사쓰마 번사들의 유덕을 기리고 있다.


이 공사는 막부의 가혹한 감시 속에 진행되었고, 많은 사쓰마 번사들이 할복하거나 병으로 사망했다. 히라타 유키에는 막대한 부채와 희생에 대한 책임을 지고 완공 후 자결했다. 현재 남아있는 '''아부라지마 센본마츠바라 마무 둑'''은 당시의 유산이다.

비록 공사 후 홍수 빈도는 증가했지만, 1938년 (쇼와 13년) 히라타 유키에는 치수 신사에 모셔졌고, 지역 주민들은 현재까지도 그의 유덕을 기리고 있다.

3. 6. 메이지 시대 이후의 근대적 하천 개수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자 내무성은 유럽에서 많은 기술자들을 초빙하여 전국 각지의 치수 사업에 착수했다.

기소강에서는 과제인 분류 공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요하니스 데 레이케를 초빙하여 1888년(메이지 20년)부터 "기소·나가라·이비 삼대 하천 수리 분류 계획"에 착수했다.[3] 하상(河床)은 기소강, 나가라강, 이비강 순으로 높았으며, 기소강 하구부의 굴착과 삼천의 분리로 홍수 피해는 대폭 감소했다.

센도다이라 갑문은 신기소강과 신나가라강을 연결하는 수운을 위해 설치되었다.

기소강 상류 개수 공사 전후 비교


기소 삼천(木曽三川)의 상류부 개수를 요구하는 운동은 하류 개수 실시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자 제국 의회에서도 상류 개수가 논의되게 되었다. 1922년(다이쇼 10년) 정기 국회에서 사업 착수를 위한 예산이 승인되면서 지천의 개수도 일체가 된 상류 개수가 이루어졌다. 개수 사업은 순차적으로 착공되었지만, 재정난과 전쟁으로 인해 공기가 연장되어 일련의 공사는 195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상류 개수에서 기소강에서는 가와시마 부근에서 난류했던 기소강의 지류가 정리되었다.

3. 7. 전원 개발과 댐 건설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면서 기소강 수계는 풍부한 수량과 급류가 수력 발전에 적합한 지역으로 주목받았다.[6]

후쿠자와 모모스케가 이끄는 다이도 전력은 기소강에 일본 최초의 댐식 발전소인 오이 댐을 1924년(다이쇼 13년)에 건설했다. 이후 오치아이 댐, 카네야마 댐, 이마와타리 댐 등을 기소강과 오타키강에 건설했다. 특히 오이 댐과 미우라 댐(오타키강) 건설 공사는 일본 토목사에 빛나는 공사로 평가받는다. 한편, 히다강은 마츠나가 야자에몬이 이끄는 도호 전력에 의해 카미아소 댐, 카와베 댐 등이 건설되었으나, 후에 국가의 전력 통제 흐름에 따라 일본 발송전 주식회사에 통합되었다.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수력 발전 사업은 일시 중단되었으나, 전후 공습 피해와 경제 부흥을 위해 정부 주도로 전원 개발이 재개되었다. 일본발전은 히다카와 최상류와 오타키가와 등에 댐식 수력 발전소 건설을 계획했다. 그러나 일본발전은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에 의해 과도 경제력 집중 배제법 대상이 되어 해체되고, 1951년 전기 사업 재편성령에 따라 전국 9개 전력 회사로 분할·민영화되었다.

기소강 수계의 발전 시설과 수리권은 다이도 전력의 계보를 잇는 간사이 전력(본류와 나가노현 내 지류)과 주부 전력(히다카와·나가라강·이비강)이 각각 계승했다. 이로 인해 같은 수계에서 두 회사가 서로 다른 지역에 송전하는 기묘한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는 '최초 개발 사업자의 계보를 잇는 법인이 개발을 독점한다'는 '''일 하천 일사주의''' 개념 때문이다.

주부 전력은 1953년 아사히 댐(히다카와)과 아키가미 댐(아키가미가와)을 완공했다. 간사이 전력은 오타키촌야오쓰정에 댐 건설을 추진했다. 이후 전력 수요 증가에 따라 화력 발전과 원자력 발전이 주력이 되었지만, 여름철 전력 피크에 대비하여 양수 발전이 주목받았다.

1963년 간사이 전력은 미오 발전소를 건설했고, 주부 전력은 1962년 히다카와 유역 일관 개발 계획을 책정하여 양수 발전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수력 발전 사업을 추진했다. 1969년 다카네 제1 발전소, 1976년 마세가와 제1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이후 나가라강이비강에 오쿠미노 발전소(1995년 완공)가 건설되었다.

기존 수력 발전소의 재개발도 이루어져 신가미아소 발전소, 신마루야마 발전소 등의 발전 능력이 증강되었다. 현재 주부 전력은 도쿠야마 댐 발전 사업으로 '''도쿠야마 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가미아소 댐은 1968년 히다카와 버스 전락 사고 당시 구조 활동 지원을 위해 홍수 시 수문을 폐쇄한 사례가 있다.

3. 8. 기소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

기소강은 보력 치수와 기소·나가라·이비 3대 하천 수리 분류 계획에 의해 나가라강·이비강과 완전히 분리되어 이전보다 수해로 인한 피해가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수로 인한 피해는 끊이지 않았고, 1938년 7월 5일 장마전선 호우로 기소강은 과거 최대 홍수량을 기록했다. 그 홍수량은 아이치현 이누야마시 지점에서 매초 13,200톤이라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6]

전후 캐슬린 태풍과 아이온 태풍을 시작으로 매년 태풍과 호우가 덮쳐 하천 개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산간부의 무분별한 벌목으로 인한 보수력 저하까지 더해져 전국 각지의 하천은 크고 작음을 불문하고 대홍수를 일으켜 그 피해액은 끝을 몰랐다. 이러한 풍수해가 전후 피폐해진 일본 경제에 더욱 타격을 줄 것을 우려한 경제 안정 본부는, 도네강·요도가와·키타카미강을 시작으로 전국 10개의 주요 대하천에 대해 제방 정비와 더불어 에 의한 홍수 조절을 도모하는 치수 방침을 입안했다. 그리고 1949년에는 자문 기관인 치수 조사회의 답신을 얻어 「하천 개정 개수 계획」을 발표하고, 위의 목적에 따른 하천 개수를 계획했다.

기소강에 대해서도 이 계획이 적용되었고, 같은 해 '''기소강 수계 유역 계획'''이 발표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1938년의 홍수를 기준으로 제방 개수를 통해 홍수 조절을 실시하기로 하고, 기소강 본류와 히다강·나가라강·이비강 유역에 다수의 치수 댐 건설을 계획했다. 당초에는 이미 건설되어 있던 오이 댐과 카네야마 댐 등의 발전 전용 댐을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어느 것도 홍수 조절 목적을 달성할 만한 충분한 능력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 댐 재개발은 포기하고, 일본 발송 전력이 시공을 진행하고 있던 기소강 중류의 '''마루야마 댐'''을 수력 발전 전용에서 홍수 조절 목적을 더한 다목적 댐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소강 중류·하류의 치수를 도모하려 했다. 경제 안정 본부는 기후현 지사를 통해 일본 발송 전력에 사업 주체를 건설성으로 변경할 것을 명령했다. 이로 인해 마루야마 댐은 기소강 수계 유역 계획에서 치수의 핵심으로 활용되게 된다.

1951년, 제3차 요시다 내각은 국토 부흥을 위해 하천을 유효하게 개발하여 치수뿐만 아니라 농지 개간을 위한 관개와 공업 지대로의 송전을 위한 전력 개발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 지금까지 별개의 사업자가 실시했던 하천 개발을 일원화하는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을 대규모로 수행하여 경제 성장을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국토 종합 개발법을 성립시키고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전국 22개 지역이 그 대상이 되었지만, 기소강 수계에 대해서도 아이치현·기후현·나가노현의 3현에 걸쳐 건설성(현재의 국토교통성)·농림성(현재의 농림수산성)·통상산업성(현재의 경제산업성)· 주부 전력·간사이 전력의 5자가 치수·관개·수력 발전의 다목적 하천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그 핵심 사업으로서 기소강 본류와 히다강·나가라강·이비강 유역에 15기의 다목적 댐을 건설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이것이 '''기소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이다.

'''기소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에서의 댐 계획'''
댐명1차
지천
(본천)
2차
지천
3차
지천
제고
(미터)
총 저수
용량
(천 입방 미터)
형식목적연혁
야부하라 댐기소강50.09,000중력식F・P시나노강 수계 나라이강의 나라이 댐과의 사이에서 도수하는 계획. 일단 무산되어 후에 미소강 댐으로서 재차 계획되어, 1993년에 완성.
마루야마 댐기소강98.059,350중력식F・P간사이 전력에 의한 발전 전용 댐에서 다목적 댐으로 목적 확대. 1955년 완성.
이누야마 댐기소강35.035,150중력식F・P무산되어, 그 후 농림성 도카이 농정국에 의해 미야타 용수 등의 취수구인 이누야마 머리흙막이로서 건설된다.
후타고모치 댐오타키강75.068,500중력식F・N・A・P아이치 용수 사업의 수원으로 계획 변경되어, 치수 기능을 갖지 않는 다목적 댐·마키오 댐으로서 1961년 완성.
아사히 댐히다강92.034,400중력식F・N・A・P주부 전력의 발전 전용 댐에 치수와 관개 목적을 부가할 예정이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발전 단독으로 건설되어 1953년 완성.
구다미 댐히다강60.076,000중력식F・P히스이 협곡에 건설되어, 수몰되는 카미아소 댐·가미아소 발전소의 발전 목적을 부설할 예정이었지만, 수몰 예정수가 200호를 넘어 무산.
오치아이 댐히다강고사카강70.067,250중력식F・N・A・P출력 32,000킬로와트의 발전 능력을 갖는 다목적 댐으로서 계획되었지만, 무산.
이와야 댐히다강마세강70.024,000중력식F・P지류 와라강의 이세 댐과의 사이에서 도수하는 발전 계획이었지만, 일단 무산. 1960년대에 재차 계획되어, 1976년에 1억톤급의 댐으로서 완성.
이세 댐히다강마세강와라강50.017,500중력식F・P이와야 댐과의 사이에서 도수하는 계획이었지만 무산. 그 후 댐 지점을 마세강으로 옮겨 발전 전용의 마세강 제2 댐으로서 1976년에 완성.
호토 댐나가라강이타도리강60.0155,550중력식F・A・P일단 무산되었지만 1960년대에 이타도리 댐 계획으로서 부활. 하지만 지역의 반대가 격렬하여 1980년대에 계획 중지.
히가시스기하라 댐이비강72.0184,000중력식F・N・A・P댐 지점을 하류로 옮겨 요코야마 댐으로서 1964년에 완성되었지만, 전원 개발에 의해 동 지점에 댐 계획이 세워져 일본 최대의 다목적 댐·도쿠야마 댐으로서 2008년 완성.
구로즈 댐이비강네오강84.0130,000중력식F・N・P1950년대에는 무산.
네오 댐이비강네오강네오 히가시타니강45.016,000중력식F・N・P1950년대에는 무산. 그 후 상류부에 1995년 가미오스 댐이 완성.
이치노세 댐이비강마키타강32.06,710중력식F・N・P1950년대에는 무산.
나라이 댐시나노강사이강나라이강30.09,000중력식F・P야부하라 댐과의 사이에서 도수하는 발전 계획이었지만 일단 무산. 그 후 나가노현영의 다목적 댐으로서 1982년 완성.



(주)목적의 약호:'''F'''(홍수 조절)、'''N'''(불특정 이수)、'''A'''(관개)、'''P'''(수력 발전

이 댐 계획은 그 후 변경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는 기소강의 마루야마 댐과 이비강의 '''요코야마 댐''', 오타키강의 후타고모치 댐의 3개 댐 계획으로 집약되어, 각각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완공되었다. 그런데 1959년 9월 26일, 킨키 지방에서 주부 지방을 '''이세만 태풍'''이 덮쳐 사망자·행방불명자 4,645명이라는 전후 최악의 태풍 피해를 초래했다. 이 태풍에서는 나가라강·이비강 유역의 수해와 더불어 나고야시미나미구를 시작으로 하는 이세만 연안 지역에서의 고조가 피해를 더욱 확대시켰다. 사태를 심각하게 본 정부는 나카소네 야스히로를 본부장으로 하는 「'''주부 일본 재해 대책 본부'''」를 나고야시에 설치하고, 기소강 수계 및 이세만 연안 일대의 치수·방재 체제 강화를 도모했다. 특히 피해가 컸던 이세만 연안에 대해서는 방조제와 방조 수문 등의 강화·건설을 추진하여, 이러한 방조 시설은 1990년대에 거의 완성되었다. 또한 나가라강·이비강 유역의 치수 기능을 높이기 위해 제방 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댐에 의한 치수 강화도 검토하여, 요코야마 댐의 홍수 조절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도쿠야마 댐'''(이비강)이나 '''나가라강 하구 언'''(나가라강), 이타도리 댐(이타도리강)의 계획이 제기되었다.

3. 9. 수자원 개발과 아이치 용수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 정부는 내무성 주도로 유럽 기술자들을 초빙하여 전국적인 치수 사업을 시작했다. 기소강에서는 요하니스 데 레이케의 지휘 아래 "기소·나가라·이비 삼대 하천 수리 분류 계획"이 추진되어 홍수 피해가 크게 줄었다.[1]

농미 평야는 잦은 홍수와 갈수에 시달리는 지역이었다. 1001년 (장보 3년) 오에 용수가 건설된 이후 미야타 용수, 키즈 용수 등이 건설되어 농미 평야 중부는 곡창 지대가 되었지만, 오와리 구릉, 치타 반도, 동농 지역, 요로 산지 등은 물 부족에 시달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수지를 이용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다.[1]

전후, 하마지마 타츠오가 구상하고 요시다 시게루가 채택한 기소강에서 치타 반도까지의 농업 용수로 정비 계획이 기소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이것이 '''아이치 용수'''이며, 막대한 공사비 때문에 세계 은행의 융자를 받았다. 1955년 (쇼와 30년) '''아이치 용수 공단'''이 설립되었고, 1957년 11월 착공하여 1961년 (쇼와 36년) 완공되었다. 마키오 댐과 간사이 전력의 카네야마 댐 저수지에 설치된 '''카네야마 취수구'''가 수원으로 사용되었고, 총 1,012km에 달하는 대규모 용수로가 건설되었다.[1]

아이치 용수 착공 전후로 농림성 (농림수산성)은 1951년 (쇼와 26년) "'''국영 농미 용수 토지 개량 사업'''"을 통해 이누야마 머리공을 건설하여 1968년 (쇼와 43년) 완공했다. 서농 지역 관개를 위해 1984년 (쇼와 59년) 오카지마 머리공 준공으로 '''서농 용수'''가 완성되었고, 동농 지역에는 1976년 (쇼와 51년) '''동농 용수'''가 완성되어 오치아이 댐에서 물을 공급받았다. 2000년 (헤이세이 12년)부터는 "신 농미 농지 방재 사업"이 진행 중이다.[1]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한 주쿄권의 인구 증가와 주쿄 공업 지대 확대로 물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자원 개발 공단 (현재의 독립 행정 법인수자원 기구)은 1966년 (쇼와 41년) 기소강 수계를 수자원 개발 수계로 지정하고 "'''기소강 수계 수자원 개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미소가와 댐''', '''기소강 대언''', '''아기가와 댐''', '''이와야 댐''', '''나가라강 하구 언''', '''도쿠야마 댐''' 등이 건설되어 아이치 용수의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되었다. 1971년 (쇼와 46년)부터는 '''미에 용수''' 건설이 시작되어 1993년 (헤이세이 5년)부터 미에현 북중부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현재는 2008년 (헤이세이 20년) 완공된 도쿠야마 댐의 물을 기소강까지 연결하는 '''기소강 수계 연락 도수로''' 건설과 마키오 댐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1]

3. 10. 나가라강 하구언과 도쿠야마 댐 논쟁

나가라가와 하구언은 1968년 계획 발표 이후 맹렬한 반대 운동에 부딪혔지만, 엄밀한 환경 영향 평가를 거쳐 1994년에 완공되었다. 이 과정에서 댐 건설은 공공 사업과 환경 문제, 생존권과 같은 복잡한 문제를 제기하였다.[1] 특히, 반대파는 나가라가와 고유종인 사츠키마스를 비롯한 어류에 미칠 막대한 영향을 주장하며 언론을 끌어들여 논쟁을 격화시켰다.[1]

이비 강의 도쿠야마 댐은 2008년에 완공되었지만, 이비군 도쿠야마 촌 전체 477가구가 수몰될 예정이어서 격렬한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1] 주민들의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대체지로 집단 이주하는 것으로 타결되었다.[1] 이는 공공 사업 추진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파괴되고 생존권이 위협받는 현실을 보여준다.

나가라가와와 이비 강 유역은 잦은 홍수 피해를 겪어왔고, 댐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1] 그러나 고도 경제 성장이 끝나고 물 수요 증가가 둔화되면서 댐 건설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1] 또한, 댐에만 의존하는 치수(治水) 방식에서 벗어나 전통적인 린추(輪中)를 활용하여 홍수 피해에 대처하자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1]

이러한 논쟁들은 유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자연 보호, 최적의 선택지 사이에서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하는 현실을 보여준다. 특히 도쿠야마 댐 건설은 국민의힘의 관점에서 지역 주민들의 희생과 갈등을 부각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4. 현대의 하천 시설

기소강 수계에서는 수력 발전을 위한 전원 개발이 먼저 이루어졌다. 오이 댐을 시작으로 기소강과 히다강에는 수많은 댐과 발전소가 건설되어 일본 토목사의 선구자가 되었다.[1] 기소강의 주요 댐 및 저수 시설과 주요 용수로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요 댐 및 저수 시설

1차 지류2차 지류3차 지류댐형식높이
(m)총 저수 용량
(m³)사업자비고기소강colspan="2" |미소가와 댐록필140.061,000수자원기구기소강colspan="2" |독서 댐중력32.14,351간사이 전력기소강colspan="2" |야마구치 댐중력38.63,484간사이 전력기소강colspan="2" |오치아이 댐중력33.33,872간사이 전력통달 제2류 댐기소강colspan="2" |오이 댐중력53.429,400간사이 전력통달 제2류 댐기소강colspan="2" |카사기 댐중력40.814,121간사이 전력통달 제2류 댐기소강colspan="2" |마루야마 댐중력98.279,520국토교통성
간사이 전력재개발 중기소강colspan="2" |신마루야마 댐중력122.5146,000국토교통성사업 재검토 대상기소강colspan="2" |카네야마 댐중력36.39,393간사이 전력기소강colspan="2" |이마와타리 댐중력34.39,470간사이 전력기소강colspan="2" |이누야마 머리보--농림수산성기소강colspan="2" |기소강 대보보--수자원기구오타키강colspan="2" |미우라 댐중력83.262,216간사이 전력오타키강colspan="2" |오타키강 댐중력18.2589간사이 전력오타키강colspan="2" |마키오 댐록필104.575,000수자원기구통달 제1류 댐
재개발 중오타키강colspan="2" |토키와 댐중력24.11,288간사이 전력오타키강colspan="2" |기소 댐중력35.24,367간사이 전력이나가와colspan="2" |이나가와 댐중력43.0803간사이 전력츠케치강카시고강카시고 방재 댐중력35.6733기후현아기가와colspan="2" |아기가와 댐록필102.048,000수자원기구아기가와토미타강이와무라 댐중력35.8280기후현나카노가타강colspan="2" |나카노가타 댐중력43.5411기후현히다강colspan="2" |타카네 제1 댐아치133.043,568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타카네 제2 댐중공 중력69.011,927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아사히 댐중력87.025,513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쿠구노 댐중력26.71,247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코사카 댐보10.6-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히가시우에다 댐중력18.01,065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세토 댐보5.4-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시모하라 댐중력23.92,936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오와타리 댐보13.01,660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나나소 댐보10.6783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나가라 댐보13.51,151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카미아소 댐보13.2706주부 전력히다강colspan="2" |카와베 댐중력27.014,492주부 전력히다강아키카미강아키카미 댐중력74.017,584주부 전력히다강오케보라강오케보라 댐중력30.0190기후현히다강마세강니시무라 댐중력19.5276주부 전력히다강마세강이와야 댐록필127.5173,500수자원기구히다강마세강마세가와 제2 댐중력44.59,736주부 전력히다강호소오타니호소오타니 댐중력22.471주부 전력미나세강colspan="2" |미나세 댐중력43.51,042기후현사업 재검토 대상카모강하치야강하치야 조정지어스30.0550수자원기구카니강colspan="2" |마츠노 댐어스26.73,313수자원기구
기후현카니강쿠쿠리강코부치 댐록필18.4552기후현나가라강colspan="2" |나가라강 하구 보보-38,700수자원기구나가라강우시미치강아타기강아타기 댐중력71.42,550기후현나가라강카메오시마강우치카야 댐중력81.79,100기후현사업 재검토 대상나가라강이타도리강니시케보라강카와우라 댐아치107.510,000주부 전력나가라강이자라강이자라 댐어스17.1547기후현이비강colspan="2" |토쿠야마 댐록필161.0660,000수자원기구이비강colspan="2" |요코야마 댐중공 중력80.843,000국토교통성재개발 중이비강colspan="2" |쿠세 댐중력34.04,631주부 전력이비강colspan="2" |니시히라 댐중력31.54,490주부 전력이비강colspan="2" |오카지마 머리보보--토지개량구농림수산성 시공이비강사카우치강칸다케 댐중력20.0215이비덴이비강타카하시타니강타카하시타니 댐중력18.539주부 전력이비강네오강카네하라 댐보--주부 전력이비강네오강네오히가시타니강카미오스 댐록필98.012,000주부 전력이비강마키타강마키타강 머리보보--수자원기구이비강마키타강히가시타니강우치아게 조정지어스29.72,260수자원기구이비강마키타강후지코강후지코강 댐보--세키가하라정이비강마키타강이와테강후와 북부 방재 댐어스42.51,128기후현기소강 용수colspan="2" |카미이다 조정지어스16.170수자원기구아이치 용수사카이강마에강아이치 연못어스31.09,100수자원기구아이치 용수colspan="2" |미요시 연못어스20.02,235수자원기구아이치 용수colspan="2" |사후리 연못어스21.05,300수자원기구



4. 2. 주요 용수로

아이치현기소강
나가라강마키오 댐
아기강 댐
미소가와 댐
나가라강 하구언 (긴급시)카네야마 댐수자원기구 수로사업부기소강 용수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기소강
히다강이와야 댐가미아소 댐
기소강 오제키수자원기구 수로사업부토노 용수기후현기소강마키오 댐
아기강 댐
미소가와 댐오치아이 댐기후현소다이 용수기후현나가라강나가라강 좌안 (미노시 소다이)텐진 대교 부근소다이 용수 토지개량구가카미 용수기후현나가라강나가라강 좌안 (세키시 코세)아유노세 다리 부근가카미 용수 토지개량구세키타 용수
마쿠와 용수기후현네오강네오강 좌안 (모토스시 야마구치)야마구치 취수구세키타이수 토지개량구
마쿠와호이수 토지개량구세이노 용수기후현이비강요코야마 댐오카지마 수로세이노 용수 토지개량구노비 용수
(키즈・미야타・하시마 용수)아이치현
기후현기소강마루야마 댐이누야마 수로하시마 용수 토지개량구
미야타 용수 토지개량구
등미에 용수기후현
미에현이비강
인베강
아사케강
스즈카강
등나카사토 댐
우치아게 조정지
카사토 조정지
미야가와 조정지
코모노 조정지마키타강 수로
등수자원기구 수로사업부


5. 키소강 제방 (키소가와 쓰쓰미)

木曽川堤|키소가와 쓰쓰미일본어에도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이누야마와 야토미 사이 47km에 걸쳐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884년 5월 기록적인 홍수로 제방 일부가 붕괴된 후 재건되었고, 지역 자원봉사자들이 아이치현 지사의 요청에 따라 1,800그루의 벚나무 묘목을 가져와 이전에 제방을 따라 심었던 적송을 대체했다. 이 벚꽃에는 야생 벚나무 종을 포함하여 많은 특이한 품종이 포함되었으며, 일본 전역에서 매우 인기를 얻었던 소메이요시노 품종은 특별히 제외되었다. 이치노미야와 코난 사이 7km 구간의 제방은 1927년부터 국가 명승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2] 벚나무 수는 자연적인 쇠퇴로 인해 2001년까지 400그루 미만으로 점차 감소했지만, 이치노미야시는 제방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리기 위해 대규모 식수 캠페인을 실시했다.

참조

[1] 서적 "Kiso-gawa" in Japan encyclopedia, p. 529.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木曽川堤(サクラ)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9-02-10
[3] 웹사이트 木曽川 https://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9-02-10
[4] 웹사이트 木曽川 文化遺産オンライン https://bunka.nii.ac[...] 2023-06-04
[5] 웹사이트 木曽川(中流域) http://www2.env.go.j[...] 環境省
[6] 웹사이트 一級河川リスト http://www.i.hosei.a[...] 2022-10-12
[7] 웹사이트 木曽林務課だより 11月号 https://www.pref.nag[...] 木曽地方事務所林務課 2019-09-06
[8] 웹사이트 木曽三川について https://www.cbr.mlit[...] 2019-09-06
[9] 서적 日本三代実録11巻
[10] 서적 中世の東海道をゆく 京から鎌倉へ、旅路の風景 中央公論新社 2008
[11] 웹사이트 川筋の変遷とその痕跡-愛知県の河川の歴史- https://www.pref.aic[...] 2022-11-15
[12] 웹사이트 河川コード台帳(河川コード表編) https://www.cbr.mlit[...] 2022-11-03
[13] 웹사이트 河川コード台帳(河川模式図編) https://www.cbr.mlit[...] 2022-11-03
[14] 웹사이트 河川の概況 https://www.pref.nag[...] 2022-10-12
[15] 웹사이트 河川調書 https://www.pref.gif[...] 2022-09-30
[16] 웹사이트 河川の情報 https://www.pref.mie[...] 2022-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