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양 홍씨 (당홍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 홍씨 (당홍계)는 홍천하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고려 개국공신 홍은열을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조선 시대에 많은 문과 급제자, 상신, 왕비, 부마 등을 배출하며 번성했다. 주요 분파로는 재신공파, 예사공파, 중랑장파 등이 있으며, 남양군파와 문정공파가 전체 인구의 70%를 차지한다. 본관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인 남양이며, 고려 왕실과 조선 왕실에 여러 인척 관계를 맺었다. 1985년에는 약 38만 명, 2000년에는 약 38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 홍씨 (당홍) - 홍남기
    홍남기는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주도했고,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 남양 홍씨 (당홍)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남양 홍씨 (당홍계)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남양 홍씨 종중 재실
남양 홍씨 종중 재실
관향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조홍천하(洪天河)
중시조홍은열(洪殷悅) - 홍천하(洪天河)의 10세손
인구2015년 379,708명
주요 인물

2. 역사

시조 '''홍천하'''(洪天河)가 당나라 8학사의 일원으로 영류왕고구려에 들어와 유학을 가르치다가 연개소문의 난이 일어나자 신라로 피신하였고, 선덕여왕 재위시 유학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으며, 신무왕 때는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추대되었다고 한다.[1] 그러나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1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1]

당홍은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93명, 상신(相臣) 8명, 문형 2명, 청백리 3명, 왕비 1명, 부마 4명을 배출하였다.[1]

2. 1. 시조 및 기원

고구려에 들어와 유학을 가르치던 당나라 8학사 중 한 명인 '''홍천하'''(洪天河)가 시조라고 한다. 홍천하는 영류왕고구려에 와서 유학을 가르치다가 연개소문의 난이 일어나자 신라로 피신하였다. 선덕여왕 재위 시 유학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으며, 신무왕 때는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추대되었다고 한다.[1]

그러나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1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1] 당홍은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93명, 상신(相臣) 8명, 문형 2명, 청백리 3명, 왕비 1명, 부마 4명을 배출하였다.

2. 2. 고려 시대

남양 홍씨(당홍계)의 시조 '''홍천하'''(洪天河)는 당나라 8학사의 일원으로 영류왕고구려에 들어와 유학을 가르쳤다.[1] 연개소문의 난이 일어나자 신라로 피신하였고, 선덕여왕 재위시 유학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으며, 신무왕 때는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추대되었다고 한다.[1] 그러나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1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1]

2. 3. 조선 시대

남양 홍씨 당홍계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93명, 상신(相臣) 8명, 문형 2명, 청백리 3명, 왕비 1명, 부마 4명을 배출하였다.[1]

3. 분파

3세 홍란(洪蘭)은 재신공파(宰臣公派)로, 4세 홍복(洪復)은 예사공파(禮史公派)로, 6세 홍후(洪厚)는 중랑장파(中郞將派)로 분파되었다. 7세 홍지유(洪至柔)의 후손들은 13세손에서 13파로 분파되었고, 모두 합쳐 16개 파로 나뉜다.

13세에서는 홍주(洪澍)가 남양군파(南陽君派), 홍언박이 문정공파(文正公派), 홍언수(洪彦修)가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홍운수(洪云遂)가 익산군파(益山君派)로 분파되었다.

남양군파(南陽君派)와 홍언박을 파조로 하는 문정공파(文正公派)가 전체 인구의 70%를 차지한다. 남양군파의 파조 홍주(洪澍)의 증손인 홍일동(洪逸童)은 1442년(세종 24)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참판을 역임하였으며, 1454년 최초의 남양홍씨세보(南陽洪氏世譜)를 편찬하였다.

3. 1. 주요 분파

3세 홍란(洪蘭)은 재신공파(宰臣公派)로 나뉘고, 4세 홍복(洪復)은 예사공파(禮史公派)로 나뉘며, 6세 홍후(洪厚)는 중랑장파(中郞將派)로 나뉜다. 7세 홍지유(洪至柔)의 후손들은 13세손에서 13파로 갈리며, 모두 16파로 나뉜다.

13세 홍주(洪澍)는 남양군파(南陽君派), 홍언박(洪彦博)은 문정공파(文正公派), 홍언수(洪彦修)는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홍운수(洪云遂)는 익산군파(益山君派)로 분파되었다.

남양군파와 홍언박을 파조로 하는 문정공파가 인구의 70%를 차지한다. 남양군파의 파조 홍주(洪澍)의 증손인 홍일동(洪逸童)은 1442년(세종 24)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참판을 역임하였으며, 1454년 최초의 남양홍씨세보(南陽洪氏世譜)를 편찬하였다.

3. 2. 분파 형성 과정

3세 홍란(洪蘭)은 재신공파(宰臣公派)로, 4세 홍복(洪復)은 예사공파(禮史公派)로, 6세 홍후(洪厚)는 중랑장파(中郞將派)로 분파되었다. 7세 홍지유(洪至柔)의 후손들은 13세손에서 13파로 분파되었고, 모두 합쳐 16개 파로 나뉜다.

13세에서는 홍주(洪澍)가 남양군파(南陽君派), 홍언박(洪彦博)이 문정공파(文正公派), 홍언수(洪彦修)가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홍운수(洪云遂)가 익산군파(益山君派)로 분파되었다.

남양군파(南陽君派)와 문정공파(文正公派)가 전체 인구의 70%를 차지한다. 남양군파의 파조 홍주(洪澍)의 증손인 홍일동(洪逸童)은 1442년(세종 24)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참판을 역임하였으며, 1454년 최초의 남양홍씨세보(南陽洪氏世譜)를 편찬하였다.

4. 본관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다.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당성군으로 복원되어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이 되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홍다구가 원나라의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었다가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이어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宋)·(房)·박(朴)·최(崔)·(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2]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 1914년 수원군에 병합되었다가 1949년 수원시가 분리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었고,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다.

4. 1. 남양의 역사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었다.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당성군으로 복원되어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이 되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홍다구가 원나라의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었다가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이어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宋)·(房)·박(朴)·최(崔)·(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2]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 1914년 수원군에 병합되었다가 1949년 수원시가 분리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었고,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다.

4. 2. 남양의 토성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는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었다.[2]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2] 940년(고려 태조 23)에 당성군으로 복원되어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이 되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2]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2] 1290년(충렬왕 16)에 홍다구가 원나라의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었다가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이어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로 강등되었다.[2] 1413년(조선 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2]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宋)·(房)·박(朴)·최(崔)·(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2]

5. 항렬자

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53세54세55세56세57세58세59세
계(啓)口영(泳)병(秉)口섭(燮)재(在)종(鍾)순(淳)口표(杓)
口식(植)
성(性)
지(志)
口기(基)
口의(義)
석(錫)
진(鎭)
口택(澤)
口락(洛)
근(根)
주(柱)
口환(煥)
口희(熙)
시(時)
중(重)
口용(鎔)
口수(銖)
연(演)
홍(洪)
口영(榮)
口동(東)
사(思)
연(然)
口균(均)
口철(喆)
경(庚)
상(商)
口태(泰)
口구(求)
정(禎)
낙(樂)
口형(炯)
口욱(煜)
요(堯)
혁(赫)
口호(鎬)
口연(鍊)
수(洙)
용(溶)
口모(模)
口환(桓)
찬(燦)
훤(煊)
口증(增)
口배(培)
옥(屋)
선(銑)
口윤(潤)
口준(準)
연(楝)
백(栢)


6. 인물

wikitable

인물


7. 왕실과의 인척 관계

7. 1. 고려 왕실

충선왕의 비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 가문 출신이다. 충숙왕의 비 공원왕후 또한 남양 홍씨 가문 출신이다. 충혜왕의 비인 화비 홍씨 역시 남양 홍씨 가문 출신이다.

7. 2. 조선 왕실

정종의 15남 무림군의 처는 양덕군부인 홍씨이다. 문종의 후궁으로 숙빈 홍씨가 있다. 덕종의 장녀 명숙공주의 남편은 당양위 홍상이다. 성종의 후궁으로 숙의 홍씨가 있다. 중종의 후궁으로는 희빈 홍씨숙의 홍씨가 있었다. 선조의 후궁 중에는 정빈 홍씨가 있었다. 헌종의 계비는 효정왕후이다.

세종의 9남 평원대군의 처는 강녕부부인 홍씨이다. 태조의 5녀 숙신옹주의 남편은 당성군 홍해이다. 중종의 3녀 혜정옹주의 남편은 당성위 홍여이다. 선조의 3녀 정숙옹주의 사위는 홍명하이고, 4녀 정인옹주의 남편은 당원위 홍우경이다. 정평군의 처는 군부인 홍씨이다. 효종의 차녀 숙안공주의 남편은 익평위 홍득기이다. 장조의 3녀 청근옹주의 남편은 당은위 홍익돈이며, 4남 은신군의 처는 남양군부인 홍씨이다.

8. 인구

1985년에는 92,124가구에 382,090명이었다. 2000년에는 117,638가구에 379,708명이었다.

참조

[1] 문서 고려사 및 홍유 관련 기록
[2] 웹사이트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도 남양도호부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