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원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원대군은 조선 세종과 소헌왕후의 일곱째 아들로, 문종과 세조의 친동생이다. 1434년 평원대군에 봉해졌으며, 1437년 호군 홍이용의 딸과 결혼하고 종학에 입학했다. 1445년 천연두로 사망하였으며, 예종의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이 양자로 들어와 제사를 계승했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에 있으며, 묘지명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5년 사망 - 최윤덕
조선 초기의 무신 최윤덕은 태종과 세종 시대에 대마도 정벌과 여진족 정벌을 통해 국방에 공헌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중추원사에 이르렀으며 축성 사업에도 기여하여 '축성 대감'으로 불린 명장으로, 사후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정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45년 사망 - 안토니오 2세 아차이올리
안토니오 2세 아차이올리는 아차이올리 가문 출신으로 마리아 파라토와 결혼하여 프란체스코 2세, 바르톨로메아, 도메니코 세 자녀를 두었다. - 1427년 출생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1427년 출생 - 심주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화가, 서예가, 문인으로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산수화와 화훼화에 뛰어났고 오파를 창시하여 문인화 발전에 기여했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평원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평원대군 이림 |
작위 | 대군 |
휘 | 이림(李琳) |
자 | 진지(珍之) |
호 | 근행당(謹行堂) |
시호 | 정덕(靖德), 정헌(定憲) |
출생 (음력) | 1427년 11월 18일 |
사망 (음력) | 1445년 1월 16일 |
묘소 | 평원대군묘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곡리 |
가계 | |
아버지 | 세종 |
어머니 | 소헌왕후 심씨 |
배우자 | 강녕부부인 홍씨 |
2. 생애
1434년에 '''평원대군'''(平原大君)에 봉해졌다.[2] 1437년에 호군(護軍) 홍이용(洪利用)의 딸과 결혼하고 종학(宗學)에 입학하였다.[3] 1442년에 당시 왕세자였던 그의 형 문종이 아버지 세종의 섭정(攝政)을 시작하였다. 광평대군이 죽은 다음 해인 1445년에 천연두(天然痘)로 사망하였다.[5] 이로 인해 병약했던 세종의 건강은 더욱 악화되었고 불교를 신앙하게 되면서, 한동안 이씨조선의 억불정책(抑佛政策)이 완화되었다.[5]
남자가 없어, 후에 예종의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 이염(李𤂌)이 양자로 들어와 제사를 계승하였다.[5]
2. 1. 탄생과 혼인
1427년(세종 9년) 11월 18일, 세종과 소헌왕후의 일곱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림(琳)이며, 문종과 세조의 친동생이다.[1]1434년(세종 16년) 1월, '''평원대군'''(平原大君)으로 봉작되었다.[2] 1437년(세종 19년), 종묘에 배알하고 종학에 입학하였다.[3] 1438년(세종 20년) 4월 21일, 홍이용의 딸 남양 홍씨와 혼인하였다.[3] 홍이용은 인수대비의 외숙부로서 평원대군의 부인과 인수대비는 사촌지간이다.
2. 2. 사망
1445년(세종 27년) 1월 7일, 홍역을 앓아 사경을 헤메자 당시 세자였던 문종이 병간호를 하였다.[4] 1월 16일, 경복궁 화위당에서 1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5]평원대군이 사망하자 세종과 소헌왕후는 몹시 슬퍼하여 수라를 중지하고, 조회와 저자를 사흘 동안 정지하였다.[5] 평원대군의 죽음은 세종이 불교에 귀의하는 계기가 되었다.[5]
부인과의 사이에 자녀는 없으며 사후 예종의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이 봉사손으로 입적되었다.[5]
2. 3. 사후
광평대군이 사망하고 한 달 뒤, 평원대군이 죽자 세종과 소헌왕후는 40일 사이에 두 아들을 잃는 슬픔을 겪었다.[6] 세종은 이후 불교에 적극적으로 귀의하여, 먼저 죽은 가족들의 명복을 빌었다.[6]평원대군 사후, 그의 첩 초요갱(楚腰輊)이 평원대군의 이복 형인 화의군, 계양군 등과 간통하여 물의를 빚었다.[6]
후에 예종의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 이염(李𤂌)이 양자로 들어와 제사를 계승하였다.
3. 평가
4. 묘소
처음에는 경기도 광주 영장산 남쪽(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매장되었으나 1969년 성남시 개발로 인해 포천시로 이장되었다. 이장 당시 정창손이 백자에 지은 〈평원대군묘지명(平原大君墓誌銘)〉이 함께 출토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묘지명은 일부 글자를 제외하고 판독이 불가하다.
평원대군묘를 관리하기 위해 별궁인 수진궁(壽進宮)이 창설되었다. 이후 봉작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사망하거나 미혼인 채로 사망한 왕의 자녀들의 제사를 주관하는 곳이 되었다.
5. 가족 관계
조부는 태종(1367~1422), 조모는 원경왕후 민씨(1365~1420)이다. 아버지는 세종(1397~1450)이다. 외조부는 청천부원군 심온(1375~1418)이며, 외조모는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1444)이다.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1395~1446)이다. 부인은 강녕부부인 남양 홍씨(?~1483)이다.
6. 기타
2011년 SBS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평원대군이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세종실록 - 왕자 이림 탄생
1427-11-18
[2]
서적
세종실록
1434-01-21
[3]
서적
세종실록 - 평원대군 이림의 혼례
1438-04-21
[4]
서적
세종실록 - 평원대군 위독
1445-01-07
[5]
서적
세종실록 - 평원대군 이림 사망
1445-01-16
[6]
서적
세조실록 - 초요갱 사건
1463-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