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원구 병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기점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노원구 갑, 을 지역구의 인구 초과로 인해 조정되어 상계동 일부를 관할 구역으로 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노원구 지역 선거구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안산시 상록구 갑
안산시 상록구 갑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으나, 2024년 안산시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안산시 갑 선거구에 편입되어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서울 노원구의 정치 - 노원구 을
노원구 을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신설되어 여러 차례 선거구 개편을 거쳤으며, 대부분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 당선되었으나 22대 총선부터는 노원구 갑에 통합되었다. - 서울 노원구의 정치 - 노원구 갑
노원구 갑은 서울 노원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월계동, 공릉동, 중계동 일부를 포함하며, 스윙 지역구로 분류되고, 2024년에는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종로구·중구
종로구·중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로구와 중구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었다.
노원구 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원구 병 |
유형 | 단일 선거구 |
선거구 링크 | 노원구 병 |
의회 | 국회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
선거인 수 | 151,435 (2020) |
연도 | 2004 |
폐지 | 2024 |
의원 | 김성환 (마지막) |
의석수 | 1 |
선출 방식 | 1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방 의회 선거구 | 노원 5 선거구 |
다음 선거구 | 노원구 을 |
이전 선거구 | 노원구 을 |
행정 구역 | |
구 | 노원구 (일부)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Nowon-gu Byeong |
기타 정보 | |
폐지 정보 출처 | NEWSIS |
선거구 조정 정보 출처 | 헤럴드경제 |
2. 역사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노원구 을 지역구의 일부였다.
2004년 2월 9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선거인구 상하한선을 105,000명에서 315,000명으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상한선을 초과하는 지역구에 대한 조정도 이루어졌는데, 당시 노원구 갑과 노원구 을의 인구수는 200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각각 317,875명, 313,808명으로 모두 상한선을 초과하였다. 이 때문에 노원구 전체를 갑·을·병 선거구로 조정하여 '노원구 병' 선거구를 신설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이러한 선거구 개편이 적용된 선거법이 2월 말에 국회를 통과하면서, 제17대 총선부터 노원구 병 지역구 신설이 최종 확정되었다.[7]
2004년 당시 노원구 병은 기존의 노원구 을에 있던 상계동(6동과 7동 제외)을 분리 독립시키는 방식으로 신설되었다. 노원구 을에는 노원구 갑에 있던 중계동(본동과 2~3동)을 편입시켜 조정하였다. 이후 노원구 병 선거구 내에서 상계3동과 4동이 병합되는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노원구 지역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노원구 병 선거구에 포함된 지역들이 모두 노원구 을 선거구에 흡수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17대 노원구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18대~21대 노원구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때 신설되었으며, 이전에는 노원구 을의 일부였다.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상계3·4동이 추가되었다.
3. 1. 17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노원구 을 지역구의 일부였다.
2004년 2월 9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선거인구 상하한선을 105,000명에서 315,000명으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상한선을 초과하는 지역구에 대한 조정도 들어갔는데, 당시 노원구 갑과 노원구 을의 인구수는 200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각각 317,875명, 313,808명으로 모두 초과하였다. 이 때문에 노원구 전체를 갑·을·병의 선거구로 조정, '노원구 병' 선거구를 신설할 것으로 예측되었다.[6] 이러한 선거구 개편이 적용된 선거법이 2월 말에 국회를 통과하면서, 제17대 총선부터 노원구 병 지역구의 신설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7]
2004년 당시 노원구 병은 기존의 노원구 을에 있던 상계동 (6동과 7동 제외)을 분리 독립시키는 방식으로 신설되었다.
대수 | 관할 구역 |
---|---|
17대 | 노원구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
3. 2. 18대 ~ 21대
18대~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원구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였다.4. 역대 국회의원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임채정 | 열린우리당 | 44,923 | 45.21%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홍정욱 | 한나라당 | 34,554 | 43.10%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노회찬 | 통합진보당 | 52,270 | 57.21% |
201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안철수 | 무소속 | 42,581 | 60.46%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안철수 | 국민의당 | 53,930 | 52.33% |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김성환 | 더불어민주당 | 51,817 | 56.43%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김성환 | 더불어민주당 | 55,556 | 53.15% |
5. 1. 17대 (200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임채정 | 열린우리당 | 44,923 | 45.21% |
김정기 | 한나라당 | 36,738 | 36.97% |
이동섭 | 새천년민주당 | 9,894 | 9.95% |
진상우 | 민주노동당 | 6,795 | 6.83% |
송재호 | 자유민주연합 | 999 | 1.00% |
합계 | 99,349 | 100%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임채정 후보가 45.21%의 득표율로 노원구 병에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김정기 후보는 36.97%, 새천년민주당 이동섭 후보는 9.95%, 민주노동당 진상우 후보는 6.83%, 자유민주연합 송재호 후보는 1.00%를 득표했다.
5. 2. 18대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홍정욱 후보가 43.1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진보신당 노회찬 후보는 40.05%로 2위, 통합민주당 김성환 후보는 16.26%를 득표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홍정욱 | 34,554 | 43.10 |
진보신당 | 노회찬 | 32,111 | 40.05 |
통합민주당 | 김성환 | 13,036 | 16.26 |
평화통일가정당 | 김인로 | 469 | 0.58 |
총 투표수 | 80,170 | ||
등록 유권자 수 | 158,354 |
5. 3. 19대 (2012년)
2012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병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노회찬 | 통합진보당 | 52,270 | 57.21% |
허준영 | 새누리당 | 36,201 | 39.62% |
주준희 | 국민생각 | 2,889 | 3.16% |
합계 | 91,360 | 100% | |
무효표 | 756 | ||
투표율 | 92,116 (56.6%) | ||
등록 유권자 수 | 162,890 |
통합진보당 노회찬 후보가 57.2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허준영 후보는 39.62%, 국민생각 주준희 후보는 3.16%를 득표했다.
5. 4. 2013년 재보궐선거
201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노회찬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서울특별시 노원구 병 지역구의 보궐선거이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안철수 | 무소속 | 42,581 | 60.46% |
허준영 | 새누리당 | 23,090 | 32.78% |
김지선 | 진보정의당 | 4,036 | 5.73% |
정태흥 | 통합진보당 | 553 | 0.78% |
나기환 | 무소속 | 161 | 0.22% |
합계 | 70,421 |
5. 5. 20대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병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4][5]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안철수 | 국민의당 | 53,930 | 52.33 |
이준석 | 새누리당 | 32,285 | 31.32 |
황창화 | 더불어민주당 | 14,370 | 13.94 |
주희준 | 정의당 | 1,911 | 1.85 |
정태흥 | 민중연합당 | 294 | 0.28 |
나기환 | 대한민국당 | 264 | 0.25 |
합계 | 103,054 | 100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서울특별시 노원구 병 선거구에서는 총 159,717명의 유권자 중 103,711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개표 결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53,930표(52.33%)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준석 후보는 32,285표(31.32%), 더불어민주당 황창화 후보는 14,370표(13.94%)를 득표하였다.
5. 6. 2018년 재보궐선거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후보가 56.4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바른미래당 이준석 후보는 27.23%, 자유한국당 강연재 후보는 14.48%를 득표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김성환 | 51,817 | 56.43 |
바른미래당 | 이준석 | 25,001 | 27.23 |
자유한국당 | 강연재 | 13,297 | 14.48 |
무소속 | 최창우 | 1,075 | 1.17 |
민주평화당 | 김윤호 | 622 | 0.67 |
5. 7. 21대 (202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성환 | 더불어민주당 | 55,556 | 53.15 |
이준석 | 미래통합당 | 46,373 | 44.36 |
이남수 | 정의당 | 1,645 | 1.57 |
김선경 | 민중당 | 551 | 0.52 |
김광철 | 국가혁명배당금당 | 400 | 0.38 |
합계 | 104,525 | 100 | |
무효표 | 890 | - | |
투표율 | 105,415 | 69.61 | |
등록 유권자 수 | 151,435 | -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후보가 53.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여, 노원·부산 남구·경기 부천 등 30여곳 조정 선거구 '교통정리'
https://www.newsis.c[...]
2024-03-02
[2]
웹사이트
여야 “선거구 획정, 유불리는 없다”…지역구 표심 잡기 본격화[이런정치]
https://news.heraldc[...]
2024-03-04
[3]
뉴스
[인터뷰] 김성환 서울 노원병 당선인 "공존의 시대 열겠다"
https://www.yna.co.k[...]
2018-06-14
[4]
웹사이트
<후보 득표현황> 서울(14일 1시30분 현재)
https://www.yna.co.k[...]
Yonhap
2016-04-14
[5]
웹사이트
[4·13총선] 서울 당선자 명단
http://www.weeklytod[...]
Weekly Today
2016-04-14
[6]
웹사이트
선거구조정 어떻게B
https://news.naver.c[...]
[7]
웹사이트
지역구 15개 는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