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는 닌텐도에서 개발하고 출시한 격투 게임이다.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닌텐도 프랜차이즈의 캐릭터들을 조작하여 스테이지 밖으로 상대를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일반적인 격투 게임과 다른 독특한 게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싱글 플레이어와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하며, 다양한 스테이지와 아이템을 통해 다채로운 전투를 즐길 수 있다. 12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숨겨진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어 닌텐도 64 플레이어스 초이스 타이틀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사쿠라이 마사히로
사쿠라이 마사히로는 HAL 연구소에서 게임 《별의 커비》로 데뷔 후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디렉터, 기획자이자 유튜브 크리에이터이다.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는 닌텐도에서 개발한 플랫폼 격투 게임으로, 새로운 시스템과 다양한 닌텐도 및 게스트 캐릭터, 다채로운 1인용 모드 및 스테이지, 온라인 대전, 수집 요소 등을 제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HAL 연구소 게임 - 포켓몬 스냅
포켓몬 스냅은 1999년 닌텐도 64로 출시된 포켓몬 사진 촬영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포켓몬 섬을 탐험하며 사진을 찍어 점수를 얻고, 도구를 사용하여 포켓몬과 상호작용하며 숨겨진 요소들을 발견하는 것이 특징이다. - HAL 연구소 게임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는 닌텐도 캐릭터를 조작해 상대를 날려버리는 2001년 닌텐도 게임큐브용 플랫폼 파이터 게임으로, 확장된 게임플레이, 향상된 그래픽,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며, 평론가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 e스포츠로서의 활발한 진행을 이루었다. - 2.5D 그래픽 비디오 게임 - 소닉 슈퍼스타즈
소닉 슈퍼스타즈는 세가에서 발매한 사이드 스크롤 플랫폼 게임으로, 소닉, 테일즈, 너클즈, 에이미 로즈 등 다양한 캐릭터를 선택하여 닥터 에그맨의 음모를 막기 위해 북극성 제도를 탐험하며, 최대 4인까지 멀티플레이가 가능하다. - 2.5D 그래픽 비디오 게임 - 스트리트 파이터 6
스트리트 파이터 6는 캡콤에서 개발하여 2023년 6월 2일에 출시한 격투 게임으로, RE 엔진을 사용, 크로스 플랫폼 플레이와 롤백 넷코드를 지원하며, 파이팅 그라운드, 월드 투어, 배틀 허브의 세 가지 모드와 다양한 조작 방식 및 드라이브 시스템을 제공한다.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
원제 |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
로마자 표기 | Nintendo Ōru Sutā! Dai Rantō Sumasshu Burazāzu |
별칭 |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64, 스매시 64 |
개발 정보 | |
개발사 | HAL 연구소 |
유통사 | 닌텐도 |
디렉터 | 사쿠라이 마사히로 |
프로듀서 | 스가 히로아키 이와타 사토루 미키 겐지 미야모토 시게루 |
프로그래머 | 요시키 스즈키 |
아티스트 | 츠요시 와카야마 |
작곡가 | 안도 히로카즈 |
시리즈 |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
출시 정보 | |
플랫폼 | 닌텐도 64, 아이큐 플레이어, Wii (버추얼 콘솔) |
닌텐도 64 | 1999년 1월 21일 1999년 4월 26일 1999년 11월 19일 |
아이큐 플레이어 | 2005년 11월 15일 |
버추얼 콘솔 | 2009년 1월 20일 2009년 6월 12일 2009년 12월 21일 |
게임 정보 | |
장르 | 대전 격투 게임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판매량 | 세계: 555만 장 (2022년 말 기준) 일본: 197만 장 (2022년 말 기준) |
등급 | |
CERO | CERO-A |
ELSPA | 3+ |
ESRB | E (Everyone) |
PEGI | 7+ |
OFLC | G8+ |
기타 | |
지원 | 진동 팩 대응 |
2. 게임 시스템 및 규칙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는 기존 격투 게임과는 달리, 상대방을 화면 밖으로 날려 승리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인 조작 시스템과 규칙은 '스매시(스틱 튕기기)'를 중심으로 이미 이 시점에서 확립되었으며, 이후 시리즈에도 큰 변화 없이 이어진다.
스테이지는 메트로이드의 행성 제베스, 스타 폭스의 섹터 Z 등 닌텐도 프랜차이즈의 장소를 배경으로 하며, 3차원으로 렌더링되었지만 플레이어는 2차원 평면에서 움직인다. 각 스테이지는 독특한 게임 플레이와 전략적 요소를 제공한다.
싱글 플레이어 모드에서는 제한된 생명과 시간 안에 컴퓨터가 조종하는 상대를 격파해야 하며, 난이도와 생명 수는 플레이어가 결정할 수 있다. 이 모드는 이후 시리즈에서 클래식 모드로 불리며, "과녁 격파"와 "플랫폼 타기" 등의 미니 게임도 포함되어 있다.
2. 1. 조작 시스템
'스매시(스틱 튕기기)'를 중심으로 한 조작 시스템 체계와 기본적인 게임 시스템은 이 시점에서 이미 확립되었다. 이후 시리즈에서도 몇몇 시스템이 추가되지만, 이때 정해진 시스템은 이후에도 거의 변경되지 않고 계승된다.[42]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는 일반적인 격투 게임과는 다르게, 상대방의 체력 게이지를 깎는 대신 상대를 스테이지 밖으로 날려 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각 플레이어는 피해를 입을 때마다 증가하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피해 총량을 가지며,[48] 이 백분율이 증가할수록 캐릭터는 공격에 의해 더 멀리 날아간다.[43] 상대를 KO 시키려면, 플레이어는 해당 캐릭터를 스테이지 가장자리 밖으로 날려야 한다.[6] 스테이지 밖으로 날아간 캐릭터는 점프 동작을 사용하여 돌아올 수 있으며, 일부 캐릭터는 더 긴 범위의 점프를 가지고 있어 다른 캐릭터보다 회복하기가 더 쉽다.[7]
''스트리트 파이터''나 ''철권''과 같은 게임들은 플레이어가 복잡한 버튼 입력 조합을 기억해야 하지만, ''슈퍼 스매시브라더스''는 모든 캐릭터의 모든 동작에 접근하기 위해 동일한 컨트롤 조합을 사용한다.[43] 캐릭터는 상대방만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더 크고 역동적인 스테이지를 통해 다른 격투 게임보다 공중 및 플랫폼 기술에 더 중점을 둔다. ''스매시브라더스''는 또한 막기 및 회피 메커니즘을 구현하며, 다른 캐릭터를 잡고 던지는 것도 가능하다. 닌텐도 64 럼블 팩에 대한 지원도 포함되어 있다.[49]
다양한 무기와 파워업을 전투에서 사용하여 피해를 입히거나, 체력을 회복하거나, 추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43] 이들은 닌텐도 프랜차이즈의 아이템(예: 쿠파 껍질, 망치) 또는 포켓볼 형태로 무작위로 스테이지에 떨어진다.[8]
9개의 멀티플레이어 스테이지는 ''메트로이드''의 행성 제베스, ''스타 폭스''의 섹터 Z와 같이 닌텐도 프랜차이즈에서 가져온 장소나 스타일을 따른다.[49] 스테이지는 3차원으로 렌더링되지만 플레이어는 2차원 평면 내에서 움직인다. 각 스테이지는 독특한 게임 플레이와 전략적 동기를 제공하여, 선택한 스테이지가 전투의 추가 요인이 된다.
게임의 싱글 플레이어 모드에서 플레이어는 제한된 수의 생명과 제한된 시간 내에 컴퓨터가 제어하는 일련의 상대를 특정 순서로 격파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난이도와 생명 수를 결정할 수 있지만, 상대 시리즈는 변경되지 않는다. 플레이어가 생명을 모두 잃거나 시간이 다 되면, 점수 손실을 감수하고 계속할 수 있다. 이 모드는 이후 게임에서 클래식 모드로 불린다.[9] 싱글 플레이어 모드에는 "과녁 격파"와 "플랫폼 타기"라는 두 가지 미니 게임이 포함되어 있으며, "트레이닝 모드"도 제공된다.
최대 4명이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미리 정한 특정 규칙이 있다. 스톡 및 시간 매치는 멀티플레이어 플레이 모드 중 두 가지이다.[42] 이는 각 플레이어에게 특정 수의 생명 또는 선택한 시간 제한을 제공한 다음 카운트다운으로 경기를 시작한다. 자유 대전 또는 팀 배틀도 스톡 또는 시간을 사용하여 매치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시간 초과 또는 한 팀을 제외한 모든 플레이어가 생명을 모두 잃으면 승자가 선언된다. 멀티플레이어 게임은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동일한 점수를 얻어 경기가 서든 데스로 종료되면 무승부로 끝날 수도 있다. 서든 데스 동안 모든 파이터에게 300%의 피해가 주어지며,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파이터가 경기에서 승리한다.
2. 2. 피해 시스템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는 일반적인 격투 게임과는 다르게, 상대방의 체력 게이지를 깎는 대신 상대를 스테이지 밖으로 날려 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각 플레이어는 피해를 입을 때마다 증가하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피해량을 갖는다.[48] 이 백분율이 증가할수록 캐릭터는 공격에 의해 점점 더 멀리 날아간다.[43] 상대를 KO시키려면, 플레이어는 해당 캐릭터를 스테이지 가장자리 밖으로 날려야 한다.[6]2. 3. 승리 조건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는 일반적인 격투 게임과는 다르게, 상대방의 체력 게이지를 깎는 대신 상대를 스테이지 밖으로 날려 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각 플레이어는 피해를 입을 때마다 증가하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피해량을 갖는다.[48] 이 백분율이 증가할수록 캐릭터는 공격에 의해 점점 더 멀리 날아가며,[43] 상대를 KO시키려면 스테이지 가장자리 밖으로 날려야 한다.[6] 스테이지 밖으로 날아간 캐릭터는 점프 동작을 사용하여 돌아올 수 있지만, 일부 캐릭터는 점프 범위가 넓어 다른 캐릭터보다 회복하기가 더 쉽다.[7]
최대 4명이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미리 정한 특정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대표적인 규칙으로는 스톡제와 시간제가 있다.[42] 스톡제는 각 플레이어에게 특정 수의 생명을 부여하고, 시간제는 정해진 시간 동안 대결을 펼치는 방식이다. 자유 대전 또는 팀 배틀을 선택할 수 있으며, 스톡제나 시간제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경기 시간이 종료되거나 한 팀을 제외한 모든 플레이어가 생명을 모두 잃으면 승리 팀 또는 플레이어가 결정된다. 만약 경기 시간이 종료되었을 때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동일한 점수를 얻으면 서든 데스가 적용된다. 서든 데스에서는 모든 파이터에게 300%의 피해가 주어지며,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파이터가 승리한다.
3. 게임 모드
모드 | 설명 |
---|---|
1인용 게임 | 혼자서 즐길 수 있는 모드로, CPU 캐릭터를 상대로 승리하는 것이 목표이다. |
대전 게임 | 최대 4명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모드로, 다양한 규칙과 방식으로 대전을 즐길 수 있다. |
기록·자료 | 플레이어의 대전 기록, 캐릭터 정보, 게임 사운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는 일반적인 격투 게임과 달리 상대의 체력을 0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스테이지 밖으로 날려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각 플레이어는 피해를 입을 때마다 증가하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피해량을 가지며, 이 백분율이 높을수록 공격에 의해 더 멀리 날아간다.[48][43]
스트리트 파이터, 철권과 같은 기존 격투 게임들이 복잡한 버튼 입력을 요구하는 반면,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는 모든 캐릭터가 동일한 조작 방식을 사용한다.[43] 또한, 캐릭터는 상대방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단순한 평면 플랫폼이 아닌 더 크고 역동적인 스테이지에서 공중 및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에서는 막기, 회피, 잡기, 던지기 등의 다양한 액션이 가능하며, 닌텐도 64 럼블 팩을 지원한다.[49] 전투 중에는 쿠파 껍질, 망치, 포켓볼 등 닌텐도 프랜차이즈의 다양한 아이템이 무작위로 등장하여 전투에 변수를 더한다.[8]
3. 1. 1인용 게임
1인용 게임은 사용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정해진 CPU 캐릭터를 쓰러뜨리며 진행하는 모드이다. 난이도는 5단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스톡(플레이어에게 주어지는 목숨) 및 제한 시간 설정이 가능하다. 난이도를 올릴수록 적은 더 영리해지고 날려버리기 어려워진다.[53]자이언트 동키콩, 슈퍼 마리오 64의 '메탈마리오' 등 오리지널 적 캐릭터도 등장하며, 마지막 스테이지에는 마스터 핸드와 싸운다.[53] 플레이어 스톡이 떨어지거나 제한 시간이 다 되면 게임 오버가 되지만, 컨티뉴하면 점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이후 시리즈와는 달리 컨티뉴 횟수 제한은 없다. 스테이지 클리어 시 클리어 타임 등 보너스 점수가 추가되며(특정 조건 만족 시 추가 점수, 'Cheap Shot', 'Cheap Play'는 감점), 최고 점수는 캐릭터별로 저장된다.[53] 스테이지 2·7·10은 여러 적이 등장, 1명을 쓰러뜨리면 위에서 보충된다.[54] 스테이지 4와 6은 CPU 조작 아군 캐릭터가 무작위로 붙는다.[55]
트레이닝 모드에서는 스테이지, 적, 아이템 등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연습할 수 있고, 콤보 수도 표시된다.
3. 1. 1. 보너스 게임
1P 게임 도중에 등장하는 미니게임 형식의 보너스 스테이지이다. 각 캐릭터별로 다른 코스 설계와 플레이 방식을 가지고 있다. 보너스 스테이지는 과녁 격파, 발판 밟기 등 2가지가 있다.- '''보너스 1 연습 (과녁 격파!)'''
: 1P 게임 보너스 스테이지 1을 연습하는 모드이다. 코스에 설치된 10개의 과녁을 공격해서 전부 파괴해야 한다. 코스는 캐릭터마다 하나씩 준비되어 있으며, 각 캐릭터의 특징을 잘 알아야 클리어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시간이 측정되므로 타임 어택이 가능하다.[53] 1P 게임에서는 깨진 과녁의 수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얻는다.
- '''보너스 2 연습 (발판 밟기!)'''
: 1P 게임 보너스 스테이지 2를 연습하고 그 시간을 측정하는 모드이다. 코스에 설치된 10개의 노란 발판 위에 올라타야 한다. '과녁 격파!'와 같이 캐릭터마다 코스 설계가 달라서 이동과 복귀에 사용할 수 있는 필살기의 성질을 익히는 연습을 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53] 1P 게임에서는 올라탄 발판의 수에 따라 보너스 점수를 얻는다.
3. 2. 트레이닝 모드
스테이지, 적, 아이템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연습 모드이다. 콤보 수도 표시된다.[53]3. 3. 대전 게임
컴퓨터나 친구와 함께 최대 4인 대전을 즐길 수 있는 모드이다. 시간제와 스톡제의 두 가지 규칙, 개인전과 팀전의 두 가지 방식을 선택하여 전투할 수 있다.[42] 스테이지는 총 9개인데, 이 중 하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나타나는 아이템을 설정할 수도 있다.[6]대전 방식은 크게 시간제와 스톡제로 나뉜다. 시간제는 정해진 시간 동안 가장 많은 점수를 얻는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방식이고, 스톡제는 각 플레이어에게 주어진 목숨(스톡)을 모두 잃으면 탈락하고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방식이다. 개인전은 각자 தனி 플레이어로 전투하고, 팀전은 팀을 나누어 전투한다.[42]
선택 가능한 스테이지는 총 9개로, 메트로이드의 행성 제베스, 스타폭스의 섹터 Z 등 닌텐도 프랜차이즈에서 가져온 장소나 스타일을 따른다.[49] 각 스테이지는 독특한 게임 플레이와 전략적 동기를 제공하여 전투의 추가 요인이 된다.
3. 4. 기록·자료
; 상대 전적:: 그동안 치른 승패나 날아갔던 수 등 세세한 성적을 볼 수 있다.
; 캐릭터 소개
:: 플레이어가 조작할 수 있는 캐릭터의 프로필이나 등장 작품 등의 소개를 볼 수 있다. 숨겨진 캐릭터를 해금했다면 그 캐릭터의 소개도 볼 수 있다. 마스터 핸드와 수수께끼의 자코 군단 등 "스매시 브라더스" 오리지널 캐릭터 소개는 없다.
; 사운드 테스트
::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선택할 수 있다. 게임 중에 사용되는 BGM과 효과음, 캐릭터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4. 등장 캐릭터
이 게임에는 닌텐도의 인기 게임 시리즈 출신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각자 원작에서 가져온 특징적인 기술들을 사용한다.[10] [11] 예를 들어 사무스는 차지 블래스터를, 링크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한다.[11]
캐릭터들은 코믹북 스타일로 그려졌으며, 싸움을 위해 생명을 얻은 장난감 인형으로 묘사된다.[12]
4. 1. 플레이어 캐릭터
이 게임에는 닌텐도의 인기 프랜차이즈 게임들에서 선택된 12명의 캐릭터가 등장한다.[10] 각 캐릭터는 소속된 시리즈를 나타내는 심볼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링크는 트라이포스 문양을, 피카츄는 포켓몬 공 문양을 가지고 있다.[11] 또한, 캐릭터들은 원작 게임에서 사용하던 기술들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사무스의 차지 블래스터나 링크의 다양한 무기들이 그 예이다.[11]처음부터 사용 가능한 8명의 기본 캐릭터와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야 사용할 수 있는 4명의 숨겨진 캐릭터가 있다.[11] 게임의 박스 아트와 설명서에는 코믹북 스타일의 캐릭터 아트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캐릭터들이 싸우기 위해 생명을 얻은 장난감 인형이라는 설정을 나타낸다.[12]
4. 1. 1. 기본 캐릭터
마리오(슈퍼 마리오브라더스)는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주인공으로,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캐릭터이다. 큰 단점이 없지만 특출난 장점도 없다. 필살기는 '파이어볼', '슈퍼 점프 펀치', '마리오 토네이도'이다.[10]동키콩(동키콩 컨트리)은 《동키콩 컨트리》의 주인공으로, 거대한 몸집과 힘으로 상대를 압도하며 호쾌한 기술을 구사한다. 큰 상자와 나무통을 빠르게 옮길 수 있지만, 원거리 공격이 없고 덩치 때문에 적에게 맞기 쉽다. 주요 필살기는 모아서 쓰는 기술인 '자이언트 펀치'이다.[10]
링크(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는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의 주인공이다. 검, 폭탄, 부메랑 등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며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높은 공격력을 갖추고 있지만 기동성이 낮다. 필살기는 '회전베기', '폭탄', '부메랑'이다.[10]
사무스(메트로이드)는 《메트로이드》 시리즈의 주인공이다. 부드러운 동작이 특징이며, 원거리 전투와 대공 요격에 능하다. 주요 필살기는 모아서 사용하는 기술인 '차지 샷'이다.[10]
요시(요시 스토리)는 《마리오》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요시 아일랜드》의 주인공이다. 이동에 사용할 수 있는 필살기가 없는 대신, 공중에서 매우 높게 점프할 수 있다. 다른 캐릭터와는 다른 독특하고 복잡한 요소들이 많다. 필살기는 '알 낳기', '알 던지기', '엉덩이 찍기'이다.[10]
커비(별의 커비)는 《별의 커비》 시리즈의 주인공이다. 상대의 필살기를 복사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캐릭터가 2단 점프만 가능한 반면 커비는 5단 점프까지 가능하여 공중 제어가 뛰어나다. 주요 필살기는 '빨아들이기'이다.[10]
폭스(스타폭스 64)는 《스타폭스》의 주인공이다. 이동 및 공격 속도가 빠르고 위 방향 공격이 특기이지만, 공격력이 약하고 무게가 가벼워 주도권을 빼앗기기 쉽다. 주요 필살기는 '블래스터'와 '리플렉터'이다.[10]
피카츄(포켓몬스터 적·녹)는 《포켓몬스터 적·녹》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포켓몬 캐릭터이다. 재빠르고 작으며, 필살기 '전격'이나 '번개' 등을 사용한다.[10]
4. 1. 2. 숨겨진 캐릭터
루이지, 캡틴 팔콘, 네스, 푸린은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야 사용할 수 있는 숨겨진 캐릭터이다.[10] 1P 게임에서 루이지를 제외한 숨겨진 캐릭터는 적으로 등장하지 않고 아군으로만 등장한다.- '''루이지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Charles Martinet|찰스 마티네이영어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의 또 다른 주인공이자 마리오의 쌍둥이 동생이다. 1P 게임에서 마리오의 상대자로 STAGE 4에 등장한다. 마리오와 비슷한 성능을 지녔지만, 달릴 때 미끄러지기 쉽고 점프가 마리오보다 높아 조작이 부드러운 등 강한 변화가 있다. 필살기 '슈퍼 점프 펀치'는 마리오와 달리 그냥 맞히는 것만으로는 위력이 낮은 거의 무의미한 기술이지만, 발동 시에 밀접한 상대에게는 '파이어 점프 펀치'가 되어 높은 위력을 발휘한다.
- '''캡틴 팔콘 (F-ZERO)'''
堀川りょう|호리카와 료일본어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F-ZERO》의 주인공이다. 걷는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전 캐릭터 중 가장 빠른 달리기 속도를 가지고 있다. 공격력도 높지만, 필살기의 빈틈이 전체적으로 크다. 필살기는 차지할 수 없는 기술치고는 큰 위력과 빈틈을 가진 '팔콘 펀치', 게임 내 유일한 대공 잡기 기술인 '팔콘 다이브'등이 있다.
- '''네스 (마더 2: 기그의 역습)'''
大本眞基子|오모토 마키코일본어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마더 2: 기그의 역습》의 주인공이다. 원작의 능력인 PSI(초능력)를 구사해 싸운다. 공중 점프는 요시와 비슷한데, 속도가 느리지만 높고 독특한 곡선을 그린다. 좋든 나쁘든 강한 성능을 가진 캐릭터이다. 필살기로는 'PK 파이어', 'PK 선더'와 'PSI 마그넷'을 사용한다. 필살기로 복귀할 시 특수한 조작을 해야 한다.
- '''푸린 (포켓몬스터 적·녹)'''
金井美香|카나이 미카일본어가 목소리를 연기했다. 《포켓몬스터 적·녹》의 등장 캐릭터이다. 의도적으로 약한 캐릭터로 만들어져, 공격력이 낮고, 사정거리가 짧고, 날아가기 쉽다. 그러나 커비와 비슷한 5단 점프와 커비를 능가하는 공중 제어 능력과 복귀력은 다른 캐릭터에게 없는 푸린만의 장점이며, 필살기 '막치기'의 이동과 '잠자기' 사용 시 밀접한 상대에게 주는 위력도 발군이다.
4. 2. 오리지널 캐릭터
플레이어는 조작할 수 없고 1P 게임에서 적으로만 등장하는 오리지널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자이언트 동키콩
: STAGE 6에 등장한다. 동키콩을 크게 만든 캐릭터로, 덩치가 커서 혼자 싸우기 불리하므로 3명이 협력하여 쓰러뜨려야 한다. 일반 동키콩보다 공격력과 공격 범위가 강력하고, 무게도 무거워서 대미지가 많이 쌓이지 않으면 날리기 어렵다. 피격 판정이 커서 공격을 맞히기는 쉽지만, 공격을 받아도 경직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플레이어가 동키콩을 사용하더라도 자이언트 동키콩은 색이 변하지 않는다.
; 메탈마리오
: STAGE 9에 등장한다. 슈퍼 마리오 64에 등장한, 전신이 금속화된 마리오다. 동작은 마리오와 같지만, 전신이 금속으로 되어 있어 매우 무겁고 날리기 어렵다. 자이언트 동키콩보다 경직시키기 어렵지만, 낙하 속도가 매우 빨라서 스테이지 밖으로 밀어내면 쉽게 이길 수 있다. 커비가 빨아들여도 능력을 복사할 수 없고, 걸을 때 특수한 소리가 난다.
; 수수께끼의 자코 군단
: STAGE 10에 등장한다. 게임에 등장하는 12종류 캐릭터의 뼈대만 추출한 보라색 캐릭터이다. 공격 동작은 원본과 같지만, 필살기를 사용할 수 없다. 총 30명이 등장하며, 날아가기 매우 쉬워 스매시 공격 등으로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다. STAGE 10 전에 있는 보너스 스테이지 3 '보스가 있는 곳에 도달해라!'에도 3구가 나오는데, 여기서는 강하게 설정되어 있고 스테이지 특성상 쓰러뜨릴 수 없어 도망가야 한다.[1]
; 마스터 핸드
: 마지막 스테이지에 등장하는 흰색 오른손 장갑의 모습을 한 수수께끼의 캐릭터이다. 이후 《별의 커비 거울의 대미궁》에도 등장한다. 때리거나 손가락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의 공격을 한다. 체력제로, 체력을 0으로 만들면 승리한다. 1P 게임에서 이름이 불리지 않는 유일한 캐릭터다. 오프닝에서 인형들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역할로 등장한다. 난이도에 관계없이 체력(HP)은 300으로 고정되어 있다.[1]
5. 게임 스테이지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는 대전 액션 게임으로, 다양한 스테이지가 등장한다. 각 스테이지는 원작 게임의 배경을 바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고유한 특징과 기믹을 가지고 있다. 기본 스테이지 외에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숨겨진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1인용(1P) 모드에서만 등장하는 오리지널 스테이지도 있다.
5. 1. 기본 스테이지
기본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스테이지는 다음 8개이다.스테이지 이름 | 설명 |
---|---|
피치 성 상공 (슈퍼 마리오 64) | 원작 게임의 피치 성 옥상을 그대로 재현했다. |
콩고 정글 (동키콩 컨트리) | 원작 게임의 배경을 바탕으로 디자인되었다. |
하이랄 성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원작 게임의 하이랄 성을 배경으로 한다. |
행성 제베스 (메트로이드) | 원작 게임의 제베스 행성 특유의 분위기를 살렸다. |
요시 아일랜드 (슈퍼 마리오 요시 아일랜드) | 요시 아일랜드의 아기자기한 배경을 잘 나타냈다. |
푸푸푸랜드 (별의 커비) | 별의 커비 시리즈 특유의 귀여운 배경이 특징이다. |
섹터 Z (스타폭스 64) | 우주 전투기 아윙이 배경에 등장한다. |
노랑시티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노랑시티를 배경으로 한다. |
5. 2. 숨겨진 스테이지
숨겨진 스테이지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선택할 수 있다.5. 3. 1P 모드 스테이지
1P 모드에서만 등장하는 오리지널 스테이지는 다음과 같다.스테이지 이름 | 설명 |
---|---|
메타 크리스털 | 1P 모드의 스테이지 5이다. |
듀얼 존 | 1P 모드의 스테이지 8이다. |
종점 | 1P 모드의 최종 스테이지이다. |
6. 아이템
''닌텐도 올스타!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의 아이템은 전투 중 무작위로 나타나 다양한 효과를 부여한다. 아이템은 크게 캐리어와 일반 아이템으로 나뉜다. 캐리어는 상자, 원통, 캡슐, 알 등이 있으며, 파괴하면 아이템이 나오거나 폭발한다. 일반 아이템은 사용 즉시 효과가 적용되거나, 던지거나, 휘두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6. 1. 캐리어
상자 등의 용기는 부수면 아이템이 나온다. 가끔 아이템이 나오지 않고 폭발할 때가 있다.[62]; 상자
: 1~3개의 아이템이 들어있다. 드물게 모두 같은 아이템이 나올 수도 있다. 대형 캐리어라서 동키콩 이외의 캐릭터는 들고 있는 동안 방향 전환만 할 수 있다.
; 원통
: 한 가지 아이템이 들어있다. 던지면 지형을 따라 굴러간다. 벽에 부딪히면 부서진다. 다른 캐리어에 비해 폭발할 확률이 높다. 상자처럼 동키콩 이외의 캐릭터는 들고 있는 동안 방향 전환만 할 수 있다.
; 캡슐
: 소형 캐리어. 다른 아이템처럼 한 손으로 잡을 수 있어서 기본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아주 가끔 공격 등의 요인으로 깨져 폭발하는 것도 있다.
; 알(포켓몬스터)
: 캡슐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몬스터볼에서 출현하는 럭키는 3개, 노랑시티에 등장하는 럭키는 1개의 알을 낳는다. 이쪽에도 폭발하는 것(알 폭탄)이 있다.
6. 2. 일반 아이템
- 맥시멈 토마토(별의 커비): 회복 아이템으로, 대미지를 100% 회복시킨다.
- 생명의 그릇(젤다의 전설): 회복 아이템으로, 대미지를 완전히 회복시킨다. 정확히는 999% 회복하며, 회복하는 동안 대미지를 받아도 완전히 회복된다.
- 슈퍼스타(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특수 아이템으로, 일정 시간 무적 상태가 되어 어떤 피해도 받지 않고 날아가지도 않는다. 만지기만 하면 효과를 얻는다.
- 빔 스워드: 타격 아이템으로, 위력과 리치(reach)가 모두 우수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다. 던져도 나름대로 위력을 발휘한다.
- 홈런 배트: 타격 아이템으로, 옆 스매시 공격을 하면 상대를 축적 %나 무게와 관계없이 일격에 장외로 날려 보낸다. 맞췄을 때 '깡'하는 소리가 난다. 다만 속도가 느리고 틈이 생기기 때문에 위험이 크다.
- 부채: 타격 아이템으로, 대미지는 적지만 공격 속도가 빠르며, 상대에게 던지면 위로 날려 버린다. 상대의 실드를 크게 깎을 수 있고, 옆 스매시는 일격에 실드를 깰 수 있다.
- 스타로드(커비): 타격 아이템으로, 옆 강한 공격이나 옆 스매시 공격을 하면 최대 20번 별을 날릴 수 있다. 던져서 맞추면 바로 옆으로 날리는 특성이 있다.
- 레이건: 사격 아이템으로, 레이저를 쏠 수 있다. 레이저에 맞으면 약간 뜨기 때문에 타이밍을 맞춰 레이저를 쏘면 연속 히트시킬 수 있다. 16발까지 쏠 수 있다.
- 파이어플라워(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사격 아이템으로, 불을 내뿜어 공격한다. 120%의 대미지 값까지 불을 내면 불이 나지 않게 된다. 상대를 벽에 몰아넣고 사용하면 불이 꺼질 때까지 상대가 빠져나올 수 없다.
- 해머(동키콩): 특수 타격 아이템으로, 잡는 순간부터 망치를 계속 휘두른다. 망치에 닿으면 대미지를 30% 정도 받고 크게 날아간다. 망치를 휘두르는 동안에는 다른 공격을 할 수 없으며, 공중 점프를 할 수 없는 등 행동이 제한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끝난다. 망치를 휘두르는 동안에는 《동키콩》에서 망치를 잡았을 때 나오는 전용 배경음악으로 바뀐다. 망치를 든 상대에게 근접 공격을 맞히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상쇄되지 않는 한 원거리 공격은 유효하다(따라서 무적 상태가 아니다).
- 센서 폭탄(골든아이 007): 투척 아이템으로, 던져서 벽이나 바닥에 설치할 수 있으며, 캐릭터가 닿거나 공격이 가해지면 폭발한다.
- 폭탄병(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투척 아이템으로, 공격을 가하거나 던지면 폭발한다. 가만히 두면 이동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폭발한다. 들고 있는 동안은 폭발하지 않는다. 폭발에 닿은 상대는 매우 멀리 날아가고, 폭탄병을 던진 캐릭터도 폭발에 말려들 수 있다.
- 범퍼: 투척 아이템으로, 던지면 바닥에 깔린다. 맞은 상대는 옆으로 튕긴다.
- 바나나 껍질(슈퍼 마리오 카트): 특수 투척 아이템으로, 던진 껍질에 맞았거나 바닥에 깔린 껍질을 밟은 상대는 미끄러진다. 완전히 멈출 때까지 공격이 유효하다.
- 빨간등껍질(슈퍼 마리오 카트): 특수 투척 아이템으로, 타격을 가하거나 던진 뒤에는 이동하면서 근처의 캐릭터를 추적한다. 바나나 껍질보다 위력이 약하다.
- 몬스터볼(포켓몬스터): 투척 아이템으로, 땅에 떨어지면 포켓몬이 무작위로 출현한다. 포켓몬은 총 13종이 있다. 몬스터볼을 던진 사람은 그 포켓몬의 공격에 맞지 않는다. 몬스터볼 자체를 명중시켜 상대에게 대미지를 줄 수도 있다. 콘치와 럭키를 제외한 모든 포켓몬은 캐릭터와 닿으면 피해를 주고 날린다.
7. 개발 비화
HAL 연구소에서 개발한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는 4인용 격투 게임을 만들고자 했던 사쿠라이 마사히로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격투 게임 용왕|가쿠토 게무 류오일본어이라는 프로토타입을 이와타 사토루에게 보여주었고, 이와타는 이 프로젝트에 합류했다.[16]
초기 단계에는 임시 캐릭터 모델을 사용했다. 사쿠라이는 격투 게임의 낮은 판매량을 인지하고, 닌텐도 캐릭터를 활용한 독창적인 게임을 구상했다.[16] 닌텐도에 알리지 않고 1997년 9월[14] 마리오, 동키콩, 사무스, 폭스가 등장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했고,[15] 1997년 말 닌텐도에 공개 후 승인받았다.[16][17]
남코의 1995년 격투 게임 ''The Outfoxies''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외부 평가가 있으며,[18][19][20] 사쿠라이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5'' 경험을 통해 초보자도 쉽게 즐길 수 있는 격투 게임을 만들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다.[21]
게임 제목은 이와타 사토루가 제안한 것으로, "형제(Bros.)"라는 단어를 통해 싸움이 아닌, 작은 의견 차이를 해결하는 친구라는 뉘앙스를 더했다.[22]
2022년 10월 20일, 사쿠라이는 ''Dragon King: The Fighting Game'' 프로토타입을 공개하고, 최종판과의 차이점을 시연했다.[23] 개발 과정에서 마르스, 디디디 대왕, 쿠파, 뮤츠 등이 삭제되었으나, 이후 게임에 추가되었다.[24]
7. 1. 구현되지 못한 시스템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에 등장한 '비장의 무기'는 이 게임을 제작할 때부터 구상이 있었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구현되지 못했다. 실제로 게임 내에 '비장의 무기' 사용 시 음성이 수록되어 있으며, 네스와 캡틴 팔콘 등 일부 X 등장 캐릭터의 음성은 이 게임을 제작할 때 녹음한 것을 재활용한 것이다.[64]이후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슈퍼버섯' 아이디어 역시 존재했다. 하지만 닌텐도 64의 하드웨어 정보처리 능력 문제로 인해 거대한 캐릭터를 격렬하게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 취소되었다. 다만, '자이언트 동키콩'은 '거대한 캐릭터가 한 마리만, 정해진 상황에서 등장'이라는 한정된 조건으로 처리 누락 등이 일어나지 않게 구현되었다.[58]
7. 2. 일본판과 북미·유럽판의 차이점
일본판과 북미·유럽판은 언어 외에도 일부 사양이 변경되었다.북미·유럽판에서는 1인용 게임을 클리어하면 엔딩 후 마지막에 각 캐릭터별 고유의 일러스트가 표시되도록 변경되었다. 이는 일본판에도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개발 기간의 사정으로 인해 무산되었다.[65] 이 요소는 속편인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이후부터는 일본판에도 탑재되었다.
캐릭터 밸런스에 관해서도 세부적인 조정이 이루어져, 일부 기술의 벡터(상대를 날려 보내는 방향), 위력, 날아가는 정도 등의 차이가 있다. 또한, 나라별 규제 등에 따라 효과음 등 연출의 일부도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현실적인 타격음 대신 코믹한 타격음을 사용했다.[66]
8. 기타
- 각 캐릭터의 필살기 이름은 '스마브라켄!!'에서의 설명, 게임 중의 캐릭터 설명이나 닌텐도 홈페이지 공식 사이트의 명칭, '스마브라켄!!' 이전의 잡지나 공략책에서의 명칭이 일부 다르다 (예: 피카츄의 필살기 '번개'는 게임 중 설명이 '고속이동'으로 되어 있다). 이후 시리즈에서는 '스마브라켄!!'에서 사용된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9. 평가
Super Smash Bros.영어는 닌텐도 64로 처음 출시되었을 때, 리뷰 집계 사이트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11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5] 메타크리틱의 점수는 GameRankings의 79%와 일치한다.[34] 비평가들은 멀티플레이어 모드,[42][43][49][48] 음악,[42] "독창적인" 격투 게임 스타일,[48] 그리고 쉬운 학습 곡선[42][49]에 찬사를 보냈다.
IGN은 게임의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강조하며 "가치 있는 멀티플레이어 난투 게임을 찾는 게이머에게 훌륭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43] GameSpot은 이 게임이 "배우기 매우 쉽고 마스터하기 쉽다"고 표현하며 "이 게임의 진정한 매력은 4인 모드에서 나타난다"고 말했다.[42] 일본 게임 잡지 패미통은 40점 만점에 31점을 주었다.[38][39] 게임 인포머는 이전의 4인 격투 게임 시도와 비교하며, Super Smash Bros.영어가 "화면에 캐릭터가 많을수록 더 좋다"는 것을 잘 증명한다고 언급했다.[40]
IGN은 게임의 배틀 스테이지와 캐릭터 제공이 싱글 플레이어 경험에서 "너무 제한적"이고 "일상적"이라고 비판했다.[43] 게임의 그래픽 및 오디오 품질에 대한 호평에도 불구하고, ''GameCritics.com''은 빠른 속도의 게임 플레이가 득점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지적하며, "당신과 당신의 상대가 무대 밖으로 던져지는 횟수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아 볼 수 없다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말했다.[48] GameSpot의 전 편집장인 제프 게스트만은 싱글 플레이어 게임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42]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는 "독창적인 컨셉만으로도 이 게임을 확인해 볼 가치가 있다"고 했지만, 싱글 플레이어 경험을 위해서는 "그만한 가치가 없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36]
Super Smash Bros.영어는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닌텐도 64 플레이어스 초이스 타이틀이 되었으며, 일본에서 197만 부,[5] 2008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293만 부가 판매되었다.[4] 인터랙티브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Super Smash Bros.영어를 올해의 콘솔 액션 게임 및 올해의 콘솔 격투 게임 부문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50]
매체 | 평가 |
---|---|
GameRankings | 79%[34] |
메타크리틱 | 79/100[35] |
Allgame | 4/5[49] |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 | 8.625/10[36] |
패미통 | 31/40[38][39] |
게임 인포머 | 8.5/10[40] |
GameSpot | 7.5/10[42] |
IGN | 8.5/10[43] |
N64 Magazine | 90%[45] |
NP | 7.7/10[47] |
참조
[1]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http://www.ign.com/g[...]
IGN Entertainment, Inc.
2013-09-01
[2]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3-09-01
[3]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Melee
http://www.n-sider.c[...]
2008-06-17
[4]
웹사이트
US Platinum Game Chart
http://www.the-magic[...]
2006-12-07
[5]
웹사이트
Japan Platinum Game Chart
http://www.the-magic[...]
2008-06-17
[6]
웹사이트
The Basic Rules
https://www.smashbro[...]
2007-05-22
[7]
웹사이트
You Must Recover!
https://www.smashbro[...]
2007-06-06
[8]
웹사이트
Characters
http://www.smashbros[...]
[9]
웹사이트
Classic
http://www.smashbros[...]
2007-10-30
[10]
웹사이트
Guides: Super Smash Bros. Melee–Characters
http://guides.ign.co[...]
2007-12-22
[11]
웹사이트
Guides: Super Smash Bros. Melee–Samus Aran
http://guides.ign.co[...]
2007-12-22
[12]
웹사이트
Trophies
http://www.smashbros[...]
2007-09-24
[13]
AV media
Super Smash Bros.
https://www.youtube.[...]
2022-10-20
[14]
간행물
ニンテンドウ オールスター! 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 開発者インタビュー
Mycom
1998-12-18
[15]
간행물
The Man Who Made Mario Fight
[16]
웹사이트
Iwata Asks: Super Smash Bros. Brawl
http://iwataasks.nin[...]
Nintendo
2008-01-31
[17]
웹사이트
社長が訊く「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X」
https://www.nintendo[...]
Nintendo
2008-01-31
[18]
웹사이트
The Outfoxies
http://www.hardcoreg[...]
2012-11-22
[19]
뉴스
Six Days to Smash Bros. Brawl: Top Five Smash Bros Alternatives
https://www.destruct[...]
2008-03-03
[20]
웹사이트
15 Smash Bros. Rip-Offs That Couldn't Outdo Nintendo
https://www.gamesrad[...]
2014-09-19
[21]
웹사이트
From Kong to Kirby: Smash Bros' Masahiro Sakurai on Mashing Up 35 Years of Gaming History
https://www.theguard[...]
2020-02-26
[22]
웹사이트
After 25 years, we finally know why it's called Super Smash "Bros" – Nintendo icon Satoru Iwata wanted the fighters to be "friends who were settling a little disagreement"
https://www.gamesrad[...]
2024-10-11
[23]
웹사이트
Sakurai Shares First Ever Footage of Dragon King, the N64 Smash Bros. Prototype
https://www.nintendo[...]
2022-10-29
[24]
웹사이트
The Definitive List of Unused Fighters in Smash
https://sourcegaming[...]
2016-04-29
[25]
웹사이트
Nintendo All-Star! Dairanto Smash Brothers Original Soundtrack
http://www.soundtrac[...]
2002-01-17
[26]
웹사이트
Who Would Win in a Fight?
https://www.ign.com/[...]
IGN
1998-11-09
[27]
웹사이트
Guess Who's Gonna Kick Mario's Ass?
https://www.ign.com/[...]
IGN
1998-11-13
[28]
간행물
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
Shogakukan
1998-11-15
[29]
웹사이트
Smash Bros. Gets a US Date
https://www.ign.com/[...]
IGN
1999-02-11
[30]
웹사이트
Nintendo Stages Smashing Fight
https://www.ign.com/[...]
1999-04-22
[31]
웹사이트
In 1999 Nintendo Had a Real-Life Wrestling Match Starring Mario and Pikachu
https://kotaku.com/n[...]
2023-02-14
[32]
간행물
Behind the Dangerous Stunts of Nintendo's Iconic Mario Commercials
https://www.gameinfo[...]
2024-01-09
[33]
웹사이트
Smash Bros. Internet Broadcast
http://media.interne[...]
2023-01-04
[34]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64
https://www.gamerank[...]
CBS Interactive
2018-11-01
[35]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64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3-07-14
[36]
간행물
Super Smash Bros.
https://archive.org/[...]
2021-07-05
[37]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http://elecplay.com/[...]
2021-07-05
[38]
간행물
ニンテンドウ64 - ニンテンドウオールスター!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
Weekly Famitsu
2006-06-30
[39]
웹사이트
Famitsu Scores Smash Bros.
http://cube.ign.com/[...]
2008-04-26
[40]
간행물
Super Smash Bros. Review
http://www.gameinfor[...]
[41]
웹사이트
Super Smash Brothers
http://www.gamerevol[...]
2021-07-05
[42]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Review
http://www.gamespot.[...]
2008-04-26
[43]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Review
http://ign64.ign.com[...]
2008-04-26
[44]
웹사이트
Test Super Smash Bros
https://www.jeuxvide[...]
2021-07-05
[45]
간행물
Smash Bros
https://archive.org/[...]
2021-07-05
[46]
간행물
Finals
Future US
1999-06
[47]
간행물
Super Smash Bros.
https://archive.org/[...]
Nintendo of America
1999-05
[48]
웹사이트
Game Critics Review
http://www.gamecriti[...]
2008-05-09
[49]
웹사이트
Super Smash Bros. > Review
http://www.allgame.c[...]
2008-05-09
[50]
웹사이트
Third Interactive Achievement Awards - Console
http://www.interacti[...]
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2023-01-11
[51]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52]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Youtube
スマブラ拳!! - アンケート集計拳!!
https://www.nintendo[...]
[58]
웹사이트
社長が訊く『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X』 Vol.5 さまざまな新要素
https://www.nintendo[...]
[59]
웹사이트
スマブラ拳!! ChrFrameLayot.html
https://www.nintendo[...]
[60]
문서
[61]
뉴스
ニンテンドウオールスター! 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
https://www.famitsu.[...]
ファミ通.com
2021-10-03
[62]
문서
[63]
Youtube
스마브라켄!! - 앙케트 집계 켄!!
https://www.nintendo[...]
[64]
웹사이트
사장이 묻는 く《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Vol.5 다양한 신 요소
http://www.nintendo.[...]
[65]
웹사이트
스마브라켄!! ChrFrameLayot.html
https://www.nintendo[...]
[66]
문서
[67]
웹인용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64
https://www.gamerank[...]
CBS Interactive
2018-11-01
[68]
웹인용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64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3-07-14
[69]
웹인용
Super Smash Bros. > Review
http://www.allgame.c[...]
Allgame
2008-05-09
[70]
간행물
ニンテンドウ64 - ニンテンドウオールスター!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
Weekly Famitsu
2006-06-30
[71]
웹인용
Famitsu Scores Smash Bros.
http://cube.ign.com/[...]
IGN
2001-11-14
[72]
웹인용
Super Smash Bros. 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1999-02-18
[73]
웹인용
Super Smash Bros. Review
http://ign64.ign.com[...]
IGN
1999-04-27
[74]
잡지
Finals
Future US
199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