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스토커즈는 1994년에 시작된 캡콤의 대전 격투 게임 시리즈이다. 인간 세계와 마계의 결합을 배경으로, 어둠의 사냥꾼, 즉 다양한 초자연적 생물들이 밤의 지배자를 가리기 위해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다. 시리즈는 독특한 세계관과 개성적인 캐릭터, 체인 콤보, 가드 캔슬 등의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합본 및 이식판으로 출시되었다. 다크스토커즈는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컬트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크스토커즈 - 나이트 워리어즈: 다크스토커즈 리벤지 1995년 캡콤에서 출시한 대전 격투 게임 《나이트 워리어즈: 다크스토커즈 리벤지》는 전작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새로운 캐릭터와 줄거리를 추가하여 아케이드, 가정용 콘솔, 온라인 플랫폼 등 다양한 매체로 이식되었으며, 게임 매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다크스토커즈 - 다크스토커즈 레저렉션 다크스토커즈 레저렉션은 캡콤이 1994년 출시된 다크스토커즈 시리즈의 HD 리마스터 결정판으로, HD 필터링, 8인 로비, 유튜브 업로드, 튜토리얼, 금고 시스템 등을 지원하며 GGPO 넷코드를 사용한 온라인 플레이를 제공한다.
뱀파이어 게임 - 뱀파이어 나이트 《뱀파이어 나이트》는 와우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남코가 배급한 건슈팅 게임으로, 3세기 전부터 이어진 뱀파이어와 뱀파이어 사냥꾼의 갈등을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메타크리틱에서 "평가가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리뷰"를 받았다.
뱀파이어 게임 - 디아볼릭 러버즈 Rejet과 아이디어 팩토리가 발매한 여성향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디아볼릭 러버즈》는 평범한 여고생 코모리 유이가 뱀파이어 형제들과 동거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고, 애니메이션, 드라마 CD 등 미디어 믹스로 전개되었다.
판타지 비디오 게임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은 2023년 닌텐도 스위치로 출시된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전작의 게임플레이를 계승하며 하늘과 지하를 탐험하는 새로운 요소와 울트라핸드, 스크래빌드 등 새로운 능력을 활용하여 퍼즐을 풀고 조나이 장치를 제작하며 가논돌프의 부활과 젤다의 실종을 막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판타지 비디오 게임 - 데빌 메이 크라이 데빌 메이 크라이는 2001년 첫 작품이 출시된 액션 게임 시리즈로, 악마 사냥꾼 단테를 비롯한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스타일리쉬한 액션을 특징으로 하며, 모바일 게임,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시리즈 첫 작품 《다크스토커즈: 더 나이트 워리어즈》는 캡콤이 《스트리트 파이터 II》 이후 처음 발표한 대전형 격투 게임이다. 복잡한 조작 없이 연속기를 할 수 있는 "체인 콤보"와, 방어 중 반격하는 "가드 캔슬"이 특징으로, 이전 격투 게임과 다른 전술이 요구되었다.
캐릭터는 아메코믹풍 애니메이션 그림으로 제작되었다. 방대한 애니메이션 패턴은 유려한 움직임을 보여주었고,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세가 새턴으로는 완전 이식이 불가능했다. 고딕 호러풍 배경과 그래픽은 호평을 받았다.[62]
일본에서는 캡콤 대표 격투 게임 시리즈 중 하나로 인식되었지만, 미국에서는 "움직임이 크레이지하다"는 반응과 함께 거부감을 보였다. 북미 부진은 《X-MEN》과 기판 교체를 꺼리는 점포도 원인이었다.
《뱀파이어》 이후 캡콤 2D 대전 격투 게임은 캐릭터 음영을 2~3단계로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그림(셀화 칠) 기법을 사용했다. 오카모토 요시키 아이디어로, 아키만은 처음에는 내키지 않아 했지만, 철저한 캐릭터 디자인 감수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63]
세가 새턴 버전은 뱀파이어 세이버 2의 추가 캐릭터를 포함한다.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은 뱀파이어 세이버, 뱀파이어 세이버 2, 뱀파이어 헌터 2의 모든 캐릭터를 포함한다 (프랜차이즈의 모든 캐릭터).
뱀파이어 헌터 2: 다크스토커즈 리벤지JP
아케이드JP
뱀파이어 헌터의 캐릭터 로스터를 사용하는 뱀파이어 세이버의 수정 버전
뱀파이어 세이버 2: 더 로드 오브 뱀파이어JP
아케이드JP
존 탈바인, 사스콰치, 리쿠오를 제거하고 도노반 바인, 포보스, 파이론으로 대체한 뱀파이어 세이버의 수정 버전
시리즈 제1작 《뱀파이어 The Night Warriors》는 캡콤이 《스트리트 파이터 II》 시리즈에 이어 처음으로 발표한 완전 신작 대전형 격투 게임이다. 시스템 면에서는 복잡한 조작 없이도 연속기를 할 수 있는 "체인 콤보"와, 방어만 하다가도 반격할 수 있는 "가드 캔슬"이 주축이 되어, 이전의 《스트리트 파이터 II》형 격투 게임과는 다른 전술이 요구되었다.
캐릭터 그래픽은 사실적인 음영과 신체 입체 표현 대신 아메코믹풍의 애니메이션 그림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방대한 애니메이션 패턴은 유려한 움직임을 보여주었으며, 당시 신세대 게임기였던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세가 새턴으로는 완전 이식이 불가능했다. 고딕 호러풍 배경과 어우러진 그래픽은 플레이어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62]
일본에서는 캡콤을 대표하는 격투 게임 시리즈 중 하나로 인식될 만큼 많은 팬을 확보했지만, 미국에서는 "움직임이 크레이지하다"는 반응과 함께 거부감을 보이는 팬들이 많았다. 아메코믹풍 그래픽에도 불구하고,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기피되는 결과를 낳았다. 북미에서의 부진은 직전에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던 《X-MEN》과의 기판 교체를 꺼리는 점포가 많았던 것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뱀파이어》 이후 캡콤의 2D 대전 격투 게임에서는 캐릭터의 음영을 2~3단계로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그림(셀화 칠) 기법을 사용했다. 이는 오카모토 요시키의 아이디어였으며, 당시 그래픽 감수를 맡았던 아키만은 "칠하는 시간은 단축되지만 그래픽 정보량이 줄어드는 만큼 확실한 데생이 필요하고, 정교한 애니메이션 패턴을 만들어야 한다"며 처음에는 내키지 않아 했지만, 철저한 캐릭터 디자인 감수 덕분에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63]
어느 날 밤, 어둠의 주민들의 의식에 "우리에게 오라"는 수수께끼의 사념이 말을 걸어왔고, 그 목소리에 이끌린 10체의 다크스토커즈가 싸움을 벌인다.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10체 외에, 보스 캐릭터로서 2체의 CPU 전용 캐릭터가 등장한다. 대전 시 각 캐릭터의 종족명(몬스터명)이 표시되는 것이 특징이다.
대 컴퓨터전은 세계 지도 맵을 이동하는 연출로, 자신이 조작하는 캐릭터 외의 9체와 싸운 후, 보스 포보스, 파이론과 차례대로 대전한다(총 11전). 엔딩 후 스태프롤은 노 컨티뉴로 클리어해야 볼 수 있다.
코인 미투입 시 데모 중에 캐릭터 선택 화면이 나오는데, 이때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데모 대전 캐릭터를 어느 정도 선택할 수 있다(원래 예정된 전투 스테이지가 선택된 1P, 2P 어느 쪽 캐릭터와도 관계없는 스테이지가 되기도 한다).
1996년3월 29일 플레이스테이션용 타이틀로 발매되었다. 당초 세가 새턴판과 동시기에 발매가 발표되었지만, 개발이 늦어져 세가 새턴에서 속편인 『헌터』가 발매된 약 1개월 후에 발매되었다. 세가 새턴판과 마찬가지로 VS 모드가 추가되었지만, 메모리 카드에는 대응하지 않으며, 옵션 설정 항목 수도 매우 적다. 세가 새턴판처럼 애니메이션 패턴을 삭감하는 대신 비슷한 동작으로 대체하여 매수를 절약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일부 스테이지에서는 처리 멈춤도 발생했다. 본작만의 요소로, 야자와 에이키치의 곡 「THE TROUBLE MAN」이 흐르는 신규 오프닝 무비가 추가되었고, 엔딩 스태프롤은 야자와 에이키치의 「THE RAIN」이 흐르는 독자적인 것으로 변경되었다. 아케이드판과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는 보스 캐릭터 포보스, 파이론은 사용할 수 없다.
2. 1. 2. 나이트 워리어즈: 다크스토커즈 리벤지 (1995)
1995년3월 6일에 가동된 시리즈 두 번째 작품이다. 신 캐릭터로 도노반(Donovan)과 레이레이(Lei-Lei)가 추가되었으며, 전작의 보스 캐릭터 2명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헌터'라는 제목 그대로, 두 캐릭터 모두 "어둠의 주민을 사냥하는" 입장의 캐릭터로 참전한다. 전작의 버전업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캐릭터의 기본 색상이나 스테이지의 배색은 전작의 색상과 다르고, BGM도 전작의 어레인지이다. 복잡했던 전작의 필살기 커맨드를 단순한 것으로 바꾸고, "체인 콤보"나 "가드 캔슬" 등이 성공하면 화면에 크게 표시하는 등, 이해하기 쉽도록 조절되었다.
CPU전은 보스 이외의 캐릭터에서 선택된 8명(동일 캐릭터전의 경우도 있음)과 싸운 후, 전작의 보스 2명과 대전한다(총 10전). 스토리 자체는 전작에서 큰 변경은 없지만, 전작의 캐릭터를 포함하여 엔딩 마지막에 한 장의 그림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에필로그가 추가되었다. 전작보다 난이도가 낮아졌고, 체인 콤보나 EX 필살기 등이 맞기 쉽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게임의 CPU전 난이도는 기판에 설정된 난이도의 높낮이나 CPU 캐릭터의 출현 순서(후반에 등장하는 상대일수록 강해짐), 플레이어의 남은 체력이나 획득 점수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CPU를 상대로 낸 기술과 그 효과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 기술을 내서, 상대에게 맞았는지, 가드되었는지, 헛쳤는지에 따라, CPU의 반응이 크게 변화한다. CPU를 상대로 기술을 여러 번 헛치거나 가드되면 난이도가 낮아지고, 기술을 정확하게 맞히면 그만큼 CPU의 공격도 거세지고 난이도가 상승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본작의 CPU전은 초심자도 상급자도 즐길 수 있다.[64]
CPU전의 최종 라운드에서 무승부가 되어도 게임 오버가 되지 않는다. 플레이어의 승리 그래픽이 나타나고, 다음 대전 상대로 진행된다.
1996년2월 23일에는 세가 새턴용 타이틀로 발매되었다. 가정용 게임기로는 시리즈 최초의 이식이었다. 메모리 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아케이드판에서 일부 동작의 애니메이션 패턴이 삭제되었지만, 부자연스러운 동작이 되지 않도록 비슷한 동작으로 대체하여 애니메이션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는 방안이 취해졌다.[65] 옵션 화면에서 숨겨진 커맨드를 입력하면 더 많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패턴이 삭제된 캐릭터도 동일 캐릭터전에서만 아케이드판과 동일한 패턴으로 할 수 있다. 비공인 방식이지만 복잡한 커맨드를 입력하면 디버그 모드를 이용할 수도 있었다. 이를 통해 추가된 히트 판정이나 데미지 표시, 프레임 단위로 보기 등의 기능은 콤보와 전술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가정용 오리지널 모드로는 계속 대전을 이어갈 수 있는 "VS 모드"뿐이지만, 옵션의 설정 항목이 매우 충실하며, 처음에는 PlayStation판과 마찬가지로 『뱀파이어』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전작의 BGM이나 오프닝도 숨겨진 요소로 함께 수록되어 있다. 엔딩의 스태프롤은 사라진 대신, 승리 그래픽 모음으로 변경되었다. 오프닝 데모는 아케이드판과 일부 다르며, 캐릭터 간의 대전 장면이 생략되고, 대신 전작의 오프닝 일부가 사용되었다.
2. 1. 3. 뱀파이어 세이비어: 월드 오브 다크니스 (1997)
ヴァンパイア セイヴァー The Lord of Vampire|뱀파이어 세이비어: 더 로드 오브 뱀파이어일본어는 1997년에 출시된 아케이드 게임으로, 세가 새턴과 플레이스테이션으로도 이식되었다. 북미 플레이스테이션판 및 영어판 리저렉션에서는 "Darkstalkers 3"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었다.[15]
1997년5월 28일에 가동된 시리즈 3번째 작품이다. 제다, 릴리스, 발레타, 큐비가 새로운 캐릭터로 추가되었고, 포보스, 파이론, 도노반이 삭제되었다. 본작부터 내레이션 연출이 추가되어 라운드 시작과 KO 시뿐만 아니라 콤보가 결정된 순간에도 보이스가 추가되었다. 내레이션 담당은 우에다 유지이다. 시스템 면에서는 "임팩트 데미지 게이지 시스템"을 채용하여 전작보다 게임 전개가 빨라졌지만, 콤보로 인한 큰 데미지를 노리기 어려워졌다. 또한 "어드밴싱 가드"가 추가되었다.
제다가 창조한 "마차원"을 무대로, 가치 있는 영혼으로 소환된 다크스토커즈가 싸움을 벌인다는 배경 스토리로 전개된다. 싸움의 무대가 현실 세계와 다른 이차원 세계라는 설정 때문에 캐릭터와 스테이지 배경의 연관성이 옅어져 일부 캐릭터를 제외하고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숨겨진 캐릭터로 다크 가론이나 상대에게 차례차례 빙의하는 섀도우 등도 등장했다.
컴퓨터와의 대전은 통상 7명의 적과 싸운다. 대부분의 캐릭터는 최종 보스로 제다가 등장하지만, 일부 캐릭터는 다른 캐릭터가 보스로 등장한다. 조건을 만족하면 캐릭터마다 정해진 난입 캐릭터가 등장하고, 최종전 후에는 숨겨진 보스 오보로 비샤몬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어 1 플레이에서 최대 9전이 된다. 난입 캐릭터와 최종 보스에는 각각 전용 대화 데모가 준비되어 있다.
1998년4월 16일에는 세가 새턴용 타이틀로 일본에서만 발매되었다. 4MB RAM 카트리지 전용 소프트로 등장하여 동봉판도 발매되었다. RAM 카트리지 사용으로 아케이드판의 애니메이션 패턴이 거의 완전히 재현되었다. 타이틀은 セイヴァー일본어이지만 아케이드판에서는 CPU 전용이었던 오보로 비샤몬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セイヴァー 2일본어에서 포보스, 파이론, 도노반이 추가되었다. 각각 새로운 개별 엔딩도 준비되었다. 이러한 캐릭터는 セイヴァー일본어의 시스템에 맞춰 セイヴァー 2일본어에서 성능이 새롭게 조정되었다. 숨겨진 옵션으로, 게이지의 초기 스톡 수를 변경하거나, 클리어한 캐릭터의 엔딩 데모를 볼 수 있는 모드 등도 있다.
북미 PlayStation판이나 영어판 リザレクション영어에서는 "''Darkstalkers 3''"로 제목이 변경되어 이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당초 일본 외 타이틀을 "''Darkstalkers: Jedah's Damnation''"으로 할 예정이었지만, 정식 출시 시 변경되었다. 아케이드 기판 데이터 속에 삭제 데이터로 "''Darkstalkers: Jedah's Damnation''"을 기반으로 한 타이틀 화면이 존재한다.
; 뱀파이어 세이버 EX 에디션
: 1998년 11월 5일에는 PlayStation용 타이틀로 ヴァンパイア セイヴァー EX エディション일본어이 발매되었다. 본작은 セイヴァー일본어, セイヴァー 2일본어, ハンター 2일본어의 3작품을 1개로 묶은 것으로, 세가 새턴판 セイヴァー일본어의 추가 캐릭터에 더해, セイヴァー 2일본어 & ハンター 2일본어에서 마리오네트도 등장했다. 애니메이션 패턴이나 일부 연출은 세가 새턴판보다 줄었지만, 캐릭터 선택 시 セイヴァー일본어 기반의 "D.F. 체인지", セイヴァー 2일본어 & ハンター 2일본어 기반의 "D.F. 파워"의 2종류 캐릭터 타입을 선택할 수 있어, セイヴァー일본어 대 セイヴァー 2일본어와 같이, 각각 다른 작품 성능의 캐릭터끼리 대결 가능한 시스템을 실현했다. "오리지널 캐릭터 모드"에서는 캐릭터의 색 설정을 변경하거나, 대전을 통한 캐릭터 육성 등을 할 수 있다.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セイヴァー 2일본어와 헌터 2일본어 기반의 뒷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지만, 업무용과는 달리 모든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시리즈 이식 작품에서는 "트레이닝 모드"가 처음 탑재되었다.
: 2001년5월 31일에는 저가판 "캡콤 컬렉션"으로 재발매되었다. 2011년2월 9일에는 게임 아카이브스에서 플레이스테이션 3와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용으로 배포가 시작되었다.[66]
전작의 보스 캐릭터인 포보스와 파이론이 플레이어 캐릭터로 사용 가능하게 되었고, 아래의 2명의 캐릭터가 새로 추가되었다.
: 인간과 다크스토커의 혼혈(댐피어). 신장 194cm, 체중 98kg. 초대 뱀파이어일본어와 아케이드판 세이버일본어 외에 등장한다. 마검 다이렉과 거대한 염주를 사용하며, 각종 엘리먼트를 소환하거나, 자신이 마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소녀 아니타를 보호하며, 자신의 숙명에 고민하며 마물을 사냥한다. 가정용 세이버일본어에서는 헌터일본어보다 이전 시간축에서 등장하는 설정이다.
: 중국 출신. 소매에 많은 무기(암기)를 숨긴 여성 강시. 신장 155cm, 체중 43kg. 쓰리 사이즈는 B83, W59, H86. 1730년 출생. 초대 뱀파이어일본어 외에 등장한다. 원래는 인간이지만, 고향 마을에 전해지는 금술 "이형 전신의 술"의 힘으로 스스로 다크스토커로 변화한 "영환 소녀"이다. 전투 시에는 언니 린린이 이마의 부적이 되어 그녀를 제어하고 있다. 다크스토커를 봉인하기 위해 희생되어 어둠 속을 헤매게 된 어머니의 혼을 정화하기 위해 싸운다. 세이버일본어에서는 환생을 이루어, 마차원에 붙잡히면서도 전생의 기억을 떠올리며 언니와 함께 싸운다.
전작 캐릭터 중, 아케이드판 세이버일본어에서는 포보스, 파이론, 도노반이 등장하지 않고, 다음 4명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 “칠흑의 구세주” 제다 도마(Jedah Dohma)
: 성우 - 지바 잇신
: 마계의 구세주이자 마계 삼대 귀족 중 하나인 도마 가문의 당주. 신장 216cm, 체중 12 - 1002kg(가변). 서기전 4045년생(1890년경에 한 번 사망한 뒤 재생). 세이버일본어, 세이버2일본어, 크로니클일본어, PS판 세이버 EX 에디션일본어과 PS2판 다크 콜렉션일본어에 수록된 가정용 헌터2일본어에 등장한다. 세이버일본어의 CPU전에서는 통상 캐릭터로 등장하지 않고, 사용 캐릭터에 따라 "최종 보스", "중간 보스", "난입 캐릭터"와 같이 등장 상황이 바뀐다. 세이버2일본어에서는 최종 보스로 고정되고, 가정용 헌터2일본어에서는 "난입 캐릭터" 또는 "등장하지 않음"이 된다.
; “러블린 헌터” 발레타(Bulleta / Baby Bonnie Hood, B. B. Hood〈베이비 보니 후드〉)
: 성우 - 마츠시타 미유키
: 빨간 두건과 같은 모습을 한 인간 소녀. 북유럽 모국 출신. 신장 142cm, 체중 37kg. 쓰리 사이즈는 B70, W58, H75. 세이버일본어, 세이버2일본어, 크로니클일본어, EX 에디션일본어, 다크 콜렉션일본어 내 가정용 헌터2일본어에 등장한다. 외모는 가련하지만, 마물을 사냥하는 프로 헌터이다.
: 모리건과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한 소녀. 신장 168cm, 체중 54kg. 쓰리 사이즈는 B74, W56, H83. 세이버일본어, 세이버2일본어, 크로니클일본어, EX 에디션일본어, 다크 콜렉션일본어 내 가정용 헌터2일본어에 등장한다. 과거에 3분할된 모리건의 영혼 중 하나(나머지 하나는 베리얼의 죽음과 함께 소멸)가 임시 육체를 얻어[72] 자아를 갖게 된 존재로, 겉모습과 기술이 모리건과 비슷하다.
; “영혼에 떼 지어 모이는 요충” 큐비(Q-Bee)
: 성우 - 마츠시타 미유키
: 마계에 서식하는 벌과 비슷한 습성과 인간과 비슷한 외모를 가진 곤충형 생물. 전장 125cm, 개체 체중 38.2kg. 각부 직경은 복부 86cm, 유사 복부 57.5cm, 유사 둔부 87.5cm, 복부(밀낭부) 110cm. 세이버일본어, 세이버2일본어, 크로니클일본어, EX 에디션일본어, 다크 콜렉션일본어 내 가정용 헌터2일본어에 등장한다. "마충족"(마충족)의 일파, 소울 비족의 족장 (Queen-Bee → Q-Bee)이다.
; “마(魔)를 물리치는 꼭두각시” 오보로 비샤몬(Oboro Bishamon)
: 성우 - 토쿠마루 칸
: 헌터일본어의 엔딩 이후, 수행 끝에 법력을 얻어 반야에 조종당하지 않고 그 힘을 행사할 수 있게 된 인간 비샤몬. 아케이드용 세이버일본어에서는 CPU 전용 숨겨진 보스였지만, 아케이드용 세이버2일본어와 헌터2일본어, 가정용 세이버일본어부터 플레이어 캐릭터로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 “내면의 짐승의 본성” 다크 가론(Dark Gallon / Dark Talbain〈다크・탈바인〉)
: 마(魔)차원에 의해 생겨난, 인간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또 한 명의 가론. 세이버일본어에서는 보스 캐릭터로 등장한다. 캐릭터 성능은 통상의 가론과 거의 같지만, "드래곤 캐논"의 능력만이 약간 변화하고 있다. 세이버일본어, EX 에디션일본어 다크 콜렉션일본어 내의 세이버2일본어 헌터2일본어 어레인지 버전에서 사용 가능하다.
; 섀도우 (Shadow)
: 그림자 같은 수수께끼의 존재. 쓰러뜨린 상대에게 씌여서 그 몸을 조종하고, 다른 캐릭터를 쓰러뜨리는 것을 반복한다. 2번째 시합 이후에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전 시합에서 쓰러뜨린 상대 캐릭터로 자동 변경된다. 세이버일본어 이후의 작품에서 사용 가능. 제다가 마차원에 끌어들인 영혼 중, "가치 있는 영혼" 이외의 잡다한 영혼이 수렴된 형태이다.
; 마리오네트 (Marionette)
: 꼭두각시 인형 형태를 한 섀도우와 같은 수수께끼의 존재. 싸우는 상대와 같은 모습이 되어, 같은 투법으로 싸운다. 따라서 반드시 같은 캐릭터 대결이 된다. 단, CPU전에서 조건을 채워 CPU 캐릭터가 도중에 난입된 경우에만 예외로 (숨겨진 보스는 제외), 본래 싸워야 할 캐릭터로 변신하여 난입 캐릭터와 싸우게 된다. 세이버2일본어와 헌터2일본어부터 추가되어, PS판 세이버 EX 에디션일본어과 크로니클일본어에서도 사용 가능.
: 데미트리의 통상 기술과 도노반의 필살기로 싸우는 수수께끼의 남자. 도노반과의 관계성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세이버일본어의 "게메스트 무크"에서 후나미키 노리타카가 "세이버일본어 개발 단계에서는 도노반이 데미트리의 얼굴 변경 캐릭터로서 존재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다크스토커즈 컬렉션일본어 내의 세이버일본어와 헌터2일본어와 세이버2일본어의 각 어레인지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
5개의 모든 다크스토커즈 아케이드 게임 포함 (총 10개의 캡콤 격투 게임 수록). 온라인 플레이 지원. 뱀파이어 헌터 2와 뱀파이어 세이버 2는 일본 외 지역 최초 출시.[3] 숨겨진 엔딩은 미포함.[4]
2007년, 캡콤 프로듀서 오노 요시노리는 새로운 기술을 통해 ''다크스토커즈''를 부활시키고 싶다는 바람을 피력했다.[5] 2010년에는 팬들의 요청이 있다면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꿈"이라고 언급했지만, 당시 캡콤은 5,000건의 요청을 받았을 뿐이었다.[6][7] 2011년에는 10만 건 이상의 요청을 받았다고 보고하며, 팬들의 지속적인 응원을 부탁했다.[8]
2011년 샌디에고 코믹콘에서 오노는 ''다크스토커즈'' 시리즈 팬들에게 "''다크스토커즈''는 죽지 않았다"고 안심시켰다.[9] 2012년에는 ''다크스토커즈 리저렉션'' 발표와 함께, 이 재발매가 프랜차이즈 부활의 첫 단계라는 언급이 있었다.[12][13][14] 그러나 2013년 캡콤 측은 ''다크스토커즈 리저렉션''의 초기 판매 반응이 실망스러웠다고 밝히며, 당분간 새로운 ''다크스토커즈'' 게임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5][16][17][18]
2. 2. 1. 다크스토커즈 크로니클: 더 카오스 타워 (2000)
ヴァンパイア クロニクル for Matching Service|뱀파이어 크로니클 for Matching Service일본어는 드림캐스트용으로, ヴァンパイア クロニクル ザ カオス タワー|뱀파이어 크로니클 더 카오스 타워일본어는 PSP용으로 일본에서 발매된 다크스토커즈 시리즈의 수정판이다. 뱀파이어 세이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모든 캐릭터와 각 캐릭터의 게임별 변형을 선택할 수 있다.
2000년8월 10일에 드림캐스트용으로 발매된 『뱀파이어 크로니클 for Matching Service』는 가정용 오리지널 작품으로, 『세이버2』의 게임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크 갈론을 제외한 과거 시리즈의 모든 캐릭터가 등장한다. 초대 『뱀파이어』, 『헌터』, 『세이버』의 3가지 게임 모드(게이지 타입)와 『뱀파이어』, 『헌터』, 『세이버』, 『세이버2』의 4가지 캐릭터 타입을 선택하여 대전할 수 있다. 그래픽과 연출은 주로 『세이버2』를 기반으로 하지만, 기술 성능 등이 각 시리즈에 맞게 변화하여 원작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각 시리즈에 등장하지 않았던 캐릭터도 해당 시리즈에 맞춘 성능이 새롭게 설정되어 각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예: 『뱀파이어』 타입의 도노반, 『헌터』 타입의 제다) CPU 대전은 『세이버2』와 동일하게 제다가 최종 보스로 등장하며 공통 엔딩이 제공되지만, 각 시리즈의 오프닝과 스태프 롤은 보너스 무비로 수록되어 있다. BGM과 보이스는 리샘플링되어 아케이드판보다 고음질로 제공된다. "for Matching Service"라는 제목처럼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대전 기능을 지원했지만, 2003년9월 1일 정오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004년12월 12일에는 『뱀파이어 크로니클 더 카오스 타워』라는 제목으로 PSP용으로 이식되었다. 3명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마계의 탑을 올라가는 "타워 모드"와 일러스트 및 과거 작품의 엔딩 등을 감상할 수 있는 "크로니클 모드"가 추가되었다. PSP의 조작 방식에 맞춰 간이 커맨드로 체인 콤보나 필살기를 사용할 수 있는 "EASY 모드"가 탑재되었다. 무선 LAN(애드혹 모드)을 통한 통신 대전을 지원하며, 애드혹 파티에도 대응한다. 타워 모드나 네트워크 모드에서는 특정 행동이 제한되거나 특수한 승리 조건이 부과되는 "리미트 배틀"도 즐길 수 있다.
Vampire: Darkstalkers Collection일본어는 플레이스테이션 2용으로 출시된 게임이다. 아케이드로 출시된 5개의 게임을 모두 묶은 컴필레이션 형태로 발매되었다.
2. 2. 3. 다크스토커즈 레저렉션 (2013)
ヴァンパイア リザレクション|뱀파이어 리저렉션|Vampire Resurrection일본어은 플레이스테이션 3 및 Xbox 360용으로 출시된 게임이다. 뱀파이어 헌터와 뱀파이어 세이버를 고화질로 업데이트하여 온라인 플레이를 지원한다.[12][13][14]
2012년 10월 뉴욕 코믹 콘에서 발표되었으며, 캡콤의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패널에서 컨셉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프로듀서 데릭 닐과 오노 요시노리는 인터뷰에서 이 재발매가 프랜차이즈 부활의 첫 단계라고 밝혔다.[12][13][14] 닐은 또한 캡콤이 새로운 ''다크스토커즈'' 출시에 대한 관심을 측정하기 위해 ''다크스토커즈 레저렉션''을 테스트로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13]
2013년 3월 14일에 PlayStation 3와 Xbox 360용으로 발매되었다. CERO 등급은 C (15세 이상 대상)이다. 아케이드판 뱀파이어 헌터(ver.950302 준거)와 뱀파이어 세이버(Ver.970519 준거) 2작품을 수록했다. 개발은 Iron Galaxy Studios에서 담당했다. 그래픽을 고해상도로 개선하고 온라인 대전을 구현했으며, 두 작품 모두 시스템과 등장 캐릭터는 아케이드판을 따르지만, 뱀파이어 세이버에서는 "오보로 비샤몬"을 사용할 수 있다. 갤러리 모드 등의 추가 요소도 포함되었다.
같은 해 4월 17일에는 PlayStation 3판, 8월 14일에는 Xbox 360판 다운로드 버전이 배포되었다.
2. 2. 4. 캡콤 파이팅 컬렉션 (2022)
Capcom Fighting Collection영어은 캡콤이 2022년6월 24일에 발매한 격투 게임 모음집이다.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 Xbox One, Steam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다.[67]
이 컬렉션에는 다음 10개의 캡콤 격투 게임이 수록되어 있으며, 모든 게임은 온라인 플레이를 지원한다.
특히, 《뱀파이어 헌터 2》와 《뱀파이어 세이버 2》는 이번 컬렉션을 통해 일본 외 지역에 처음으로 출시되었다.[67]
이 컬렉션은 온라인 대전, 설정 자료집, 사운드 테스트, 트레이닝, 중간 세이브, 원 버튼 필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뱀파이어》에서는 포보스와 파이론, 《세이버》에서는 오보로 비샤몬을 사용할 수 있다.[67] 다만, 《세이버2》와 《헌터2》의 숨겨진 엔딩은 삭제되었다.[67]
3. 게임 시스템
『뱀파이어』 시리즈는 캡콤이 『스트리트 파이터 II』 시리즈에 이어 처음으로 발표한 완전 신작 대전 격투 게임이다. 흡혈귀, 늑대인간 등 전승 속 '''몬스터'''들을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시켜 인간을 초월한 화려한 액션을 구현했다.[61]
시스템 면에서는 복잡한 조작 없이도 연속기를 사용할 수 있는 "'''체인 콤보'''"와 방어 중에도 반격할 수 있는 "'''가드 캔슬'''"(GC)이 핵심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전의 『스트리트 파이터 II』형 격투 게임과는 다른 전술을 요구했다.[61]
캐릭터 그래픽은 아메코믹풍의 애니메이션 그림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방대한 애니메이션 패턴으로 유려한 움직임을 표현했다. 이는 당시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으로는 완전 이식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고딕 호러풍 배경과 함께 그래픽은 플레이어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62]
『뱀파이어』 이후 캡콤의 2D 대전 격투 게임에서는 캐릭터의 음영을 2~3단계로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그림(셀화 칠)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오카모토 요시키의 아이디어로, 당시 그래픽 감수를 맡았던 아키만은 처음에는 난색을 표했지만, 철저한 캐릭터 디자인 감수 덕분에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63]
『뱀파이어』 시리즈의 캐릭터들은 기본적인 시스템은 공유하지만, 각각 다른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데미트리 맥시모프는 모습을 감추고 앞으로 나아가고, 모리건 앤슬랜드는 비스듬히 위로 급상승하며, 가론은 앞으로 껑충 뛰어오르는 등 전방 대시 동작이 모두 다르다. 아나카리스처럼 통상 잡기가 없는 특수한 캐릭터도 있다.[61]
; 어드밴싱 가드 (AG)
: 『세이버』부터 추가된 시스템으로, 상대의 공격을 가드하는 동안 공격 버튼을 연타하면 상대를 뒤로 밀어내 연속 가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아나카리스는 어드밴싱 가드를 할 수 없다.
; 임팩트 데미지 게이지
: 『세이버』부터 채용되었다. 승리 측은 받은 피해를 다음 라운드로 이월하고, 패배 측은 배트 마크(생명 잔량)를 하나 잃고 게이지가 전부 회복된다.
; 추가 공격, 이동 기상
: 초대 『뱀파이어』에서는 자벨만이 다운된 상대에게 추가 공격을 할 수 있었다. 『헌터』 이후에는 모든 캐릭터에게 공통 시스템으로 도입되었다. 다운된 상대에게 커맨드를 입력하면 추격이 가능하며, 필살기 취급이므로 ES화도 가능하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헌터』 이후에는 다운 중 레버를 좌우(『세이버』 이후에는 레버 조작과 버튼)로 입력하여 좌우로 이동 후 기상할 수 있는 조작이 추가되었다.
; 스페셜 게이지 / 스페셜 스톡 게이지
: 공격 등의 행동으로 채워지는 게이지이다. 초대 『뱀파이어』에서는 게이지가 가득 차면 "Special" 문자가 점등되고, 게이지를 소비하는 행동을 하면 0으로 돌아간다. 『헌터』 이후에는 "스페셜 스톡 게이지"로 변경되었지만, 『크로니클』에서는 초대와 같은 게이지 타입도 선택할 수 있다. 게이지가 가득 차면 "스톡"할 수 있으며, 최대 99개까지 모을 수 있다.
; 프렌드쉽
: 『세이버』 이후부터 추가된, 일종의 도발이다. 한 게임에 16회까지 할 수 있다.
3. 1. 체인 콤보
타이밍 좋게 버튼을 누르면 기술에서 기술로 연쇄적으로 공격을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복잡한 조작을 할 수 없는 초심자를 위한 구제책으로 고안되었지만, 초대 『뱀파이어』에서는 타이밍이 어려워 초심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말하기 어려웠다. 『뱀파이어 헌터』 이후로 개선되었다.[68]
"체인 콤보"라고 정식으로 명명된 것은 『헌터』 이후이며, 초대 『뱀파이어』 당시에는 공식 명칭이 없어, 잡지 『게메스트』 등에서 속칭 "눈대중 콤보"라고 불렸다. "눈대중 콤보"는 현재와 달리 약 펀치 또는 약 킥 → 중 → 강으로 이어지는 "3 버튼 체인"이었다. 반면 『헌터』 이후의 "체인 콤보"는 약 펀치 → 약 킥 → 중 펀치 → 중 킥 → 강 펀치 → 강 킥과 같은 "6 버튼 체인"이 되었다. 둘 다 중간 버튼을 생략하고 후위 기술로 연결하거나, 서서 하는 기술과 앉아 하는 기술을 섞을 수도 있다 (예: 서서 중 펀치 → 앉아 강 킥). 또한, 『헌터』 이후 "체인 콤보"는 기본적으로 필살기로 캔슬할 수 없게 되었다 (모리건의 "다크니스 일루전"처럼 버튼 순서 누르기 커맨드 기술 제외).
『세이버』에서는 공중 체인 콤보도 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세이버 2』와 『헌터 2』에서는 다크 포스 중에만 공중 체인 콤보가 가능했다. 『세이버』 이외에는 공중 체인 콤보는 아니지만, 한 번의 점프로 통상 기술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2. 가드 캔슬 (GC)
상대의 공격을 가드하는 동안 특정 필살기 커맨드를 입력하면, 가드 직후의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드 경직)를 캔슬하고 즉시 공격으로 전환한다. 가드 조작(레버를 뒤로 넣기)과 필살기 레버 조작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에 난이도는 비교적 높지만, 연속으로 가드하게 되는 동안은 가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가드하기 때문에 입력이 쉬워진다.[68]
가드 캔슬을 발동하면 일정 시간 무적 시간이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대를 강제적으로 경직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헌터』까지), 체인 콤보를 결정짓는 데에 리스크를 지게 만드는 존재로서 중요한 시스템이다. 초대 『뱀파이어』에서는 공식 명칭이 없었고, 『헌터』에서 이 이름이 붙었다.[68]
초대작에서는 가드 굳히기에 대한 초심자의 구제책으로 탑재되었고, 캐릭터마다 정해진 특정 지상 필살기 1종류(아나카리스, 비샤몬, 포보스 제외)와 거의 모든 공중 필살기(비샤몬 제외)가 대응 기술이 되었다. 그러나, 초대의 GC는 성공해도 화면에 알림이 없기 때문에 외형의 변화가 거의 없고, 성능도 통상과 다르지 않아 단순 발동해도 그대로 무너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상대의 공격에 대한 돌파구로서는 어려웠다.[68]
『헌터』에서는 포보스 이외의 공중 GC가 폐지된 대신, 아나카리스 이외의 모든 캐릭터에 GC 대응 필살기가 1종류씩 존재하고, GC를 성공시키면 발동 시에 무적 시간이 부여되도록 되었기 때문에, 대폭적으로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그래픽상의 변화로서도, 발동한 캐릭터가 하얗게 발광하고, 화면에 "GUARD REVERSAL"의 표시도 되기 때문에, 발동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되었다.[68]
일부 캐릭터의 GC는 너무 강력했기 때문에, 『세이버』 이후에는 성공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모든 캐릭터의 GC 대응 필살기의 커맨드가 이른바 "승룡권" 커맨드(오른쪽, 아래, 오른쪽 아래 + 특정 버튼)로 통일되었고, 일부 GC 대응 기술이 대체되었다. 화면 표시도 명칭과 마찬가지로 "GUARD CANCEL"로 변경되었다. 가드 캔슬의 무적 시간에 관해, 데미트리 맥시모프의 "데몬 크레이들"과 모리건 앤슬랜드의 "섀도우 블레이드"는 기술 본래의 무적 시간이 적용되고, 비샤몬의 "귀염참"은 가드 캔슬 발동 시의 무적 시간이 적용된다.[68]
3. 3. 어드밴싱 가드 (AG)
뱀파이어 세이버부터 추가된 시스템이다. 상대의 공격을 가드하는 동안 공격 버튼을 연타(정확하게는 버튼을 어긋나게 누르는 등 순간적으로 여러 버튼을 눌러야 함)하면, 상대를 강제적으로 뒤로 밀어내, 연속으로 가드되는 상황에서 탈출할 수 있다. 실패하면 필살기를 헛치게 하는 리스크가 있는 가드 캔슬에 비해, 어드밴싱 가드는 실패해도 빈틈이 적은 통상 기술이 나올 뿐이므로, 로우 리턴이지만 비교적 로우 리스크인 행동이다. 다만, 공격 타이밍을 미묘하게 어긋나게 하면 통상 기술의 시작 틈에 공격을 맞게 된다. 상급자끼리의 대전이 되면, 공격하는 척하며 상대의 어드밴싱 가드를 유도하고, 폭발한 상대의 통상 기술을 가드하고 거기에 가드 캔슬을 거는 고도의 심리전도 볼 수 있다. 아나카리스는 어드밴싱 가드를 할 수 없다.
3. 4. 임팩트 데미지 게이지
캡콤의 대전 격투 게임 뱀파이어 세이버부터 채용된 시스템이다. 기존 뱀파이어 및 헌터에서는 1라운드가 종료될 때마다 양쪽 모두 체력이 전부 회복된 상태로 다음 라운드를 시작했지만, 세이버부터는 승리 측은 받은 데미지를 이월하고, 패배 측은 배트 마크(라이프 잔량을 나타내며, 이것을 전부 잃으면 패배)를 1개 잃은 후에 게이지가 전부 회복된다.[66]
받는 데미지는 빨간 게이지로 표시되는 "확정 데미지"와 하얗게 점멸하는 "회복 가능 데미지"로 나뉜다. 회복 가능 데미지는 일정 시간 공격을 받거나 가드하지 않으면 서서히 회복된다. 데미지는 회복 가능 데미지와 확정 데미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높아져, 공격을 일방적으로 계속 받으면 게이지가 점점 줄어든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게임 전개가 이전 시리즈에 비해 매우 빨라졌으며, 실력 차이가 클수록 대전 결과가 빨리 나타난다.
3. 5. 스페셜 게이지/스페셜 스톡 게이지
スペシャルゲージ일본어 / スペシャルストックゲージ일본어는 공격 등의 행동으로 채워지는 게이지이다.
초대 《뱀파이어》에서는 체력 게이지와는 별개로 존재하며, 게이지가 가득 차면 "Special" 문자가 점등된다. 게이지를 소비하는 행동을 하면 0으로 돌아가지만, "Special" 점등 유무에 관계없이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감소한다. "Special" 점등 시에는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진다. 라운드 간에는 게이지를 인계할 수 없으며, "Special" 점등 중에는 일시적으로 공격력이 증가한다.
《헌터》 이후에는 "'''スペシャルストックゲージ일본어'''"로 변경되었지만, 《크로니클》에서는 초대와 같은 게이지 타입도 선택할 수 있다. 게이지가 가득 차면 "스톡"할 수 있게 되어 최대 99개까지 스톡을 모을 수 있다. 모은 게이지는 사용하지 않는 한 자연 감소하지 않으며, 동일 시합 내에서는 다음 라운드로 이월할 수 있다. 《헌터》에서는 체력 게이지 바로 아래에, 《세이버》 이후는 화면 하단에 스톡된다.
스페셜 게이지/스페셜 스톡 게이지를 사용하여 다음 행동들을 할 수 있다.
; 필살기 강화 (ES일본어 필살기)
: 초대작에서는 게이지가 가득 찬 후 서서히 0으로 줄어드는 방식이었다. 그 사이에 대응하는 통상의 필살기를 사용하면 필살기가 강화되고 게이지가 0으로 돌아간다. 초대작에서는 기술의 강도(약, 중, 강)에 따라 강화 필살기의 성능이 변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Special" 점등 시 발동해도 게이지만 소비되고 성능이 변하지 않는 기술도 존재했다.[68]
: 《헌터》 이후에는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러 통상의 필살기를 사용하면 게이지를 1개 소비하여 ES일본어 필살기가 발동되도록 변경되었다. 기술 발동 중에는 몸이 변색(《세이버》 이후는 전원 공통으로 파란색)되어 빛나는 연출도 추가되었다.
:; ES일본어 추가 공격
::: 통상 1개의 버튼으로 하는 추가 공격을 2개의 버튼 동시 누르기로 하면, ES일본어 필살기처럼 게이지 스톡을 소비하여 통상보다 큰 대미지를 주는 추가 공격을 할 수 있다.
; 스페셜 필살기 (SP일본어 필살기)
: 게이지가 가득 차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는 특수한 필살기(다른 격투 게임에서 말하는 "초필살기")이다. 대부분 화려한 연출을 수반하며 공격력도 높다. 《헌터》 이후는 "'''EX일본어 필살기'''"로 계승되었다.
:; EX일본어 필살기
:: 초대작에서의 "스페셜 필살기"와 동일하다. 통상적으로 스톡을 1개 소비하여 발동하지만, 《세이버》 이후에는 스톡을 2개 또는 3개 동시에 소비하는 기술도 등장했다.
:; 다크 포스
:: 《세이버》부터 추가되었다. 일정 시간 배경이 변화하고, 특수 능력을 발동할 수 있다.
::; 다크 포스 체인지 (《세이버》)
::: 《세이버》에서는 캐릭터마다 효과가 다르며, 게이지를 1개 소비하여 "공격을 받아도 움츠러들지 않음", "추가 공격 유닛 추가" 등의 일시적인 강화가 이루어진다.
::; 다크 포스 파워 (《세이버 2》, 《헌터 2》)
::: 《세이버 2》와 《헌터 2》에서의 다크 포스는 전 캐릭터 공통적인 것으로, 게이지를 2개 동시에 소비하여 "상대에게 준 대미지가 모두 회복 불가능", "자신의 체력 회복 속도 증가", "공중 체인 콤보 가능", "특정 EX일본어 필살기 강화"와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4. 등장인물
본작에 등장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들은 거의 전부가 흡혈귀, 늑대인간 등 전승상의 몬스터(시리즈 작중에서는 "'''다크스토커'''"라고 칭한다)이다. 몬스터를 캐릭터로 하여 인간을 초월한 동작을 위화감 없이 액션으로 담아내고, 인간끼리의 싸움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화려한 연출을 실현했다.[61] 공격 방법에도 펀치나 킥과 같은 제한을 없앤 통상기가 많아, 격투 게임이 아닌 판타지 격투를 구현했다.[61]
설정상으로만 등장하고 본편에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베리얼・에인스랜드(Belial Aensland): 모리건의 양아버지이자 에인스랜드 가문의 수장인 마왕.
어느 날 밤, 어둠의 주민들은 "우리에게 오라"는 수수께끼의 사념에 이끌려 싸움을 벌인다. 플레이어는 10명의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으며, 포보스와 파이론은 CPU 전용 보스 캐릭터로 등장한다. 대전 시 각 캐릭터의 종족명(몬스터명)이 표시된다.
대 컴퓨터전은 세계 지도 맵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자신이 조작하는 캐릭터 외의 9명과 싸운 후, 보스 포보스, 파이론과 차례대로 대전한다(총 11전). 노 컨티뉴로 클리어해야 엔딩 후 스태프롤을 볼 수 있다. 코인을 넣지 않고 데모 중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데모 대전 캐릭터를 어느 정도 선택할 수 있다.
1996년3월 29일,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발매되었다. 당초 세가 새턴판과 동시 발매가 발표되었으나, 개발 지연으로 세가 새턴에서 속편 『헌터』가 발매된 약 1개월 후에 출시되었다. 세가 새턴판처럼 VS 모드가 추가되었지만, 메모리 카드 미지원, 옵션 설정 항목 수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애니메이션 패턴은 삭감되었으나 비슷한 동작으로 대체하여 매수를 절약했고, 일부 스테이지에서는 처리 멈춤이 발생하기도 한다. 야자와 에이키치의 곡 「THE TROUBLE MAN」이 흐르는 오프닝 무비와 「THE RAIN」이 흐르는 엔딩 스태프롤이 추가되었다. 아케이드판과 마찬가지로 포보스와 파이론은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등장 캐릭터는 데미트리 막시모프, 모리건 앤슬랜드, 펠리시아, 존 탈바인(일본명: 가론), 빅터 폰 게르덴하임, 로드 랩터(일본명: 자벨 자록), 아나카리스, 비샤몬, 오르바스(일본명: 리쿠오), 사스콰치이다.
4. 1. 1. 데미트리 막시모프
Demitri Maximoff|데미트리 막시모프영어는 흡혈귀 귀족이다. 모리건 앤슬랜드와 대립하며 마계를 지배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다. 성우는 히야마 노부유키이다.
4. 1. 2. 모리건 앤슬랜드
Morrigan Aensland|모리건 앤슬랜드영어는 마왕 베리얼의 양녀이자 서큐버스이다. 캡콤의 게임 다크스토커즈 시리즈의 대표적인 인기 캐릭터이다. 초기(1994-2010)에는 진구지 야요이가 성우를 맡았으나, 2011년부터 타나카 리에가 담당하고 있다.[1]
4. 1. 3. 펠리시아
펠리시아는 인간에게 길러진 캣우먼으로, 뮤지컬 스타를 꿈꾼다.[73] 성우는 아라키 카에(1994–2008), 아스미 카나(2009–현재)가 담당했다. 시스터 로즈라는 수녀가 어느 시골 마을 교회의 앞에 버려진 아기 펠리시아를 주워, 병설된 고아원에서 자기 자식처럼 키웠다. 펠리시아가 성장하면서 인간이 아닌 것을 알게 된 이후에도, 변함없이 사랑을 쏟아 "MAMA(엄마)"라고 불리며 따랐다.[73]
4. 1. 4. 존 탈바인 (일본명: 가론)
존 탈바인은 늑대인간이며[1], 저주에서 벗어나 인간으로 돌아가고자 한다.[1] 성우는 우에다 유지이다.[1]
우에다 유지가 성우를 맡았다.[74] 그는 좀비 로큰롤 뮤지션으로, 시커먼 영혼을 가졌다. 한때 제다의 부하였으나 배신하고 그를 자멸시킨 뒤 "제왕"을 자칭했다. 그러나 그의 실력은 베리얼은 물론 제다에도 미치지 못했다. 자벨을 부하로 삼아 영혼을 고차원적으로 만든 뒤 먹으려 했지만, 『세이버』 직전 부활한 제다에게 흡수되어 소멸했다. 오조무는 『뱀파이어』와 『헌터』에서 자벨의 엔딩에 등장한다.[74]
르 마르타는 자벨과 함께 행동하는, 마계와 인간계를 오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외눈의 마계수이다. 오조무가 자벨의 감시역으로 보냈으며,[74] 다양한 형태로 변신할 수 있다. 자벨의 기타도 르 마르타의 일부이다. 오조무 소멸 후에는 자벨을 따랐다. 『세이버』에서는 발레타에게 첫눈에 반한다. 『원더3』의 "르마르타"라는 캐릭터와 모습이 매우 닮아, 이 캐릭터가 르 마르타의 모델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74]
4. 1. 7. 아나카리스
(출력물 없음)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주어진 소스에는 '아나카리스'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다.
4. 1. 8. 비샤몬
비샤몬은 저주받은 갑옷에 깃든 유령 사무라이다.[1] 성우는 토쿠마루 칸이다.[1]
4. 1. 9. 오르바스 (일본명: 리쿠오)
우에다 유지가 성우를 맡았다. 인어 종족이며, 아마존의 지진으로 왕국이 파괴된 후 종족의 생존자를 찾는다.
4. 1. 10. 사스콰치
성우는 토쿠마루 칸이다.[1]
4. 1. 11. 포보스 (일본명: 휘트질)
포보스(일본명: 휘트질)는 로봇이다. 코스기 주우로타가 성우를 맡았다.[1] 파이론을 섬기기 위해 만들어졌다.[1] 고대 마야인의 피를 이은 인간 소년 세실은 전란으로 가족을 잃고 유적을 헤매다 마차원으로 이동했는데, 이때 기동한 포보스에게 주인으로 인식되었다.[1] 포보스 근처에서 공격을 받거나 방어하면 포보스는 세실에게도 배리어를 쳐서 보호한다.[1]
4. 1. 12. 파이론
Pyron|파이론영어은 히야마 노부유키가 성우를 맡은[1] 외계인[1] 캐릭터이다. 지구를 정복하려는 목적으로 다크스토커즈에 등장한다.[1]
어느 날 밤, 어둠의 주민들은 "우리에게 오라"는 수수께끼의 사념에 이끌려 싸움을 벌이게 되었는데,[1] 파이론은 이 싸움에서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없는 보스 캐릭터 중 하나였다.[1]
4. 2. 나이트 워리어즈: 다크스토커즈 리벤지
1995년3월 6일에 가동된 시리즈 두 번째 작품으로, '나이트 워리어즈: 다크스토커즈 리벤지'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작품에서는 새로운 캐릭터로 도노반과 레이레이(셴코)가 추가되었으며, 전작의 보스 캐릭터 2명(포보스, 파이론)도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64] 이들은 모두 "어둠의 주민을 사냥하는" 헌터라는 설정으로 등장한다.
전작의 버전업 개념을 가지고 있어, 캐릭터의 기본 색상과 스테이지의 배색은 전작과 다르며, 배경음악(BGM)도 전작의 것을 편곡(어레인지)한 것이다. 또한, 전작에서 복잡했던 필살기 커맨드를 단순화하고, "체인 콤보"나 "가드 캔슬" 등이 성공하면 화면에 크게 표시하는 등, 초보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64]
CPU전은 보스 이외의 캐릭터 중에서 선택된 8명(같은 캐릭터와 대전하는 경우도 있음)과 싸운 후, 전작의 보스 2명과 대전하는 총 10전으로 구성된다.[64] 스토리 자체는 전작과 큰 차이가 없지만, 전작의 캐릭터를 포함하여 엔딩 마지막에 한 장의 그림과 문장으로 이루어진 에필로그가 추가되었다. 난이도는 전작보다 낮아졌으며, 체인 콤보나 EX 필살기 등이 더 쉽게 명중하도록 설정되었다. CPU전의 마지막 라운드에서 무승부가 발생해도 게임 오버되지 않고, 플레이어의 승리 그래픽이 나타난 후 다음 대전 상대로 넘어간다.
CPU전의 난이도는 기판에 설정된 난이도, CPU 캐릭터의 출현 순서, 플레이어의 남은 체력 및 획득 점수뿐만 아니라, 플레이어가 사용한 기술과 그 효과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64] 기술을 헛치거나 가드당하면 난이도가 낮아지고, 기술을 정확하게 맞히면 CPU의 공격이 거세져 난이도가 상승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초심자와 상급자 모두 즐길 수 있다.
1996년2월 23일에는 세가 새턴으로 이식되었는데, 이는 가정용 게임기로는 시리즈 최초의 이식이었다.[65] 메모리 용량 제한으로 인해 아케이드판의 일부 동작 애니메이션 패턴이 삭제되었지만,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대체하여 애니메이션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옵션 화면에서 숨겨진 커맨드를 입력하면 더 많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패턴이 삭제된 캐릭터도 동일 캐릭터전에서는 아케이드판과 동일한 패턴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비공인 방식이지만 복잡한 커맨드를 입력하면 디버그 모드를 사용할 수 있어, 히트 판정, 데미지 표시, 프레임 단위 보기 등의 기능을 통해 콤보와 전술 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다.
가정용 오리지널 모드로는 계속 대전을 이어갈 수 있는 "VS 모드"가 추가되었고, 옵션 설정 항목이 매우 충실하다. 초기에는 PlayStation판과 마찬가지로 '뱀파이어'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전작의 배경음악과 오프닝도 숨겨진 요소로 함께 수록되어 있다. 엔딩의 스태프롤은 사라지고 승리 그래픽 모음으로 변경되었다. 오프닝 데모는 아케이드판과 일부 다르며, 캐릭터 간의 대전 장면이 생략되고 전작의 오프닝 일부가 사용되었다.
4. 2. 1. 도노반 바인
도노반은 뱀파이어 헌터이자 저주받은 자신의 피를 속죄하고자 불교 승려처럼 행동하는 인물이다. 히야마 노부유키가 성우를 맡았으며, 다크스토커즈 3에서는 코스기 주로타가 연기했다.[64]
4. 2. 2. 셴-코 (일본명: 레이레이)
'''린린'''(鈴鈴|링링중국어, Mei-Ling|메이링영어)은 중국 출신의 도사로, 셴-코(레이레이)의 쌍둥이 언니이다.[64]캡콤의 격투 게임 다크스토커즈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린린은 체술 전문인 셴코를 술사로서 지원한다. 전투 시에는 부적으로 변신하여 셴코의 이마에 붙어, 그녀의 힘이 폭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64] 게임에서는 대전 전 데모, 다크 포스, 승리 포즈, 엔딩 등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다.
セーヴァー일본어에서는 의상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다. 소설판에서는 요마에 겁을 먹고 자신들의 힘에 의지하려는 마을 사람들을 혐오하는, 지적이고 차가운 성격으로 묘사되었다.
1997년5월 28일에 가동된 다크스토커즈 시리즈 3번째 작품이다. 제다, 릴리스, 발레타, 큐-비가 새로운 캐릭터로 추가되었고, 포보스, 파이론, 도노반은 삭제되었다.[66]우에다 유지가 담당한 내레이션 연출이 추가되어, 라운드 시작과 KO 시뿐만 아니라 콤보가 결정된 순간에도 보이스가 나온다. "임팩트 데미지 게이지 시스템"이 채용되어 전작보다 게임 전개가 빨라졌지만, 콤보로 인한 큰 데미지를 노리기 어려워졌다. "어드밴싱 가드"가 추가되었다.[66]
제다가 창조한 "마차원"을 무대로, 가치 있는 영혼으로 소환된 다크스토커즈가 싸움을 벌인다. 싸움의 무대가 현실 세계와 다른 이차원 세계라는 설정 때문에 캐릭터와 스테이지 배경의 연관성이 옅어져, 일부 캐릭터를 제외하고 등장하는 스테이지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숨겨진 캐릭터로 다크 가론, 섀도우 등이 등장한다.[66]
컴퓨터와 대전 시 통상 7명의 적과 싸우며, 대부분 제다가 최종 보스로 등장하지만 일부 캐릭터는 다른 캐릭터가 보스로 나온다. 조건을 만족하면 난입 캐릭터가 등장하고, 최종전 후에는 숨겨진 보스 오보로 비샤몬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어 최대 9번의 전투가 진행된다. 난입 캐릭터와 최종 보스에게는 전용 대화 데모가 준비되어 있다.[66]
1998년4월 16일세가 새턴용으로 일본에서만 발매되었다. 4MB RAM 카트리지 전용 소프트웨어로 동봉판도 발매되었다. RAM 카트리지 사용으로 아케이드판의 애니메이션 패턴이 거의 완전히 재현되었다. 아케이드판에서는 CPU 전용이었던 오보로 비샤몬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세이버 2』에서 포보스와 파이론, 도노반이 추가되어 새로운 개별 엔딩도 준비되었다. 이들은 『세이버』 시스템에 맞춰 『세이버 2』에서 성능이 조정되었다. 숨겨진 옵션으로 게이지 초기 스톡 수를 변경하거나, 클리어한 캐릭터의 엔딩 데모를 볼 수 있는 모드 등이 수록되었다.[66]
북미 PlayStation판이나 영어판 『리저렉션』에서는 "''Darkstalkers 3''"로 타이틀이 변경되었다.
4. 3. 1. 제다 도마
마계의 귀족 악마이다. 지바 잇신(일본어판), 데이비드 케이(영어판), 트래비스 윌링햄(영어판)이 성우를 맡았다.[66] 마계를 구원하기 위해 모든 영혼을 하나로 통합하려 한다. 1997년에 가동된 시리즈 3번째 작품에서 새로운 캐릭터로 추가되었다.[66] 제다가 창조한 "마차원"을 무대로, 가치 있는 영혼으로 소환된 다크스토커즈가 싸움을 벌인다는 배경 스토리로 전개된다.[66]
4. 3. 2. 베이비 보니 후드 (일본명: 불레타)
Baby Bonnie Hood|베이비 보니 후드영어(일본명: 불레타)는 빨간 두건을 쓴 소녀로, 괴물 사냥으로 돈을 번다. 성우는 마츠시타 미유키이다.[73]
4. 3. 3. 릴리스
Lilith|릴리스영어는 모리건의 힘을 억제하기 위해 분리된 영혼의 조각이다.[66] 릴리스의 성우는 고니시 히로코, 이마이 유카, 사와시로 미유키가 맡았다.
4. 3. 4. 큐-비
1997년5월 28일에 가동된 시리즈 3번째 작품에서 제다, 릴리스, 발레타와 함께 새롭게 추가된 캐릭터가 큐-비이다.[66]
4. 3. 5. 기타 캐릭터
오보로 비샤몬
: 조건을 만족하면 나타나는 숨겨진 보스 캐릭터이다. 세가 새턴판 뱀파이어 세이버에서는 CPU 전용이었으나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새로운 개별 엔딩도 추가되었다.[66]
다크 가론
: 숨겨진 캐릭터 중 하나이다.[66]
섀도우
: 상대에게 차례차례 빙의하는 숨겨진 캐릭터이다.[66]
마리오네트
: 뱀파이어 세이버 2와 헌터 2에 등장하는 숨겨진 캐릭터이다. 뱀파이어 세이버 EX 에디션에서는 세가 새턴판 뱀파이어 세이버의 추가 캐릭터에 더해 마리오네트도 등장한다.[66]
디
: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이다.
5. 기타 미디어
1997년에는 제2작 『뱀파이어 헌터』를 원작으로 한 OVA 『뱀파이어 헌터 The Animated Series』가 전 4권으로 제작되었다.[62] 이 외에도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이 출시되었다.
일본에서는 이시다 룬의 만화 각색본[28]과 이토 마미의 레드 어스 크로스오버 만화[30]가 출판되었다. 북미에서는 UDON이 제작하고 데블스 듀 퍼블리싱을 통해 출판된 캐나다 만화 시리즈가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다크스토커즈'' 만화 단행본과 시리즈(4컷 만화 패러디 포함)가 있으며, 그중 일부는 북미에서도 출판되었다. 가이드북, 아트북, 일러스트북, 소설 등 다양한 서적들도 출판되었는데, 대부분 일본에서만 발간되었지만 일부는 북미에서도 출판되었다. 2008년 UDON은 ''다크스토커즈 그래픽 파일''을, 2009년에는 15주년 기념 아트북 ''다크스토커즈 트리뷰트''를, 2014년에는 20주년 기념 아트북 ''다크스토커즈 공식 완전 작품집''을 발매했다.
5. 1. 애니메이션
5. 1. 1. OVA: 나이트 워리어즈: 다크스토커즈의 복수 (1997-1998)
Vampire Hunter: The Animated Series|뱀파이어 헌터: The Animated Series일본어는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하고 이케다 마사시가 감독한 OVA이다.
5. 2. 만화
''다크스토커즈''는 UDON이 제작하고 데블스 듀 퍼블리싱(Devil's Due Publishing)을 통해 출판된 캐나다 만화 시리즈이다. 다수의 ''다크스토커즈'' 만화 단행본과 시리즈(4컷 만화 패러디 포함)가 있으며, 그중 일부는 북미에서도 출판되었다. 일본에서는 이시다 룬의 만화 각색본[28]과 이토 마미의 레드 어스 크로스오버 만화[30]가 출판되었다.
5. 2. 1. 일본 만화
이시다 룬이 집필하고 1996년 일본의 아스키에서 출판한 만화 각색본이 있다.[28] 이 만화는 Viz Media에 의해 ''Night Warriors: The Comic Series''라는 제목으로 각색되어 1998년에 6개의 코믹북으로 출판되었으며, 이후 단일 트레이드 페이퍼백 단행본으로 묶였다.[29]
이토 마미가 1997년에 집필한 단편 레드 어스 크로스오버 만화 ''Darkstalkers / Red Earth: Maleficarum''이 있다. 이 작품은 2010년에 UDON 코믹스에 의해 영어로 발매되었다.[30][31]
5. 2. 2. 북미 코믹스
UDON이 제작하고, 원래 데블스 듀 퍼블리싱(Devil's Due Publishing)을 통해 출판된 캐나다 만화 시리즈이다.
다수의 ''다크스토커즈'' 만화 단행본과 시리즈(4컷 만화 패러디 포함)가 있으며, 그중 일부는 북미에서도 출판되었다.
이시다 룬이 집필하고 1996년 일본의 아스키에서 출판한 만화 각색본.[28] 이 만화는 Viz Media에 의해 ''Night Warriors: The Comic Series''라는 제목으로 각색되어 1998년에 6개의 코믹북으로 출판되었으며, 이후 단일 트레이드 페이퍼백 단행본으로 묶였다.[29]
이토 마미가 1997년에 집필한 단편 ''레드 어스'' 크로스오버 만화 ''Darkstalkers / Red Earth: Maleficarum''. 이 작품은 2010년에 UDON 코믹스에 의해 영어로 발매되었다.[30][31]
5. 3. 기타 서적
이시다 룬이 집필하고 1996년 일본의 아스키에서 출판한 만화 각색본이 있다.[28] 이 만화는 Viz Media에 의해 ''Night Warriors: The Comic Series''라는 제목으로 각색되어 1998년에 6개의 코믹북으로 출판되었으며, 이후 단일 트레이드 페이퍼백 단행본으로 묶였다.[29]
이토 마미가 1997년에 집필한 단편 레드 어스 크로스오버 만화 ''Darkstalkers / Red Earth: Maleficarum''도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2010년에 UDON 코믹스에 의해 영어로 발매되었다.[30][31]
다수의 다른 책들 (가이드북, 아트북, 일러스트북, 소설) 또한 출판되었으며, 대부분 일본에서만 발간되었다. 하지만 일부는 북미에서도 출판되었다.
2008년, UDON은 시리즈의 스크린샷, 스토리보드 및 컨셉 아트를 모은 ''다크스토커즈 그래픽 파일''을 발매했다.
2009년, UDON은 15주년 기념 아트북 ''다크스토커즈 트리뷰트''를 발매했다. 이 책은 야스히로 나이토를 비롯한 일부 UDON 및 캡콤 소속 아티스트와 여러 유명 만화가들의 작품과 함께, 시리즈 팬들의 공모작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8월에 여러 애니메이션 컨벤션에서 처음 공개된 후, 다음 해 9월에 광범위하게 출시되었다.
2014년, UDON은 20주년 기념 아트북 ''다크스토커즈 공식 완전 작품집''을 발매했으며, 이 책은 "주요 비주얼, 캐릭터 일러스트, 홍보 아트워크, 러프 컨셉, 제작자 코멘터리를 포함하여 모든 ''다크스토커즈'' 게임의 아트워크"를 수집했을 뿐만 아니라, 캡콤 아티스트들의 "시리즈 제작자들과의 여러 새로운 인터뷰,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트리뷰트 핀업"을 담고 있다.
6. 평가 및 영향
''다크스토커즈'' 시리즈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비평가들로부터는 매우 좋은 평가를 받으며 컬트적인 팬덤을 형성했다. 특히, 독특한 캐릭터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스타일은 격투 게임 장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했다.[45][46][47][48][49][50]
''다크스토커즈''는 캡콤이 스트리트 파이터 II 시리즈 이후 처음으로 발표한 완전 신작 대전 격투 게임으로, 시스템, 캐릭터, 그래픽 등 여러 면에서 혁신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
'''시스템''': 복잡한 조작 없이도 연속기를 사용할 수 있는 "체인 콤보"와 방어 중 반격이 가능한 "가드 캔슬(GC)" 시스템을 도입하여, 이전의 격투 게임과는 다른 전략을 요구했다.
'''캐릭터''': 흡혈귀, 늑대인간 등 전승 속 몬스터들을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시켜 (작중에서는 "다크스토커"로 칭함) 인간 캐릭터로는 표현하기 힘든 과감하고 화려한 액션을 선보였다. 이는 격투 게임의 틀을 넘어선 판타지 격투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61]
'''그래픽''': 아메코믹풍의 애니메이션 그림 방식을 채택하여, 사실적인 묘사 대신 캐릭터의 개성을 강조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했다. 방대한 애니메이션 패턴을 사용했지만, 당시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세가 새턴으로는 완전 이식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이러한 그래픽은 고딕 호러풍의 배경과 어우러져 높은 평가를 받았다.[62]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다크스토커즈''는 일본에서 캡콤을 대표하는 격투 게임 시리즈 중 하나로 인식될 정도로 많은 팬을 확보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움직임이 과격하다"는 이유로 거부 반응을 보이는 팬들이 많았고, 아메코믹풍 그래픽에도 불구하고 본고장에서는 기피되는 결과를 낳았다.
''다크스토커즈''의 독창적인 캐릭터성과 게임성은 다른 게임 및 미디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데미트리의 기술 "미드나잇 블리스"는 상대를 여성으로 변화시킨 후 흡혈하는 연출로 큰 화제를 모았으며,[56][57] 팬 아트, 코스프레, M.U.G.E.N 등 2차 창작 활동에도 영감을 주었다.[58]1997년에는 OVA 애니메이션 "뱀파이어 헌터 The Animated Series"가 제작되기도 했다.
6. 1. 상업적 성공과 컬트 팬덤
다크스토커즈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비평가들로부터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상당한 컬트 팬층을 확보했다.[42][43][44] Destructoid의 카일 맥그레거는 이 게임을 "사랑받는" 게임으로 묘사했으며,[45]IGN의 리처드 조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사랑받는" 게임이라고 묘사했다.[46]MTV는 다크스토커즈가 "수년에 걸쳐 충성스러운 팬층을 형성했지만, 개발사/퍼블리셔가 이 시리즈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47] GamesRadar US는 다크스토커즈를 "가슴에 기반을 둔" 게임으로 파이널 판타지에 이어 일본을 좋아하는 코스프레 피규어 수집가들의 숭배 대상이라고 칭하며, 캐릭터 디자인은 매우 멋지지만, 일부 팬 아트는 정말 불쾌하다고 언급했다.[48]
프랜차이즈의 캐릭터들은 "시대의 격투 게임들 중에서 눈에 띄게" 만들었는데, 이는 "가끔 이상한 생물이 등장하는 일반적인 격투가들" 대신 "몬스터 갤러리"였기 때문이다.[50] 특히, 플레이어 캐릭터들은 거의 전부가 흡혈귀나 늑대인간을 비롯한 전승상의 몬스터 (시리즈 작중에서는 "다크스토커"라고 칭한다)였다. 이러한 몬스터 캐릭터들은 인간 캐릭터가 행하면 너무나도 엉뚱한 인간을 초월한 동작을 위화감 없이 액션으로 담아내어, 인간끼리의 싸움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화려한 연출을 실현했다.[61] ''Hardcore Gaming 101''은 게임의 다채로운 출연진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게임이 컬트 팬을 얻었다고 언급했다.[20]
GamesRadar의 루카스 설리번은 2012년 HD 리메이크를 받을 만한 "잘 알려지지 않은" 격투 게임 목록에서 다크스토커즈를 1위로 선정하며, "유명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만큼 2D 격투의 즐거움을 제공하지만, 같은 종류의 존경을 받지 못했다... 그리고 그건 옳지 않다"라고 말했다.[51] UGO.com은 2010년 속편이 필요한 게임 목록에 다크스토커즈를 포함시켰다.[52] ''Complex'' 작가들은 2012년 최고의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 순위에서 다크스토커즈를 40위로 선정하며 "현대적인 구현을 보고 싶다"고 덧붙였으며,[53] E3 2011에서 발표되기를 바라는 15개의 게임 중 가상의 ''다크스토커즈 4''를 목록에 올렸다.[54]
게임의 캐릭터 중 하나인 "미드나잇 블리스"는 데미트리가 상대를 소녀로 변환시킨 후 피를 빨아들이는 기술로,[56] ''GamesRadar+''의 크리스 호프만은 이 기술을 캡콤이 게임 역사에 기여한 가장 위대한 것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57]
6. 2. 비평가들의 평가
''다크스토커즈''는 비평가들로부터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고 상당한 컬트 팬층을 확보했다.[45][46]MTV는 ''다크스토커즈''가 "수년에 걸쳐 충성스러운 팬층을 형성했지만, 개발사/퍼블리셔가 이 시리즈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47] GamesRadar US는 ''다크스토커즈''를 "가슴에 기반을 둔" 게임으로 파이널 판타지에 이어 일본을 좋아하는 코스프레 피규어 수집가들의 숭배 대상이라고 칭했다.[48] The Guardian의 키스 스튜어트는 2012년 뱀파이어 비디오 게임 톱 목록에서 이 시리즈를 4위로 선정하며 "아름다운 비주얼과 뛰어난 애니메이션"을 언급했다.[49]
프랜차이즈의 캐릭터들은 "시대의 격투 게임들 중에서 눈에 띄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50] ''Hardcore Gaming 101''은 게임의 다채로운 출연진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게임이 컬트 팬을 얻었다고 언급했다.[20]
GamesRadar의 루카스 설리번은 2012년 HD 리메이크를 받을 만한 "잘 알려지지 않은" 격투 게임 목록에서 ''다크스토커즈''를 1위로 선정하며, "유명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만큼 2D 격투의 즐거움을 제공하지만, 같은 종류의 존경을 받지 못했다"라고 말했다.[51] UGO.com은 2010년 속편이 필요한 게임 목록에 ''다크스토커즈''를 포함시켰다.[52] ''Complex'' 작가들은 2012년 최고의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 순위에서 ''다크스토커즈''를 40위로 선정하며 "현대적인 구현을 보고 싶다"고 덧붙였으며,[53] E3 2011에서 발표되기를 바라는 15개의 게임 중 가상의 ''다크스토커즈 4''를 목록에 올렸다.[54] ''Complex''의 앤드류 헤이워드는 2011년 가장 그리운 격투 프랜차이즈 목록에서 ''다크스토커즈''를 1위로 선정하며, "캡콤이 새로운 격투 게임을 발표할 때마다 하드코어 커뮤니티는 ''다크스토커즈''의 지속적인 부재에 대해 흥분하고 현대적인 반복을 요구한다."고 말했다.[55]
게임 캐릭터 중 하나인 "미드나잇 블리스"도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56][57] ''Game Developer''의 기사에서 작가 조란 이오바노비치는 팬들이 이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관찰하면서, 팬 아티스트, 크로스플레이어, M.U.G.E.N과 같은 맞춤형 격투 게임 커뮤니티에서 "성전환" 장르의 미니 장르로 인용했다.[58]
본작에 등장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들은 거의 전부가 흡혈귀나 늑대인간을 비롯한 전승상의 '''몬스터''' (시리즈 작중에서는 "'''다크스토커'''"라고 칭한다)이다. 몬스터를 캐릭터로 함으로써, 인간 캐릭터가 하면 엉뚱한, 인간을 초월한 동작을 위화감 없이 액션으로 담아내어 인간끼리의 싸움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화려한 연출을 실현했다. 캐릭터가 인간이 아닌 만큼, 캐릭터 신체 절단 묘사 등 폭력 묘사도 더욱 과격하다. 인간이 아닌 것들이 싸운다는 컨셉은 공격 방법에도 영향을 주어, 펀치나 킥과 같은 제한을 없앤 통상기가 많고, 격투 게임이 아닌 판타지 격투의 실현이라는 방향성을 명확히 한 걸작이다.[61]
시스템 면에서는 복잡한 조작 없이도 연속기를 할 수 있는 "'''체인 콤보'''"와, 방어만 하다가도 반격할 수 있는 "'''가드 캔슬''' (GC)"의 두 가지가 주축이 되어, 본작 이전의 『스트리트 파이터 II』형 격투 게임과는 크게 다른 전술이 플레이어에게 요구되었다.
캐릭터 그래픽은 지금까지의 사실적인 음영과 신체의 입체 표현에서 크게 변화하여, 아메코믹풍의 애니메이션 그림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방대한 애니메이션 패턴 매수가 준비되어 있으며, 유려한 움직임을 실현했다. 이는 당시 신세대 게임기였던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어느 쪽에도 완전 이식이 불가능했다. 배경의 고딕 호러풍 분위기와 맞춰, 그래픽은 플레이어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62]
6. 3. 다른 게임 및 미디어에 미친 영향
''다크스토커즈''는 상업적 성공은 제한적이었지만, 비평가들로부터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고 상당한 컬트 팬층을 확보했다.[45][46] "수년에 걸쳐 충성스러운 팬층을 형성했지만, 개발사/퍼블리셔가 이 시리즈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고 한다.[47]
프랜차이즈의 캐릭터들은 "가끔 이상한 생물이 등장하는 일반적인 격투가들" 대신 "몬스터 갤러리"였기 때문에 이 게임을 "시대의 격투 게임들 중에서 눈에 띄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50] Hardcore Gaming 101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게임의 다채로운 출연진이 컬트 팬을 얻었다고 언급했다.[20]
"미드나잇 블리스"는 데미트리가 앞으로 돌진하여 상대를 일시적으로 소녀로 변환시킨 다음 그들의 피를 빨아들이는 기술로,[56] ''GamesRadar+''의 크리스 호프만은 이 기술을 캡콤이 게임 역사에 기여한 가장 위대한 것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57] ''Game Developer''의 기사에서 작가 조란 이오바노비치는 팬들이 이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관찰하면서, 팬 아티스트, 크로스플레이어, M.U.G.E.N과 같은 맞춤형 격투 게임 커뮤니티에서 "성전환" 장르의 미니 장르로 인용했다고 언급했다.[58]
''다크스토커즈''에 등장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들은 거의 전부가 흡혈귀나 늑대인간을 비롯한 전승상의 '''몬스터'''이다 (시리즈 작중에서는 "'''다크스토커'''"라고 칭한다). 몬스터를 캐릭터로 함으로써, 인간 캐릭터가 하면 너무나도 엉뚱한, 인간을 초월한 동작을 위화감 없이 액션으로 담아내어 인간끼리의 싸움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화려한 연출을 실현했다. 캐릭터가 인간이 아닌 만큼, 캐릭터의 신체 절단 묘사 등 폭력 묘사도 더욱 과격하다. 인간이 아닌 것들이 싸운다는 컨셉은 공격 방법에도 영향을 미쳐, 펀치나 킥과 같은 제한을 없앤 통상기가 많고, 격투 게임이 아닌 판타지 격투의 실현이라는 방향성을 명확히 한 걸작이다.[61]
시리즈 제1작 『뱀파이어 The Night Warriors』는 캡콤이 『스트리트 파이터 II』 시리즈에 이어 처음으로 발표한 완전 신작 대전형 격투 게임이다. 시스템 면에서는 복잡한 조작 없이도 연속기를 할 수 있는 "'''체인 콤보'''"와, 방어만 하다가도 반격할 수 있는 "'''가드 캔슬''' (GC)"의 2가지가 주축이 되어, 본작 이전의 『스트리트 파이터 II』형 격투 게임과는 크게 다른 전술이 플레이어에게 요구되었다.
캐릭터 그래픽은 지금까지의 사실적인 음영과 신체의 입체 표현에서 크게 변화하여, 아메코믹풍의 애니메이션 그림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방대한 애니메이션 패턴 매수가 준비되어 유려한 움직임을 실현했다. 이는 당시 신세대 게임기였던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어느 쪽에도 완전 이식이 불가능했다. 배경의 고딕 호러풍 분위기와 맞춰, 그래픽은 플레이어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62]
속편 외에도, 몇몇 미디어 믹스도 이루어졌다. 1997년에는 제2작 『뱀파이어 헌터』가 『뱀파이어 헌터 The Animated Series』라는 타이틀로 전 4권의 OVA로 애니메이션화되었다.
7. 향후 전망
캡콤의 프로듀서인 오노 요시키는 2011년에 "시리즈를 끝낼 생각은 없으며, 개인적으로도 언젠가 다시 만들고 싶다"고 발언하여 팬들의 기대를 모았다[63]. 실제로 팬들은 지속적으로 시리즈 부활을 요청해 왔으며, 캡콤은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2013년에 PS3와 Xbox 360용으로 리마스터 작품인 '''다크스토커즈 레저렉션'''을 출시했다.
그러나, 다크스토커즈 레저렉션은 판매 부진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노 요시키는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다"라는 발언을 남기며 시리즈 부활에 대한 희망을 남겨두었다.
참조
[1]
간행물
Darkstalkers – 1994 Developer Interview
https://shmuplations[...]
1994
[2]
웹사이트
Darkstalkers creator on breaking into the industry
http://www.gamespot.[...]
2010-07-23
[3]
웹사이트
Capcom Fighting Collection announced, releasing June 24 - Includes Red Earth, Gem Fighter, Puzzle Fighter, Hyper Street Fighter 2, and a ton of Darkstalkers
https://www.eventhub[...]
2022-02-20
[4]
웹사이트
VAMPIRE HUNTER 2 - Darkstalkers' Revenge - | Capcom Fighting Collection
https://www.capcom-g[...] [5]
간행물
More Capcom comebacks ahead?
2008-01
[6]
웹사이트
Street Fighter X Tekken
http://www.eurogamer[...]
Eurogamer
2010-09-29
[7]
웹사이트
Only 995,000 more requests before Capcom's Inafune considers a new Darkstalkers game
http://www.joystiq.c[...]
Joystiq
2010-10-02
[8]
웹사이트
Darkstalkers game requests up to 100k
http://www.eurogamer[...]
Eurogamer
2011-03-24
[9]
웹사이트
SDCC: Darkstalkers are not dead... if you've got money
http://www.destructo[...]
Destructoid
2011-07-21
[10]
웹사이트
"'Darkstalkers are not dead' T-shirt featured prominently in latest Street Fighter X Tekken episode #2 clip"
http://www.eventhubs[...]
Eventhubs
2011-06-04
[11]
웹사이트
Capcom's Yoshinori Ono Hints At Darkstalkers
http://www.siliconer[...]
Siliconera
2012-07-12
[12]
웹사이트
"'Darkstalkers Resurrection' bundle brings back second and third franchise titles"
https://www.theverge[...]
The Verge
2012-10-11
[13]
웹사이트
Capcom: Ono dreams of revitalizing Darkstalkers, 'wants Darkstalkers 4'
http://www.joystiq.c[...]
Joystiq
2012-10-11
[14]
웹사이트
NYCC: Darkstalkers is Back
http://www.ign.com/a[...]
IGN
2012-10-11
[15]
웹사이트
Darkstalkers Resurrection fails to meet Capcom sales targets
http://www.gamespot.[...]
GameSpot.com
2013-03-13
[16]
웹사이트
Ask Capcom > Thread > Hey, Darkstalkers one of the best-selling PSN games...What gives?
http://www.capcom-un[...]
Capcom-unity.com
[17]
웹사이트
Capcom: No new Darkstalkers game planned
http://www.gamespot.[...]
GameSpot
2013-07-23
[18]
웹사이트
Darkstalkers Resurrection Sales Kill Sequel Hopes | The Escapist
http://www.escapistm[...]
Escapistmagazine.com
[19]
웹사이트
Darkstalkers Resurrection roster - Meet all 18 characters
https://www.gamesrad[...]
2012-10-12
[20]
웹사이트
Darkstalkers (Introduction / Characters)
http://www.hardcoreg[...]
2008-11-26
[21]
AV media
Darkstalkers: Movie Monsters - Pop Facts
https://www.youtube.[...]
2016-07-05
[22]
웹사이트
Voice of Jedah Dohma
http://www.behindthe[...]
2013
[23]
비디오 게임
Marvel vs. Capcom: Infinite
Capcom
[24]
문서
"Darkstalkers: Jedah's Damnation Strategy Guide"
GameFan Books
[25]
웹사이트
"Vampire Resurrection': Jedah"
http://www.capcom.co[...]
2019-12-05
[26]
서적
Darkstalkers Graphic File
Udon Entertainment Corp
[27]
웹사이트
CAPCOM:カプコン ゲームズ – カプコン伝説 第六回 妖魔のタイマン勝負格ゲー(後編)
http://www.capcom.co[...] [28]
서적
Night Warriors: Darkstalkers' Revenge
https://books.google[...]
Viz Media
[29]
웹사이트
Night Warriors: Darkstalkers' Revenge
http://www.comicvine[...]
Comic Vine
[30]
웹사이트
Udon Entertainment to Publish Darkstalkers / Red Earth: Maleficarum Manga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10-05-22
[31]
웹사이트
Darkstalkers/Red Earth: Maleficarum
http://www.comicvine[...]
Comic Vine
[32]
웹사이트
Capcom Store - Buy Darkstalkers Graphic File book
http://www.comicvine[...]
Capcom
[33]
웹사이트
Capcom Store - Buy Darkstalkers Tribute Art Book
http://shop.capcom.c[...]
Capcom
[34]
웹사이트
UDON Entertainment » Darkstalkers: Official Complete Works
http://www.udonenter[...] [35]
웹사이트
UDON's Darkstalkers: Official Complete Works Artbook Now Available in North America
http://shoryuken.com[...] [36]
웹사이트
Capcom Releases Original Darkstalkers Soundtrack, Features Over Thirty Classic Jams
https://web.archive.[...]
2014-10-06
[37]
웹사이트
Darkstalkers Volume 1 - Game Soundtracks, New Releases, Latest Releases, Vintage Soundtracks, 8-Bit, Vintage - Sumthing
https://web.archive.[...]
2014-10-06
[38]
웹사이트
Darkstalkers Volume 2 - New Releases, Game Soundtracks, Latest Releases, Vintage Soundtracks, 8-Bit, Vintage - Sumthing
https://web.archive.[...]
2014-10-06
[39]
웹사이트
Information of Vampire from K-Navi in Japanese
http://p-kn.com/slot[...]
2022-12-12
[40]
웹사이트
Information for Vampire from sp.pachinkoslot.jp in Japanese
http://sp.pachinkosl[...]
2009-06-25
[41]
웹사이트
Website for the pachislo game ''Vampire''
http://www.enterrise[...]
Capcom
2022-11-04
[42]
웹사이트
Darkstalkers Chronicle: The Chaos Tower for PSP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14-01-26
[43]
웹사이트
Darkstalkers Resurrection for Xbox 360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13-03-13
[44]
웹사이트
Darkstalkers Resurrection for PlayStation 3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14-01-26
[45]
웹사이트
Darkstalkers laid to rest after failed resurrection
http://www.destructo[...]
Destructoid
2013-07-23
[46]
웹사이트
Returning to the World of Darkstalkers - IGN
http://uk.ign.com/ar[...]
Uk.ign.com
2013-01-17
[47]
웹사이트
'Darkstalkers' Revival Failed To Generate Excitement
https://web.archive.[...]
Multiplayerblog.mtv.com
2013-07-23
[48]
웹사이트
Page 3 - Videogame franchises founded on boobs
https://www.gamesrad[...]
GamesRadar
2014-06-17
[49]
웹사이트
Bram Stoker's books are all very well...but what are the best vampire games?
https://www.theguard[...]
2012-11-08
[50]
웹사이트
What's The Deal With Darkstalkers?
https://www.animenew[...]
2022-06-13
[51]
웹사이트
29 obscure fighters that deserve HD remakes
https://web.archive.[...]
GamesRadar
2012-10-20
[52]
웹사이트
25 Games That Need Sequels
https://web.archive.[...]
UGO Networks
2010-11-23
[53]
웹사이트
The 50 Best Video Game Franchises
https://web.archive.[...]
Complex
2012-09-25
[54]
웹사이트
Hype Dreams: The 15 Games We Hope Are Announced At E3 2011
https://web.archive.[...]
Complex
2011-03-29
[55]
웹사이트
The 10 Most Missed Fighting Franchises
https://web.archive.[...]
Complex
2011-09-23
[56]
웹사이트
The 10 Best Vampires in Video Games
https://www.gamesrad[...]
2014-02-24
[57]
웹사이트
Capcom's 30 Greatest Contributions to Gaming History
https://www.gamesrad[...]
2013-06-27
[58]
웹사이트
Analysis: Gaming’s Midnight Bliss – Gender Swapping Made Fun
https://www.gamedeve[...]
2009-10-18
[59]
간행물
2018-11
[60]
웹사이트
The King of Fighters Allstar Adds Lady Goenitz and XV Chizuru Kagura in Latest Update
https://www.pocketga[...]
2023-05-21
[61]
서적
ハイパープレイステーション
株式会社ソニー・マガジンズ
[62]
뉴스
'「ゲーメスト」Vol. 136(1994年12月27日)第8回ゲーメスト大賞・グラフィック部門1位'
新声社
[63]
문서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 X 鉄拳 アートワークス』P184より。
[64]
문서
『ザ・ヴァンパイア ハンター セガサターンマニュアル Ver.2』16ページ。
[65]
문서
1995年11月に催されたイベント「としまえん VS セガサターン」にてセガサターン版が初公開されたが、これはアーケード版の各キャラクターのアニメーションパターンを完璧に再現した本当の意味での完全移植版だった。ただし、この際使用されたセガサターン本体の拡張スロットには増設メモリを搭載した特製のカートリッジが挿されていた。この時に展示されたバージョンはこのカートリッジがなければ動作しなかったものと思われる(アスペクト発行『ザ・ヴァンパイア ハンター セガサターン マニュアル Ver.2』(1996年4月、ISBN 4-89366-505-7)より)。
[66]
웹사이트
ヴァンパイア セイヴァー EXエディション
http://www.jp.playst[...] [67]
웹사이트
Capcom Fighting Collection Censors Sexy Secret Ending
https://www.sankakuc[...]
2022-07-05
[68]
문서
セガサターン版『ヴァンパイア ハンター』操作説明書 p. 28
[69]
문서
電波新聞社発行『ALL ABOUT ヴァンパイア』(1994年10月、雑誌コード 18362-11)より。
[70]
문서
ゲーメストムックVol.88『ヴァンパイア セイヴァー ファンブック』新声社、37頁。
[71]
서적
ALL ABOUT カプコン対戦格闘ゲーム 1987-2000
電波新聞社
[72]
서적
PlayStation Magazine
徳間書店
1997-04-25
[73]
문서
ザ・ヴァンパイア ハンター セガサターン マニュアル Ver.2
アスペクト
[74]
웹사이트
LINE DROP スピリットキャッチャーレイレイ 公式サイト
http://www.capcom.co[...]
カプコン
[75]
웹인용
Darkstalkers creator on breaking into the industry
http://www.gamespot.[...]
2014-10-06
[76]
웹인용
Pop Facts
http://www.gametrail[...]
2014-10-06
[77]
웹인용
Project X Zone roster: Meet all 60 playable characters
http://www.gamesrada[...]
2014-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