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빨간 두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빨간 두건"은 늑대에게 잡아먹히는 소녀의 이야기를 담은 그림 형제의 동화로, 샤를 페로의 이야기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 이야기는 빨간 두건을 쓴 소녀가 아픈 할머니에게 음식을 가져다주기 위해 숲길을 지나다 늑대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그린다. 늑대는 할머니를 잡아먹고 할머니로 변장하여 빨간 두건을 기다리지만, 사냥꾼의 도움으로 소녀와 할머니는 구출된다. 이 이야기는 다양한 문화적, 심리적 해석을 낳았으며, 문학,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재탄생되었다.

2. 줄거리

1927년 출간된 동화집에 그려진 빨간 두건


빨간 두건은 아픈 할머니에게 드릴 음식을 가지고 숲 속을 지나간다. 늑대는 빨간 두건을 속여 할머니를 잡아먹고, 할머니로 변장하여 빨간 두건을 기다린다.

할머니 집에 들어온 빨간 두건은 할머니가 이상하게 변한 것을 보고 이것저것 묻는다. "할머니 이빨이 왜 이렇게 커요?"라는 빨간 두건의 질문에 늑대는 "널 잡아먹기 좋으려고!"라고 대답하며 빨간 두건을 통째로 삼킨다. 이후 사냥꾼이 늑대를 잡고 배를 갈라 할머니와 빨간 두건을 구한다.

이야기의 판본에 따라 빨간 두건이 먹히기 전에 사냥꾼이 등장하기도 하고, 늑대의 배에 돌덩이를 채워 강물에 빠뜨리기도 한다. 빨간 두건은 자신의 경솔함을 반성하고, 다시는 낯선 사람을 믿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 "그녀는 할머니의 모습에 놀랐다."

2. 1. 연관된 이야기

늑대에게 잡혀 먹혔다가 다치지 않고 나오는 이야기는 세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의 피터와 늑대, 그림 형제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와 같은 이야기들이 그 예시이다. 짐승의 뱃속에서 살아 나오는 이야기의 기원은 성경요나, 기독교의 안티오키아의 마르가리타 전설 등에서 찾을 수 있다.[77]

빨간 두건과 늑대의 대화는 고 에다와 비교되기도 한다. 고 에다에서 거인 스리므르는 토르의 묠니르를 훔치고 프레이야와의 결혼을 요구한다. 토르는 프레이야로 변장하고 스리므르에게 가는데, 스리므르는 토르의 모습이 여자 같지 않다고 의심하지만 로키는 신부가 결혼을 기다리느라 먹지도 마시지도 자지도 않아서 그렇다고 둘러댄다.[77]

이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이야기와도 유사하다. 학자 그레이엄 앤더슨은 이 이야기를 파우사니아스가 전한 지역 전설과 비교했는데, 매년 처녀가 늑대 가죽을 쓴 악령에게 바쳐져 강간을 당했다. 어느 해, 복서 유티모스가 악령을 죽이고 제물로 바쳐진 소녀와 결혼했다.[9] 호라티우스라미아의 뱃속에서 남자아이가 산 채로 구조되는 이야기를 언급하기도 했다.[11]

북유럽 신화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찾을 수 있는데, 늑대 스코르가 태양 여신을 쫓아가 살해하는 이야기가 그것이다.[47]

북아프리카 카빌리아 지역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이디르의 노래 "아 바바 이누바"의 후렴구는 소녀가 팔찌 소리로 늑대를 알아보는 내용을 담고 있다.[14]

굶주린 늑대와 늑대의 에서 해를 입지 않고 풀려나는 존재의 이야기는 "요나와 고래"와 같은 성경 이야기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성 마가렛의 생애 이야기에서도 용의 뱃속에서 아무런 해를 입지 않고 나오는 장면이 나타난다.

16세기 대만의 ''호랑이 이모'' 이야기에도 유사한 점이 많다. 호랑이 여인이 소녀들의 집에 와서 이모인 척하며 들어오고, 소녀 중 한 명을 먹어버린다. 다른 소녀는 꾀를 내어 호랑이 여인을 죽인다.[15]

폴 들라루에 따르면, 비슷한 이야기가 동아시아, 즉 중국, 한국[16], 일본에서 "호랑이와 아이들"이라는 제목으로 발견된다고 한다.[17]

3. 줄거리의 변천

빨간 두건 이야기는 샤를 페로가 처음 기록하기 전인 17세기 이전부터 유럽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전되어 왔다.[78] 14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농노들 사이에서는 '가짜 할머니'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었고,[79] 동아시아에서는 '왕할머니 호랑이'와 같은 유사한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었다.[80]

"네 눈을 더 잘 보기 위해서지!" 월터 크레인의 목판화


초기 이야기에서 늑대는 할머니의 피와 살을 소녀에게 먹게 하거나, 옷을 불태우라고 하는 등 잔혹한 행동을 했다.[82] 어떤 버전에서는 늑대가 소녀를 잡아먹고 이야기가 끝나거나,[27] 소녀가 늑대의 변장을 간파하고 탈출을 시도하기도 했다. 소녀는 자신의 기지로 탈출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28]

1697년 프랑스에서 출판된 페로 동화집에 수록된 「빨간 모자」가 가장 오래된 작품이지만, 그 이전의 이야기로 스웨덴 민담 「검은 숲의 아가씨」나 프랑스에 전해지는 메르헨[71] 등 유사한 이야기가 확인되고 있다. 11세기 리에주에서 쓰여진 라틴어 시가 원형이라는 설도 있다.[72][73]

구대륙 각지에 유사한 이야기가 많다. 아프리카에서는 여우하이에나, 동아시아에서는 대형 고양이과 동물 등 가해 동물이 다르거나, 주인공이 남자아이(이란)이거나,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의 요소를 가진 것(동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이다.[73]

=== 샤를 페로 ===

샤를 페로는 1697년에 《옛날 이야기와 교훈》을 통해 빨간 두건 이야기를 처음으로 책에 실었다.[84] 페로의 이야기는 이후 나온 이야기들보다 더 무섭고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주인공이 쓴 빨간색 두건은 이 이야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되었다.[85]

페로의 이야기에서 빨간 두건은 "시골에서 잘 자란 매력적인 소녀"로 나오며, 늑대에게 잡아먹히는 슬픈 결말을 맞는다.

페로는 민담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고쳐 쓰면서 몇 가지를 바꾸었다.

  • 주인공에게 빨간 모자를 씌웠다.[71]
  • 민담에 나오는 빨간 두건이 할머니의 고기를 먹는 장면을 뺐다.[71]
  • 늑대가 지름길로 먼저 도착했다는 설정을 넣었다.[71]
  • 주인공이 옷을 벗는 장면을 뺐다.[71]
  • 민담에는 없는 "교훈"을 덧붙였다.


페로의 동화에서 빨간 두건은 늑대에게 잡아먹히고 이야기가 끝난다. 사냥꾼은 나오지 않는다.

=== 그림 형제 ===

19세기에 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형제는 널리 알려진 그림 형제로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빨간 두건 이야기를 수집했다. 첫 번째는 자네트 한센플루프(1791년 - 1860년)가 들려준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마리 한센플루프(1788년 - 1856년)가 들려준 것이었다. 그림 형제는 자네트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하고 마리의 이야기를 덧붙여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에 수록하였다.[86]

그림 형제의 동화집에 처음 수록된 빨간 두건은 페로의 이야기를 독일어로 옮긴 것으로 여겨질 정도로 유사하다.[87] 그러나 그림 형제는 이야기의 결말을 바꾸어 사냥꾼이 늑대의 배를 갈라 할머니와 빨간 두건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결말은 그림 형제가 채록한 다른 민담인 《늑대와 일곱 마리 어린 양》에서 차용한 것이다.[88]

그림 형제는 이후 동화집의 2판을 내면서 할머니와 빨간 두건이 또 다른 늑대를 잡는 내용을 덧붙였다. 그림 형제의 빨간 두건 이야기는 계속해서 내용이 조금씩 바뀌다가 1857년 가장 널리 알려진 줄거리로 출판되었다.[90]

엘리자베스 예리초-바우만이 1855년에 그린 빌헬름(왼쪽)과 야코프 그림


독일에서 빨간 두건을 처음으로 작품화한 것은 루트비히 티크희곡 Tragödie vom Leben und Tod des kleinen Rothkäppchens|작은 빨간 두건의 생과 죽음de (1800년)이었다.

빨간 두건 이야기의 제공자는 헤센 선제후국의 고급 관료 하센플루크가의 딸들이다. 모친 쪽이 프랑스계이며, 집안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했던 양가의 자녀인 그녀들은 읽고 쓰는 법을 익혔을 것이다. 따라서 그녀들이 페로의 동화를 읽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림 형제는 판을 거듭할 때마다 이야기 내용에 손을 댔다. 빨간 두건과 할머니가 늑대의 뱃속에서 산 채로 구출되는 에피소드를 추가한 것은 그들 형제이다.[71]

=== 그림 형제 이후 ===

스코틀랜드 출신의 문학가이자 문헌학자였던 앤드루 랭은 자신의 《빨간 동화책》에 〈금빛 두건의 진실〉을 수록하였다.[91]

1827년 미국의 희곡 작가이자 정치가였던 제임스 N 바커가 1000여 단어로 축약한 빨간 두건을 출간하였다. 이 이야기는 1858년 영국의 희곡 작가 윌리엄 에반스 버튼의 《위트와 유머 모음집》에 다시 각색되어 실렸다.

20세기에 들어서자 빨간 두건 이야기는 수많은 이야기 집에 각색되어 실렸으며, , 드라마, 공연 예술, 애니메이션, 영화 등에서 다루어졌다.

잭 지프스는 19세기의 여러 변형을 엮어 냈다.[41]

빨간 두건 이야기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 샤를 페로나 월터 드 라 메어 등 다양한 작가가 빨간 두건의 패러디 작품을 세상에 내놓고 있다.

노구치 요시코에 따르면, "헤이세이 시대에 출판된 '빨간 두건' 책은 그림 형제의 원전에 충실한 것이 많지만, 동시에 자유롭게 고쳐 쓴 패러디풍의 것도 눈에 띈다"고 한다.

3. 1. 페로 이전

빨간 두건 이야기는 샤를 페로가 처음 문자로 기록하기 전, 17세기 이전부터 유럽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전되어 왔다.[78] 14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농노들 사이에서는 '가짜 할머니'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었고,[79] 동아시아에서는 '왕할머니 호랑이'와 같은 유사한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었다.[80]

구전 이야기에서는 늑대 대신 오거나 늑대 인간이 등장하기도 했다. 빨간 두건 이야기가 중세 독일에서 늑대인간으로 여겨졌던 페테르 스툼프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81] 늑대는 할머니의 피와 고기를 빨간 두건에게 먹게 하거나, 옷을 벗어 불 속에 던지라고 하는 등 잔혹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82] 어떤 판본에서는 늑대가 빨간 두건을 침대에서 잡아먹고 이야기가 끝나거나, 빨간 두건이 늑대의 정체를 알아채고 도망치기도 한다. 이처럼 늑대에게서 도망치는 과정에서 빨간 두건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탈출하거나, 늑대가 빨간 두건을 쫓아오다가 강물에 빠져 죽는 등 다양한 결말이 존재한다.[83]

이러한 빨간 두건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이야기와도 유사성을 보인다. 학자 그레이엄 앤더슨은 빨간 두건 이야기를 파우사니아스가 전한 지역 전설과 비교하며, 매년 처녀가 늑대 가죽을 쓴 악령에게 바쳐졌다는 내용과 관련지었다.[9] 또한 "불"을 뜻하는 피르라와 "늑대"를 의미하는 남성에 관한 그리스 이야기,[10] 오우거인 라미아 뱃속에서 남자아이가 구조되는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의 이야기도 빨간 두건 이야기와 유사하다.[11]

북유럽 신화에서도 늑대와 관련된 이야기가 존재한다. 거인 트림토르의 망치 묠니르를 훔치고 프레이야를 신부로 요구하자, 토르가 신부로 변장하여 묠니르를 되찾는 과정에서 늑대와 빨간 두건의 대화와 비슷한 장면이 나타난다.[12] 또한 늑대 스코르가 태양 여신을 쫓아가 살해하는 신화와도 유사성이 있다.[47]

북아프리카 카빌리아 지역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소녀가 할아버지 오두막을 방문하고 팔찌 소리로 알아보는 내용은 가수 이디르의 노래 "아 바바 이누바"의 후렴구에 나타난다.[13]

굶주린 늑대와 늑대 에서 무사히 풀려나는 이야기는 러시아 이야기 "피터와 늑대", 그림 형제의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에도 나타나며, 요나와 고래와 같은 성경 이야기, 성 마가렛의 생애 이야기와도 관련이 있다.[15]

16세기 대만의 '호랑이 이모' 이야기 역시 빨간 두건 이야기와 유사하다. 호랑이 여인이 소녀 집에 와서 이모인 척하며 들어가 소녀의 여동생을 먹고, 소녀를 속이려 하지만 결국 소녀의 기지로 죽는다는 내용이다.[15]

폴 들라루에 따르면, 동아시아(중국, 한국[16], 일본)에서도 "호랑이와 아이들"이라는 제목으로 비슷한 이야기가 발견된다.[17]

빨간 두건 이야기의 기원은 17세기 이전 여러 유럽 국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10세기 프랑스 농부들에 의해 구전되었고,[4] 리에주의 성당 교사 에그베르트 오브 리에주에 의해 기록되었다.[18] 15세기 민담집에는 늑대인간 남편을 둔 여성에 대한 이야기가 있지만,[19] 페로의 텍스트와는 거의 유사성이 없다.[20] 이탈리아에서는 14세기에 빨간 두건 이야기가 농부들 사이에서 구전되었으며, 이탈로 칼비노의 ''이탈리아 민담''에 수록된 '가짜 할머니'를 포함하여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21] 이 이야기는 "할머니 이야기"라고도 불리며, 동아시아 이야기(예: "호할머니")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22]

초기 이야기에서 적대자는 늑대가 아닌 'bzou'(늑대인간)인 경우가 있어, 당시 늑대인간 재판과 관련이 있다(예: 페터 슈툼프 재판).[23][24][25] 늑대는 할머니의 피와 살을 소녀에게 먹이고 옷을 불태우라고 하는 등 잔혹한 행동을 한다.[26] 어떤 버전에서는 늑대가 소녀를 잡아먹고 이야기가 끝나거나,[27] 소녀가 늑대의 변장을 간파하고 탈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소녀는 자신의 기지로 탈출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28] 빨간 두건이 없는 이야기도 존재한다.[27]

다른 버전에서는 늑대가 빨간 두건을 쫓아가지만, 소녀는 세탁부들의 도움으로 탈출하고 늑대는 강에 빠져 죽는다.[29] 또 다른 버전에서는 늑대가 소녀가 먹도록 할머니의 살을 준비하는 동안 불 속에 밀려난다.[27]

1697년 프랑스에서 출판된 페로 동화집에 수록된 「빨간 모자」가 가장 오래된 작품이지만, 그 이전의 이야기로 스웨덴 민담 「검은 숲의 아가씨」나 프랑스에 전해지는 메르헨[71] 등 유사한 이야기가 확인되고 있다. 11세기 리에주 (벨기에)에서 쓰여진 라틴어 시가 원형이라는 설도 있다.[72][73]

구대륙 각지에 유사한 이야기가 많다. 아프리카에서는 여우하이에나, 동아시아에서는 대형 고양이과 동물 등 가해 동물이 다르거나, 주인공이 남자아이(이란)이거나,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의 요소를 가진 것(동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이다.[73]

기원에 대해서는 11세기 벨기에의 시에서 유래한다는 등 여러 설이 있다.

중국 전승에는 「일곱 마리 아기 염소」의 요소도 있어, 본래 하나의 이야기였으나 서양에 전해지면서 두 이야기로 분열되었다는 설도 있었다. 그러나 중국 전승에는 빨간 모자의 오래된 버전에 없는 요소(예: 주인공이 큰 눈에 대해 묻는 장면)가 있어, 서양의 새로운 버전이 중국으로 전해져 「일곱 마리 아기 염소」와 융합되었다는 추측도 있다.

3. 2. 샤를 페로

샤를 페로는 1697년에 《옛날 이야기와 교훈》을 통해 빨간 두건 이야기를 처음으로 책에 실었다.[84] 페로의 이야기는 이후 나온 이야기들보다 더 무섭고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주인공이 쓴 빨간색 두건은 이 이야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되었다.[85]

페로의 이야기에서 빨간 두건은 "시골에서 잘 자란 매력적인 소녀"로 나오며, 늑대에게 잡아먹히는 슬픈 결말을 맞는다. 이야기 뒤에는 다음과 같은 교훈이 붙어 있다.

이 교훈은 당시 프랑스 사교계(살롱 문화)에서 젊은 여성들이 낯선 남자를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페로는 민담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고쳐 쓰면서 몇 가지를 바꾸었다.

  • 주인공에게 빨간 모자를 씌웠다.[71]
  • 민담에 나오는 빨간 두건이 할머니의 고기를 먹는 장면을 뺐다.[71]
  • 늑대가 지름길로 먼저 도착했다는 설정을 넣었다.[71]
  • 주인공이 옷을 벗는 장면을 뺐다.[71]
  • 민담에는 없는 "교훈"을 덧붙였다.


페로의 동화에서 빨간 두건은 늑대에게 잡아먹히고 이야기가 끝난다. 사냥꾼은 나오지 않는다. 이는 사교계(살롱) 여성들을 위해 쓰여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천박하거나 잔인한 장면을 없애고 교훈적인 내용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3. 3. 그림 형제

19세기에 야코프 그림빌헬름 그림 형제는 널리 알려진 그림 형제로서 두 개의 서로 다른 빨간 두건 이야기를 수집했다. 첫 번째는 자네트 한센플루프(1791년 - 1860년)가 들려준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마리 한센플루프(1788년 - 1856년)가 들려준 것이었다. 그림 형제는 자네트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하고 마리의 이야기를 덧붙여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에 수록하였다.[86]

그림 형제의 동화집에 처음 수록된 빨간 두건은 페로의 이야기를 독일어로 옮긴 것으로 여겨질 정도로 유사하다.[87] 그러나 그림 형제는 이야기의 결말을 바꾸어 사냥꾼이 늑대의 배를 갈라 할머니와 빨간 두건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결말은 그림 형제가 채록한 다른 민담인 《늑대와 일곱 마리 어린 양》에서 차용한 것이다.[88]

그림 형제는 이후 동화집의 2판을 내면서 할머니와 빨간 두건이 또 다른 늑대를 잡는 내용을 덧붙였다. 사냥꾼에게 구출된 할머니와 빨간 두건은 이번엔 일부러 늑대의 꾐에 빠지는 척하면서 오히려 늑대를 속인다. 빨간 두건에게서 할머니의 집을 알게 된 늑대가 할머니 집에 갔을 때 집문은 굳게 닫혀 있고, 할머니는 물을 가득 담은 소시지를 빨간 두건으로 감싸 문 밖에 던진다. 이것을 삼킨 늑대가 몸이 무거워져 옴짝달싹도 못하게 되자 늑대를 잡는다.[89] 그림 형제의 빨간 두건 이야기는 계속해서 내용이 조금씩 바뀌다가 1857년 가장 널리 알려진 줄거리로 출판되었다.[90]

  • -|]]|thumb|엘리자베스 예리초-바우만이 1855년에 그린 빌헬름(왼쪽)과 야코프 그림]]


독일에서 빨간 두건을 처음으로 작품화한 것은 루트비히 티크희곡 Tragödie vom Leben und Tod des kleinen Rothkäppchens|작은 빨간 두건의 생과 죽음de (1800년)이었다.

오랫동안 그림 형제의 동화 《빨간 두건》은 독일의 어느 농가의 비문자를 아는 노파가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손을 대지 않고 원고로 작성하여 출판한 것으로 믿어졌다. 그러나 하인츠 레레케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는 이야기 제공자 중에 그런 인물은 한 명도 없었다.

빨간 두건 이야기의 제공자는 헤센 선제후국의 고급 관료 하센플루크가의 딸들이다. 모친 쪽이 프랑스계이며, 집안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했던 양가의 자녀인 그녀들은 읽고 쓰는 법을 익혔을 것이다. 따라서 그녀들이 페로의 동화를 읽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림 형제는 판을 거듭할 때마다 이야기 내용에 손을 댔다. 빨간 두건과 할머니가 늑대의 뱃속에서 산 채로 구출되는 에피소드를 추가한 것은 그들 형제이다.[71]

3. 4. 그림 형제 이후

스코틀랜드 출신의 문학가이자 문헌학자였던 앤드루 랭은 자신의 《빨간 동화책》에 〈금빛 두건의 진실〉을 수록하였다.[91] 랭은 자신의 이야기가 프랑스의 샤를 마레이유의 민담집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 밝히고 있다. 이 이야기에서 소녀는 사냥꾼에 의해 구조되는 것이 아니라 늑대가 금빛 두건을 통째로 삼키려 하자 두건이 불타오르는 바람에 늑대가 죽는 것으로 결론 짓고 있다.

1827년 미국의 희곡 작가이자 정치가였던 제임스 N 바커가 1000여 단어로 축약한 빨간 두건을 출간하였다. 이 이야기는 1858년 영국의 희곡 작가 윌리엄 에반스 버튼의 《위트와 유머 모음집》에 다시 각색되어 실렸다.

20세기에 들어서자 빨간 두건 이야기는 수많은 이야기 집에 각색되어 실렸으며, , 드라마, 공연 예술, 애니메이션, 영화 등에서 다루어졌다. 2006년 제작된 단편 영화 《포악한 늑대》[92]슈렉에서는 여러 동화 주인공과 함께 포악한 늑대가 등장한다. 관련된 가장 최근의 영화로는 2011년 개봉한 《레드 라이딩 후드》가 있다.

''유머 백과사전''의 판화


요정 테마파크 에프텔링의 빨간 두건 아가씨 ( 노르트브라반트 주)


잭 지프스는 19세기의 여러 변형을 엮어 냈다.[41]

빨간 두건 이야기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 샤를 페로나 월터 드 라 메어 등 다양한 작가가 빨간 두건의 패러디 작품을 세상에 내놓고 있다. 할머니가 늑대와 빨간 두건을 먹어 버린다는 요아힘 링겔나츠의 『쿠텔 닷델두가 아이들에게 빨간 두건 이야기를 들려준다』나, 빨간 두건이 할머니로 변한 늑대를 간파하고 즉시 총으로 쏴 죽인다는 제임스 서버의 『소녀와 늑대』 등이 유명하다.

노구치 요시코에 따르면, "헤이세이 시대에 출판된 '빨간 두건' 책은 그림 형제의 원전에 충실한 것이 많지만, 동시에 자유롭게 고쳐 쓴 패러디풍의 것도 눈에 띈다"고 하며, 주목할 만한 점으로 "빨간 두건과 할머니가 결탁하여 늑대를 돌통에 빠뜨려 익사시키는 후일담을 포함하여 소개하는 그림책이나, 구출자가 어머니로 개변된 그림책"의 출현을 지적하고 있다.

4. 해석

구스타브 도레의 그림, 1883


빨간 두건은 낯선 사람과의 대화에 대한 경고 외에도, 성적인 내용을 포함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고전 동화이다.[45]

4. 1. 문화적 상징

이 이야기에서 빨간 두건 망토를 쓴 소녀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빨간색'을 상징한다. 빨간색은 순수함, 젊음, 생명력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와 함께 위험, 유혹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를 동시에 나타낸다. 늑대는 종종 남성, 위험, 야생성, 교활함 등을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된다.[47]

민속학자들과 문화인류학자들은 "빨간 두건" 이야기를 태양 신화나 자연 현상의 순환과 연결 짓기도 한다. 예를 들어, 빨간 두건은 밤(늑대)에 삼켜졌다가 새벽에 다시 나타나는 태양을 상징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46] 이는 노르드 신화에서 태양을 삼키는 늑대 스콜이나 펜리르와 연결되기도 한다.[47]

조지 프레데릭 와츠의 ''빨간 두건''


"빨간 두건" 이야기는 성적인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수전 브라운밀러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 이야기를 강간에 대한 비유로 묘사하기도 했다.[49] 그러나 많은 수정된 이야기에서는 빨간 두건이나 할머니가 늑대에게서 스스로를 지켜내는 여성의 힘을 강조하기도 한다.[50]

이러한 해석들은 "빨간 두건" 이야기를 여성의 주체성과 야생성을 드러내는 이야기로 재구성하며, 빨간 두건을 단순한 피해자가 아닌 주체적인 인물로 묘사한다.[51]

4. 2. 심리적 해석

에리히 프롬이나 브루노 베텔하임과 같은 정신 분석학자들은 "빨간 두건" 이야기를 프로이트적인 관점에서 해석했다.[48] 이들은 빨간 두건의 붉은색을 각각 "월경의 피" (프롬), "거친 성적 충동" (베텔하임)으로 해석하는 등 성적인 의미를 부여했다.[71]

이러한 해석은 빨간 두건이 사춘기 의례를 나타낸다는 해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 관점에서 소녀는 집을 떠나 늑대의 뱃속에서 나오는 과정을 통해 성인 여성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으로 해석된다.[47] 사냥꾼이 늑대의 배를 가르는 것은 "재탄생"을 의미하며, 늑대의 말을 들었던 어리석은 소녀가 새로운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것이다.[48]

하지만 이러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은 민속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동화 학자인 로버트 단턴은 "빨간 두건" 이야기의 대부분은 샤를 페로가 창작한 것이기 때문에, 민속학적 지식을 얻을 수 없다고 지적하며, 프롬과 같은 정신분석학자들의 해석을 비판했다.[71]

이 외에도 빨간 두건 이야기는 태양 신화나 자연의 순환 주기의 관점에서 해석되기도 한다. 빨간 두건은 밝은 태양을, 늑대는 끔찍한 밤을 상징하며, 늑대의 배에서 나오는 것은 새벽을 나타낸다는 것이다.[46] 이러한 해석은 노르드 신화의 늑대 스코르나 펜리르와 연결되기도 한다.[47]

4. 3. 사회적 해석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빨간 두건 이야기는 여성 억압과 폭력에 대한 경고로 해석되기도 한다. 수전 브라운밀러는 저서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Against Our Will)』에서 이 동화를 강간에 대한 비유로 묘사한다.[49] 그러나 빨간 두건이 스스로 위기를 극복하는 판본은 여성의 주체성과 힘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50]

이러한 이야기들은 미녀와 야수개구리 왕자와 같은 "동물 신랑" 이야기와 유사하지만, 해당 이야기들의 여주인공들이 영웅을 왕자로 되돌리는 반면, 이 버전의 빨간 모자는 여주인공이 영웅과 같은 야생적인 본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51] 이러한 해석은 이야기를 여성의 힘을 북돋는 이야기로 재구성하며, 빨간 모자를 피해자로 묘사하지 않는다.

5. 대중문화 속 빨간 두건

케네스 휘틀리가 1939년에 제작한 작품 진흥청 포스터


빨간 두건 이야기는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고 재해석되어 왔다. 문학,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음악, 공연 등 여러 분야에서 빨간 두건은 매력적인 소재로 활용되었다.

  • 영화 및 애니메이션: 텍스 에이버리의 레드 핫 라이딩 후드(1943)는 성인 취향의 유머를 담아 빨간 두건 이야기를 재해석했으며, 닐 조던 감독의 늑대의 피(1984)는 늑대인간과 소녀의 성적 각성이라는 요소를 결합했다. 월트 디즈니의 ''빅 배드 울프''(1934)와 보리스 스테판체프, 에브게니 라이콥스키 감독의 소련 애니메이션 "페탸와 빨간 모자"(1958)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페탸와 빨간 모자"는 많은 유행어를 남기며 컬트 영화로 자리 잡았고, 키예프와 안시 등 국제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54] 그 외에도 후드윙크드! (2005), 프리웨이 (1996), 진-로: 늑대 부대 (1999), 레드 라이딩 후드 (2006), 레드 라이딩 후드 (2011), 숲속으로 (2014), 워너 브라더스 만화 ''리틀 레드 라이딩 래빗''(1944), ''더 윈드블로운 헤어''(1949), ''레드 라이딩 후드윙드''(1955), ''Children at Play''(2010), 그림 형제 변주곡 (2024), NBC TV 시리즈 ''그림'', ''레드: 늑대인간 헌터''(2010), ABC TV 시리즈 ''원스 어폰 어 타임''(2011), TV 시리즈 ''골디 & 베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슈퍼 쇼!'', 디즈니 주니어 시리즈 ''리틀 아인슈타인'', 테이블탑 롤 플레잉 게임 쇼 ''디멘션 20'' 등 수많은 작품에서 빨간 두건 이야기가 차용되거나 패러디되었다.

  • 게임: 다크스토커즈 3 (1997)의 베이비 보니 후드는 빨간 두건을 패러디한 캐릭터이며, '''더 패스''' (2007)는 빨간 두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심리 공포 게임이다.

  • 기타: 빨간 두건은 제임스 넬슨 바커, 앤젤라 카터, 캐롤 앤 더피, 제리 핑크니, 제임스 서버, 앤 섹스턴, 제임스 핀 가너, 마리사 메이어, 니키타 길 등 많은 작가들의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도쿄 아카즈킨'', 빌 윌링햄의 ''페이블스 (만화)'', ''모니카와 친구들'' 등 만화에서도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소녀시대 써니, 싱가포르 예술가 케이시 첸, 크리스 콜퍼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빨간 두건을 모티프로 한 작품을 선보였으며, 노구치 요시코는 '''헤이세이 시대'''에 출판된 '빨간 두건' 책들이 그림 형제의 원전에 충실하면서도 자유롭게 고쳐 쓴 패러디풍의 작품들이 많다고 언급했다.


5. 1. 문학

제임스 서버는 "소녀와 늑대"라는 풍자적인 단편 소설에서 빨간 두건이 늑대를 총으로 쏴 죽이는 이야기를 썼다.[63] 앤 섹스턴은 그녀의 시집 ''Transformations''(1971)에서 여성의 욕망과 성장을 다룬 "빨간 두건"이라는 시를 썼다.[63]

5. 2. 영화 및 애니메이션


  • 텍스 에이버리의 단편 애니메이션 "레드 핫 라이딩 후드"(1943)는 성인 지향적인 도시 환경을 배경으로, 세련된 늑대가 나이트클럽 가수 레드에게 구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52] 에이버리는 이후 "스윙 시프트 신데렐라"(1945), "리틀 루럴 라이딩 후드"(1949) 등의 작품에서도 비슷한 설정을 사용했다.
  • 닐 조던 감독의 "늑대의 피"(1984)는 앤젤라 카터의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늑대인간과 소녀의 성적 각성이라는 요소를 결합하여 빨간 두건 이야기를 재해석했다.[53]
  • "후드윙크드!"(2005)는 빨간 두건 이야기를 경찰 수사극 형식으로 재구성한 애니메이션이다.
  • 월트 디즈니의 ''빅 배드 울프''(1934)는 ''실리 심포니'' 시리즈 중 하나로, ''세 마리 아기 돼지''에 등장했던 빅 배드 울프가 빨간 모자와 할머니를 위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보리스 스테판체프와 에브게니 라이콥스키 감독의 소련 애니메이션 영화 "페탸와 빨간 모자"(1958)는 늑대로부터 소녀와 할머니를 구하는 소년 페탸 이바노프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컬트 영화로, 많은 대사가 유행어가 되었다.[54] 1959년과 1960년에 우크라이나 키예프와 에스토니아, 안시에서 열린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 1996년 영화 ''프리웨이''는 빨간 모자 이야기를 각색한 범죄 드라마로, 리즈 위더스푼이 연기한 빨간 모자는 학대받는 십 대, 키퍼 서덜랜드가 연기한 늑대는 연쇄 살인범으로 묘사된다.
  • ''진-로: 늑대 부대''(1999)는 늑대의 승리를 보여주기 위해 빨간 모자 이야기를 사용하는 일본 액션 정치 스릴러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영화 ''레드 라이딩 후드''(2006)는 빨간 두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뮤지컬이다.
  • 영화 ''레드 라이딩 후드''(2011)는 이 이야기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다.[55]
  • 2014년 영화 숲속으로에서 빨간 모자는 주요 등장인물 중 하나이며, 릴라 크로포드가 연기했다.
  • 워너 브라더스 만화 ''리틀 레드 라이딩 래빗''(1944, 메리 멜로디), ''더 윈드블로운 헤어''(1949, 루니 툰), ''레드 라이딩 후드윙드''(1955, 루니 툰)에서 빨간 두건 이야기가 패러디되었다.
  • ''Children at Play''(2010)는 렉산 로서 감독, 브라이언 데카르트 주연의 단편 영화로, 고전 동화를 재해석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그림 형제 변주곡''(2024)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빨간 두건 이야기를 재해석한다. 빅 배드 울프는 그레이라는 인간 연쇄 살인범으로 묘사된다.
  • NBC TV 시리즈 ''그림''의 파일럿 에피소드는 빨간 두건 이야기가 늑대인간 블루트바덴의 전설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 ''레드: 늑대인간 헌터''(2010)는 캐나다 TV 영화 공포 영화로, 빨간 두건 소녀의 후손인 "레드" 가문이 늑대인간을 사냥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ABC TV 시리즈 ''원스 어폰 어 타임''(2011)에서 빨간 두건(메건 오리 분)은 늑대인간이며, 그녀의 망토는 변신을 막는 마법을 지니고 있다. 그녀의 스토리브룩 페르소나는 웨이트리스 루비 루카스이다.[58]
  • TV 시리즈 ''골디 & 베어''에서 레드는 할머니에게 머핀을 배달하는 것을 좋아하는 어린 소녀이며, 머핀맨의 딸이다.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슈퍼 쇼!'' 에피소드 "리틀 레드 라이딩 프린세스"에서 피치 공주는 빨간 두건, 쿠파 대왕은 늑대 역할을 맡아 이야기가 패러디되었다.
  • 디즈니 주니어 시리즈 ''리틀 아인슈타인'' 에피소드 "리틀 레드 로켓후드"에서 로켓은 아픈 할머니를 위해 "로켓 수프"를 가져가고, 빅 제트는 수프를 훔치려 하지만 실패한다.
  • 테이블탑 롤 플레잉 게임 쇼 ''디멘션 20''의 "네버애프터" 시즌에서 빨간 두건 소녀는 율파 스노르겔슨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에밀리 액스포드가 연기한다.

5. 3. 게임


  • '''다크스토커즈 3''' (1997): 베이비 보니 후드는 빨간 두건을 패러디한 캐릭터로, 겉모습은 귀여운 소녀지만 실제로는 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한 정신병적인 게릴라이다.
  • '''더 패스''' (2007): 빨간 두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심리 공포 게임으로, 6명의 소녀들이 각자 숲에서 '늑대'와 마주치는 이야기를 다룬다. 테일 오브 테일즈에서 개발했다.

5. 4. 기타

빨간 두건 이야기는 다양한 예술 작품, 음악, 공연 등에서 모티프로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그 예시들이다.

  • 문학:
  • 제임스 넬슨 바커는 1827년에 빨간 두건 이야기를 약 1000단어 길이로 각색했다. 이 작품은 1858년 윌리엄 E. 버턴의 ''유머 백과사전''에 재수록되었다.
  • 앤젤라 카터는 단편 소설 "늑대의 무리"에서 빨간 두건을 "야수적이고 사나운" 여주인공으로 묘사했다. (''피의 방''(1979) 수록)
  • 캐롤 앤 더피는 시집 ''The World's Wife''에 수록된 시 'Little Red-Cap'에서 성장한 주인공과 늑대의 관계를 다루었다.
  • 제리 핑크니는 그림책 ''빨간 두건''(2007)을 통해 이 이야기를 어린이들에게 맞게 각색했다.
  • 제임스 서버는 "작은 소녀와 늑대"라는 풍자적인 단편 소설에서 빨간 두건을 영리하게 묘사했다.
  • 앤 섹스턴은 시집 ''Transformations''(1971)에 "빨간 두건"이라는 시를 통해 그림 형제의 동화를 재해석했다.[63]
  • 제임스 핀 가너는 ''정치적으로 올바른 잠자리 이야기''에서 페미니즘 관점으로 빨간 두건 이야기를 각색했다.[64]
  • 마리사 메이어는 소설 ''스칼렛''(2013)에서 빨간 두건 이야기를 느슨하게 차용했다. (''루나 연대기''의 두 번째 책)
  • 니키타 길은 시집 ''Fierce Fairytales: & Other Stories to Stir Your Soul''(2018)의 시 "The Red Wolf"에서 빨간 두건을 언급했다.[65]
  • 만화:
  • ''도쿄 아카즈킨''의 주인공은 "빨간 두건"이라는 별명을 가진 11살 소녀이다.
  • 빌 윌링햄의 ''페이블스 (만화)'' 시리즈에 빨간 두건이 등장한다.
  • ''모니카와 친구들'' 만화책에서 빨간 두건 이야기가 종종 패러디된다.
  • 영화:
  • 앤젤라 카터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84년 영화는 여성의 욕망과 동물적 본능을 탐구한다.[62]
  • 기타:
  • 소녀시대 써니는 "The Boys" 앨범 콘셉트 사진에서 빨간 두건을 모티프로 활용했다.
  • 싱가포르 예술가 케이시 첸은 싱가포르 억양으로 이 이야기를 다시 쓰고 ''The Red Riding Hood Lah!''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 크리스 콜퍼의 ''The Land of Stories'' 시리즈에서 빨간 두건은 빨간 두건 왕국의 여왕으로 등장한다.
  • 노구치 요시코는 '''헤이세이 시대'''에 출판된 '빨간 두건' 책들이 그림 형제의 원전에 충실하면서도 자유롭게 고쳐 쓴 패러디풍의 작품들이 많다고 언급했다.


참조

[1] 서적 The Classic Fairy Tales
[2]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Little Red Riding Hood https://www.science.[...]
[3] 웹사이트 There Are 58 Versions of Little Red Riding Hood, Some 1,000 Years Older Than the Brothers Grimm's https://www.smithson[...]
[4] 간행물 Il faut sauver Le petit chaperon rouge
[5] 간행물 Before ''Contes du temps passe'' (1697): Charles Perrault's ''Griselidis'', ''Souhaits'' and ''Peau''
[6] 서적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nimal tales, tales of magic, religious tales, and realistic tales, with an introduction FF Communications
[7] 서적 Red Riding Hood Brown Watson
[8]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W W Norton 2002
[9] 서적 Fairytale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9
[10] 서적 Fairytale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9
[11] 서적 Fairytale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9
[12] 서적 The Classic Fairy Tal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14] 문서
[15] 간행물 The Earliest Version of the Chinese Red Riding Hood 1993-12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서적 The Distaff Gospels: A First Modern English Edition of Les Évangiles des Quenouilles https://books.google[...] Broadview Editions 2006
[20] 서적 She-wolf: A Cultural History of Female Werewolv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5
[21] 문서
[22] 문서 little ducking
[23] 문서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24] 서적 The Trials and Tribulations of Little Red Riding Hood: Versions of the Tale in Sociocultural Context Bergin & Garvey 1983
[25] 서적 Rotkäppchen. Eine vergleichende Märchenuntersuchung Artes Populares 1950–1989
[26] 서적 The Trials and Tribulations of Little Red Riding Hood Routledge
[27] 서적 The Great Cat Massacre and Other Episodes in French Cul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8] 문서
[29] 문서
[30] 웹사이트 Le Petit Chaperon Rouge http://www.pitt.edu/[...]
[31]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W W Norton 2002
[32] 웹사이트 Little Red Riding Hood Charles Perrault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2016-01-12
[33] 웹사이트 Little Red Cap http://www.pitt.edu/[...]
[34] 문서
[35] 문서
[36] 간행물 "The Influences of Charles Perrault's ''Contes de ma Mère L'oie'' on German Folklore"
[37]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W W Norton 2002
[38] 웹사이트 Little Red Cap http://www.pitt.edu/[...]
[39] 서적 The True History of Little Goldenhood http://www.surlalune[...] 1890
[40] 웹사이트 BNF note online http://data.bnf.fr/1[...]
[41] 서적 The Golden Age of Folk and Fairy Tales: From the Brothers Grimm to Andrew Lang Hackett Publishing 2013
[42] 서적 Anthropological Report on the Ibo-Speaking Peoples of Nigeria, Part 3 https://archive.org/[...] Harris & Sons 2024-02-18
[43] 서적 Contes Populaires Persans du Khorassan C. Klincksieck 1975
[44] 서적 Folktales of Fr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45] 서적 Touch Magic
[46]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W W Norton 2002
[47] 서적 The Brothers Grimm and Folkta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8]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W W Norton 2002
[49]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50]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51]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52]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53]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54] 웹사이트 Nazi fairy tales paint Hitler as Little Red Riding Hood's saviour (Archived) http://www.telegraph[...] 2021-05-29
[55] 웹사이트 Exclusive Interview With 'Red Riding Hood' Director Catherine Hardwicke http://www.hollywood[...] 2011-03-09
[56] 서적 Movies in American History: An Encyclopedia [3 volume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57] Youtube Monty Python's Little Red Riding Hood https://www.youtube.[...] 2006-07-14
[58] 웹사이트 Once Upon a Time: Meghan Ory Dishes on Big Bad Wolf Twist! Plus, What's Next for Ruby? http://www.eonline.c[...] E! 2015-10-13
[59] 서적 Children's Literature 1978
[60] 서적 Ternura: canciones de niños Saturnino Calleja 1924
[61]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62]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Basic Books 2002
[63] 서적 Transformations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1971
[64] 서적 Politically Correct Bedtime Stories: Modern Tales for Our Life and Times Souvenir Press
[65] 서적 Fierce Fairytales: & Other Stories to Stir Your Soul Hachette Books 2018
[66] 서적 The Burning Girls https://www.storyber[...] Storyberries 2024
[67] 웹사이트 The Burning Girls https://www.overdriv[...] 2024-12-20
[68] 웹사이트 Little Red Riding Hood https://soundcloud.c[...] 2015-02-01
[69] 뉴스 Two Unreleased Lana Del Rey Songs Have Surfaced: 'Delicious' And 'Big Bad Wolf' https://www.mtv.com/[...] MTV News 2012-08-23
[70] 서적 Into the Woods 1987
[71] 서적 グリム童話―メルヘンの深層 http://www.shosbar.c[...] 講談社 2011-05-15
[72] 간행물 The Phylogeny of Little Red Riding Hood https://journals.plo[...] 2013-11-13
[73] 뉴스 系統学で見る「赤ずきん」のルーツ https://natgeo.nikke[...] 2016-06-12
[74] PDF Schrifte2 http://www.gasl.org/[...]
[75] 문서 邦訳「小さい赤ずきんの生と死」、板倉敏之・佐藤茂樹編『もうひとりのグリム―グリム兄弟以前のドイツ・メルヘン』北星堂書店、1998年、165–190頁所収
[76] 서적 그림 형제 동화집 1 비룡소 2005
[77] 서적 The Classic Fairy Tales
[78] 서적 The Classic Fairy Tales
[79] 서적 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80]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A Casebook
[81] 서적 Little Red Riding Hood Uncloaked: Sex, Morality and the Evolution of a Fairy Tale
[82] 문서 Jack Zipes, "The Trials and Tribulations of Little Red Riding Hood"
[83] 문서 Robert Darnton, "The Great Cat Massacre"
[84] 웹사이트 Le Petit Chaperon Rouge http://www.pitt.edu/[...]
[85]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86] 웹사이트 little Red Cap http://www.pitt.edu/[...]
[87] 서적 "The Influences of Charles Perrault's Contes de ma Mère L'oie on German Folklore"
[88] 서적 "The Influences of Charles Perrault's Contes de ma Mère L'oie on German Folklore"
[89]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W. W. Norton & company, London, New York 2004
[90] 웹사이트 Little Red Cap http://www.pitt.edu/[...]
[91] 웹사이트 The True History of Little Goldenhood http://www.surlalune[...]
[92] 웹사이트 Big Bed Wolf https://www.imdb.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